KR102427829B1 -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29B1
KR102427829B1 KR1020210112430A KR20210112430A KR102427829B1 KR 102427829 B1 KR102427829 B1 KR 102427829B1 KR 1020210112430 A KR1020210112430 A KR 1020210112430A KR 20210112430 A KR20210112430 A KR 20210112430A KR 102427829 B1 KR102427829 B1 KR 10242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gerprint
electronic device
input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930A (ko
Inventor
김인지
최상언
소병석
유미라
유호준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930A/ko
Priority to KR102022009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 G08C2201/61Password, biome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문자 입력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및, 전자 장치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에 출시되는 TV는 방송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웹 브라우징 검색 기능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구매 서비스, 프라이빗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과 같이 보안성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패턴 입력이나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시 패스워드가 타 사용자에게 공개될 가능성이 있거나, 매 인증시마다 짧지 않은 길이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문 인증 및 암호 인증을 동시에 입력하여 보안성을 제공하면서 용이한 인증 수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문자 입력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및, 상기 전자 장치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ID 및 PASSWORD 입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 인식부는,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확인 버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버튼 영역이 누름 조작되는 횟수 만큼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문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지문 인식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벗어나면 상기 지문 인식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인증 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명령과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을 통해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상기 지문 인식 센서이 활성화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확인 버튼 영역에 마련된 지문 인식 센서을 통해 상기 사용자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인증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이며, 상기 인증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인증 정보로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 인증 방식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구비한 입력부, 상기 터치 패널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지문 인식부 및,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방식으로 입력된 암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방식으로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 및 번호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문 인식부는, 상기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점, 상기 패턴 입력 중 방향이 전환되는 터치점, 상기 패턴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이며, 상기 제어부는, 패턴 인증을 위한 패턴 등록 모드에서 패턴 등록을 위한 패턴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정보를 지문 인증을 위한 기준 지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턴 등록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지문 정보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내용을 가이드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호 인증 방식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암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암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방식으로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지문 인식 절차 없이 사용자의 지문을 자동으로 등록하여 인증 절차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식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에 따른 지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이벤트 발생시 등록된 지문 정보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지문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및 도 16b는 도 14에서 설명된 패턴 등록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설명된 패턴 등록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오스크(Kiosk),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음성 또는 모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리모콘,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UI 화면에 대한 다양한 타입의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문자 입력 UI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장치(100)에 문자 입력을 위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문자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 계정 생성(또는 연결)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검색 또는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문자 입력 UI는 복수의 문자 아이템 및 복수의 기능 아이템(예를 들어, 엔터, 스페이스 등)이 포함된 UI로서, 가상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는 한국어, 영어, 일어(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중국어, 로마자, 그리스 문자 등과 같은 언어 문자나, 숫자나 각종 기호 등과 같은 기호 문자나 도형 문자, 각종 단위를 나타내는 단위 문자, 괘선 문자 등과 같이, 기기에 입력되어 사용될 여지가 있는 다양한 문자들을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도 1, 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전자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리모콘 수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문자 아이템이 포함된 문자 입력 UI(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이벤트에 따라 문자 입력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해당 문자 입력 UI 상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및 해당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해당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이벤트에 따라 제공되는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각 사용자 별로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위해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ID(예를 들어, 사용자 이메일 주소) 및 패스 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정 생성시 필요한 정보에 따라 이름, 전화번호, SNS 계정 등도 계정 생성에 요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계정 생성 화면을 통해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면, 함께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대체하는 인증 정보로 저장하고, 추후 인증 수행시 해당 지문 정보를 활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의 ID와 연결시켜 저장함으로써, 추후 인증 수행시 패스워드 대신 입력되는 지문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는, SNS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 E-mail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 등 다양한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문자 입력 모드에서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는 SNS 계정, E-mail 계정 등에 대한 로그인 시 인증 정보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문자 입력 UI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또는 지문 인식 모듈)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버튼 영역은 문자 입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버튼 