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75B1 - 가구용 환풍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환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275B1
KR102427275B1 KR1020210134831A KR20210134831A KR102427275B1 KR 102427275 B1 KR102427275 B1 KR 102427275B1 KR 1020210134831 A KR1020210134831 A KR 1020210134831A KR 20210134831 A KR20210134831 A KR 20210134831A KR 102427275 B1 KR102427275 B1 KR 10242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furniture
space
exhaust por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오세헌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21013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의 수납공간의 개방시에 선택된 가동시간동안 수납공간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도록 되어 조용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도록;
도어를 통해 개구가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가구본체에 시설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환경을 구현하도록 된 가구용 환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부착시설되며 상기 수납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유입구와, 상기 가구본체의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배기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풍공간을 구비하는 환풍본체와; 상기 환풍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환풍모터와; 상기 환풍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환풍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상기 환풍공간에 대한 공기의 상기 배기구로의 강제적 배기압을 형성하도록 된 환풍임펠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구용 환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환풍장치{A ventilation system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장착되어 가구의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환경를 구현하여 수납공간에 잔존하는 수분 등과 같이 수납물에 유해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증대하도록 된 가구용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구의 수납공간의 개방시에 선택된 가동시간동안 수납공간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도록 되어 조용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가구용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수납공간의 개방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되어, 수납물의 수납환경을 증대하도록 된 가구용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통상적으로 실내외에서 옷, 이불 등을 정리/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된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구는, 평상시에 내부의 수납공간이 상기 도어에 의해 밀폐되면서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에 잔존하는 각종 습기 및 악취물질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대하여 악취 및 좀이 슬거나 습기가 많이 차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환기환경을 구현해야 한다.
한편, 종래에는 가구의 벽면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환기구를 설치하여 수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를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20-0000682호(명칭: 가구용 환기구/2020.02.2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에 형성된 장착공에 결합되어 상기 가구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가구용 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환기구는 동일한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하부 고정부재와 상부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하부 고정부재는 내부에 간격을 두고 상부 구획벽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하부에 하부 결합공이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결합부의 양측에는 상부 끝단에서 하부 수직방향을 절개홈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하부 단턱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재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상부 구획벽과 대응하는 내부에 하부 구획벽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상기 하부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부 끝단에는 상부 단턱부가 형성되는 가구용 환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9-0004102호(명칭: 가구용 환기구/2019.10.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의 측면 또는 후면 또는 측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가구 장착공에 장착되어 가구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는 가구용 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 장착공에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숯 또는 정화부재 또는 숯과 정화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캡; 및 상기 고정 캡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동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캡은 전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숯 또는 정화부재 또는 숯과 정화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복수개의 정화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벽의 전방에는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케이스 배출홈이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지름보다 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 둘레에는 상기 가구 장착공에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경사 또는 곡면지게 외면부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배출홈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 케이스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외부케이스의 전면 끝단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캡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름은 가이드의 공기 배출공의 중심보다 작게 형성되는 전면 가이드; 및 상기 전면 가이드의 배면에 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 캡을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전방에 끼움결합되는 끼움 결합홈이 형성되는 후방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캡을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의 사이로 내면와 외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밀착부재의 사이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는 여과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구용 환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469호(명칭: 가구용 환기캡/2008.10.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구에 장착되는 환기캡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의 측면이나 후면에 가구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환기캡을 장착하되, 상기 환기캡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숯이나 옥이 삽입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착공간의 남은 공간에 경사지게 장착되면서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돌출형성되고 가구의 결합공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구용 환기캡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14131호(명칭: 가구용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2017.01.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가구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환기되도록 하기 위한 가구용 환기장치로써,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고, 후면에 다수의 외부통풍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로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차단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내부통풍공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가구용 환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20-0000682호(2020.02.27.)