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664B1 -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 Google Patents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664B1
KR102427664B1 KR1020220070616A KR20220070616A KR102427664B1 KR 102427664 B1 KR102427664 B1 KR 102427664B1 KR 1020220070616 A KR1020220070616 A KR 1020220070616A KR 20220070616 A KR20220070616 A KR 20220070616A KR 102427664 B1 KR102427664 B1 KR 102427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ealing
unit
tank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희동
Original Assignee
변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희동 filed Critical 변희동
Priority to KR102022007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6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6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nversio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6Filtering particles other than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odizing treatment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izing treatment system comprises: an electrolysis unit (52)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o perform a degreasing and filming process of an object to be plated; a first cleaning unit (53) which primarily cleans the object to be plated transferred from the electrolysis unit (52); a sealing unit (54) having a sealing tank (546) containing a sealing liquid for sealing the object to be plated transferred from the first cleaning unit (53); a second cleaning unit (55) having a second leaning tank (555) i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transferred from the sealing unit (54) is secondarily washed; a drying unit (56) having a drying chamber i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leaning unit (55) is dried; and a transfer unit (51) which sequentially transfers each hanger (C), on which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plated are mounted, in a linear direction from the electrolysis unit (52) to the drying unit (56). The electrolysis unit (52) includes an electrolysis sensing part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ed in an electrolytic tank (527), and an electrolyte replenishing part (22) fo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solu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lectrolyte detection.

Description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ing objects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일반적으로 아노다이징(Anodizing; 양극산화)은 금속이나 부품 등을 양극에 걸고 희석-산의 전해액에서 전해하면,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서 소지금속과 대단한 밀착력을 가진 산화피막(산화알미늄: Al2O3)이 형성된다. In general, anodizing (anodic oxidation) involves placing a metal or component on the anode and electrolyzing it in dilute-acid electrolyte. Oxygen generated at the anode creates an oxide film (aluminum oxide: Al2O3) with great adhesion to the base metal. is formed

양극산화라고 하는 것은 양극(Anode)과 산화(Oxidizing)의 합성어(Ano-dizing)이다. 또한, 전기도금에서 금속부품을 음극에 걸고 도금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양극산화의 가장 대표적인 소재는 알루미늄(Al)이고, 그 외에 마그네슘(Mg), 아연(Zn), 티타늄(Ti), 탄탈륨(Ta), 하프늄(Hf), 니오븀(Nb) 등의 금속소재에도 아노다이징처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그네슘과 티타늄 소재의 아노다이징 처리도 점차 그 용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Anodizing is a compound word of Anode and Oxidizing (Ano-dizing). In addition, it is different from plating metal parts on the cathode in electroplating. Aluminum (Al) is the most representative material for anodization, and anodizing is also applied to metal materials such as magnesium (Mg), zinc (Zn), titanium (Ti), tantalum (Ta), hafnium (Hf), and niobium (Nb). are processing Recently, the use of anodizing treatment of magnesium and titanium materials is gradually increasing.

알루미늄 소재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처리하는 아노다이징(Anodizing on Aluminum Alloys)은 알루미늄을 양극에서 전해하면 알루미늄 표면이 반은 침식이 되고, 반은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형성된다. 알루미늄 아노다이징(양극산화)은 다양한 전해(처리)액의 조성과 농도, 첨가제, 전해액의 온도, 전압, 전류 등에 따라 성질이 다른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In Anodizing on Aluminum Alloys, which treats the surface of an aluminum material with an oxide film, when aluminum is electrolyzed at an anode, half of the surface of the aluminum is eroded, and half of the aluminum oxide film is formed. Aluminum anodizing (anodic oxidation) can form a film with differen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various electrolyte (treatment) solutions, additives, and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of the electrolyte.

양극산화피막의 특성으로서, 피막은 치밀한 산화물로 내식성이 우수하고, 장식성 외관을 개선하며, 양극피막은 상당히 단단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도장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본딩(Bonding) 성능을 개선하고, 윤활성을 향상시키며, 장식목적의 특유한 색상을 발휘하고, 도금의 전처리가 가능하며, 표면손상을 탐색할 수 있다.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odized film, the film is a dense oxide, which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improved decorative appearance. The anode film is quite hard and has excellent wear resistance, improves paint adhesion, improves bonding performance, and lubricity. It can improve the surface quality, exhibit a unique color for decorative purposes, pre-treatment of plating is possible, and can detect surface damage.

특히 양극경질산화(Hard Anodizing)의 특징은 알루미늄의 합금특성에 의한 저온(또는 상온) 전해는 H2SO4용액에 저온 전해방법으로서 보통 양극산화 피막 보다는 내식성, 내마모성, 절연성이 있는 견고한 피막이며, 적어도 30㎛이상이면 경질이라 할 수 있다. 알루미늄 금속표면을 전기,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나 세라믹으로 변화시켜 주는 공법이다. 이 공법을 적용하게 되면 알루미늄 금속 자체가 산화되어 알루미나 세라믹으로 변화되며 알루미늄 표면의 성질을 철강보다 강하고 경질의 크롬도금보다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도금이나 도장(코팅)처럼 박리되지 않으며 변화된 알루미나 세라믹표면은 전기절연성(1,500V)이 뛰어나지만 내부는 전기가 잘 흐른다. 이러한 알루미늄 금속에 경질-아노다이징(Hard-Anodizing) 표면처리 공법을 이용한 첨단기술이 개발 및 적용되고있다.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 of hard anodizing is that low-temperature (or room-temperature) electrolysis due to the alloy properties of aluminum is a low-temperature electrolysis method in H2SO4 solution. If it is more than that, it can be said to be hard. It is a method to change the aluminum metal surface into alumina ceramic using electrical and chemical methods. When this method is applied, the aluminum metal itself is oxidized and changed to alumina ceramics, and the surface properties of aluminum are stronger than steel and have superior wear resistance than hard chrome plating. It does not peel off like plating or painting (coating), and the changed alumina ceramic surface has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1,500V), but electricity flows well inside. A cutting-edge technology using a hard-anodizing surface treatment method is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such aluminum metal.

종래의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은 도금 대상물을 개별적로 설치된 전해조, 세척조, 실링조 및 건조실 등을 거쳐야만 금속의 도금이 완성된다. In the conventional anodizing treatment system, metal plating is completed only through an electrolytic bath, a washing bath, a sealing bath, a drying chamber, etc., which are individually installed for the object to be plated.

여기서 종래의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은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지그를 전해조, 세척조, 실링조 및 건조실 등으로 순차 이동시키고 있으며, 전해조 내지 건조실등은 모두 독립된 공간 임에 따라 복수의 지그가 거치된 행거들은, 예를 들면, 전해조에서 세척조로 이동시 승강과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Here, the conventional anodizing treatment system sequentially moves the jig o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unted to the electrolytic cell, washing tank, sealing tank and drying chamber, and since the electrolytic cell and drying chamber are all independent spaces, the hangers on which a plurality of jigs are mounted are,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moving from the electrolytic bath to the washing bath, the lifting and lowering are repeated.

따라서 종래의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은 행거를 승하강 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됨에 따라 이동거리가 증가되고, 이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이 증가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되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nodizing system, as the process of elevating and lowering the hanger has to be repeatedly performed, the moving distance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parts for configuring it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승강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내부를 밀폐화시킬 수 없기에 전해조나 실링조 등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설치되기에 실내의 공기 질을 떨어뜨릴 수 있어 작업자의 건강에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nodizing treat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fting devices, it cannot seal the inside, so it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an electrolytic cell or a sealing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become a risk factor for the health of

KRUS 10-1040101 10-1040101 B1(2011.06.02)B1 (2011.06.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노다이징 처리 장치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odizing treatment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 plating object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the plating object so as to seal the inside of the anodizing treatment apparatus, and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xampl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금 대상물의 탈지 및 피막 공정을 수행하도록 전해액이 충전된 전해부와, 전해부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부와, 제1 세척부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실링하는 실링액이 수용된 실링조를 구비한 실링부와, 실링부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이 2차 세척되는 제2 세척조를 구비한 제2 세척부와, 제2 세척부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이 건조되는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부 및 복수의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각각의 행거들을 전해부 부터 건조부까지 직선 방향으로 순차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전해부는 전해조에 수용된 전해액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해 감지부와, 전해액 감지 결과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해액을 보충하는 전해액 보충부를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ysis unit filled with an electrolyte to perform a degreasing and coating process of a plating object, a first washing unit for first washing the plating object moved from the electrolysis unit, and plating moved from the first washing unit A sealing part having a sealing tank in which a sealing liquid for sealing an object is accommodated, a second cleaning part having a second cleaning tank in which the plating object moved from the sealing part is secondarily washed, and the plating object moved from the second cleaning part It includes a drying unit having a drying chamber to be dried and a transfer unit for sequentially moving each of the hangers on which the plurality of plating objects are mounted from the electrolysis unit to the drying unit in a linear direction, and the electrolysis unit measures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electrolytic cell. It includes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 plating object including a sensing unit, and an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fo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electroly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송부가 도금 대상물을 전해조에 이동시키는 단계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해조의 전해액을 배출하고, 전해조와 제1 세척조 사이의 제1 수문을 개방하여 도금 대상물을 제1 세척조로 이동시키고 제1 수문을 승강하여 제1 세척조와 전해조 사이를 차단하는 단계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세척조에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하는 단계와, 1차 세척 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 세척조와 실링조 사이의 제2 수문을 개방하여 도금 대상물을 실링조로 이동시킨 후 제2 수문을 승강시켜 제1 세척조와 실링조 사이를 차단하는 단계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실링조에 실링액을 설정된 수위에 도달될 때까지 공급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실링액을 배출하는 단계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실링조와 제2 세척조 사이의 제3 수문을 개방하고, 도금 대상물을 제2 세척조로 이동시킨 뒤 제3 수문을 승강시켜 실링조와 제2 세척조 사이를 차단하는 단계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2 세척조에서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하는 단계와, 2차 세척후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2세척조와 건조실 사이의 제4 수문을 개방하고, 도금 대상물을 건조실로 이동시킨 뒤에 제4 수문을 승강시켜 제2 세척조와 건조실 사이를 차단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건조실에서 도금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ethod of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Discharging the electrolyte of the electrolytic cell, opening the first sluice gate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first washing tank to move the plating object to the first washing tank, and lifting the first sluice gate to block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and the electrolytic cell,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After the first washing of the plating object moved to the washing tank by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and the sealing tank by elevating the machine, supplying the sealing liquid to the sealing tan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until a set water level is reached, and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 opening the third sluice gate between the seal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oving the plating object to the second washing tub, and lifting the third sluice gate to block between the sealing tub and the second washing tub; After the second washing of the object to be plated in the second washing tank by control, and after the second washing, the fourth sluice gate between the second washing tank and the drying chamber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ved to the drying room, after which the fourth It may include the steps of blocking between the second washing tank and the drying chamber by elevating the sluice gate, and drying the plating object in the drying chamber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이 승하강 동작 없이 직선으로 이동함에 따라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해조, 실링조, 세척조, 건조실 등이 모두 하나의 하우징으로 밀폐시킬 수 있어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cell, sealing tank, washing tank, drying room, etc. constituting the anodizing treatment system can all be sealed with a single housing as the plating object moves in a straight line without raising/lower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의 승하강에 필요한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omitting the device required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object to be pl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조 및 제1 세척조를 간략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조 및 제2 세척조를 간략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S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S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S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first washing tank of FIG. 1 .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ealing tank and the second washing tank of FIG. 1 .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20.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30.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40.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user'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wealth", "… energy", "… However, terms such as “module”, “device” and the lik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부터 본 발명에 따른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 plating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복수의 지그(Z)가 설치되는 행거(C)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50)와, 행거(C)들이 투입되는 투입부(40)와, 건조된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행거(C)를 배출하는 배출부(60)와, 구동부재(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와, 실링제를 공급 및 감지하는 실링부재(30)와, 전해액을 감지 및 공급하는 전해부재(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ember 50 for moving a hanger C on which a plurality of jigs Z on which a plating object is mounted are installed, and an input unit 40 into which the hangers C are put, and , a discharge unit 60 for discharging the hanger C on which the dried plating object is mounted, a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mber 50, and a sealing member 30 for supplying and sensing a sealing agent; It includes an electrolytic member 20 for sensing and supply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컨트롤러(10)는 구동부재(5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는 행거(C)의 위치와, 구동부재(50)의 상태 정보(모터의 작동 여부, 노즐의 작동여부, 전해액의 용량, 실링제의 용량, 현재 작동 중인 장치)와 도금 대상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driving member 5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hanger C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member 50 (whether the motor is operating, whether the nozzle is operating, the capacity of the electrolyte, the capacity of the sealing agent, the device currently in operation)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lated.

