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02B1 -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02B1
KR102427802B1 KR1020200154836A KR20200154836A KR102427802B1 KR 102427802 B1 KR102427802 B1 KR 102427802B1 KR 1020200154836 A KR1020200154836 A KR 1020200154836A KR 20200154836 A KR20200154836 A KR 20200154836A KR 102427802 B1 KR102427802 B1 KR 10242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latch
housing
infl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986A (ko
Inventor
박상현
이창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20015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8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aircraft or space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으로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되되, 수용부의 내측면과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되며 이동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그리고, 회동플레이트의 인출 시에 왕복블럭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LATCH COMPRISING BLOCKING STRUCTURE OF INFLOW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동체(fuselage) 내부 및 외부에는 다수의 퀵 액세스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퀵 액세스 도어는 도어 프레임 일 측단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거나,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개폐 및 잠금 장치의 하나인 래치를 구비한다. 래치는 잠금 동작시 도어 프레임과 퀵 액세스 도어 간의 구속력을 빠르게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개방 동작에 따라 래치의 걸쇠부가 도어 프레임의 결합 구멍으로부터 신속하게 릴리스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래치는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고정쇠가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슬라이딩 타입과, 개방 및 잠금 버튼을 누를 때 고정 쇠가 힌지축을 따라 유한한 회전각으로 회전하는 푸시 버튼식 등이 있다. 여기서 푸시 버튼식 래치의 경우 정비용 패널, 캐노피(canopy), 엔진 및 장치의 덮개 등과 같이 항공기 기체의 다수 곳에 설치 된다. 그러나 종래의 래치는 잠금과 풀림 상태에서 유한한 회전각으로 가동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 구성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부식에 취약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24393 호 (2003. 03. 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 수분의 유입 및 생성을 방지하여 하우징 내에서 얼음이 생기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래치의 동작에 있어서 기 결정된 회동구간 내에서 정상적인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하우징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회동을 통한 가동이 되는 회동플레이트가 캐빈의 외측으로 미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이 상태변경에 방해요소가 되는 것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으로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되되, 수용부의 내측면과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되며 이동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그리고, 회동플레이트의 인출 시에 왕복블럭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1탄성체의 탄성력은 제2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관절부의 일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관절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잠금 상태에서, 일측면 및 타측면 간에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제1관절; 하우징의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관절; 및 제1관절 및 제3관절을 연결하는 제2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관절은, 제1관절로부터 제3관절로 연장되는 연장구간 중 연장방향이 절곡되는 절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는, 회동플레이트가 수용공간으로의 인입시에 회동플레이트의 이동궤적을 따라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내측면은, 왕복블럭이 직선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일방향을 향해 직선연장될 수 있다.
또한, 왕복블럭은, 제1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으로 이동되고, 일방의 반대방향인 타방으로 제2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용부 내에서 왕복운동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수용공간 내측으로의 유입 및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수용부가 직선연장된 방향으로 개방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의 기압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왕복블럭은 슬라이드바와 결합되고, 슬라이드바는, 수용공간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공을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왕복블럭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부가 직선연장된 방향을 따라 왕복블럭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은, 왕복블럭이 수용공간 내측으로 진입한 최대진입지점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양단이 확장형성된 확장부에 의해 수용부와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의 연장구간은, 왕복블럭의 가동범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은 최대진입지점으로부터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바의 폭보다 작은 폭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구획하고, 설치공이 형성된 제1구조물;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에 위치되어, 제1구조물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조물; 및 설치공에 설치되고, 제1구조물로부터 제2구조물을 가압고정시키는 래치;를 포함하고, 래치는,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에 의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서 회동플레이트가 조작됨으로써 제2구조물이 제1구조물에 선택적으로 가압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수용공간 내측으로의 유입 및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수용부가 직선연장된 방향으로 개방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의 기압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왕복블럭은 슬라이드바와 결합되고, 슬라이드바는, 수용공간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공을 통해 하우징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왕복블럭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부가 직선연장된 방향을 따라 왕복블럭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의 연장구간은, 왕복블럭의 가동범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공은 최대진입지점으로부터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드바의 폭보다 작은 폭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왕복블럭을 배치시킴으로써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 수분의 유입 및 생성을 차단하여 부식으로부터 래치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이 외측으로 미노출되도록 외부로부터 은폐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이 상태변경에 방해요소가 되는 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로가 