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9-0004102호(2019.10.1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469호(2008.10.0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14131호(2017.01.3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환기구들은, 단순히 가구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내외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져, 환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납물에 대한 보관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에 장착되어 가구의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환경를 구현하여 수납공간에 잔존하는 수분 등과 같이 수납물에 유해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증대하도록 된 것으로, 가구의 수납공간의 개방시에 선택된 가동시간동안 수납공간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도록 되어 조용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가구용 환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의 개방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되어, 수납물의 수납환경을 증대하도록 된 가구용 환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는, 도어를 통해 개구가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가구본체에 시설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환경을 구현하도록 된 가구용 환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에 형성된 설치공에 부착시설되며 상기 수납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유입구와, 상기 가구본체의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배기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기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풍공간을 구비하는 환풍본체와; 상기 환풍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환풍모터와; 상기 환풍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환풍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상기 환풍공간에 대한 공기의 상기 배기구로의 강제적 배기압을 형성하도록 된 환풍임펠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는, 가구본체에 장착되는 환풍본체의 환풍공간에 배치된 환풍임펠러의 회전운동을 통해 형성되는 강제적인 배기압에 따라,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환경를 구현하여 수납공간에 잔존하는 악취/수분/미생물 등과 같이 수납물에 유해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환풍모터의 구동환경에 대한 제어수단의 선택적 제어에 따라, 수납공간의 개방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풍모터의 가동시간동안 수납공간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도록 되어, 평상시에는 조용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납공간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의 휴식 및 수면시에는, 환풍모터의 구동부하(예를 들면 소음 등)가 발생되지 않아 청정한 실내환경을 구현하고, 선택된 환풍모터의 구동시간동안만 수납공간에 대한 환풍을 구현하도록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쾌적한 사용환경을 부여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배면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를 구성하는 전면판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내부의 수납공간(A)이 구비된 가구본체(100)와, 상기 가구본체(100)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된 도어가 구비된 가구에 시설되어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환풍환경을 조성하여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악취/수분/미생물 등과 같이 수납물에 유해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증대하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가구본체(100)에 형성된 설치공(101)에 부착시설되어 상기 수납공간(A)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환기를 유도하도록 됨에 따라, 수납공간(A)에 수납된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가구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101)에 부착시설되며 상기 수납공간(A)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유입구(22)와, 상기 가구본체(100)의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배기구(23)와,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배기구(23)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풍공간을 구비하는 환풍본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환풍본체(2)의 상기 유입구(22)로 상기 수납공간(A)의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환풍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배기구(2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환기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환풍본체(2)는, 상기 설치공(101)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끼움결속되는 맞춤형상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배기구(23) 및 상기 환풍공간을 가지는 환풍하우징(21)을 가지며; 상기 환풍하우징(21)에서 상기 유입구(22)는, 전면의 전면판(211)의 후단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환풍하우징(21)에서 상기 배기구(23)는, 상기 환풍공간에서 외부로 직선적으로 개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공간(A)에 노출된 상기 유입구(22)가 상기 전면판(211)의 외측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환풍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환풍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배기구(23)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면서 배기되는 공기의 배기경로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판(211)의 전면에 수납물이 위치하더라도, 상기 수납공간(A)의 공기의 배출위치가 상기 수납물에 영향을 받지 않아 더욱 안정적인 배기환경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환풍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5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51)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환풍모터(3)와; 상기 환풍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환풍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상기 환풍공간에 대한 공기의 상기 배기구(23)로의 강제적 배기압을 형성하도록 된 환풍임펠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수단(51)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른 연산제어에 따라, 상기 환풍모터(3)가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환풍임펠러(31)가 회전하면서 상기 환풍공간에 공기의 강제적이 배기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공기의 강제적인 배기환경를 구현하여 상기 수납공간(A)에 잔존하는 악취/수분/미생물 등과 같이 수납물에 유해한 물질을 외부로 강제적인 배출을 하여 수납물의 보관품질을 증대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5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환경을 조절하도록 되어, 제어수단(51)의 선택적 제어에 따라, 설정된 구동시간동안 구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1)에 대한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환경은, 상기 수납공간(A)의 개방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환풍모터(3)의 가동시간동안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조용한 실내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납공간(A)에 대한 환기를 수행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휴식 및 수면시에는,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부하(예를 들면 소음 등)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청정한 실내환경을 구현하고, 선택된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시간동안만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환풍을 구현하도록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쾌적한 사용환경을 부여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제어수단(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납공간(A)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된 조도감지센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도감지센서(61)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조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51)으로 전달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에서, 상기 제어수단(51)은, 상기 조도감지센서(61)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조도데이터를 설정된 연산데이터를 통해 연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환풍모터(3)로의 전원을 공급을 제어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도값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조도데이터가 상기 제어수단(51)으로 전달되면, 상기 환풍모터(3)를 설정된 구동시간동안 