또한, 컨트롤러(10)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조작 명령이나 프로그램의 설치나 삭제, 구동 조건의 설정을 위한 조작 패널, 고장이나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display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an operation panel for installation or deletion of an operation command or program, and an operation panel for setting a driving condition, an alarm for alarming a failure or abnormality, and the like.

전해부재(20)는 구동부재(50)에 충전된 전해액의 농도를 감지하는 전해액 감지부(21)와, 전해액을 보충하는 전해액 보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e member 20 may include an electrolyte sensing unit 21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charged in the driving member 50 , and an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22 fo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여기서 전해액 감지부(21)는 전해액의 전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전해액은 사용 횟수가 많아지거나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어 황산의 농도가 떨어지면, 황산의 농도가 약해짐에 따라 전류값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해액 감지부(21)는 전류의 측정을 통해 전해액의 농도를 감지한다.Here, the electrolyte sensing unit 21 senses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decreases due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electrolyte increases or moisture permeates from the outside, the current value de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decreases. Therefore,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by measuring the current.

전해액 보충부(22)는 전해액 감지부(21)의 감지 결과에 따라 황산 또는 정제수를 구동부재(50)로 보충한다. 예를 들면, 전해액은 전해조(527)에 공급된 후 후술되는 구동부재(50)의 작동 과정 중에 전해액 여과조로 배출된 후 이물질을 걸르는 필터링 과정을 통해 전해조(527)로 재공급된다. 전해액 보충부(22)는 전해액의 재공급 과정에서 전해액 감지부(21)의 감지 결과에 따라 황산 및/또는 정제수를 재공급할 수 있다. The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22 supplements sulfuric acid or purified water with the driv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lyte sensing unit 21 . For example, after being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the electrolyte is discharged to the electrolyte filtration tank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is re-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through a filtering process of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The electrolyte replenisher 22 may re-supply sulfuric acid and/or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in the re-supply process of the electrolyte.

여기서 전해액 보충부(22)는 전해액의 보충을 위하여 황산 및 정제수 공급 장치(예를 들면, 펌프나 공급배관 및 전자식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22 may further include a sulfuric acid and purified water supply device (eg, a pump or a supply pipe and an electromagnetic on/off valve) fo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또한, 전해액 감지부(21)는 전해액 내에 부유되는 불순물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탁도를 감지할 수 있는 탁도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may further include a turbidity detection means capable of detecting turbidity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impurities suspended in the electrolyte.

예를 들면, 전해조(527)는 기존과 달리 장시간 동안 전해조(527) 내에 수용된 상태가 아닌 매번 다른 도금 대상물의 투입 및 이동시다마다 전해 배수조(523)와 전해 보충조(525)를 통해 재공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lytic cell 527 is not accommod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for a long time unlike the conventional one, but is re-supplied through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and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each time a different plating object is put in and moved. can be

하지만, 전해조(527)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벽면 등과 같은 전해조(527) 자체의 기구물로부터 이물질이 떨어져 나올 수 있고, 돌발 상황에 따라 전해액 이외의 다른 물질이 침투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electrolytic cell 527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eign substances may come off from the apparatus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itself, such as a wall surface, and other materials other than the electrolyte may permeate according to an unexpected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불의의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전해액의 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rbidity of the electrolyte is sensed to prepare for such an unexpected situation.

컨트롤러(10)는 탁도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알림 또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 may output a notification or warning message through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turbidity detection result.

실링부재(30)는 실링액을 감지하는 실링액 감지부(31)와, 실링액을 보충하는 실링액 보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30 may include a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for detecting the sealing liquid, and a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for replenishing the sealing liquid.

실링액 감지부(31)는 실링조(546) 내의 실링액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이온의 농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도금 대상물은 전해조(527) 및 세척 과정을 거친후 실링 공정을 진행한다. 따라서 실링조(546)에는 도금 대상물에서 세척 되지 못한 전해액의 이온이나 세척 과정에서의 물이나 도금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미세 금속 등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온이나 이물질은 실링과정에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The sealing liquid detection unit 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ions that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 For example, the plating object is subjected to the electrolytic bath 527 and a washing process, and then a sealing process is performed. Therefore, the sealing tank 546 may contai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ions of the electrolyte that are not cleaned from the object to be plated, water during the washing process, or fine metal separated from the object to be plated. Such ions or foreign substances are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during the sealing process.

따라서 실링액 감지부(31)는 실링조(546) 내의 이온 농도를 감지하여 실링액 보충부(32)로 그 결과를 출력한다. Therefore, the sealing liquid detecting unit 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ions in the sealing tank 546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

실링액 보충부(32)는 실링액 감지부(31)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여 설정 기준을 넘는 이온의 농도가 감지되면, 현재의 실링액을 배수하고, 신규한 실링액을 공급한다. The sealing liquid replenishment unit 32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aling liquid detection unit 31 , and when an ion concentration exceeding a set standard is detected, drains the current sealing liquid and supplies a new sealing liquid.

여기서 실링액 보충부(32)는 후술되는 구동부재(50)의 수문 개폐에 따른 실링액의 배수 후 재공급을 위한 별도의 저장조와, 신규 실링액의 공급을 위한 실링액 보관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orage tank for re-supply after draining the sealing liqui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uice gate of the driving memb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sealing liquid storage tank for supplying a new sealing liquid. can

구동부재(50)는 전해조(527)를 구비한 전해부(52), 제1 세척조(535)를 구비한 제1 세척부(53), 실링조(546)를 구비한 실링부(54), 제2 세척조(555)를 구비한 제2 세척부(55), 건조실이 구비된 건조부(56)가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고, 전해부(52) 내지 건조부(56)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행거(C)를 순차 이동시키는 이송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member 50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52 having an electrolytic bath 527 , a first washing unit 53 having a first washing bath 535 , a sealing unit 54 having a sealing bath 546 , A second washing unit 55 having a second washing tank 555 and a drying unit 56 having a drying chamber are integrally formed and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electrolytic unit 52 to the drying unit 56 to hanger It may include a transfer unit 51 for sequentially moving (C).

여기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와 제2 세척조(555) 및 건조실은 서로간의 공간이 구획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함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함체의 양측에는 상술한 이송부(51)가 설치되어 복수의 행거(C)를 순차 이동한다. Here, the electrolytic bath 527, the first washing bath 535, the sealing bath 546, the second washing bath 555, and the drying chambe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enclos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with a space between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enclosure The above-described transfer unit 51 is installed to sequentially move the plurality of hangers (C).

또한 구동부재(50)는 상술한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수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문은 예를 들면, 전해부(52)와 제1 세척부(53)를 구획하는 제1 수문(g1)과, 제1 세척조(535)와 실링부(54)를 구획하는 제2 수문(g2)과, 실링부(54)와 제2 세척부(55)를 구획하는 제3 수문(g3)과, 제2 세척부(55)와 건조부(56)를 구획하는 제4 수문(g4)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5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luice gates dividing each space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luice gates are, for example, a first sluice gate g1 dividing the electrolysis unit 52 and the first washing unit 53 , and a second sluice gate dividing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the sealing unit 54 . (g2), a third sluice gate g3 dividing the sealing unit 54 and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a fourth sluice gate g4 dividing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the drying unit 56 )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제1 내지 제4 수문(g4)은 상하로 이동되면서 각 공간 사이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50)는 제1 내지 제4수분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기계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rst to fourth sluice gates g4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s described above, and may block or open spaces between each space. 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50 may further include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motor for operating the first to fourth mois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well-known techniques are applied.

즉, 본 발명은 전해조(527) 내지 건조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함체 내에서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함체의 양측에서 행거(C)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1)가 일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가 개방된 전해조(527) 내지 실링조(546)를 외부와 차폐된 공간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is partitioned within a housing in which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the drying chamber are integrally formed, and as the transfer unit 51 for moving the hanger C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the upper part is opene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the sealing tank 546 as a space shielded from the outside.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술한 컨트롤러(10)와 실링부재(30), 전해부재(20) 및 구동부재(50)는 내부가 밀폐된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ontroller 10, the sealing member 30, the electrolytic member 20, and the driving member 50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housing sealed inside.

각각의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중 전해부(52)와 제1 세척부(53)의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descrip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nd the description of the double electrolytic unit 52 and the first washing unit 5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도 1의 전해부(52) 및 제1 세척부(53)를 간략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lectrolysis unit 52 and the first washing unit 53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전해부(52)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전해조(527)와, 전해조(527)에서 배출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전해 배수조(523), 배출된 전해액을 전해조(527)로 재공급하는 전해 보충조(52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lytic unit 52 includes an electrolytic cell 527 in which an electrolyte is accommodated, an electrolytic drain 523 in which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527 is accommodated, and the discharged electrolyte is returned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 Includes an electrolytic replenisher 525 to supply.

전해조(527)는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과 직립된 벽면으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되어 전해액을 수용한다. 여기서 전해조(527)의 상단 양측에는 이송부(51)가 각각 연장된다. The electrolytic cell 527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forms a space partitioned by a bottom surface and an upright wall surface to receive an electrolyte solution. Here, the transfer part 51 is extended to both upper ends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respectively.

