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94B1 -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794B1
KR102427794B1 KR1020200018087A KR20200018087A KR102427794B1 KR 102427794 B1 KR102427794 B1 KR 102427794B1 KR 1020200018087 A KR1020200018087 A KR 1020200018087A KR 20200018087 A KR20200018087 A KR 20200018087A KR 102427794 B1 KR102427794 B1 KR 10242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kin
disposed
electrod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496A (ko
Inventor
서석배
김자영
서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to PCT/KR2020/0021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67049A1/ko
Publication of KR2020009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96A/ko
Priority to US17/402,052 priority patent/US2021037005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8Or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유지 인대, 혈관 및 심부 섬유조직 등을 전기 통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제작된 피부용 마우스 피스와 상기 피부용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는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피부용 마우스 피스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체; 상기 인상체에 배치되며,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외부의 전원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제1전극 유닛; 및 상기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유닛은 상기 인상체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 유닛은 상기 제2전극 유닛과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전기적 상호 작용을 하며, 상기 제2전극 유닛은 첨단이 구강 점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극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는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의 노출면은 절연층에 의해 덮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MOUSE PIECE FOR SKIN COMPRISING INSULATING LAYER ON THE IMPRESSION BODY MADE TO USER'S ORAL STRUCTURE AND ELECTRIC CURRENT PROVIDING DEVICE FOR SKIN}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름 제거, 피부 탄력 회복 및 피지 제거 등을 위한 다양한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름이 없고, 팽팽하며, 두껍고 치밀하며, 늘어짐이 없는 피부는 더 ??어보이고, 매력적인 외모를 준다.
에너지를 가하는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에는 초음파를 피부 조직에 전달하는 방식(HIFU type)과, 전자기파를 피부 조직에 전달하는 방식(특히, 고주파, RF type)과, 레이저 광을 피부 조직에 조사하는 방식(Optical type)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전자기파를 피부 조직에 전달하는 방식은, 단수 내지 복수 개의 RF(Radio frequency) 전극을 피부 심부에 침투시키고,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피부 심부의 손상된 콜라겐, 탄력 섬유 등을 제거하고 새로운 형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피부의 색소 침착과 여드름 자국 및 주름 등을 개선한다.
한편,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와 교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교류 중 높은 주파수대의 고주파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전극에 따라 전극 근접 부위에 에너지를 흘리는 바이 폴라 방식(Bipolar type)과, 먼거리 사이의 에너지를 피부 조직에 전달하는 모노 폴라 방식(Monopolar type)으로 구분된다.
바이 폴라 방식은 복수 개의 전극 사이의 짧은 거리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얕고 좁은 부위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한계가 있다.
모노 폴라 방식은 제1전극 유닛(1)을 그라운드단(Ground terminal)으로 사용하고 별도로 마련된 제2전극 유닛(2)을 전원단(Power terminal)으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전달한다(도 1 및 도 2 참조). 한편, 제2전극 유닛(2)은 피부 심부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진피층으로 침습하는 복수 개의 니들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제2전극 유닛(2)의 일 예일 뿐, 제2전극 유닛(2)의 형태가 복수 개의 니들 전극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지 인대(Retaining ligament)는 피부와 뼈를 연결하며, 수분 함유량이 많아 안면의 전기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인대는 뼈 조직(내측)에서 피부 조직(외측)으로 갈수록 중심 가닥이 분지(分枝)되어 여러 가닥으로 나뉘어 진다. 이러한 지지구조물이 노화의 영향을 받아 약해지고 가늘어지고 탄력을 소실하게 되면 안면부의 노화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그래서 해결책으로 피부와 근접하고 뼈에서 기원하는 전기흐름을 유사하게 만들 수 있는 위치를 구강 점막이라 할 수 있으며, 도 4는 피부와 근접하여 전기를 흘리는 접지로 사용 할 수 있는 부위을 도시하는 사진 설명이다(도 4의 점선 영역 참조).