확보된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가 장착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구조물의 내측면(노출되지 않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구조물의 외측면(노출되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의 사시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제외한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잠금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풀림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플레이트의 가동여부에 따라 왕복블럭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 상태에서 왕복블럭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미가압된 상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풀림 상태에서 왕복블럭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이 형성한 왕복블럭의 가동범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왕복블럭이 상사점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왕볼블럭이 하사점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발명의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는 항공기나 선박 등의 외장에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캐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캐빈 외부에서 외장의 표면에 고정된 구조물의 탈락을 조작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외장으로부터 도어를 탈락시킬 수도 있다. 물론, 내부 및 외부에서의 조작이 전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므로 이에 구속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캐빈의 내부에서 외표면에 고정된 구조물(예를 들어, 도어)의 탈락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래치는 빠르고 손쉽게 단속되어야 하며, 부식성도 우수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수분의 배출 또는 표면처리 등을 통해 화학적으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래치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도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다. 특히, 구조적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이러한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가 장착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구조물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구조물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구조물(200)에 래치(100)가 결합되고, 상기 래치(100)는 제1구조물(200)로부터 제2구조물(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래치(100)가 제2구조물(300)에 대하여 고정력을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구조물(200) 또는 제2구조물(300)은 도어가 될 수 있다. 도어는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이 가능한 구조물을 의미하므로, 제1구조물(200)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2구조물(300)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래치(100)의 조작은 내외부가 구분된 공간 중 내측에서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래치(10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요구되므로 이하의 도 2를 통해 래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래치(100)는 하우징(120), 관절부(110), 회동플레이트(140), 가압부재(117) 및 왕복블럭(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은 제1구조물(2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21), 관절부(110)가 관통되는 개구부(121a), 가압부재(117)가 인입 및 인출되는 수용부(122)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우징(120)은 강도향상 및 관절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보강리브(121b)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관절부(110)는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은 각각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통해 상기 보강리브(121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관절(112)은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과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의 회동범위에 따라 가동범위가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관절(111)은 제2구조물(300)을 제1구조물(200)에 가압하는 가압부재(117)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17)는 가압헤드(117a), 가압핀(117b) 및 잠금너트(117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핀(117b)은 핀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1관절(111)의 일부를 관통한 단속홀(111a)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속홀(111a)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래치(100)의 잠금상태(제2구조물(300)을 가압하는 상태)에서의 가압부재(117)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압부재(117)의 기 결정된 위치가 결정되면 잠금너트(117c)에 의해 가압핀(117b)이 제1관절(1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핀(117b)의 일단에는 가압헤드(117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헤드(117a)는 제2구조물(300)을 직접 접촉을 통해 가압을 수행할 수 있다. 가압헤드(117a)는 가압핀(117b)과 유니버셜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평면인 제2구조물(300)의 표면이 다소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도 가압방향(P)으로 면접촉을 통해 제2구조물(300)을 가압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관절(111)은 제2관절(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관절(112)에는 제1탄성체(150)가 결합되어, 관절부(110)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관절부(110)는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이 연동되어 움직이므로, 상기 탄성력은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에 연동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력은 제2관절(112)과 연결된 제3관절(113)로 전달될 수 있다. 제3관절(113)로 전달된 탄성력은 제3관절(113)을 회동시키며 제 3관절과 연결된 회동플레이트(140)도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연동적인 회동에 의해 수용부(122) 내측으로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된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수용부(122)에 배치된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을 따라 수용공간(122a)이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진입될 수 있다. 왕복블럭(130)의 진입시에는 가이드공(120a)의 가이드를 받을 수 잇다. 상기 가이드는 왕복블럭(130)에 결합된 슬라이드바(130a)를 가이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탄성체(131)는 수용공간(122a) 내에서 왕복블럭(130)을 지지하고 있으나 제1탄성체(150)의 탄성력이 제2탄성체(131)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제2탄성체(131)는 압축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절부(110)는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이란 고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위치이동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은 하우징(120)에 형성된 보강리브(121b)를 관통하며 관절부(110)와 결합되는데 관절부(110)의 회동이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발생하므로 회전중심인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은 이동하지 않고 회전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고정핀(111b)은 관절부(110)의 제1관절(111)과 연결되고, 제2고정핀(113a)은 관절부(110)의 제3관절(113)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관절(112)은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의 회동에 연동되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 간의 연결은 체결부(140a)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플레이트(140)가 플레이트(12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도 4와 같은 상태는 잠금상태일 수 있다. 