여기서 전해조(527)는 인접한 제1 세척조(535)를 구획하는 벽면으로서 제1 수문(g1)이 형성된다. 제1 수문(g1)은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Here,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 a first sluice gate g1 is formed as a wall dividing the adjacent first washing tank 535 . The first sluice gate g1 may open or block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while moving up and down.

또한, 전해조(527)의 바닥면(521)에는 복수의 제1 배출 수단(522)이 구비된다. 제1 배출 수단(522)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하여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 및/또는 설치되는 배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장치(예를 들면, 전자식 개폐 밸브)로서 하측의 전해 배수조(523)로 전해액을 배출 또는 전해조(527) 내에 전해액을 수용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means 52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521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 The first discharge means 522 is a device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on/off valve) for opening or blocking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or the installed discharge por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electrolytic drain tank ( 523)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or accommodate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전해 배수조(523)는 전해조(527)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전해조(527)에서 배출된 전해액을 수용한다. 여기서 전해 배수조(523)는 전해액에 유입된 이물질(예를 들면, 도금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금속 덩어리나 분말, 먼지)을 걸러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물질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is a space formed below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accommodates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527 . Here,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may include one or more foreign substances filter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eg, metal lumps, powders, or dust separated from the plating object)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e.

이물질 필터는, 예를 들면, 전해조(527) 바닥면 하측에 근접한 위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필터(524a)와, 전해 보충조(525)와 전해 배수조(523) 사이를 구획하는 벽면에 설치되는 제2필터(52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material filter is, for example, a first filter 524a that is detachably fix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bottom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a wall surface partitioning between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and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524b) installed in the.

제1필터(524a)는 전해조(527)로부터 배츨된 전해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예를 들면, 여과망으로서 전해 배수조(523)의 양측 벽면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524a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tank 527, for example, as a filtering net, and may be coupled to the rails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in a sliding manner.

제2필터(524b)는 전해 보충조(525)와 전해 배수조(523) 사이를 구획하는 벽면으로서 전해 배수조(523)에서 1차 여과된 전해액이 전해 보충조(525)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낸다. 여기서 제2필터(524b)는 전해 보충조(525)와 전해 배수조(523) 사이에 직립된 벽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전해액이 이동되는 유로에 설치되거나, 벽면 자체로서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524b is a wall dividing the electrolysis replenishment tank 525 and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an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electrolytic solution first filtered in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into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filter out foreign matter Here, the second filter 524b may be installed in a flow path through which a part of an upright wall surface between the electrolysis replenishment tank 525 and the electrolysis drain tank 523 is opened and the electrolyte moves, or may be installed as a wall surface itself.

전해 보충조(525)는 전해 배수조(523)로 배출된 전해액을 수용하고,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전해조(527)로 전해액을 재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해 보충조(525)는 제1 펌프(P1)와, 전해 보충조(525)에서 전해조(527)로 연장되는 공급 배관(5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receives the electrolyte discharged to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 and re-supply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To this end,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may include a first pump P1 and a supply pipe 526 extending from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

제1 펌프(P1)는 컨트롤러(10)에 의해 작동되어 전해 보충조(525)에 수용된 전해액을 전해조(527)로 재 공급한다. The first pump (P1)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0) to re-supply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즉, 전해조(527)의 전해액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제1 배출 수단(522)이 개방되면 전해조(527)에서 배출된 후 전해 배수조(523) 및 전해 보충조(525)를 통해 여과되어 전해조(527)로 재 공급된다. That is, the electrolyt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is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527 when the first discharge means 522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then through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and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It is filtered and re-supplied to the electrolyzer 527 .

여기서 전해액 감지부(21)는 전해 배수조(523)의 내측에 설치된 전류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전해액의 전류를 측정한다. Here,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measures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through a curre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side the electrolysis water tank 523 .

또한, 전해액 보충부(22)는 전해액 감지부(21)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황산 및/또는 정제수를 전해 보충조(525)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전해액 보충부(22)는 전해액 저장 탱크 및 정제수 저장 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22 supplies sulfuric acid and/or purified water to the electrolysis replenishment tank 525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 To this end,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22 may include an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a purified water storage tank.

아울러, 전해 보충조(525)는 전해액 보충부(22)에서 보충되는 황산 등의 보충 전해액의 혼합을 위하여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교반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device made of rotary blades for mixing the replenishment electrolyte such as sulfuric acid supplemented in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22 .

이송부(51)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롤러(511)와, 회전롤러(511)에 치합되어 행거(C)의 양끝단이 거치되는 이송벨트(512)를 구비한다. The transfer unit 51 includes a rotary roller 511 that is rotated by driving a motor, and a transfer belt 512 meshed with the rotary roller 511 on which both ends of the hanger C are mounted.

이중 이송벨트(512)는 설정된 거리마다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행거(C)의 끝단을 지지하는 거치돌기가 구비된다. The double conveying belt 512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or each set distance to support the end of the hanger (C).

여기서 이송벨트(512)는 상술한 전해조(527), 제1 세척조(535), 실링조(546), 제2 세척조(555) 및 건조실까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Here, the transfer belt 512 extends in a straight direction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ic bath 527 , the first washing bath 535 , the sealing bath 546 , the second washing bath 555 and the drying chamber.

행거(C)는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으로서 복수의 지그(Z)의 상단이 거치된다. The hanger (C) is a rod-shape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nd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jigs (Z) are mounted.

또한, 각각의 지그(Z)는 직립된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들이 형성되어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다. In addition, each jig (Z)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upright body,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unted.

즉, 하나의 지그(Z)에는 복수의 도금 대상물이 거치되고, 양측 이송벨트(512)에 양 끝단이 각각 지지된 행거(C)에는 복수의 지그(Z)가 거치된다. That is, a plurality of plating objects are mounted on one jig (Z), and a plurality of jigs (Z) are mounted on a hanger (C) each of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belt 512 .

따라서 이송부(51)는 이와 같은 복수의 행거(C)를 전해조(527)에서 건조실까지 방향 전환 및/또는 승하강 없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51 may move the plurality of hangers C from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the drying chamber in a linear direction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and/or elevating or lowering.

또한, 제1 수문(g1)은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를 구획하는 직립된 벽면으로서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로 승하강되어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를 개방 또는 차단한다. 여기서 제1 수문(g1)의 하단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전해조(527) 및 제1 세척조(535)의 바닥면에서 상향된 댐(5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luice gate g1 is an upright wall that divides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is raised and lowered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 to open or block between them. 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uice gate g1 may be configured as a dam 571 that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rai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

여기서 댐(571, 572, 583, 574)은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제2 세척조(555), 실링조(546), 건조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댐(571, 572, 583, 574)은 해당 공간의 바닥면에서 설정된 높이를 갖고, 수문(g1, g2, g3, g4)을 따라 연장되어 해당 공간을 구획하는 양 벽면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전해액과 세척액 및 실링액 중 어느 하나의 범람을 방지한다. Here, the dams 571 , 572 , 583 , and 574 ar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 the first washing tank 535 , the second washing tank 555 , the sealing tank 546 , and the drying chamber. The dams 571, 572, 583, and 574 have a set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pace, and extend along the sluice gates g1, g2, g3, g4 to cross between the two walls dividing the space. Prevent overflow of any one of electrolyte, cleaning solution, and sealing solution.

예를 들면, 컨트롤러(10)는 전해조(527) 내에 도금 대상물이 투입되는 탈지 및 피막 공정을 진행한 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배출 수단(522)을 개방하여 전해조(527) 내의 전해액을 배출시킨다. For example,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degreasing and coating process i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is put into the electrolytic cell 527 , the controller 10 opens the first discharging means 522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 make it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전해조(527) 내의 전해액이 설정된 높이 이하로 배출되면, 제1 수문(g1)을 하강시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를 개방한다. 이후 컨트롤러(10)는 이송부(51)를 가동시켜 전해조(527)에 위치한 복수의 행거(C)들을 제1 세척조(535)로 이동시키고, 전해조(527) 내에 행거(C)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1 수문(g1)을 승강시킨 뒤에 전해액을 재공급하도록 제1 펌프(P1)를 가동시킬 수 있다. And when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is discharged below a set height, the controller 10 lowers the first sluice gate g1 to open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 Then,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transfer unit 51 to move the plurality of hangers C loc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if the hanger C is not detect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After elevating the first sluice gate g1, the first pump P1 may be operated to re-supply the electrolyte.

이때, 댐은 수문을 행거(C)의 높이, 즉, 도금 대상물이 이동중에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으며, 전해액과 실링액 또는 세척액이 완전히 배수되지 않고 일부 잔류된 상태에서도 수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At this time, the dam has the height of the hanger (C) of the sluice gate, that is, the height enough to prevent the plating object from being caught during movement. installed to do so.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에 승하강되는 제1 수문(g1)을 통하여 전해조(527) 내의 도금 대상물을 승하강 시키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제1 세척조(535)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해액의 이물질을 탈지 및 피막 공정시마다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levate the object to be pl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through the first sluice gate g1 elevating and lowering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but in a straight direction to the first washing tank 535. It can be moved,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electrolyte can be removed at each degreasing and coating process.

제1 세척부(53)는 제1 세척조(535)와, 제1 세척 토출 수단(532)과, 세척 배수조(533)(523) 및 제1 배출 배관(5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washing unit 53 may include a first washing tank 535 , a first washing discharge means 532 , washing drain tanks 533 and 523 , and a first discharge pipe 534 .

제1 세척조(535)는 상면이 개방되고 직립된 벽면과 바닥면을 구비하여 행거(C)에 거치된 복수의 도금 대상물을 수용 및 세척 공간을 형성한다. The first washing tank 535 has an open top surface and an upright wall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plating objects mounted on the hanger C and form a cleaning space.

여기서 제1 세척조(535)의 바닥면(531)은 제1 세척 토출 수단(532)에서 배출된 세척액이 즉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이 복수가 형성되는 망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고, 직립된 벽면이 상하로 승하강되는 제1 수문(g1)과 제2 수문(g2)으로 형성된다. Here, the bottom surface 531 of the first washing tank 535 is composed of a mesh-shaped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washing discharge means 532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and an upright wall surface is formed. It is formed of a first sluice gate g1 and a second sluice gate g2 that ascend and descend vertically.

제1 세척 토출 수단(532)은 제1 세척조(535)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서 고정되는 복수로서 이송부(51)에 이송된 행거(C)에 거치된 도금 대상물에 세척액을 분사한다. 여기서 세척액은 세척액 저장 탱크로부터 공급된다. 세척액 저장 탱크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배관으로 연결되어 하우징 외측에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washing and discharging means 532 sprays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plating object mounted on the hanger C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51 as a plurality of pieces fixed on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first washing tub 535 . Here,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torage tank. The washing liquid storage tank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or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pipe and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세척 배수조(533)는 제1 세척조(535)의 하측에서 배출된 세척액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세척 배수조(533)는,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전해부(52)의 전해 배수조(523)와 벽면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 배수조(533)는 외부로 연장되는 제1 배출 배관(534)과, 제1 배출 배관(534)을 통해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펌프(P2)를 포함한다. The washing drain tank 533 is formed as a space for receiving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shing tank 535 . The washing water tank 533 is formed as a space partitioned with the wall surface and the electrolysis water tank 523 of the electrolysis unit 52 interposed therebetween, for example. Here, the washing drain tank 533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534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a second pump P2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534 .