따라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안면 피부 전류 제공 시, 안면의 유지 인대, 혈관 및 섬유조직 등을 전기 통로로 활용하면, 상술한 유지 인대와 기타 구조물의 노화와 위축을 재생시켜 노화에 의한 피부 처짐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노 폴라 방식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는 제1전극 유닛(1)을 임의의 신체 부위(일 예로, 등, 복부 및 엉덩이 등, 도 2 참조)에 접촉시키고 제1전극 유닛(1)을 타겟 부위에 접촉시키시 때문에, 제1전극 유닛(1)과 제2전극 유닛(2)의 사이가 멀어 전류가 피부 표층에 주로 국한되어 흐르며, 안면의 유지 인대, 혈관 및 심부의 섬유조직 등이 전기 통로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단이나 그라운드단 중 하나를 마우스 피스 형태로 마련하여 안면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나머지 하나를 핸드 피스 형태로 마련하여 안면 외부의 타겟 부위에 접촉시키면, 안면에 직접적으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안면의 유지 인대 등을 전기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마우스 피스를 환자의 구강 구조(Oral structure)에 맞추어 제작하는 경우, 개인마다 다른 구강 구조를 반영하여 정확한 타겟 영역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14482호, 2017.02.0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지 인대, 혈관 및 심부 섬유조직 등을 전기 통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제작되며,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와 상기 피부용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는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체; 상기 인상체에 배치되며,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외부의 전원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제1전극 유닛; 및 상기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유닛은 상기 인상체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 유닛은 상기 제2전극 유닛과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전기적 상호 작용을 하며, 상기 제2전극 유닛은 첨단이 구강 점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극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는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의 노출면은 절연층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전극의 노출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는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인상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의 노출면과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비연속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상기 전기에너지가 인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전극 유닛으로 전기 통로를 변경하는 스위칭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상체와 상기 구강 점막 사이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에서는 안면 피부를 사이에 두고, 제1전극 유닛이 구강 내측에 배치되고 제2전극 유닛이 구강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안면 피부의 유지 인대 및 혈관, 세포간 심부 섬유조직 등을 전기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 유닛과 제2전극 유닛 사이의 교류 전류는 주기에 따라 방향을 바꿔가며 흐르므로, 교류 전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흐를 때 유지 인대의 중심 가닥에서 분지(分枝)된 여러 가닥을 타고 흘러 피부 심부에서 뻗어 나가는 전기 통로가 생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에서는 유지 인대, 혈관 및 세포간 섬유조직을 전기 통로로 활용하여, 피부 노화에 의한 안면 처짐 효과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용 마우스 피스는 인상체득(Impression taking)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되도록 맞춤 제작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피부용 마우스 피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개개인의 구강 구조를 반영하여 정확한 타겟 영역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용 마우스 피스는 구강 내부에 삽입되어, 점막부위의 접지도 전기적으로 자극을 받아 새로운 섬유조직과 탄력조직을 만들어 내부점막을 긴장과 탄력도가 증가한다. 그리하여 안면의 피부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안면 타이트팅 및 텐팅)하며 전류 제공이 진행되므로, 전원 전극 유닛을 타겟 지점에 정밀하게 접촉시키고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구강 내부로 처진 위층 상부 구조에 긴장을 만들어 노화된 피부의 외부 형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RF 니들 전극을 이용한 피부 전류 제공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전류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이용한 전류 제공 시, 안면의 유지 인대를 통해,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인체의 안면 내부에서 바라본 것으로 내부 점막과 신경이 그물망을 형성하여 면 형태로 분포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전극 유닛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핸드 피스의 단면과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마우스 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전류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전극 유닛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핸드 피스의 단면과 계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마우스 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피부에 전류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기준선(A-A')을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9(b) 및 도 9(c)는 기준선(A-A')을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기준선(A-A')을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기준선(A-A')을 중심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는 전원 유닛(10), 마우스 피스(20), 핸드 피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냉각수 또는 약액 등을 핸드 피스(30)에 주입하는 펌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유닛(10, Electric power source unit)은 마우스 피스(20) 및 핸드 피스(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유닛(10)에는 제어 모듈(미도시)이 내장되어, 마우스 피스(20)의 제1전극 유닛(22)과 핸드 피스(30)의 제2전극 유닛(32)에 인가되는 전원의 파장 대역,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유닛(10)은 제1전극 유닛(22)의 제1전극(22-1)과 제2전극 유닛(32)의 제2전극(32-1)에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극(22-1)과 제2전극(32-1)에는 교류 전류가 주기에 따라 방향을 바꿔가며 흐르며, 특히, 교류 전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흐를 때 유지 인대의 중심 가닥에서 분지(分枝)된 여러 가닥을 타고 흘러 피부 심부에서 뻗어 나가는 전기 통로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유닛(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이 마련될 수 있다. 의사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통해, 피부 전류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에는 현재 인가되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의 세기, 파장, 방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조직 심부의 생체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전원 유닛(10)에는 조작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의사는 조작부(12)를 통해,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가 특정 모드로 작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의사는 조작부(12)를 통해 현재 인가되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의 세기, 파장,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2)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의사는 조작부(12)의 화상 아이콘 등을 터치함으로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0)는 피부 전류 제공 시, 환자(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0)는 인상체(21)와 제1전극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상체(21; Impression body)는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며 마우스 피스(2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인상체(21)의 재질은 비전도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 전류 제공 시,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등에 고주파 전기에너지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상체(21)는 인상체득(Impression taking) 과정을 통해 제작되어, 인상체(21)는 환자의 구강 구조(치아 구조 포함)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인상체(21)에는 환자의 치아 구조에 대응되는 음각이 형성될 수 있다.
