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026B1 -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026B1
KR102427026B1 KR1020200152617A KR20200152617A KR102427026B1 KR 102427026 B1 KR102427026 B1 KR 102427026B1 KR 1020200152617 A KR1020200152617 A KR 1020200152617A KR 20200152617 A KR20200152617 A KR 20200152617A KR 102427026 B1 KR102427026 B1 KR 10242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forest fire
are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6508A (ko
Inventor
남상혁
김성곤
심목정
신세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15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Abstract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가 개시된다.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은, (a)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재난 유형 항목과 재난 유형에 관련된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재난 유형에 관련된 페이지는 재난 유형 항목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복수의 분할된 화면 영역을 포함함; (b) 상기 재난 유형 항목에 따라 관련 기본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c) 과거 재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재난 발생 위험이 전망되는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분석한 재난 상황 분석 결과 또는 기본 데이터를 지도, 도표, 차트 및 데이터 그리드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visua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 전체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되며,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되는데 각 재난별로 대응하는 방법이 다르다. 예전부터 이러한 재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기후변화와 함께 최근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폭염, 한파, 산불 등과 같은 재난에 대해서는 연구와 효율적인 대응 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사회적으로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엄청난 양의 정보들을 사람이 접하며 그 정보들의 정확한 의미와 분석 결과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정보들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재난과 관련된 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시화 정보를 통해 재난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을 객관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재난대응을 위한 정보 시각화 기술은 폭염, 한파 등과 같은 자연재난이나 산불과 같은 사회재난에 대해 지역별 현재 재난 현황과 앞으로 위험이 전망되는 지역에 대한 분석 결과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재난 위험지역의 취약계층을 우선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재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의사결정 지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에 따른 재난 현황 및 상황 전망 결과를 시각화 하여 표출하고 재난대응을 위한 의사결정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재난 유형 항목과 관련된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 여기서, 폭염, 한파, 산불 페이지를 선택하면 해당 재난항목에 관한 정보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현재 재난 관련 현황 및 해당 재난 분석을 통해 전망된 결과를 시각화 하여 분할 화면으로 보여주는 화면과; (b) 자연재난에서의 재난 관련 현황을 시각화 하는 화면은 폭염 재난을 예를 들면 전국 지역별 온도 및 현재 날짜와 함께 선택지역(지역 선택), 현재온도, 체감온도, 현재습도, 강수확률, 현재풍속, 금일특보현황, 단기예보, 중기예보 등의 정보들을 분할 화면을 통해 보여주며, 산불 재난의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산악정보 및 기상정보 등을 보여주다가 산불 발생 시 산불 현황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과; (c) 과거 재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재난발생 위험이 전망되는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 및 전망 결과를 지도에 그리드 방식으로 출력하여 화면상에 재난 대응 관련 정보를 시각화 하여 보여주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은 폭염, 한파 및 산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이 폭염 또는 한파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인 시, 군, 구에서 읍, 면, 동까지 선택하면 해당지역의 현재온도, 현재습도, 강수확률, 현재풍속 및 그 지역의 체감온도 현황을 보여준다. 체감 온도의 경우에는 그 지역의 노인, 어린이, 취약 계층의 체감 온도를 시각화 하여 보여줌으로써 의사결정자 논리적인 판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선택된 지역의 3일 동안 예상되는 단기 기상 예보와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최저, 최고 온도를 보여주는 중기 예보, 전국 단위의 금일특보현황 및 폭염 재난 위기 경보 등을 시각화 하여 표출한다.
폭염 또는 한파 피해 전망지역 화면은 과거의 폭염/한파 발생 일수, 폭염/한파가 다발적 또는 가장 많이 발생된 지역 등의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얻어진 재난 상황 전망 모델의 결과와 과거 온열/한랭 환자 발생 데이터와 폭염/한파 재난 위기 경보 데이터를 기초로 얻어진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폭염 또는 한파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재난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 색상으로 표현하여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산불인 경우, 평상시에는 산불 발생이 자주 발생되는 지역에 대해 읍, 면, 동을 선택하면 해당 읍, 면, 동의 산불위험등급과 지역의 현재 날씨 동향(풍향, 풍속, 습도, 온도 등)을 시각화 하여 보여주고, CCTV 영상을 통해 산불을 감지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산불 감지는 CCTV로 들어오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 CCTV로 들어오는 실시간 영상을 분석을 통해 발화 영상인지 기타 다른 유사 영상 인지를 분석하거나, 피어 오르는 연기가 산불의 연기인지 기타 다른 유사 영상 인지를 분석을 통해 감지하여 산불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의 소방 관련 자원 보유 현황을 보여주고, 산악 기상 정보와 그 지역의 산불위험지수를 표출하고 산불 취약지도와 산불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를 표출하여 차트로 시각화 한다.