반면, 수용공간(122a) 측으로 회동플레이트(140)가 적어도 일부 인입된 상태가 풀림상태일 수 있다. 즉, 제1구조물(200)에 결합공(C)을 통해 체결된 래치(100)는 내부공간이 회동플레이트(140)가 노출된 공간일 수 있고 외부공간이 가압부재(117)가 위치된 공간이 외부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회동플레이트(140)가 조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압부재(117)는 제2구조물(30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1구조물(200)에 의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각각의 구성이 위치되는 것을 의미할 뿐 반드시 내외부에 전술한 구성이 위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하우징(12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120)의 사시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제1구조물(200)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결합공(C)이 복수개 마련되고, 개구부(121a)를 포함한다. 개구부(121a)는 래치(100)가 잠금 상태일때는 제3관절(113) 이 관통되는 위치에 있고, 풀림상태에서는 제2관절(112)이 관통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실링부재(14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1c)가 마련된다. 안착부(121c)는 플레이트(121)로부터 음각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하우징(120)은 수용부(122)를 포함한다. 수용부(122)는 내측에 수용공간(122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22a)은 직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수용공간(122a)으로 왕복블럭(130)이 가압되어 진입될 수 있는데, 왕복블럭(130)은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이 수용부(122)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며 진입될 수 있다. 즉, 면접촉을 통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므로, 적어도 잠금상태의 래치(100)에서는 수용부(122)의 개방측으로부터 수분 및 공기 등의 유체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왕복블럭(130)의 진입은 수용공간(122a)이 폐쇄된 경우에 수용공간(122a)의 압력이 증가하여 왕복블럭(130)이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22a)의 압력을 수용부(122) 외부의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수용공간(122a)의 공기가 수용부(122)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용부(122)에는 외부와 연통된 가이드공(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공(120a)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마주하는 형태로 수용부(122)의 표면이 절개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에 최대로 진입한 경우에도 수용공간(122a) 측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용공간(122a) 내부의 압력증가로 인한 왕복블럭(130)의 가동범위에 제한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왕복블럭(130)은 슬라이드바(130a)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결합되고, 왕복블럭(13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바(130a)의 양단부가 가이드공(120a)을 통해 수용부(122)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22)는 플레이트(121)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용공간(122a)을 형성하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2)가 형성하는 수용공간(122a) 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40)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이는 제3관절(113)의 회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인입이므로, 호 형태의 궤적을 형성하며 수용공간(122a) 내로 회동플레이트(140)가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궤적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수용공간(122a)의 확보를 위한 구조로서 하우징(120)은 플레이트(121)와 수용부(122) 사이에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123)을 마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을 제외한 래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절부(110)의 일단인 제1관절(111)과 가압부재(117)가 연결되고, 관절부(110)의 타단인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가 결합된다. 회동플레이트(140)는 체결부(140a)를 통해 제3관절(113)과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40a)는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 간의 결합과정에서 실링부재(142) 및 실링가압부(141)를 함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관절(112)은 제1연결핀(112a), 제2연결핀(112b) 및 제3연결핀(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핀(112a)은 제1관절(111)과 연결되도록 하고, 제3연결핀(112c)은 제3관절(113)과 연결되도록 한다. 제2연결핀(112b)은 제1탄성체(15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1연결핀(112a)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탄성체(150)는 회동에 의해 가동되는 만큼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탄성력을 직접적으로는 제1관절(111) 및 제2관절(112)로 전달할 수 있고, 간적접으로는 제2관절(112)을 통해 제3관절(113)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잠금상태 및 풀림상태로의 변경 중에 관절부(110)가 하우징(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절부(110)는 기구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제2관절(112)이 직선상으로 연장되지 않고 전체연장구간 중에서 절곡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관절(112)은 제1연결핀(112a), 제2연결 및 제3연결핀(112c)은 동일선 상에 위치되지 않고 제2연결핀(112b)이 위치한 지점에서 절곡되어 기 결정된 각도만큼 각도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풀림상태로의 변경 중에 하우징(120)의 개구부(121a)를 관통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블럭(130)은 슬라이드바(130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130a)는 왕복블럭(130)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왕복블럭의 양단면에 돌출되도록 각각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바(130a)는 수용부(122)를 관통하여 돌출된 단부측이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조는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잠금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풀림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절부(110)는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유한한 범위로 회동되는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관절(111)은 제1고정핀(111b)을 회전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제3관절(113)은 제2고정핀(113a)을 회전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풀림상태의 래치(100)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관절부(110)의 움직임에 따른 왕복블럭(130)의 이동에 의해 수용공간(122a)은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우징(120)에는 이러한 압축공간 내의 압력을 배기하여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가이드공(120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공(120a)은 수용공간(122a)과 수용부(122)의 외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용부(122)가 가이드공(120a)을 제외한 개방측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수용공간(122a)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며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저하된 온도에 의해 수용부(122) 내부에서 냉각되어 얼음으로 상태변화되는 경우에,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 내에서의 이동이 어려워진다. 