환자들의 구강 구조는 개인차를 가지기 때문에, 마우스 피스를 일정한 형태로 대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 환자는 자신의 구강 구조에 맞지 않는 마우스 피스를 착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전극(22-1)이 의학적으로 설계된 정위치에서 벗어나 타겟으로 하는 유지 인대, 혈관 및 세포간 섬유조직이 전기 통로로 원활하게 이용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마우스 피스(20)에는 인상체득에 의해 제작되는 인상체(21)를 이용하기 때문에, 환자는 자신의 구강 구조에 맞는 마우스 피스(2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전극(22-1)은 의학적으로 설계된 정위치에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우스 피스(20)를 이용하면, 목표로 하는 유지 인대, 혈관 및 세포간 섬유조직에 정확하게 고주파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인상체(21)는 바이트 트레이(Bite tray)를 이용한 전통적인 인상체득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고, 디지털 인상체득을 통해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인상체(21)는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알지네이트, 부가중합형 실리콘 등)가 배치되는 트레이를 환자의 구강 내로 삽입한 다음, 환자가 트레이를 물어 인상재가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게 성형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전통적인 인상체득 방식).
이와 달리, 인상체(21)는 스캐너에 의해 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한 깊이 정보(일 예로, 3차원 깊이 정보; Three-dimensional depth information)를 획득한 다음, 인상재를 깊이 정보에 따라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상재의 성형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상체(21)는 3차원 프린팅(Three-dimensional printing)에 의해 인상재를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디지털 인상체득 방식).
한편, 인상체(21)는 환자의 상악 구강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상악 인상체(21-1)와 환자의 하악 구강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하악 인상체(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상체(21)에는 환자의 피부에 맞추어, 상악 인상체(21-1)만 이용될 수도 있고, 하악 인상체(21-2)만 이용될 수도 있고, 상악 인상체(21-1)와 하악 인상체(21-2)가 모두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악 인상체(21-1)와 하악 인상체(21-2)가 모두 이용되는 경우, 제1전극(22-1)은 상악 인상체(21-1)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하악 인상체(21-2)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상악 인상체(21-1)와 하악 인상체(21-2)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악 인상체(21-1)는 도 8(a), 도 9(a), 도 10(a) 및 도 11(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의 상악 구강 구조 모두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상악 구강 구조 중 일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일 예로, 우측 어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좌측 어금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앞니와 송곳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 이와 마찬가지로, 하악 인상체(21-2)도 환자의 하악 구강 구조 모두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하악 구강 구조 중 일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일 예로, 우측 어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좌측 어금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앞니와 송곳니 부분과 대응되게 형성).
제1전극 유닛(22)은 인상체(2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 유닛(32)과 전위차(전압차)에 따라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제1전극 유닛(22)은 제1전극(22-1)과 도전 라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22-1)은 “그라운드단”일 수 있으며, 인상체(2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전극(22-1)에서는 제2전극(32-1)에서 방출된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가 환류될 수 있다.