즉, 세척 배수조(533)는 상측의 제1 세척조(535)로부터 배출된 세척액을 임시 수용하며,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 제2 펌프(P2)에 의해 세척액을 외부의 정화 탱크로 배출 시킨다. 여기서 제2 펌프(P2)는 세척 배수조(533)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전자식 밸브로 대체될 수 있다. That is, the washing drain tank 533 temporarily accommodates the washing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upper first washing tank 535 , and pumps the washing solution into the external purification tank by the second pump P2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discharged with Here, the second pump P2 may be replaced with an electromagnetic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of the washing drain tank 533 .

컨트롤러(10)는 전해조(527)에서 행거(C)가 이동된 후, 세척 토출 수단(532)을 작동시켜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2 수문(g2)을 개방한 뒤에 이송부(51)를 가동시켜 제1 세척조(535) 내의 도금 대상물을 실링부(54)로 이동시킨다.After the hanger C is mov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washing/discharging means 532 to first wash the plating object.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opening the second sluice gate g2 , the transfer unit 51 is operated to move the object to be plated in the first washing tank 535 to the sealing unit 54 .

실링부(54)와 실링부재(3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sealing part 54 and the sealing memb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실링부 및 제2 세척조를 간략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aling part and a second washing tank.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54)는 실링액을 수용하는 실링조(546)와, 실링조(546)에서 실링액을 배출하는 제2 배출 수단(542)과, 실링조(546)에서 배출된 실링액을 수용하는 실링 저장조(543)와, 실링 저장조(543)의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재 공급하는 제3 펌프(P3)와, 실링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배출 수단(54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ealing part 54 includes a sealing tank 546 for accommodating the sealing liquid, a second discharge means 542 for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from the sealing tank 546 , and the sealing tank 546 . A sealing reservoir 543 for accommodating the discharged sealing solution, a third pump P3 for re-supplying the sealing solution from the sealing reservoir 543 to the sealing tank 546, and a third discharge for discharging the sealing solution to the outside means 544 .

실링액은 전해액에 침지된 도금 대상물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 피막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피막 표면의 기공을 실링 처리하기 위하여 실링조(546)에 투입된다. The seal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sealing tank 546 to seal pores on the surface of the oxide film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and contamination of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object immersed in the electrolyte.

실링조(546)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면 양측에서 이송벨트(512)가 연장된다. 아울러 실링조(546)의 벽면 중 서로 대향된 양 벽면이 제2 수문(g2)과 제3 수문(g3)으로 구성된다. 또한, 실링조(546)는 실링 저장조(543) 및/또는 외부의 저장 탱크에서 공급된 실링액을 분사 및/또는 공급하는 실링 토출 수단(542)이 설치된다. The sealing jaw 546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a transfer belt 512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opposite wall surfaces of the wall surfaces of the sealing tank 546 are composed of a second sluice gate g2 and a third sluice gate g3. In addition, the sealing tank 546 is provided with a sealing discharge means 542 for spraying and/or supplying the sealing liquid supplied from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and/or the external storage tank.

그러므로 실링조(546)는 제1 세척조(535)와 제2 세척조(555) 사이의 공간으로서 실링액을 수용하고, 제2 수문(g2)을 통해 이동되는 도금 대상물을 수용한다. 실링조(546)는 도금 대상물의 이동 후에 실링액이 공급되고, 이동 전에 실링액을 배출한다. 또한 도금 대상물은 실링액이 배출된 이후에 개방된 제3 수문(g3)을 통해 제2 세척조(555)로 이동된다. Therefore, the sealing tank 546 accommodates the sealing liquid as a space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the second washing tank 555 and accommodates the plating object moved through the second sluice gate g2 . The sealing tank 546 is supplied with a sealing liquid after movement of the object to be plated, and discharges the sealing liquid before movement. Also,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v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555 through the third sluice gate g3 opened after the sealing liquid is discharged.

제2 배출 수단(542)은 복수로서 실링조(546)의 바닥면(541)에 설치된 관통구 또는 배관을 개폐하는 전자식 개폐 밸브로서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바닥면(541)의 관통구 또는 배관을 개방시켜 실링조(546) 내의 실링액을 하측의 실링 저장조(543)로 배출시킨다. The second discharge means 542 i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541 of the sealing tank 546 or an electromagnetic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pipes, and the through-holes of the bottom surface 54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Alternatively, by opening the pipe,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is discharged to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on the lower side.

실링 저장조(543)는 실링조(546) 바닥면(541)의 하측에서 형성된 공간으로서 실링조(546)로부터 배출된 실링액을 수용한다. 여기서 실링 저장조(543)는 실링액 감지부(31)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reservoir 543 is a space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541 of the sealing tank 546 and receives the seal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ealing tank 546 . Here, the sealing reservoir 543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

여기서 실링 저장조(543)는 실링조에서 낙하되는 실링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도시되지 않음)는 미세 이물질을 걸러낼수 있도록 미세통공을 갖는 망형태로 구성되어 실링 저장조의 상측(실링조의 바닥면 하측)에서 실링 저장조(543)의 천정면과 같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도시되지 않음)는 측단부가 실링 저장조(543)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aling liquid falling from the sealing tank. The filter (not show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esh having micro-holes to filter out fine foreign substances, and is fixed in the same shape as the ceiling surface of the sealing reservoir 543 at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reservoir (bottom side of the sealing tank). . Here, the side end of the filter (not shown) may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sealing reservoir 543 .

제3 펌프(P3)는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실링 저장조(543)의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재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실링 저장조(543)와 실링조(546) 사이에는 실링 공급 배관(526)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링액은 제2 배출 수단(542)에 의해 실링조(546)에서 실링 저장조(543), 제3 펌프(P3)의 작동에 의해 실링 저장조(543)에서 실링조(546)로 공급된다. The third pump P3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re-supply the sealing liquid from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to the sealing tank 546 . To this end, a sealing supply pipe 52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aling reservoir 543 and the sealing tank 546 . That is, the sealing liquid is supplied from the sealing tank 546 to the sealing tank 543 by the second discharge means 542 and from the sealing tank 543 to the sealing tank 546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pump P3. .

여기서 실링 저장조(543)는 실링 저장조(543)의 실링액을 외부의 정화조로 배출할수 있도록 제3 배출 수단(544)(예를 들면,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는 전자식 밸브)을 포함한다. Here, the sealing reservoir 543 includes a third discharging means 544 (eg, an electromagnetic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so as to discharge the sealing liquid of the sealing reservoir 543 to an external septic tank.

또한, 실링조(546) 및 실링 저장조(543)는 실링조(546)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tank 546 and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may include a heater for maintenance of the sealing tank 546 .

제3 배출 수단(544)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실링 저장조(543)의 실링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실링액 감지부(31)의 감지 결과(예를 들면, 재 사용할 수 없는 결과값)에 따라 실링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The third discharge means 544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discharge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to the outside. Here, the controller 10 discharges the sealing liqui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aling liquid detection unit 31 (eg, a result value that cannot be reused).

예를 들면, 실링액 감지부(31)는 실링 저장조(543)에서 배출된 실링액의 이온농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실링액 감지부(31)는 도금 대상물에 잔류되어 실링조(546)에 전달되는 전해액 성분 또는 도금 대상물에서 분리된 성분 등(Cu2+, Fe2+, F-, SiO33-, PO42-, S042-)의 농도를 감지한다. For example, the sealing liquid detection unit 31 detects the ion concentration of the seal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 For example, the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may include an electrolyte component remaining in the plating object and delivered to the sealing tank 546 or a component separated from the plating object (Cu2+, Fe2+, F-, SiO33-, PO42-, S042). -) to detect the concentration.

또는 실링액 감지부(31)는 실링액의 PH를 감지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may detect the PH of the sealing liquid.

그리고 실링액 감지부(31)는 감지 결과를 컨트롤러(10) 및/또는 실링액 보충부(32)에 출력한다. And the sealing liquid detecting unit 31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0 and/or the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

실링액 보충부(32)는 실링액 감지부(31)의 감지 결과 및/또는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실링액을 보충할 수 있다. The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may replenish the sealing liqui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aling liquid detecting unit 31 and/o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여기서 실링액 보충부(32)는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별도의 실링액 저장 탱크에 저장된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재공급하거나, PH 관리를 위한 수산화나트륨등의 용제를 실링조(546)로 공급할 수 있다. Here, the sealing liquid replenishment unit 32 re-supply the sealing liquid stored in a separate sealing liquid storage tank to the sealing tank 54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or supply a solvent such as sodium hydroxide for pH management into the sealing tank. (546) can be supplied.

컨트롤러(10)는 제2 수문(g2)이 개방된 이후에 행거(C)가 설정된 위치에서 감지되면, 제3 펌프(P3)를 가동시켜 실링 저장조(543)에 저장된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재공급하고,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한다. 이때, 실링액은 제3 펌프(P3)가 가동되면서 실링 저장조(543)에서 실링조(546)로 연결되는 배관을 통하여 실링 토출 수단(542)으로 토출된다. When the hanger C is detected at the set position after the second sluice gate g2 is opened,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third pump P3 to transfer the sealing liquid stored in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to the sealing tank 546 . ) to re-supply and count the set time. At this time, the seal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sealing discharge means 542 through a pipe connected from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to the sealing tank 546 while the third pump P3 is operated.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2 배출 수단(542)을 작동시켜 실링조(546) 내의 실링액을 실링 저장조(543)로 배출시키고, 실링액의 수위가 설정 기준 이하이면, 제3 수문(g3)을 개방하고, 이송부(51)를 작동시켜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복수의 행거(C)를 제2 세척부(55)로 이동시킨다.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second discharge means 542 to discharge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to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If the level of the sealing liquid is below the set standard, The third sluice gate g3 is opened, and the transfer unit 51 is operated to move the plurality of hangers C o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unted to the second washing unit 55 .

제2 세척부(55)는 제2 세척조(555)와, 세척액을 수용하는 제2 세척조(555)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제2 세척 토출 수단(552)과, 제2 배출 배관(554) 및 제4 펌프(P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washing unit 55 includes a second washing tub 555 , a second washing tub 555 accommodating a washing solution, a second washing discharging means 552 for spraying the washing solution, a second discharge pipe 554 , and A fourth pump P4 may be included.

제2 세척조(555)는 상면이 개방되고 직립된 벽면으로 구획되어 실링 공정 이후에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second washing tank 555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is partitioned by an upright wall to form a space for secondary washing of the plating object after the sealing process.