영역, 예를 들어, 문자 입력 UI 상에서 커서와 같은 선택 GUI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입력창에 입력하기 위한 확인 버튼부가 구비된 영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입력시 필요한 "@"를 입력 버튼에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되거나, 4 방향 버튼부 영역에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여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를 비활성화시켜 놓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생성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지문 인식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의 활성화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자체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모드에 진입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해당 버튼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해당 버튼의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여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100)의 UI 화면을 미러링하고, 해당 UI 화면을 통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되는 경우 등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UI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인식된 복수의 사용자 지문 정보는 확인 버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되거나,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 종료시에 한 번에 수신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인식된 복수의 지문 정보를 단순히 한번에 수신되거나, 복수의 지문 정보가 통합된 하나의 지문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계정 생성 동안 수신된 복수의 지문 정보를 각각 별개로 저장하거나, 복수의 지문 정보를 하나의 지문 정보로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손가락의 적어도 상이한 일 부분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문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의 완전한 지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30)는 사용자 인증 이벤트 발생시 저장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문 정보가 각각 별개로 저장된 경우, 저장된 복수의 지문 정보 중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지문 정보에 매칭되는 지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지문 정보가 통합된 하나의 지문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저장된 지문 정보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지문 정보에 매칭되는 지문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및 비디오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 수신부(미도시)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미도시)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DVD, BD 플레이어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저장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계정 및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 내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해당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장치 예를 들어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미도시)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31), ROM(132), 그래픽 처리부(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이때, RAM(131), ROM(132), 그래픽 처리부(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4)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4)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134)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34)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지문 인식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후술하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입력부(220)는 4 방향 버튼부, 확인 버튼부, 전원 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부는 전자 장치(100) 상에 제공된 UI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커서 등과 같은 선택 GUI의 4 방향 조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확인 버튼부는 커서가 UI 화면 상의 특정 오브젝트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UI에서 특정 문자 아이템 상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확인 버튼부가 입력되면, 해당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그 밖에 입력부(22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다양한 버튼부,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버튼, 볼륨 조정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230)는 입력부(220)의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 지문을 인식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버튼 영역은 상술한 확인 버튼부가 마련된 영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문 인식 기술은 생체 인식의 하나로, 각 개인마다 다른 지문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시키는 인증 방식이다. 지문은 진피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 한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지문 인식은 개개인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지문 인식부(230)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는 센서 표면에 지문 접촉시 변화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 모양에 대응하는 지문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리모콘으로 구현되는 경우, 확인 또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확인 버튼부(410) 영역에 지문 인식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확인 버튼부(410)의 외곽 영역에는 4 방향 조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4 방향 버튼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4 방향 버튼부(42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입력 UI 상에 배치된 문자 아이템 상에서 커서의 이동을 조작하고, 확인 버튼부(410)를 통해 커서를 통해 선택한 문자 아이템에 대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여 입력할 때마다 확인 버튼부(410) 영역에 마련된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지문이 인식되고, 인식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4 방향 버튼부(240) 영역에 지문 인식 센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밖에 사용자 계정 생성에 필요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다른 버튼 영역에 지문 인식 센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인식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문 인식 센서(10)에 의하면, 압전체 후막(11)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그 지문(12)에 따른 압력(13)에 의해 접촉 부위의 전류 밀도값이 변화한다. 