왕복블럭(130)의 이동이 어려워지고 얼음에 의해 고착된 경우에는 래치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1구조물로부터 제2구조물을 고정하거나 릴리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나아가, 항공기의 외장에 본 발명의 래치(100)가 적용된 경우 고도차이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압력차에 의해 온도변화가 비교적 크게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한 결로현상으로 수용부(122) 내에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을 대기압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이드공(120a)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수분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수분이 발생된 경우에도 복수 개의 가이드공(120a)을 통한 유로형성으로 환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수분이 환기과정에서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왕복블럭(130)의 상기 진입으로 인해 수용공간(122a) 내의 공기가 수용부(122)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과 관련하여 이하의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플레이트(140)의 가동여부에 따라 왕복블럭(13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 상태에서 왕복블럭(130)이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미가압된 상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풀림 상태에서 왕복블럭(130)이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 내측으로 진입되는 경우에는 제2탄성체(131)가 압축되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제1탄성체(150)의 탄성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회동플레이트(140)는 지속적으로 왕복블럭(13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래치(100)가 제2구조물(300)을 가압하고 있는 잠금상태에서는 제2탄성체(131)에 의하여 왕복블럭(130)은 수용공간(122a)의 개방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용공간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구간과 적어도 접촉면이 면접촉을 통해 배치되어 수분이나 이물이 수용공간(122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래치(100)는 잠금상태일 수 있다.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왕복블럭(130)이 가압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용공간(122a)의 개방부 측에 왕복블럭(130)이 제2탄성체(131)에 의해 지지되며 위치될 수 있다. 이때는 제2구조물(300)을 래치(100)가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캐빈의 내부 또는 외부와 한 쌍의 가이드공(120a)을 통해 연통된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2a)은 공기가 이동되며 환기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는 항공기나 배의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동에 따른 유체흐름이 발생하되 그 속도가 빠를수록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 환기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가이드공(120a)은 공기흐름을 기준으로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측에 배치된 가이드공(120a)은 공기 유입을 위한 가이드공(120a)으로 기능하고, 후측에 배치된 나머지 가이드공(120a)은 공기 유출을 위한 가이드공(120a)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120a)이 형성한 왕복블럭(130)의 가동범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왕복블럭(130)이 상사점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왕볼블럭(130)이 하사점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상사점은 왕복블럭(130)이 수용부(122)의 개방측 단부에 최대한 접근된 위치를 의미하고 하사점은 그 방대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위치를 의미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왕복블럭(130)은 상사점에 위치함에도 플레이트보다 더 돌출되도록 위치되지 않고, 하사점에 위치됨에도, 가이드공(120a)이 수용공간(122a) 측에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될 수 있다. 즉,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슬라이드바(130a)가 가이드공(120a)의 연장방향 단부와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수용공간(122a)이 밀폐되어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실시에에 의하면 하사점의 결정은 제2탄성체(131)의 수용가능한 가동범위를 수용함에 있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2탄성체(131)가 구현하는 탄성력에 의해 하사점이 결정되며, 상기 탄성력이 높을수록 하사점은 상사점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탄성력이 낮을수록 하사점은 상사점과 멀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120a)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공(125)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공(120a)은 수용공간(122a)이 플레이트(121)로부터 일방으로 개방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공(120a)은 슬라이드바(130a)가 왕복이동될 수 있는 가동범위를 형성한다. 다만, 가이드공(120a)은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을 따라 직선운동할 때 가동범위를 제외한 구간이 더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22)의 개방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지점을 상사점이라고 하고, 반대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지점을 하사점이라고 할 때 상사점부터 하사점의 가동범위를 초과하여 가이드공(120a)으로부터 연결되어 추가로 절개된 구간인 배출공(125)을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25)은 왕복블럭(130)이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도 수용공간(122a)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용공간(122a)의 공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왕복블럭(130)이 가동범위 전체를 왕복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사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왕복블럭(130)이 위치됨에도, 가이드공(120a)이 하사점 이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20)의 외부공간과 연통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왕복블럭(130)이 하사점을 결정하는 정지면(125b)이 마련되고, 정지면(125b)으로부터 보다 연장되어 배출공(125)이 형성됨으로써, 가이드공(120a) 또는 제2탄성체(131)에 의해 하사점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정지면(125b)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는 가이드공(120a)에 의해 하사점이 결정되는 경우 수용공간(122a)의 압력증가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고, 제2탄성체(131)에 의해 하사점이 결정되는 경우 제2탄성체(131)가 수용가능한 가압력(가동범위에 의한)을 초과할 수 있다.