제2 세척 토출 수단(552)은 제2 세척조(555)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제2 세척조(555)에 세척액을 공급한다. 세척액은 세척액 저장 탱크로부터 연결되는 공급 배관(526)을 통하여 제2 세척 토출 수단(552)로 공급된다. The second washing and discharging means 552 is installed on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555 to supply the washing solution to the second washing tub 555 .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cleaning discharge means 552 through a supply pipe 526 connected from the cleaning liquid storage tank.

여기서 제2 세척조(555)의 바닥면(551)은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거나 세척액이 즉시 아래의 제2세척 배수조(533)로 낙하될 수 있도록 망형태로 이루어진다. Here, the bottom surface 551 of the second washing tank 555 is formed in a mesh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or the washing liquid can immediately fall into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33 below.

제2 세척 배수조(553)는 제2 세척조(555)로부터 배출된 세척액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forms a space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555 .

제2 배출 배관(554)은 제2 세척 배수조(553)에서 외부의 정화조 내지 폐기물 저장 탱크로 연장된다. The second discharge pipe 554 extends from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to an external septic tank or a waste storage tank.

제4 펌프(P4)는 제2 세척 배수조(553)에 수용된 세척액을 배출시킨다. 세척액은 제2 세척 배수조(553)에서 연결되는 제2 배출 배관(55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 fourth pump P4 discharges the wash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 The wash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554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

여기서 세척액은 별도의 정화 장치를 거친 뒤에 재 공급되거나 정화조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액의 공급 및 정화 장치 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 the washing liquid may be re-supplied or discharged to a septic tank after passing through a separate purification device. A device for supplying and purifying the washing solution, and the like, generally correspond to well-known techniques,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4 수문(g4)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하여 하강되어 제2 세척조(555)와 건조부(56) 사이를 개방한다. The fourth sluice gate g4 is lowe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open between the second washing tank 555 and the drying unit 56 .

따라서 도금 대상물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하여 가동된 이송부(51)에 의해 제2 세척조(555)에서 건조부(56)로 이동된다. Accordingly, the object to be plated is move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555 to the drying unit 56 by the transfer unit 51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건조부(56)는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건조부(56)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의 건조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drying unit 56 dries the moved object to be plated. The drying unit 56 is generally omitted as a drying technique of a known anodizing treatment system is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부(52) 내지 건조부(56)가 일체형의 함체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송부(51)는 함체의 상면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외부와 내부를 차폐할 수 있는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sis unit 52 to the drying unit 56 extend in one direction as an integrated housing, and the transfer unit 51 extends in a stra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o shield the outside and the inside. can be installed in

여기서 하우징은 일측에서 행거(C) 및 도금 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40)와, 건조된 행거(C)를 배출하는 배출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housing may include an input unit 40 capable of putting in the hanger C and a plating object from one side, and a discharge unit 60 discharging the dried hanger C.

투입부(40)는 하우징의 일측에서 개방된 도어를 구비하여 도어를 통하여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행거(C)들을 하우징 내로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40 may include a door open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o allow the hangers C on which the plating object is mounted to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door.

또한, 배출부(60)는 개방된 도어를 구비하여 이송부(51)에 의해 이동된 행거(C)가 배출된다. 작업자는 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되는 행거(C) 및 도금 대상물을 수거하고, 수거된 도금 대상물과 행거(C)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60 has an open door, and the hanger C moved by the transfer unit 51 is discharged. The operator may collect the hanger C and the plating objec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60 , and separate and accommodate the collected plating object and the hanger C.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해조(527), 제1 세척조(535), 제2 세척조(555), 실링조(546), 건조부(56)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함체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복수의 수문을 구비하여 행거(C)에 거치되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금 대상물이 걸림되지 않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housing in which the electrolytic bath 527, the first washing bath 535, the second washing bath 555, the sealing bath 546, and the drying unit 56 extend in one dir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luice gates elevating up and down were provided to prevent the plating object moving in a straight direction from being caught on the hanger (C).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분리된 장치들 사이에서 도금 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간 마다 승강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에 도금 대상물의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each section in order to move the object to be plated among the separated devices, unlike the prior art, and thus the time required for moving the object to be plated can be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51)를 구비하되, 각 구간별로 독립되어 도금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간별로 독립된 이송부(51)를 구비함도 가능하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fer unit 51 for moving the object to be plated in a linear direc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independent transfer unit 51 for each section so that the object to be plated can be moved independently for each s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이송부(5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ure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unit (5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해조(527)를 구비한 전해부(52), 제1 세척조(535)를 구비한 제1 세척부(53), 실링조(546)를 구비한 실링부(54),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부(56)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함체내에서 복수의 수문에 의해 구획된다. 4 and 5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sis unit 52 having an electrolytic bath 527 , a first washing unit 53 having a first washing bath 535 , and a sealing bath 546 . ), a sealing unit 54 having a drying chamber and a drying unit 56 having a drying chamber ar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sluice gates in the enclosu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또한, 이송부(51)는 위와 같은 함체의 양측 상면에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도금 대상물들이 수용된 복수의 지그(Z)가 거치된 복수의 행거(C)를 순차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송부(51)는 각 구간별로 설치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51 extends in a straigh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as above and sequentially moves a plurality of hangers C on which a plurality of jigs Z in which plating objects are accommodated are moun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 Here, the transfer unit 51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installed for each section.

예를 들면, 이송부(51)는 전해부(52)에 연장된 제1 이송부(51a)와, 제1 세척부(53)에 설치된 제2 이송부(51b)와, 실링부(54)에 설치된 제3 이송부(51c)와, 제2 세척부(55)에 설치된 제4 이송부(51d)와, 건조부(56)에 설치된 제5 이송부(51e)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nsfer unit 51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51a extending to the electrolysis unit 52 , a second transfer unit 51b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unit 53 , and a second transfer unit 51b installed in the sealing unit 54 . It may include a third transfer unit 51c, a fourth transfer unit 51d installed in the second washing unit 55 , and a fifth transfer unit 51e installed in the drying unit 56 .

제1 내지 제5 이송부(51a~51e)는 각각 복수의 회전롤러(511)와, 복수의 회전롤러(51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벨트(512)에는 행거(C)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고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fifth transfer units 51a to 51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511 and a transfer belt 512 rotated by the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511 . The transfer belt 5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that protrude upward to support the hanger C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t interval.

각각의 이송부(51)는 시작단 및/또는 끝단이 인접한 다른 이송부(51)와 구간이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C)는 특정 구간에서 이동되다가 이송부(51)가 겹쳐진 구간에서 다른 이송부(51)로 옮겨질 수 있다. Each transfer unit 51 may be disposed such that a section overlaps with another transfer unit 51 having a start end and/or an end adjacent thereto. Accordingly, the hanger C may be moved in a specific section and then moved to another transfer unit 51 in the section where the transfer unit 51 overlaps.

예를 들면, 제1 이송부(51a)는 투입부(40)에서 제1 수문(g1)을 통과한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2 이송부(51b)는 제1 수문(g1) 이전의 전해부(52) 측에 시작단이 위치되고, 끝단이 제2 수문(g2)을 넘어서 실링조(54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부(51c)와 제4 이송부(51d) 및 제5 이송부(51e)는 각각 실링부(54)와 제2 세척부(55) 및 건조부(56)의 구간에서 각각 설치되되, 시작단과 끝단이 설치된 구간에서 인접한 다른 이송부(51)와 겹쳐지게 되어 행거(C)를 전달받거나 전달한다. For example, the first transfer unit 51a extends from the input unit 40 to a position passing the first sluice gate g1,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51b is the electrolysis unit 52 before the first sluice gate g1. ) side, the start end may be located, and the end may be located in the sealing tank 546 beyond the second sluice gate g2. In addition, the third transfer unit 51c, the fourth transfer unit 51d, and the fifth transfer unit 51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tions of the sealing unit 54,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the drying unit 56, respectively, In the section where the start end and the end are installed, it overlaps with the adjacent transfer unit 51 to receive or deliver the hanger (C).

따라서 행거(C)는 전해부(52)의 구간에서는 제1 이송부(51a), 제1 세척부(53)의 구간에서는 제2 이송부(51b), 실링부(54)의 구간에서는 제3 이송부(51c), 제2 세척부(55)의 구간에서는 제4 이송부(51d), 건조부(56)의 공간에서는 제5 이송부(51e)에 의해 이송된다. Therefore, the hanger (C) is the first transfer unit 51a in the sec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52, the second transfer unit 51b in the section of the first washing unit 53, and the third transfer unit in the section of the sealing unit 54 ( 51c), the fourth transfer unit 51d in the section of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the fifth transfer unit 51e in the space of the drying unit 56 .

이와 같이 분할된 이송부(51)는 전해부(52)와 실링부(54) 제1 세척부(53) 제2 세척부(55), 건조부(56)가 동시에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vided transfer unit 51 allows the electrolysis unit 52, the sealing unit 54, the first washing unit 53,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the drying unit 56 to operate simultaneously.

예를 들면, 제1그룹의 도금 대상물이 전해조(527)에서 탈지 및 피막 공정을 진행하고 있는 중에 제2 이송부(51b) 및 제3 이송부(51c)가 가동되어 제1 세척조(535)에 위치한 제2그룹의 도금 대상물을 실링조(546)로 이동시켜 실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the first group of objects to be plated is undergoing degreasing and coating processes in the electrolytic bath 527, the second transfer unit 51b and the third transfer unit 51c are operated to operate the second transfer unit 51b and the third transfer unit 51c, and The sea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two groups of plating objects to the sealing tank 546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포함한다. 이는 도 6 내지 도 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ethod of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 plating object achieved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6 to 1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an object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을 행거(C)에 거치하는 S10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전해조(527)에 침지시켜 탈지 및 피막을 형성하는 S20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하는 S30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실링처리하는 S40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하는 S50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건조하는 S60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mounting the object to be plated on a hanger (C), a step S20 of immersing the object to be plated in an electrolytic bath 527 to form a degreasing and coating film, and a first washing of the object to be plated It includes a step S30, a step S40 of sealing the object to be plated, a step S50 of secondarily washing the object to be plated, and a step S60 of drying the object to be plated.

S10 단계는 작업자가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지그(Z)를 행거(C)에 거치하고, 행거(C)를 이송벨트(512) 사이의 지지 돌기 사이에 행거(C)를 투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조작 패널을 통하여 온 스위치를 입력하면, 컨트롤러(10)는 이송부(5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이송부(51)는 회전롤러(511)가 작동되면서 이송벨트(512)를 이동시킨다.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operator mounts the jig (Z) on which the plating object is mounted on the hanger (C), and inserts the hanger (C)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between the transfer belts (512) and the hanger (C). Here, when the operator inputs the on switch through the operation panel,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transfer unit 51 . Accordingly, the conveying unit 51 moves the conveying belt 512 while the rotating roller 511 is operated.