이러한 전류 밀도 값을 센싱 소자(14)를 통해 아웃풋 라인(15)으로 독출하여 지문(12)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문 인식 센서(20)에 의하면, 용량성 CMOS 센서(capacitive CMOS sensor)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즉, 센서 표면(22)과 손가락 지문(23)의 캐패시턴스를 측정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탈 이미지로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도 5a 및 도 5b는 지문 인식 센서의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지문 인식 센서는 업계에서 채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버튼 영역은 상술한 지문 인식부(230)가 구비된 확인 버튼 영역(도 4, 확인 버튼부(410) 영역)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기설정된 버튼 영역을 통해 입력되면, 입력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계정 생성을 위한 버튼 누름) 등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서 사용자 지문이 인식되는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 SNS 계정, E-mail 계정 등 다양한 사용자 계정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지문 인식의 필요 여부에 따라 지문 인식부(230)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지문 인식부(230)를 비활성화시켜 놓은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지문 인식부(2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가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지문 인식부(230)를 활성화시키고,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벗어나면, 지문 인식부(23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문 인식부(2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사용자 지문이 등록된 후, 이후 해당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지문 인식부(2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였는지,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 인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계정 생정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한 경우, 기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등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마련된 지문 인식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비활성화된 지문 인식부(230)를 활성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40)는 확인 버튼 영역에서 사용자 지문이 인식되면, 인식되는 시점마다 인식된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확인 버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확인 신호와 인식된 지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는 수신된 확인 신호 횟수 만큼 인식된 지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제어부(240)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인식된 복수의 지문 정보를 해당 문자 입력 모드 종료시에 한 번에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인식된 복수의 지문 정보를 단순히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으나, 인식된 복수의 지문 정보를 하나의 지문 정보로 통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복수의 지문 정보를 하나의 지문 정보로 통합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지문 인식 과정을 수행하지 않더라고 자동으로 생성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지문이 인식되어 등록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지문 인식부(230), 제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240)의 세부 구성은 도 2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3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5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특히,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에 따른 지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ID 및 PASSWORD를 입력함에 의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는 문자 입력 UI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문자 입력 UI 상에서 커서(610)의 위치를 이동시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610)의 위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4 방향 버튼을 통해 이동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610)가 문자 아이템 "p"(62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확인 버튼(420)을 누름 조작하면, 선택된 문자 아이템 "p"(620)에 대응되는 문자 p가 문자 입력창(630)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확인 버튼(420)이 누름 조작되는 경우 사용자 지문이 함께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의 입력 횟수 만큼 확인 버튼(420)이 누름 조작되고, 확인 버튼(420)이 누름 조작되는 횟수 만큼 사용자 지문도 인식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정 생성을 위한 PASSWORD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확인 버튼(420)이 문자 입력 횟수 만큼 누름 조작되고, 확인 버튼(420)이 누름 조작되는 횟수 만큼 사용자 지문도 인식된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생성시 5 개의 문자로 구성된 ID 및 5 개의 문자로 구성된 PASSWORD가 수정없이 입력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사용자 지문은 문자 입력 횟수 즉, 10 번 인식되고 지문 정보 또한 10 개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된 지문 정보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로 전송되어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등록되는 지문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 개의 지문 정보가 통합된 하나의 통합 지문 정보가 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10 개의 지문 정보가 각각 별개의 정보로 등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에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벤트 발생시, 등록된 지문 정보가 인증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이벤트 발생시 등록된 지문 정보에 따른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인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계정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를 나타내는 아이콘(711 내지 715)을 포함하는 UI 화면(또는 ID 입력을 요구하는 UI 화면)이 제공되고, 사용자는 자신을 나타내는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을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설정된 영역 즉, 지문 인식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된 영역(예를 들어 확인 버튼 영역)을 통해 지문 인식을 수행하여 선택한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시스템을 해제시켜 놓은 경우에는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사용자 아이콘만 선택하면 대응되는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실시 예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지문을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된 확인 버튼 영역을 누름 조작할 때마다 인식되는 복수의 지문 정보는 하나의 지문 정보로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확인 버튼 영역을 누름 조작하는 경우, 검지 손가락 중 실제 눌려지는 부분, 눌려지는 강도, 눌려지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지문 정보의 위치, 선명도 등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문 정보를 통합하여 검지 손가락에 대응되는 하나의 완전한 지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통합 과정은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해당 알고리즘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지문 인식 센서가 구비된 확인 버튼 영역을 누름 조작할 때마다 인식되는 복수의 지문 정보는 각각 별개의 지문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인식 대상이 되는 지문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지문 정보 중 매칭되는 지문 정보를 검색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모드에 진입하면, 문자 입력 UI가 디스플레이되고(S910), 해당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버튼 영역에 구비된 지문 인식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930). 여기서, 기설정된 버튼 영역은 문자 입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버튼 영역, 예를 들어 확인 버튼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는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지문 인식이 수행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확인 버튼 영역이 누름 조작되는 경우 해당 누름 조작시 자동으로 지문이 인식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확인 버튼 영역에 대한 누름 조작을 통해 인식된 지문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S950). 여기서, 지문 정보는 확인 버튼 영역에 대한 누름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 즉, 문자 입력 신호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문 정보는 해당 모드 종료시 한 번에 전자 장치(1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100)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지문 정보를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등록하여 저장한다(S96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벤트 발생시 등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 장치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S1010:Y),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한다(S1020). 여기서,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한다(S1030).