제1전극(22-1)은 인상체(21)의 표면에 접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상체(2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전극(22-1)은 제작이 완료된 인상체(21)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전극(22-1)은 인상체득 과정에서 인상체(21)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22-1)은 인상재와 함께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환자가 트레이를 물어 인상재가 성형되는 과정(인상재가 경화되어 굳는 과정)에서 인상재와 결합할 수 있으며, 제작이 완료된 인상체(21)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마치 인서트 사출과 유사함).
예를 들어, 제1전극(22-1)은 단일의 부재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에 대면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8(b)을 참조하면,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은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극(22-1)의 활성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전기에너지가 환자의 안면의 특정 미소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참고로, 전기에너지의 집중 시 사용자가 화상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때, 제1전극(22-1)은 인상체(21)의 전방 표면의 95% 이상을 커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전극(22-1)을 대면적화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유지인대, 혈관 및 세포간 섬유조직 등을 모두 커버하여, 이들을 전기 통로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때,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전극(22-1)은 인상체(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전극(22-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전극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9(b)를 참조하면, 제1전극(22-1)은 일부가 인상체(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22-1)은 일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되도록 배치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22-1)의 노출면인 외부 표면(F)과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인상체(21)의 내부에서 비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전극(22-1)은 인상체(21)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에 따라, 제1전극(22-1)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9(c)를 참조하면,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은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으로부터 비연속적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상체(21)의 외부 표면(D)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전극(22-1)은 인상체(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전극 유닛(2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2-1)의 노출면인 외부 표면(F)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절연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전극(22-1)의 노출면은 절연층(22-3)에 의해 밀폐되도록 덮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22-3)은 인상체(21)의 표면(D)에 대면적을 형성하며 배치된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에 대면적으로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0(b)를 참조하면, 절연층(22-3)의 외부 표면(G)은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에 절연층(22-3)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피부 심부에 전달된 전기에너지가 구강 점막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류가 흘러 전기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절연층(22-3)이 전기에너지에 대하여 접지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절연 상태에서 환자의 피부 심부에 전기에너지가 원활하게 전달되어 전기에너지의 집중 시에도 사용자가 화상이나 통증을 느낄 수 없다.
실시예에 따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전기에너지가 피부 심부에 전달될 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절연층(22-3)에 의해 진행되는 전기 통로를 제2전극(32-1)으로 전달하여 피부 심부에 전기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에너지가 전달된 후 5초가 지나면 별도의 스위칭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전기 통로를 절연층(22-3)에서 제2전극(32-1)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시간 또는 반복적인 전류 제공에 의해 구강 점막에 전기에너지가 집중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절연층(22-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전극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22-3)은 인상체(21)의 표면(D)에 대면적을 형성하며 배치된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비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1(b)를 참조하면, 절연층(22-3)의 외부 표면(G)은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으로부터 비연속적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22-1)의 외부 표면(F)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절연층(22-3)은 인상체(21)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층(22-3)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라운드단으로 사용되는 제1전극 유닛(1)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12와 같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전류 제공하는 동안 제1전극 유닛(22)의 적어도 일부분을 절연층(22-3)으로 보호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 또는 통증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파장 대역이 10MHz이상인 경우에도 절연층(22-3)에 의해 안전하게 전기적으로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상체(21)의 표면(D)에 형성된 제1전극(22-1)의 표면을 감싸서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층(22-3)이 형성됨으로써, 구강 내에서 제1전극(22-1)이 완전히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된 상태에서 고주파 에너지가 조사되더라도 피부의 손상없이 피부를 자극하여 안전하게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1전극 유닛(22)의 도전라인(22-2)은 제1전극(22-1)과 전원 유닛(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유닛(10)은 제1전극(22-1)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핸드 피스(30)는 의사의 손에 파지된 상태로 환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핸드 피스(30)와 마우스 피스(20)의 사이에는 전기에너지가 발생되어, 피부 심부에 열을 집중시킴으로써, 피부 전류 제공을 진행할 수 있다. 핸드 피스(30)는 하우징(31), 제2전극 유닛(32), 구동 유닛(33) 및 지지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핸드 피스(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31)은 플라스틱 사출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31)은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제2전극 유닛(32), 구동 유닛(33) 및 지지 유닛(34)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극 유닛(32)은 지지 유닛(34)에 의해 지지되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제1하우징(31-1)과 제2하우징(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1)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하우징(31-2)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1)과 제2하우징(31-2)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1)의 내부에는 제2전극 유닛(32) 및 지지 유닛(34)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하우징(31-1)의 내부에는 제1챔버(a)와 제2챔버(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챔버(a)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하우징(31-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챔버(b)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챔버(b)의 상면은 개방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챔버(b)의 개방 부분은 제2하우징(31-2)의 하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1)의 제1챔버(a)에는 제2전극 유닛(32)이 배치될 수 있고, 제1하우징(31-1)의 제2챔버(b)에는 지지 유닛(3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 유닛(32)의 하측 이동 시, 제1하우징(31-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2전극 유닛(32)의 상부는 제2챔버(b)에 배치되어, 지지 유닛(34)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에 펌프(40)가 추가되는 경우, 제1하우징(31-1)의 제1챔버(a)에는 다양한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챔버(a)에는 피부의 발진 및 발열을 완화하기 위한 냉각수 및 약물 등이 주입될 수 있다.