작업자는 투입부(40)를 통하여 이송벨트(512) 사이에 순차적으로 행거(C)의 양 끝단을 각각 거치한다. 이때 행거(C)는 투입 직후 전해조(527)에 위치되었다. The operator sequentially mounts both ends of the hanger C between the transfer belts 512 through the input unit 40 . At this time, the hanger (C) was plac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immediately after the input.

S20 단계는 설정 시간 동안 도금 대상물이 전해조(527)에서 탈지 및 피막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도금 대상물을 제1 세척조(535)로 이동시킨다. 이때, 컨트롤러(10)는 제1 수문(g1)을 개방하기 전에 전해액을 전해 배수조(523)로 배출하고, 전해액의 이물질 감지 결과에 따라 전해액을 보충하는 S7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is degreased and coated in the electrolytic bath 527 for a set time. Here, the controller 10 moves the plating object to the first washing tank 535 by counting the set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 may discharge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sis sump 523 before opening the first sluice gate g1, and proceed to step S70 of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electrolyte.

이와 같은 S20 단계 및 S70 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uch steps S20 and S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S30 단계는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도금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 세척 토출 수단(532)을 통하여 세척액을 분사하여 도금 대상물에 잔류된 전해액 성분 및 기타 이물질을 세척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제1 수문(g1)과 제2 수문(g2)을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킨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tep S30 is a step of first washing the object to be plated.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lated and sprays the cleaning solution through the first cleaning/discharging means 532 to wash the electrolyte components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object to be plated. Here, the controller 10 selectively elevates the first sluice gate g1 and the second sluice gate g2.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S40 단계는 도금 대상물을 실링처리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1차 세척 이후에 제2 수문(g2)을 하강하여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 사이를 개방한 뒤에 이송부(51)를 구동시켜 도금 대상물을 실링조(546)로 이동시키고, 제2 수문(g2)을 승강시켜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 사이를 폐쇄한다. Step S40 is a step of sealing the plating object. After the first washing, the controller 10 lowers the second sluice gate g2 to ope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535 and the sealing tub 546, and then drives the transfer unit 51 to transfer the plating object to the sealing tub 546. ), and the second sluice gate g2 is raised and lowered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the sealing tank 546 .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공급하여 실링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실링액을 감지하여 보충 또는 배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40 단계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And the controller 10 supplies the sealing liquid to the sealing tank 546 to proceed with the sealing process. Here, the controller 10 may detect the sealing liquid and select either replenishment or discharge to proceed. Such step S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

S50 단계는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실링 완료 이후에 제3 수문(g4)을 개방하여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조로 이동시키고, 다시 제3 수문(g4)을 승강시켜 제2 세척조(555)와 실링조(546) 사이를 차단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제2 세척 토출 수단(552)을 작동시켜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한다.Step S50 is a second washing step of the object to be plated. After the seal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opens the third sluice gate g4 to move the plating object to the secondary washing tub, and raises and lowers the third sluice gate g4 again to the second washing tub 555 and the sealing tub 546. cut off between Then,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second cleaning and discharging means 552 to secondarily clean the object to be plated.

S60 단계는 도금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제2 세척조(555)와 건조부(56) 사이의 제4 수문(g4)을 개방한 뒤에 이송부(51)를 구동시켜 도금 대상물을 건조실로 이동시킨 후 히터 및 팬등을 작동시켜 도금 대상물을 건조한다. Step S60 is a step of drying the object to be plated. After opening the fourth sluice gate g4 between the second washing tank 555 and the drying unit 56, the controller 10 drives the transfer unit 51 to move the plating object to the drying room, and then operates a heater and a fan. Dry the plating object.

그리고 컨트롤러(10)는 작업이 완료되면, 조작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 완료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may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completion through the operation panel or the display.

도 7은 S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20.

도 7을 참조하면, S20 단계는 전해조(527) 내에 도금 대상물이 투입된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하는 S21 단계와, 설정된 시간이 완료되면 전해액을 배수하는 S22 단계와, 전해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S23 단계와, 제1 수문(g1)을 개방하는 S24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제1 세척조(535)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step S20 includes a step S21 of counting the time after the object to be plated is put into the electrolyzer 527, a step S22 of draining the electrolyte when the set time is completed, a step S23 of measuring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and , step S24 of opening the first sluice gate g1 , and moving the plating object to the first washing tank 535 .

S21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이다. 작업자는 조작 패널을 통하여 탈지 및 피막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는 입력된 시간을 카운팅한다. Step S21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unts time. The operator can input the time required for degreasing and film treatment through the operation panel.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counts the input time.

S22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전해조(527) 내의 전해액을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제1 배출 수단(522)을 제어하여 전해조(527) 내의 전해액을 전해 배수조(523)로 배출시킨다. Step S22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zer 527 when the time set by the controller 10 has elapsed.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irst discharging means 522 to discharge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the electrolytic draining tank 523 .

S23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이다.Step S23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S24 단계는 컨트롤러(10)가 감지된 전해액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도달되었다면, 제1 수문(g1)을 개방하는 단계이다. 제1 수문(g1)은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를 차단하는 벽면으로서 상하로 승하강된다. 따라서 컨트롤러(10)는 제1 수문(g1)을 하강시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사이를 개방하여 도금 대상물이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한다. Step S24 is a step of opening the first sluice gate g1 when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detected by the controller 10 reaches a set level. The first sluice gate g1 is a wall that blocks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is raised and lowered up and down.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lowers the first sluice gate g1 to open the gap betwee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d the first washing tank 535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bject to be plated can move.

S25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이송부(51)를 제어하여 도금 대상물을 제1 세척조(535)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제1 세척조(535)로 이동되는 도금 대상물들이 정위치에 도달됨이 감지되면, 이송부(51)를 정지시키고, 제1 수문(g1)을 승강시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를 차단한다. Step S25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transfer unit 51 to move the plating object to the first washing tank 535 . Here, the controller 10 stops the transfer unit 51 and raises and lowers the first sluice gate g1 when it is sensed that the plating objects moved to the first washing tub 535 reach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us the electrolytic tub 527 and the second sluice gate g1 are raised and lowered. 1 The washing tank 535 is shut off.

이와 같은 S20 단계에서 컨트롤러(10)는 전해조(527)에서 배출된 전해액을 임시 수용한 뒤에 S25 단계 이후에 전해조(527)로 재 공급할 수 있다. 이는 S70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In this step S20, the controller 10 may temporarily accommodate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zer 527 and then re-supply it to the electrolyzer 527 after the step S25. This proceeds through step S70.

S70 단계는 전해조(527)에서 배출된 전해액에서 불순물을 필터링하여 전해 배수조(523)에 수용하는 S71 단계와, 전해 배수조(523)에 수용된 전해액의 전류를 측정하는 S72 단계와, 전류 측정 결과에 따라 전해액을 선택적으로 보충하는 S73 단계와, 제1 수문(g1)을 승강시키는 S74 단계와, 전해액을 전해조(527)에 재충전하는 S75 단계를 포함한다. Step S70 includes a step S71 of filtering impurities from the electrolyte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zer 527 and accommodating it in the electrolysis sump 523, a step S72 of measuring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accommodated in the electrolysis sump 523, and the current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a step S73 of selectively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a step S74 of elevating the first sluice gate g1, and a step S75 of recharging the electrolyte into the electrolytic cell 527.

S71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전해조(527)의 제1 배출 수단(522)을 작동시켜 전해액을 전해 배수조(523)로 배수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여과시키는 단계이다. Step S71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operates the first discharge means 522 of the electrolyzer 527 to drain the electrolyte into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while filtering 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72 단계는 전해액 감지부(21)가 전해 배수조(523)에 수용된 전해액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Step S72 is a step in which the electrolyte detection unit 21 measures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accommodated in the electrolysis sump 523 .

S73 단계는 전해액 보충부(22)가 전해액 감지부(21)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해액을 보충하는 단계이다 전해액 보충부(22)는 전류 측정 결과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전해액 의 성분 및/또는 정제수를 전해 보충조(525)로 보충시킨다. Step S73 is a step in which the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22 replenishes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lyte detecting unit 21. The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22 corresponds to the current measurement result set con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lyte and / or purified water is replenished with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S74 단계는 컨트롤러(10)가 S25 단계 이후에 도금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제1 수문(g1)을 승강하여 전해조(527)를 밀폐하는 단계이다 .Step S74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elevates the first sluice gate g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ating object after step S25 to seal the electrolytic cell 527 .

S75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전해액 전해 보충조(525)에 수용된 전해액을 전해조(527)로 재 공급하도록 제1 펌프(P1)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Step S75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irst pump P1 to re-supply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tank 525 to the electrolyte tank 527 .

즉, 본 발명은 전해액은 도금 대상물의 전해액의 공정이 완료될 때마다 회수되면서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전해액의 보충과정을 통해 재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해액의 불량에 따른 도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may be recovered every time the process of the electrolyte of the object to be plated is completed, while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re-supplied through the replenishment process of the electrolyt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ting failure due to poor electrolyte solution can be prevented.

도 8은 S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30.

도 8을 참조하면, S30 단계는 도금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S31 단계와, 제1 수문(g1)을 승강시켜 제1 세척조(535)를 폐쇄하는 S32 단계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S33 단계와, 설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S34 단계와, 제1 수문을 개방하는 S35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실링조(546)로 이동시키는 S36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step S30 includes a step S31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lated, a step S32 of raising and lowering the first sluice gate g1 to close the first washing tank 535, a step S33 of spraying a washing liquid, A step S34 of counting the set time, a step S35 of opening the first sluice gate, and a step S36 of moving the plating object to the sealing tank 546 are included.

S31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제1 세척조(535) 내에 도금 대상물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제1 세척조(535)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하여 도금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한다. Step S31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detects whether the object to be plated is located in the first washing tank 535 .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lating object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tank 535 .

S32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센서를 통하여 도금 대상물들이 제1 세척조(535)의 설정된 위치에 도달됨을 감지하여 제1 수문(g1)을 승강시켜 제1 세척조(535)와 전해조(527) 사이를 차단하는 단계이다.In step S32, the controller 10 detects that the plating objects reach the set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535 through a sensor and raises and lowers the first sluice gate g1 between the first washing tub 535 and the electrolytic bath 527. This is the blocking step.

S33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제1 세척 토출 수단(532)을 제어하여 도금 대상물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세척액은 제1 세척조(535)의 바닥면(531)을 통과하여 제1 세척 배수조(533)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로는 컨트롤러(10)는 제1 세척 배수조(533)에 수용되는 세척액의 용량을 확인하여 설정된 용량 이상이 될 경우에 제2 펌프(P2)를 구동시킬 수 있다. Step S33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irst cleaning and discharging means 532 to clean the object to be plated. Here, the washing liquid pass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531 of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is received in the first washing drain tank 533 . Preferably, the controller 10 may check the capacity of the wash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washing drain tank 533 and drive the second pump P2 when the capac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capacity.

S34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설정된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세척이 개시되면,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의 도달 여부를 감지한다. Step S34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detects a set time. When washing is started, the controller 10 counts the time and detects whether the set time has been reached.