사용자 지문은 인식하는 S1020 단계에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ID 및 PASSWORD 입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문은 인식하는 S1020 단계에서는,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확인 버튼 영역에 마련된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 지문은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문 인식 센서는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지문은 인식하는 S1020 단계에서는, 확인 버튼 영역이 누름 조작되는 횟수만큼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문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110).
이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한다(S1120).
이 후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인증 정보로 저장한다(S1130).
여기서,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는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정보로 저장하는 S123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가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정보로 저장된 후,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 이벤트 발생시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입력부(310), 지문 인식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사용자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터치 인터렉션으로 제어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터치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술한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암호를 터치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암호는 패턴 입력 및 번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지문 인식부(320)는 터치 패널부(310)의 기설정된 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 지문을 인식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은 패턴 또는 번호가 입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을 통해 암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해당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패턴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숫자 입력 UI에서 각 숫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해당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330)는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된 암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획득된 지문 정보를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패턴 인식 모드 또는 번호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패턴 또는 번호에 기초하여 초기 인증을 수행하고, 패턴 또는 번호가 입력되는 동안 획득된 지문 정보를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인식 모드 또는 번호 인식 모드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잠금 상태(또는 잠금 화면)에서 잠금 상태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는 패턴 또는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모드가 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패턴 인식 모드에서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점, 패턴 입력 중 방향이 전환되는 터치점, 패턴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Z”자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제1 터치점, 우측 방향 드래그에서 대각선 방향 드래그로 방향이 전환되는 제2 터치점, 대각선 방향 드래그에서 좌측 방향 드래그로 방향이 전환되는 제3 터치점, 패턴 입력이 종료되는 제4 터치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330)는 번호 인식 모드에서는 번호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예를 들어 4자리 비밀 번호의 경우 처음 숫자 및 마지막 숫자가 입력되는 터치 점)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번호가 입력되는 모든 터치점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330)는 패턴 인증을 위한 패턴 등록 모드에서 패턴 등록을 위한 패턴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정보를 상기 기 저장된 지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등록 모드란, 패턴 입력을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최초에(예를 들어, 설정 메뉴를 통해) 패턴을 등록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한편, 번호 등록 모드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330)는 패턴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내용을 가이드하는 GUI 피드백, 음성 피드백, 햅틱 피드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0)는 패턴 등록 모드에서 지문이 제대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지문이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내용을 가이드하여 정상적으로 지문이 등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지문 인식 오류로 인한 패턴 입력(번호 입력)을 재요청하는 가이드를 제공하거나,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이드는 상술한 패턴 인식 모드에서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번호 등록 모드 또는 번호 인식 모드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상술한 터치 패널과 결합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기설정된 입력 모드에서 암호(password)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입력 모드는 인증을 위한 암호 등록 모드 및 인증을 위한 암호 인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는 패턴 또는 숫자(또는 문자)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호가 패턴 형식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패턴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예를 들어 9개의 점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하고, 암호가 숫자(또는 문자)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숫자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즉, 숫자(또는 문자) 입력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등록된 패턴 또는 암호, 지문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 오디오 출력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b에 도시된 설명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인증(물리 인증) 및 패턴(또는 비밀 번호) 인증(인지적 인증)을 동시에 입력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간편한 인증 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패턴 인증 모드에서 패턴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1311 내지 1319)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b는 번호 인증 모드에서 번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1321 내지 1330)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패턴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1311 내지 1319)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또는 번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GUI(1321 내지 1330)에는 지문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각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역 각각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각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Z” 자 형태의 패턴을 등록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첫번째 라인이 입력되면(1410), 첫번째 라인의 마지막 터치 포인트, 즉“ㅡ” 라인에서 “/”라인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420). 이 경우, 지문이 인식되는 터치 포인트에서 기설정된 터치를 유지할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이 사용자에게 알림창,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두번째 라인이 입력되면(1430), 두번째 라인의 마지막 터치 포인트, 즉 “/” 라인에서 “ㅡ”라인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440).