제2하우징(31-2)의 내부에는 구동 유닛(23)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유닛(33)은 제1하우징(31-1)과 제2하우징(31-2)의 경계에서 지지 유닛(34)과 연결되어, 제2전극 유닛(3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전극 유닛(32)은 제2전극(32-1)과 도전 라인(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32-1)은 "전원단"일 수 있다. 즉, 제2전극(32-1)에서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가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100)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고주파 파장 대역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손상된 콜라겐과 노화된 피부 조직을 높은 열로 발열시켜 피부 재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전극(32-1)은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전극(32-1)은 “니들 전극”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하, 제2전극(32-1)이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제2전극(32-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전극 유닛(32)은 복수 개의 볼 전극(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볼 전극(32-3)은 피부 표면에서 롤링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볼 전극(32-3)은 수직 구동이 필요 없으므로, 구동 유닛(33)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전극 유닛(32)은 패턴이 형성된 평판 전극(32-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평판 전극(32-4)에 패턴 부분이 개방된 절연층(32-5)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평판 전극(32-4)은 수직 구동이 필요 없으므로, 구동 유닛(33)이 생략될 수 있다.
제2전극 유닛(32)은 하우징(31)의 내부에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전극 유닛(32)의 상단부는 지지 유닛(32)의 지지 패드(32-2)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2전극 유닛(32)의 하단부는 피부의 표피층을 관통하기 위해, 첨단(尖端)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 유닛(32)은 첨단이 구강 점막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 유닛(22)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전극 유닛(32)의 하측 이동 시,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2전극 유닛(32)의 스트로크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인가되는 피부 심부의 깊이가 정해질 수 있다. 제2전극 유닛(32)은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한 후, 상측으로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전극 유닛(32)은 피부 표면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니들 전극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는 니들 형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니들 전극 각각의 하단은 첨단(尖端)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은 도 5를 참조하면, 길이 방향과 수직인 평면 상에서 행과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은 넓은 범위를 균등하게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은 피부의 표피층을 관통하기 위해 뽀족하게 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뭉툭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전극 유닛(32)의 도전 라인(32-6)은 제2전극(32-1)과 전원 유닛(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 유닛(10)은 제2전극(32-1)에 고주파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구동 유닛(33)은 제2전극(32-1)을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33)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유닛(33)은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구동 유닛(33)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일 수도 있다.
구동 유닛(33)은 로드(33-1)를 구비할 수 있다. 로드(33-1)는 지지 유닛(34)의 지지 패드(34-2)와 연결되어, 구동 유닛(33)에서 발생하는 상하 방향 구동력을 지지 패드(34-2)에 전달할 수 있다.