S35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세척 토출 수단(532)을 오프시킨 후 제2 수문(g2)을 개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제1 세척조(535)에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해당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 제2 수문(g2)을 개방할 수 있다. Step S35 is a step of opening the second sluice gate g2 after the controller 10 turns off the washing/discharging means 532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Here, the controller 10 may sense the level of the washing liquid in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open the second sluice gate g2 when the water level is below the set water level.

따라서 제2 수문(g2)이 개방되면,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 사이가 개방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sluice gate g2 is opene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the sealing tank 546 is opened.

S36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이송부(51)를 제어하여 도금 대상물을 제1 세척조(535)에서 실링조(546)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컨트롤러(10)는 도금 대상물이 실링조(546) 내에 위치하면 제2 수문(g2)을 승강시켜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Step S36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transfer unit 51 to move the plating object from the first washing tank 535 to the sealing tank 546 . Here, the controller 10 may block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535 and the sealing tank 546 by elevating the second sluice gate g2 when the object to be plated is located in the sealing tank 546 .

도 9는 S4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40.

도 9를 참조하면, S40 단계는 실링조(546) 내애서 도금 대상물들의 위치를 감지하는 S41 단계와, 제2 수문(g2)을 승강시켜 실링조(546)를 폐쇄하는 S42 단계와, 실링액을 실링조(546)에 충전하는 S43 단계와, 설정시간을 카운팅하는 S44 단계와, 실링액을 배출하는 S45 단계와, 제3 수문(g3)을 개방하는 S46 단계와, 도금 대상물을 제2 세척조(555)로 이동시키는 S47 단계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9 , step S40 includes a step S41 of detecting the positions of the plating objects in the sealing tank 546 , a step S42 of elevating the second sluice gate g2 to close the sealing tank 546 , and a sealing solution Step S43 of filling the sealing tank 546, step S44 of counting the set time, step S45 of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step S46 of opening the third sluice gate g3, and step S47 of moving to (555).

S41 단계와 S42 단계는 앞서 설명한 S35단계와 S36 단계와 동일하다.Steps S41 and S42 are the same as steps S35 and S36 described above.

S43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실링조(546)에 실링액을 충진하도록 실링 토출 수단(542)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실링액은 실링조(546)의 하측에 형성된 실링 저장조(543)에서 저장되며, 제3 펌프(P3)의 구동에 의해 실링조(546)로 공급된다. Step S43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sealing discharging means 542 to fill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 Here, the sealing liquid is stored in the sealing reservoir 543 formed below the sealing tank 546 , and is supplied to the sealing tank 546 by driving the third pump P3 .

S44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실링 공정으로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는 실링조(546) 내의 실링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되면,실링 토출 수단(542)을 정지한 뒤에 시간을 카운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유무를 감지한다. Step S44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counts the time set for the sealing process. The controller 10 measures the level of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and, when the set level is reached, stops the sealing discharging means 542 and counts the time to detect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S45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실링액을 충전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3배출 수단을 온하여 실링조(546) 내의 실링액을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실링액은 실링 저장조(543)로 배출된다.Step S45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546 by turning on the third discharging means 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controller 10 fills the sealing liquid. Here, the seal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

이때, 실링액 감지부(31)는 실링 저장조(543)로 배수된 실링액의 불순물 농도 및 PH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0) 및/또는 실링액 보충부(32)에 그 결과를 출력한다. At this time, the sealing liquid detecting unit 31 measures the impurity concentration and PH of the sealing liquid drained into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and outputs the results to the controller 10 and/or the sealing liquid replenishing unit 32 .

그리고 실링액 보충부(32)는 컨트롤러(10)의 제어 또는 실링액 감지부(31)의 실링액의 PH 감지 결과에 따라 PH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보충제를 실링 배수제에 투입한다. In addition, the sealing liquid replenishment unit 32 injects the supplement into the sealing drainage agent to adjust the PH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or the result of the sensing of the PH of the sealing liquid by the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

또는, 컨트롤러(10)는 실링액의 불순물 농도가 설정 기준 이상일 경우에 제3 배출 수단(544)을 개방하여 실링액을 외부 정화조로 배출시킨 후 신규 실링액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Alternatively, when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sealing liqui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tandard, the controller 10 opens the third discharge means 544 to discharge the sealing liquid to the external septic tank and then controls to supply the new sealing liquid.

S46 단계는 컨트롤러(10)가 실링조(546) 내의 실링애기 설정된 수위 이하가 감지되면, 제3 수문(g3)을 개방시키는 단계이다. 제3 수문(g3)은 컨트롤러(10)의 제어에 따라 하강한다. 따라서 실링조(546)와 제2 세척조(555) 사이가 개방된다. Step S46 is a step of opening the third sluice gate g3 when the controller 10 detects that the sealing tank 546 is below the set water level. The third sluice gate g3 descend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 Accordingly, between the sealing tank 546 and the second washing tank 555 is opened.

S47 단계는 컨트롤러(10)가 도금 대상물을 실링조(546)에서 제2 세척조(555)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송부(51)는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도금 대상물을 제2 세척조(555)로 이동시킨다. Step S47 is a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10 moves the plating object from the sealing tank 546 to the second washing tank 555 . The transfer unit 51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o move the plating object to the second washing tank 555 .

이후 컨트롤러(10)는 S50 단계를 진행하여 도금 대상물을 제2세척하고, 제4 수문(g4)을 개방하여 도금 대상물을 건조실로 이동시킨 후 S60 단계를 진행하여 건조된 도금 대상물을 배출부(60)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After that,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S50 to wash the object to be plated second, opens the fourth sluice gate g4 to move the object to the drying room, and then proceeds to step S60 to discharge the dried object to be plated to the discharge unit 60 ) to control the discharge through

상술한 공정에서 이송부(51)는 전해조(527), 제1 세척조(535), 실링조(546), 제2 세척조(555), 건조실 등 아노다이징 처리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 방향 전환이나 승하강과 같은 일련의 동작없이 오직 수평 방향으로 도금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금 대상물의 이동 과정에서 위치나 방향의 전환에 필요한 장치들의 추가가 필요 없고, 도금 대상물의 이동 거리가 단축될 수 있어 공정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ransfer unit 51 performs an anodizing process such as an electrolytic bath 527, a first washing bath 535, a sealing bath 546, a second washing bath 555, and a drying chamber, such as a direction change or a series of elevating and lowering. It was possible to move the plating object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ny move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add devices necessary for changing the position or direc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object to be plated,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object to be plated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and not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컨트롤러 20 : 전해부재
21 : 전해액 감지부 22 : 전해액 보충부
30 : 실링부재 31 : 실링액 감지부
32 : 실링액 보충부 40 : 투입부
50 : 구동부재
51, 51a, 51b, 51c, 51d, 51e : 이송부
52 : 전해부 53 : 제1 세척부
54 : 실링부 55 : 제2 세척부
56 : 건조부 60 : 배출부
511 : 회전롤러 512 : 이송벨트
521, 531, 541, 551 : 바닥면
522 : 제1 배출 수단 523 : 전해 배수조
524a, 524b : 필터 525 : 전해 보충조
526 : 공급 배관 527 : 전해조
532 : 제1 세척 토출 수단 533 : 제1 세척 배수조
534, 545, 554 : 배출 배관 535 : 제1 세척조
542 : 제2 배출 수단 543 : 실링 저장조
544 : 제3 배출 수단 546 : 실링조
552 : 제2 세척 토출 수단 553 : 제2 세척 배수조
555 : 제2 세척조 571, 572, 573, 574 : 댐
P1, P2, P3, P4 : 펌프 g1, g2, g3, g4 : 수문
10: controller 20: electrolytic member
21: electrolyte detection unit 22: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30: sealing member 31: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2: sealing liquid replenishment part 40: input part
50: driving member
51, 51a, 51b, 51c, 51d, 51e: transfer part
52: electrolysis unit 53: first washing unit
54: sealing part 55: second washing part
56: drying unit 60: discharge unit
511: rotary roller 512: transfer belt
521, 531, 541, 551: bottom surface
522: first discharge means 523: electrolytic sump tank
524a, 524b filter 525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6: supply pipe 527: electrolytic cell
532: first washing discharge means 533: first washing drain tank
534, 545, 554: discharge pipe 535: first washing tank
542: second discharge means 543: sealing storage tank
544: third discharge means 546: sealing jaw
552: second washing discharge means 553: second washing drain tank
555: second washing tank 571, 572, 573, 574: dam
P1, P2, P3, P4: pump g1, g2, g3, g4: sluice gate

Claims (6)