물론, 이는 가동범위와 제2탄성체(131)가 수용가능한 가압력 간의 관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조정이 되면서 개선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래치 110 : 관절부
111 : 제1관절 111a : 단속홀
111b : 제1고정핀 112 : 제2관절
112a : 제1연결핀 112b : 제2연결핀
112c : 제3연결핀 113 : 제3관절
113a : 제2고정핀 117 : 가압부재
117a : 가압헤드 117b : 가압핀
117c : 잠금너트 120 : 하우징
120a : 가이드공 120b : 정지면
121 : 플레이트 121a : 개구부
121b : 보강리브 121c : 안착부
122 : 수용부 122a : 수용공간
123 : 가이드면 125 : 배출공
130 : 왕복블럭 130a : 슬라이드바
130b : 확장부 131 : 제2탄성체
140 : 회동플레이트 140a : 체결부
140b : 체결공 141 : 실링가압부
142 : 실링부재 150 : 제1탄성체
200 : 제1구조물 300 : 제2구조물
C : 결합공 F1 : 제1유로
F2 : 제2유로 P : 가압방향
D1 : 제1직경 D2 : 제2직경
E : 진입거리

Claims (22)

  1.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상기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상기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상기 관절부의 타단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입으로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되되,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과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되며 이동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출 시에 상기 왕복블럭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의 탄성력은 상기 제2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게 형성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절부의 일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절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 간에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제1관절;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관절; 및
    상기 제1관절 및 상기 제3관절을 연결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관절은,
    상기 제1관절로부터 상기 제3관절로 연장되는 연장구간 중 연장방향이 절곡되는 절곡점을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수용공간으로의 인입시에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이동궤적을 따라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왕복블럭이 직선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일방향을 향해 직선연장되는,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10.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구획하고, 설치공이 형성된 제1구조물;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에 위치되어, 제1구조물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조물; 및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로부터 상기 제2구조물을 가압고정시키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상기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상기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상기 관절부의 타단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입에 의해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00154836A 2020-11-18 2020-11-18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KR10242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36A KR102427802B1 (ko) 2020-11-18 2020-11-18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36A KR102427802B1 (ko) 2020-11-18 2020-11-18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86A KR20220067986A (ko) 2022-05-25
KR102427802B1 true KR102427802B1 (ko) 2022-07-29

Family

ID=817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36A KR102427802B1 (ko) 2020-11-18 2020-11-18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9585A1 (en) 2015-11-10 2017-05-11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do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753B1 (ko) 2001-09-18 2003-09-2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퀵 액세스 도어용 래치
US11111705B2 (en) * 2018-12-18 2021-09-07 Rohr, Inc. Latch having shear load carrying cap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9585A1 (en) 2015-11-10 2017-05-11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do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86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4005B1 (en) Bi-directional handle and latch assembly
US5328217A (en) Locking astragal
CN1751165B (zh) 可调节的联结器闩锁及锁定联结器闩的方法
US11231187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housing thereof
US20190376317A1 (en) Modularized Electric Latch Control Device
EP3253939B1 (en) Handle mechanisms
CN104806089A (zh) 用于机动车辆的门闩锁组件
CA2669422A1 (en) Quick install door knob assembly
KR101437351B1 (ko) 박판수납용기용 도어
US11555330B2 (en) Privacy lock
WO2018032690A1 (zh) 左右开门机构及冰箱
KR102427802B1 (ko) 수분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EP3194698B1 (en) Compression latch
WO2019191167A1 (en) Door assembly comprising hinge with two pins
EP3918163B1 (en) Panic bar latch release assembly
KR102427798B1 (ko)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US5024472A (en) Flushbolt actuator assembly
CN113557345A (zh) 铰链锁
US4634160A (en) Handle fitting for a drive rod locking arrangement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20070075551A1 (en)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GB2304797A (en) A motor vehicle door lock
US20080256995A1 (en) Unlock Transmission Mechanism for Escape Door
CN218977071U (zh) 机箱上盖、机箱以及机箱组件
KR20030072064A (ko)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의 진공밸브
KR101405423B1 (ko) 레버타입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