구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A)이 외부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의 미구동조도값에서는,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A)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의 구동조도값에서는, 상기 환풍모터(3)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상기 환풍모터(3)를 설정된 구동시간동안 구동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도감지센서(61)는, 상기 전면판(21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환풍본체(2)는, 일부위에 상기 전면판(211) 및 상기 환풍하우징(21)이 연결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공급부(52) 및 상기 제어수단(51)이 설치되는 시설함체(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시설함체(4)와 상기 전면판(211) 및 상기 환풍하우징(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환풍하우징(21)과 상기 설치공(101)의 끼움결속을 통해, 상기 환풍본체(2)의 설치구조가 구현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전면판(21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1)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발광시간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된 LED발광부재(6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발광시간동안 상기 LED발광부재(62)가 발광하여 상기 수납공간(A)에 조명환경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수납공간(A)에 대한 수납물의 수납동작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LED발광부재(62)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사물함, 신발장 등의 가구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구의 도어를 통해 수납공간(A)을 개방할 시, 조도감지센서(61)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LED발광부재(62) 및 환풍모터(3)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공간(A) 내부 및 외부의 공기를 순환하도록 공기의 배기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작동시간동안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에서 상기 전면판(211)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공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공을 통해 실내 공기가 상기 환풍공간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가구용 환풍장치(1)는, 상기 가구본체(100)에 장착되는 상기 환풍본체(2)의 상기 환풍공간에 배치된 상기 환풍임펠러(31)의 회전운동을 통해 형성되는 강제적인 배기압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가구용 환풍장치
100 : 가구본체 101 : 설치공
2 : 환풍본체 21 : 환풍하우징
211 : 전면판 22 : 유입구
23 : 배기구 3 : 환풍모터
31 : 환풍임펠러 4 : 시설함체
51 : 제어수단 52 : 전원공급부
61 : 조도감지센서 62 : LED발광부재
A : 수납공간

Claims (1)

  1. 도어를 통해 개구가 개폐되는 수납공간(A)이 형성된 가구본체(100)에 형성된 설치공(101)에 부착시설되며 상기 수납공간(A)과 공간적으로 연결된 유입구(22)와, 상기 가구본체(100)의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된 배기구(23)와,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배기구(23)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풍공간을 구비하는 환풍본체(2)와; 상기 환풍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5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51)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환풍모터(3)와; 상기 환풍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환풍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여 상기 환풍공간에 대한 공기의 상기 배기구(23)로의 강제적 배기압을 형성하도록 된 환풍임펠러(31)와; 상기 제어수단(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납공간(A)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된 조도감지센서(61);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51)에서 상기 조도감지센서(61)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조도데이터를 설정된 연산데이터를 통해 연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환풍모터(3)로의 전원을 공급을 제어하도록 되는 가구용 환풍장치(1)에 있어서;
    상기 환풍본체(2)는,
    상기 설치공(101)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끼움결속되는 맞춤형상을 가지고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배기구(23) 및 상기 환풍공간을 가지는 환풍하우징(21)과, 상기 유입구(22)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211)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1)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발광시간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된 LED발광부재(62)와, 일부위에 상기 전면판(211) 및 상기 환풍하우징(21)이 연결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공급부(52) 및 상기 제어수단(51)이 설치되는 시설함체(4)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22)는,
    상기 전면판(211)의 후단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23)는,
    상기 환풍공간에서 외부로 직선적으로 개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환풍장치.
KR1020210134831A 2021-10-12 2021-10-12 가구용 환풍장치 KR102427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31A KR102427275B1 (ko) 2021-10-12 2021-10-12 가구용 환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31A KR102427275B1 (ko) 2021-10-12 2021-10-12 가구용 환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75B1 true KR102427275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831A KR102427275B1 (ko) 2021-10-12 2021-10-12 가구용 환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2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074A (ko) * 1994-12-05 1996-07-20 정몽원 자동환풍시스템
KR20130021189A (ko) * 2011-08-22 2013-03-05 김향미 붙박이장 환기구조
KR20130037885A (ko) * 2011-10-07 2013-04-17 유은정 수납장의 습기 방지장치
KR20130117417A (ko) * 2012-04-17 2013-10-28 강성실 조명이 구비된 환기구
KR20170014131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유량센서의 센서엘리먼트
KR20170038953A (ko) * 2015-09-30 2017-04-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가구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KR20200000682U (ko) 2018-09-21 2020-03-31 조병수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074A (ko) * 1994-12-05 1996-07-20 정몽원 자동환풍시스템
KR20130021189A (ko) * 2011-08-22 2013-03-05 김향미 붙박이장 환기구조
KR20130037885A (ko) * 2011-10-07 2013-04-17 유은정 수납장의 습기 방지장치
KR20130117417A (ko) * 2012-04-17 2013-10-28 강성실 조명이 구비된 환기구
KR20170014131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기유량센서의 센서엘리먼트
KR20170038953A (ko) * 2015-09-30 2017-04-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가구 탈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KR20200000682U (ko) 2018-09-21 2020-03-31 조병수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2984B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an provided on the door
KR20160028292A (ko) 에어 워셔
US6701538B2 (en) Ventilating and deodorizing toilet and toilet bowl ventilating and deodorizing apparatus
CA2664883A1 (en) Laundry machine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102427275B1 (ko) 가구용 환풍장치
KR200431490Y1 (ko) 살균 및 건조기능이 구비된 신발장
TWI761924B (zh) 光觸媒裝置
KR20230034227A (ko) 펫 드라이룸
US20110194981A1 (en) Ozone device for deodorizing dresses
KR101183234B1 (ko) 드레스 룸
JP4297007B2 (ja) 脱臭装置を組込んだ脱臭収納庫
JP3757833B2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き下駄箱
KR102551565B1 (ko) 다기능성 신발장 시스템
JP6502168B2 (ja) 衣類処理装置
JP6581804B2 (ja) 衣類処理装置
JP7058414B2 (ja) サーキューレーター装置及び部屋の消臭方法
KR200337053Y1 (ko) 자외선 살균기 및 히터와 팬 기능이 내장된 옷장 및이불장(장농)
EP3903656B1 (en) Toilet seat ventilation system
CN221059981U (zh) 一种可除湿杀菌的多功能衣柜
CN220624317U (zh) 箱柜空气净化器
KR102649374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CN209898682U (zh) 一种鞋柜
KR101336907B1 (ko) 청정공기 순환식 물품 수납 가구
KR200400583Y1 (ko) 환기장치가 설치된 장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