도금 대상물의 탈지 및 피막 공정을 수행하도록 전해액이 충전된 전해조(527)를 구비한 전해부(52);
전해부(52)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조(535)를 구비한 제1 세척부(53);
제1 세척부(53)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을 실링하는 실링액이 수용된 실링조(546)를 구비한 실링부(54);
실링부(54)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이 2차 세척되는 제2 세척조(555)를 구비한 제2 세척부(55);
제2 세척부(55)에서 이동된 도금 대상물이 건조되는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부(56); 및
전해부(52) 부터 건조부(56)까지 복수의 도금 대상물이 거치된 각각의 행거(C)들을 직선 방향으로 순차 이동 시키는 이송부(51);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 실링조(546), 제2 세척조(555), 건조실은 일방향으로 순차 연장 형성 및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각 구획 공간들은 상하로 승하강되어 인접 공간들과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수문;
전해조(527)에 수용된 전해액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해 감지부(21);
전해액 감지 결과에 따른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전해액을 보충하는 전해액 보충부(22);
실링조(546) 내에 수용된 실링액의 이온 농도와 PH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실링액 감지부(31); 및
실링액 감지부(31)의 감지 결과 또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신규 실링액과 수산화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실링조로 공급하는 실링액 보충부(32); 를 포함하고,
이송부는(51)는
전해부(52)에 연장되어 행거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51a);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행거를 전달받아 제1 세척부(53)의 구간을 이동시키도록 제1 세척부(53)를 따라 연장 설치되는 제2 이송부(51b);
제2 이송부(51b)에서 이송된 행거(C)를 전달받아 실링부(54)의 구간 내에 이송시키도록 실링부(54)를 따라 설치된 제3 이송부(51c);
제3 이송부(51c)에 의해 이송된 행거(C)를 전달받아 제2 세척부(55)의 구간 내에 이송시키도록 제2 세척부(55)를 따라 연장 설치된 제4 이송부(51d); 및
제4 이송부(51d)에 의해 이송된 행거(C)를 전달받아 건조부(56)의 구간 내에서 이송시키도록 건조부(56)를 따라 연장 설치된 제5 이송부(51e);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5 이송부(51a~51e)는 각각 복수의 회전롤러(511)와, 행거(C)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고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돌기가 구비되어 복수의 회전롤러(51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512)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5 이송부(51a~51e)는 시작단 및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인접한 다른 이송부의 시작단과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다른 구간에서 이송되는 행거(C)를 전달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전해부(52)는
컨트롤러(10)에 의해 전해조(527)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 또는 배관을 개방시켜 전해조(527)의 전해액을 배출하는 제1 배출 수단(522);
전해조(527)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1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된 전해액을 수용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한 전해 배수조(523);
회전날개로 이루어진 교반장치가 설치되어 전해 배수조(523)를 통해 유입된 전해액과, 전해액 보충부(22)에서 보충된 보충재가 교반되는 전해 보충조(525); 및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전해 보충조(525)에 저장된 전해액을 전해조(527)로 재공급 하는 제1 펌프(P1); 를 포함하고,
전해 배수조(523)의 필터는
전해조 바닥면의 하측에 근접한 위치로서 전해 배수조(523)의 양측 벽면에 설치된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1필터(524a); 및
전해 보충조(525)와 전해 배수조(523)사이를 구획하는 벽면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제2필터(524b);를 포함하고,
제1 세척부(53)는
제1 세척조(535)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행거에 거치된 도금 대상물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제1 세척 토출 수단(532); 및
제1 세척조(535)의 하측에서 배출된 세척액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전해부(52)의 전해 배수조(523)와 벽면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제1 배출 배관(534)과, 제1 배출 배관(534)을 통해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펌프(P2)를 포함하는 제1 세척 배수조(533); 를 포함하고,
제1 세척조(535)는 제1수문과 제2수문 및 직립된 벽면과, 세척액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복수가 형성되는 망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는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행거(C)에 거치된 복수의 도금 대상물을 수용하고,
실링부(54)는
실링조(546)의 바닥면에서 관통된 관통구 또는 연결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로서 실링조 내의 실링액을 배출시키는 제2 배출 수단(542);
제2 배출 수단(542)에 의해 배출된 실링액을 저장하고, 실링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통공을 갖는 망 형태로 구성되어 천정면으로 고정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실링 저장조(543);
컨트롤러(10)의 제어에 의해 실링 저장조(543)에 저장된 실링액을 실링조(546)로 재공급 하는 제3 펌프(P3); 및
제3 펌프(P3)에 의해 공급되는 실링액을 실링조(546)에 토출하는 실링 토출 수단(542); 을 포함하고,
제2 세척부(55)는
제2 세척조(555)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제2 세척조(555)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제2 세척 토출 수단(552);
제2 세척조(555)로부터 배출된 세척액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세척 배수조(553);
제2 세척 배수조(553)에서 외부의 정화조 내지 폐기물 저장 탱크로 세척액을 배출시키도록 연장되는 제2 배출 배관(554); 및
제2 배출 배관(554)을 통해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4 펌프(P4); 를 포함하고,
제2 세척조(555)는 상면이 개방되고 제3수문과 제4 수문 및 직립된 벽면과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거나 세척액이 즉시 아래의 제2 세척 배수조(553)로 낙하될 수 있도록 망형태로 이루어진 바닥면으로 구획되어 실링 공정 이후에 도금 대상물을 2차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
an electrolytic unit 52 having an electrolytic cell 527 fill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to perform degreasing and coating processes on the object to be plated;
a first washing unit 53 having a first washing tank 535 for first washing the plating object moved from the electrolytic unit 52;
a sealing unit 54 having a sealing tank 546 in which a sealing liquid for sealing the object to be plated moved in the first washing unit 53 is accommodated;
a second washing unit 55 having a second washing tank 555 in which the plating object moved from the sealing unit 54 is secondarily washed;
a drying unit 56 having a drying chamber in which the plating object moved in the second washing unit 55 is dried; and
a transfer unit 51 for sequentially moving each of the hangers C on which a plurality of plating objects are mounted from the electrolysis unit 52 to the drying unit 56 in a straight direction;
The electrolytic cell 527, the first washing tank 535, the sealing tank 546, the second washing tank 555, and the drying chamber are sequentially extended in one direction and formed as a partitioned space, and each partitioned space is raised and lower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 sluice gate that divides the space by opening or closing passages with the spaces;
Electrolytic sensing unit 21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the electrolyte accommod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527;
an electrolyte replenishing unit 22 for replenishing the electroly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electrolyte;
a sealing liquid sensing unit 31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ion concentration and PH of the seal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sealing tank 546; and
a sealing solution replenishing unit 32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a new sealing solution and sodium hydroxide to the sealing tank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aling solution detecting unit 31 o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cluding,
The transfer unit 51 is
a first transfer unit 51a extending to the electrolysis unit 52 to transfer the hanger;
a second transfer unit 51b extended along the first washing unit 53 to receive the hanger transferred by the first transfer unit and move the section of the first washing unit 53;
a third transfer unit 51c installed along the sealing unit 54 to receive the hanger C transferred from the second transfer unit 51b and transfer it within the section of the sealing unit 54;
a fourth transfer unit 51d extended along the second washing unit 55 to receive the hanger C transferred by the third transfer unit 51c and transfer it within the section of the second washing unit 55; and
A fifth transfer unit (51e) extended along the drying unit (56) to receive the hanger (C) transferred by the fourth transfer unit (51d) and transfer it within the section of the drying unit (56);
Each of the first to fifth transfer units 51a to 51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that protrude upward to support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511 and the hanger C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t interval. Containing a conveying belt 512 rotated by a rotating roller 511,
The first to fifth transfer units (51a to 51e)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start end and the end overlaps at least one of the start end and end of the other transfer unit adjacent to receiving the hanger (C) transferred in another section; characterized by,
Electrolyzer 52 is
a first discharging means 522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t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by opening a through hole or pip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by the controller 10;
an electrolytic drain tank 52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ctrolytic cell 527 to receive the electrolyte discharged by the first discharging means, and having one or more filter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in which a stirring device made of rotary blades is installed and the electrolyte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and the replenishment material supplemented in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unit 22 are stirred; and
a first pump (P1) for re-supplying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to the electrolytic cell (52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cluding,
The filter of the electrolytic sump 523 is
A first filter (524a) that is fastened in a sliding manner to the rail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electrolysis tank 523 as a position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fixed to be detachable; and
a second filter (524b) install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wall surface dividing the electrolytic replenishment tank (525) and the electrolytic drain tank (523);
The first washing unit 53 is
a first washing and discharging means 532 fixed to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first washing tub 535 and spraying the washing solution onto the plating object mounted on the hanger;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shing tank 535, the first discharge pipe 534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partitioned with the electrolysis drain tank 523 and the wall surface interposed therebetween; a first washing drain tank 533 including a second pump P2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534; including,
The first washing tank 535 ha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luice gates, an upright wall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composed of a mesh-shaped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are formed and mounted on a hanger (C). to accommodate the plating object of
The sealing part 54 is
a second discharging means 542 for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in the sealing tank as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through-hole or connection pipe penet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tank 546;
A sealing storage tank 543 that stores the sealing liquid discharged by the second discharging means 542 and includes a filter tha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esh having a through hole and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so as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aling liquid. ;
a third pump (P3) for re-supplying the sealing liquid stored in the sealing storage tank 543 to the sealing tank 54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Sealing discharge means 542 for discharging the sealing liquid supplied by the third pump (P3) to the sealing tank (546); including,
The second washing unit 55 is
a second washing discharging means 552 installed on the bottom or wall surface of the second washing tub 555 to supply a washing solution to the second washing tub 555;
a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forming a space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wash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555;
a second discharge pipe 554 extending from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to an external septic tank or a waste storage tank; and
a fourth pump (P4)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554); including,
The second washing tank 555 has a mesh shape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third and fourth sluice gates, upright wall surfaces and multiple outlets are formed, or the washing liquid can immediately fall to the second washing drain tank 553 below. forming a space for secondary washing of the plating object after the sealing process by partitioning the bottom surface;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the plating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해조(527)와 제1 세척조(535)와 실링조(546)와 제2 세척조(555) 및 건조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닥면에서 설정된 높이를 갖고, 수문을 따라 연장되어 전해액과 세척액 및 실링액 중 어느 하나의 범람을 방지하는 댐; 을 더 포함하는 도금 대상물의 직선 이동이 가능한 아노다이징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lytic bath (527), the first washing bath (535), the sealing bath (546), the second washing bath (555) and the drying chamber
a dam having a set height from the floor and extending along the sluice gate to prevent overflow of any one of an electrolyte solution, a washing solution, and a sealing solutio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the plating object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70616A 2022-06-10 2022-06-10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KR102427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16A KR102427664B1 (en) 2022-06-10 2022-06-10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16A KR102427664B1 (en) 2022-06-10 2022-06-10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664B1 true KR102427664B1 (en) 2022-07-29

Family

ID=8260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616A KR102427664B1 (en) 2022-06-10 2022-06-10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66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38B1 (en) * 1997-10-30 2002-06-27 가즈오 오바 Automatic Plating Method and Device
KR101040101B1 (en) 2010-11-22 2011-06-09 주식회사 삼원알텍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and method thereof
KR102012618B1 (en) * 2019-01-14 2019-10-21 주식회사 삼원알텍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KR20200145920A (en) * 2019-06-20 2020-12-3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lating device for electroless Ni-P-PTFE and pla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038B1 (en) * 1997-10-30 2002-06-27 가즈오 오바 Automatic Plating Method and Device
KR101040101B1 (en) 2010-11-22 2011-06-09 주식회사 삼원알텍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and method thereof
KR102012618B1 (en) * 2019-01-14 2019-10-21 주식회사 삼원알텍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KR20200145920A (en) * 2019-06-20 2020-12-3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lating device for electroless Ni-P-PTFE and plat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906B2 (en) Continuous electrolytic copper plating method
US7309408B2 (e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nd metals recovery apparatus
KR101169960B1 (en) Anodizing treatment apparatus of metal
KR101040101B1 (en)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and method thereof
KR102012618B1 (en)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WO2000014308A1 (en) Substrate plating device
CN112663119B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ductive roller from being plated with copper
KR101541295B1 (en)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KR1007408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regul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 an electrolyte and use thereof
KR100733838B1 (en) Recovering method for gold derived from non-cyanide based waste aqueous solu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427664B1 (en) Anodizing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linear movement of plated object
KR101188479B1 (en) Recovery apparatus of precious metal for electrolysis
KR101704615B1 (en) Plating Equipment
KR1008746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d jewerly recovering
KR101637379B1 (en) System for Automation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CN102108531B (en) Impurity removing method for nickel electroplating solution and impurity removing equipment thereof
EP1038838A2 (en) Device for producing ion water and partition wall for device for producing ion water
KR910008243B1 (en) Electro-chemical machine
CN100335200C (en) Proces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a strand casting mould
US63503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the concentration of substances in electrolytes
CN215440744U (en) Device for preventing bubble from being left over for electroplating production of electronic component
CN217868232U (en) Full-automatic electrochemical treatment equipment
KR101114887B1 (en) Metalic impurity eleminating apparatus for anodizing treatment of metal
CN209798130U (en) Diaphragm type electrolytic cell with cleaning structure
JP3882574B2 (en)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