이어서, 마지막 라인이 입력되면(1450), 마지막 라인의 터치 포인트, 즉 패턴이 입력이 완료되는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460).
이어서, 패턴 입력이 완료되면(1470), “Z”자 패턴과 함께 패턴 입력시 인식된 지문이 사용자 인증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1480).
다만, 지문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이를 피드백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또는 알림창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지문이 제대로 인식되는 경우에도 피드백(예를 들어, GUI 피드백, 햅틱 피드백, 음성 피드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가 입력 면적이 큰 단말에서의 패턴 등록 절차를 설명하는 것이라면, 도 15는 입력 면적이 작은 단말에서의 패턴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면적이 작은 영역에서는 문자 형태의 패턴의 아닌 단순 방향 패턴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 ↓, ←” 방향의 연속 패턴을 등록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첫번째 방향 패턴(→)이 입력되면(1510), 첫번째 방향 패턴의 마지막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520).
이어서, 두번째 방향 패턴(↓)이 입력되면(1530), 두번째 방향 패턴의 마지막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540).
이어서, 마지막 방향 패턴(←)이 입력되면(1550), 마지막 방향 패턴의 터치 포인트에서 지문이 획득될 수 있다(1560).
이어서, 패턴 입력이 완료되면(1570), “→, ↓, ←”의 방향 패턴과 함께 패턴 입력시 인식된 지문이 사용자 인증 정보로 등록될 수 있다(1580).
도 16a및 도 16b는 도 14에서 설명된 패턴 등록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위해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패턴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 점에서 지문을 획득하고, 입력된 패턴과 패턴 입력시 획득된 지문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 점에서 지문을 획득하고, 입력된 패턴과 패턴 입력시 획득된 지문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16a 및 도 16b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은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 점 및 종료되는 터치 점 모두에서 획득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터치 점(방향이 전환되는 터치 점)에서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5에서 설명된 패턴 등록 실시 예에 따른 패턴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위해 방향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방향 패턴의 입력이 종료된 후, 터치 입력을 통해 지문이 획득되고, 입력된 방향 패턴과 획득된 지문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사용자 지문은 방향 패턴 입력과 동시에 획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암호가 터치 방식으로 입력된다(S1810).
이어서, 입력된 암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터치 방식으로 암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획득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한다(S1820).