지지 유닛(34)은 제2전극(32-1)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유닛(34)은 구동 유닛(3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전극(32-1)을 가동시킬 수 있다. 지지 유닛(34)은 탄성 부재(34-1) 및 지지 패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34)의 탄성 부재(34-1)는 "입체 나선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34-1)의 상단은 지지 패드(34-2)와 접촉하고, 탄성 부재(34-1)의 하단은 제1하우징(32-1)의 제2챔버(b)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34-1)는 지지 패드(34-2)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패드(34-2)는 제2전극(32-1)의 상단과 연결(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제2전극(32-1)은 지지 유닛(3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 피스(2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인상체(21)의 내측면에 포함되어, 인상체(21)와 구강 점막 사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체(21)와 구강 점막 사이의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지난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2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인상체(21) 내부에 삽입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구강과 인상체(21) 사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상체(21)와 절연층(22-3) 사이 또는 인상체(21)와 제1전극(22-1) 사이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10 : 전원 유닛
20 : 마우스 피스
30 : 핸드 피스

Claims (10)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배치되고, 인상체득(Impression taking)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인상체;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외부의 전원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제1전극 유닛;
    상기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제2전극 유닛; 및
    상기 제1전극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전극 유닛은 상기 제2전극 유닛과 고주파 파장 대역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전기적 상호 작용을 하며,
    상기 제2전극 유닛은 첨단이 구강 점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전극 유닛과 대향하여 배치되며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는 복수 개의 니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전극의 외부 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인상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전극의 노출면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심부의 진피층에 상기 전기에너지가 인가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구강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전극 유닛으로 전기 통로를 변경하는 스위칭장치;를 더 포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체와 상기 구강 점막 사이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10. 제1, 2, 8,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를 포함하는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KR1020200018087A 2019-02-14 2020-02-14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KR10242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2143 WO2020167049A1 (ko) 2019-02-14 2020-02-14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 치료 장치
US17/402,052 US20210370058A1 (en) 2019-02-14 2021-08-13 Mouthpiece for treating skin including insulation layer in impression body acquired in accordance with oral cavity structure of user and skin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7219 2019-02-14
KR1020190017219 2019-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96A KR20200099496A (ko) 2020-08-24
KR102427794B1 true KR102427794B1 (ko) 2022-08-01

Family

ID=7223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087A KR102427794B1 (ko) 2019-02-14 2020-02-14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70058A1 (ko)
KR (1) KR1024277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097A (ja) * 2002-04-17 2005-08-04 ソントラ・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信号の伝送及び受信の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970B1 (ko) * 2005-09-05 2006-10-17 전언국 잇몸전용 저주파자극기
KR101300123B1 (ko) * 2011-07-26 2013-08-26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22143B1 (ko) * 2013-10-30 2016-05-18 주식회사 화니메디칼 피부 조직의 치료 또는 피하 지방 제거를 위한 고주파 자극 장치
KR102518441B1 (ko) 2015-07-30 2023-04-05 주식회사 하이로닉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KR101763021B1 (ko) * 2015-08-27 2017-08-03 김정국 얼굴 피부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097A (ja) * 2002-04-17 2005-08-04 ソントラ・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信号の伝送及び受信の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0058A1 (en) 2021-12-02
KR20200099496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151B1 (ko) 맞춤형 복합자극이 가능한 피부 기능 개선용 입체 음압 복합 자극기 모듈
KR101380620B1 (ko) 탈모관리기
JP2023515722A (ja) 患者の非アテンド式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60026234A (ko)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KR20190084701A (ko) 지속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약물 겸용 치료장치
KR20190100743A (ko) 복합형 피부 미용 관리 기기
US20160228177A1 (en) A system for periodontal treatment
KR20100101420A (ko) 마이크로니들 및 진동발생장치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기기
EP3389760B1 (en) Electro kinetic transdermal and trans mucosal delivery accelerator device
KR102214521B1 (ko) 미용에 사용하는 복합 전극패드를 이용한 미용기기와 그 방법
KR101121681B1 (ko)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KR200457996Y1 (ko) 고주파 치료기
KR102427794B1 (ko)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용 전류 제공 장치
KR101220541B1 (ko) 피부 치료기
JP2005118527A (ja) 美顔マスク、美容器具
KR102072516B1 (ko) 피부 치료용 마우스 피스 및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KR101793532B1 (ko) 블랙헤드 제거기
US20230310847A1 (en) Mouthpiece for skin treatment and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ing electrical energy
KR101017795B1 (ko) 인체 시술용 전극 바늘 조립체
WO2020167049A1 (ko)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채득된 인상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마우스 피스 및 피부 치료 장치
WO2019199090A1 (ko) 피부 치료용 마우스 피스 및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
KR20180074465A (ko) 고주파 조사량 및 습도 조절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고주파를 이용한 미용의료 장치
KR20200001727U (ko) 지속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약물 겸용 치료장치
KR20160070325A (ko) 의료용 고주파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9208739U (zh) 用于对患者进行无人照管的治疗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