여기서,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 및 번호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암호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지문 인식을 위한 지문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인 경우, S1820 단계에서는, 패턴 입력이 시작되는 터치점, 패턴 입력 중 방향이 전환되는 터치점, 패턴 입력이 종료되는 터치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암호 인증 방식은 패턴 인증 방식인 경우, 제어 방법은 패턴 인증을 위한 패턴 등록 모드에서 패턴 등록을 위한 패턴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정보를 지문 인증을 위한 기준 지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 지문 정보가 정상적으로 획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내용을 가이드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계정 생성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ID/PW를 위한 문자 입력시 또는 패턴 인증(또는 번호 인증)을 통한 패턴(또는 번호) 입력시 자연스럽게 ID와 지문을 연결해서 자동으로 지문 등록을 수행하므로, 지문 등록을 위한 절차를 별도로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하면서도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방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가 기설정된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문자 입력 UI 상에서 특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사용자 지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통신부 130: 제어부
200: 사용자 단말 장치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지문 인식부
240: 제어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통신부; 및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부에 입력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상기 사용자 인증에 대응되는 제2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패스워드에 대한 후속 입력 없이 상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지문 인식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지문 인식부에 입력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상기 사용자 인증에 대응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인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인식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상기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은,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인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지문 인식부를 비활성화하는 인증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패스워드에 대한 후속 입력 없이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인증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화면을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인증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인증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한 입력의 요청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인증 시스템.
  14.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매체(medium)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상기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부에 입력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상기 사용자 인증에 대응되는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패스워드에 대한 후속 입력 없이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화면을 포함하는 매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매체.
KR1020210112430A 2014-03-21 2021-08-25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31A KR102527291B1 (ko) 2014-03-21 2022-07-2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410 2014-03-21
KR1020140033410 2014-03-21
KR1020140120276A KR102296180B1 (ko) 2014-03-21 2014-09-1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76A Division KR102296180B1 (ko) 2014-03-21 2014-09-1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31A Division KR102527291B1 (ko) 2014-03-21 2022-07-2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930A KR20210108930A (ko) 2021-09-03
KR102427829B1 true KR102427829B1 (ko) 2022-07-29

Family

ID=5434145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76A KR102296180B1 (ko) 2014-03-21 2014-09-1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12430A KR102427829B1 (ko) 2014-03-21 2021-08-25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090631A KR102527291B1 (ko) 2014-03-21 2022-07-2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54210A KR20230060497A (ko) 2014-03-21 2023-04-25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276A KR102296180B1 (ko) 2014-03-21 2014-09-1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31A KR102527291B1 (ko) 2014-03-21 2022-07-21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54210A KR20230060497A (ko) 2014-03-21 2023-04-25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20170011623A1 (ko)
EP (2) EP3823295A1 (ko)
KR (4) KR102296180B1 (ko)
CN (2) CN1115864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5929B2 (ja) * 2016-10-11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6132B1 (ko) 2017-03-30 202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BR112020004179A2 (pt) * 2017-08-29 2020-09-08 Home Control Singapore Pte Ltd reconhecimento sutil de usuário
KR102489487B1 (ko) * 2017-12-19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00053752A (ko) 2018-11-09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29414B1 (ko) 2019-01-17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018517A1 (ja) * 2022-07-19 2024-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2要素認証システム、2要素認証方法、及び2要素認証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66B1 (ko) * 2006-10-23 2013-08-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6973B1 (en) * 1998-09-08 2003-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e and dynamic biometrics-based token generation for access control and authentication
KR20010111609A (ko) 2000-06-12 2001-12-19 장용우 지문을 이용한 개인용컴퓨터의 운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53741Y1 (ko) 2001-07-21 2001-12-01 엘지전자주식회사 인증기능이 부가된 양방향 무선 리모콘 장치
US20030172283A1 (en) * 2001-10-25 2003-09-11 O'hara Sean M. Biometric characteristic-enabled remote control device
GB2388941A (en) * 2002-05-22 2003-11-26 British Broadcasting Corp A remote control with a finger print sensor for user identi cation
NO318169B1 (no) 2002-12-18 2005-02-14 Svein Mathiassen Anordning for fjernkontroll og autentisering
KR20050107430A (ko) * 2003-05-21 2005-11-11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지문센서내장 휴대 단말장치
US20050204173A1 (en) * 2004-03-10 2005-09-15 Giga-Byte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filling in user data us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KR100595278B1 (ko) 2005-03-04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호 적용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100663437B1 (ko) * 2005-11-0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원격 입력 방법
CN1987832B (zh) 2005-12-20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指纹识别功能的输入装置及其指纹识别方法
KR100856203B1 (ko)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00077090A1 (en) * 2008-09-23 2010-03-25 Joseph Chyam Cohen Fast switching between multiple user sessions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286B1 (ko) * 2009-04-10 2012-03-29 박용팔 터치스크린 기능 및 지문인식 기능이 내장된 리모콘
KR101642111B1 (ko) * 2009-08-18 2016-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US9336428B2 (en) * 2009-10-30 2016-05-10 Synaptics Incorporated Integrated fingerprint sensor and display
US9292731B2 (en) * 2009-12-30 2016-03-22 Intel Corporation Gesture-based signature authentication
US20110221622A1 (en) * 2010-03-10 2011-09-15 West R Michael Peters Remote control with user identification sensor
KR20120053296A (ko) 2010-11-17 2012-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지문인식형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인증방법
KR101161544B1 (ko) 2010-12-01 2012-07-03 크루셜텍 (주) 사용자 인증 리모컨 및 그 리모컨에서의 저전력 모드 구현 방법
CN102487289A (zh) * 2010-12-06 2012-06-06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与数字电视接收终端的连接方法及移动终端
JP5772023B2 (ja) * 2011-02-04 2015-09-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30014983A (ko) 2011-08-01 2013-02-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리모콘, 영상표시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KR20130103050A (ko) 2012-03-09 2013-09-23 기륭전자 (주) 셋톱박스용 스마트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시청 제한 방법
US8842888B2 (en) * 2012-06-15 2014-09-23 Aoptix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combined biometric mobile device
US8913801B2 (en) 2012-06-29 2014-12-16 Apple Inc. Enrollment using synthetic fingerprint image and fingerprint sensing systems
US20150019873A1 (en) * 2013-07-15 2015-01-15 HGN Holdings, LLC System for embedded biometric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KR102084507B1 (ko) * 2013-09-05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607599A (zh) * 2013-11-08 2014-02-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指纹识别的电视用户登录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66B1 (ko) * 2006-10-23 2013-08-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930A (ko) 2021-09-03
KR20230060497A (ko) 2023-05-04
EP3087752A4 (en) 2017-05-24
US11706476B2 (en) 2023-07-18
US20170011623A1 (en) 2017-01-12
EP3823295A1 (en) 2021-05-19
EP3087752A1 (en) 2016-11-02
CN111586458A (zh) 2020-08-25
KR20220107136A (ko) 2022-08-02
KR20150110267A (ko) 2015-10-02
US11025980B2 (en) 2021-06-01
KR102527291B1 (ko) 2023-05-02
US10721516B2 (en) 2020-07-21
US20210029403A1 (en) 2021-01-28
CN106105251A (zh) 2016-11-09
US20190268648A1 (en) 2019-08-29
US20170019699A1 (en) 2017-01-19
KR102296180B1 (ko) 2021-09-01
CN106105251B (zh)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82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9195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21333B1 (ko)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140354553A1 (en) Automatically switching touch input modes
US20140306897A1 (en) Virtual keyboard swipe gestures for cursor movement
CN108121457A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KR102367184B1 (ko) 스크린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40296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615950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180024976A1 (en) Annotation providing method and device
KR20140110356A (ko)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076980A (zh) 搜索项显示方法和装置
KR1023192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3175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by Using Virtual Trackball
US9424416B1 (en) Accessing applications from secured states
CN106845190B (zh) 显示控制系统及方法
US2016012460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ctile Sensor,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ystem
KR20130136030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핑거 동작에 따른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80039A (zh) 一种基于图片的文字信息识别方法及装置
KR101654710B1 (ko) 손동작 기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91648B1 (ko)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150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111623A (ko) 사용자 인증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41974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