산불 발생 시 산불 대응 화면에는 산불이 발생된 위치를 화면에 표현하고 산불의 풍향에 따른 영향 범위를 시각화 하여 표시한다. 산불의 범위 내 또는 범위 밖의 지역에는 위험시설물, 문화재, 주거 지역, 대피소 등의 위치와 정보를 지도 위에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를 해준다. 또한 산불이 발생된 지역의 날씨 현황 및 산악 기상 정보를 보여주며, 그 지역의 풍향, 풍속을 시각화 하여 산불 발생 시 빠른 조치 판단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a)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재난 유형 항목에 관련된 기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기초 데이터는 지역 정보, 기상 정보, 기상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b) 상기 재난 유형 항목에 따라 관련 기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c) 과거 재난 데이터 및 현재 상황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한 분석을 통해 재난 발생 위험이 전망되는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기초 데이터 및 상기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지도, 도표 및 데이터 그리드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화면상의 분할된 특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 대응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이의 화면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 상황 현황 및 전망 결과를 다양하게 시각화 하여 판단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 대응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불 재난 현황 즉 평상 시 화면과 산불 발생 시의 내용을 시각화 하여 표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 대응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 대응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10)은 각각의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로, 예를 들어, 웹 대시보드 형태를 가지는 PC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재난 현황 및 대응에 필요한 의사결정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이하에서는 재난 대응 관련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이다. 재난 대응 관련 정보는 재난에 관한 현황 및 전망 정보, 상황 정보(예를 들어, 산불 현황 및 대피소 위치, 무더위 쉼터 현황 및 상세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20)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어 재난 대응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서버(120)는 재난 종류(폭염, 한파, 산불 등), 재난 현황(날씨 현황, 산불 현황 등), 상황 전망(무더위, 한파 지역 전망)등 과 같은 재난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시각화 화면 장치(130)는 공통적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정보를 제공하며, 화면은 기상정보 및 재난 현황과 분석 및 재난 전망에 관련된 정보들이 출력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 시각화 화면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재난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단순히 텍스트로 나열되어 제공되는 것이 아닌 도표, 지도, 데이터 그리드 방식 등으로 시각화 되어 출력되므로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더욱 빠르게 재난 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인지하여 빠른 판단 및 결정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시각화 화면의 구성은 각 재난의 상황에 맞도록 표현하였다. 예를 들어 폭염 재난 화면 구성의 경우, 재난 관련 정보를 알고자 하는 해당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지도를 배치를 하여 해당 지도를 통해 읍, 면, 동 단위까지 세밀하게 선택을 하도록 하였다. 알고자 하는 지역을 최종적으로 선택을 하면 화면에는 그 지역의 현재온도, 체감온도, 현재습도, 강수확률 및 현재 풍속을 화면에 보여준다. 체감 온도 상세는 그 지역의 노인, 어린이, 취약 계층의 체감온도를 범례로 표시하여 취약계층의 실제 체감온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당 지역의 3일 치 단기 예보와 일주일 이상의 최고, 최저 온도를 보여주어 해당 지역이 앞으로 기온이 변화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전국의 금일 특보현황과 폭염 재난 위기 경보 수준을 텍스트 또는 지수화 하여 시각화를 하여 보여준다. 상기 언급된 모든 정보들은 서버(120)에서 제공받는다.
또한 과거 데이터들과 현재 상황을 기반으로 분석한 재난 전망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고 시각화 하여 분할 화면을 통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폭염 재난의 경우에는 폭염 피해 전망지역 화면에서는 과거 전국 단위의 폭염이 많이 발생된 지역의 데이터와 현재 폭염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 폭염이 발생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을 3일 단위(오늘, 내일, 모레)로 보여주도록 하고 과거 온열 환자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 온열 환자가 많이 나올 것 같은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서버(120)의 데이터와 연동하여 시각화 하여 표현한다.
이때, 시각화 화면(130)은 재난 위험 정도 수준에 따라 지역을 서로 상이하게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이 폭염 또는 한파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인 시, 군, 구에서 읍, 면, 동까지 선택하면 해당지역의 현재온도, 현재습도, 강수확률, 현재풍속 및 그 지역의 체감온도 현황을 보여준다. 체감 온도의 경우에는 그 지역의 노인, 어린이, 취약 계층의 체감 온도를 시각화 하여 보여줌으로써 판단자의 논리적인 판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선택된 지역의 3일 동안 예상되는 단기 기상 예보와 일주일 동안 예상되는 최저, 최고 온도를 보여주는 중기 예보, 전국 단위의 금일특보현황 및 폭염 재난 위기 경보 등을 시각화 하여 표출한다.
폭염 또는 한파 피해 전망지역 화면은 과거의 폭염/한파 발생 일수, 폭염/한파가 다발적 또는 가장 많이 발생된 지역 등의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얻어진 재난 상황 전망 모델의 결과와 과거 온열/한랭 환자 발생 데이터와 폭염/한파 재난 위기 경보 데이터를 기초로 얻어진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폭염 또는 한파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재난 위험 정도에 따라 단계별 색상으로 표현하여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산불 재난의 경우에는 평상시 화면에는 산불이 자주 발생되는 지역의 읍, 면, 동을 선택하면 해당 읍, 면, 동의 기상정보(풍향, 풍속, 습도, 온도)와 산불위험 등급을 화면에 표출해준다. 기상 정보는 산불 발생 시 또는 산불이 일어나게 될 경우에 알아야 할 필요 기상정보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지역의 주요 산악에 대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당 산악의 기상정보(온도, 체감온도, 산악 10m의 강수량, 습도, 풍속과 산악 2m의 강수량, 습도, 풍속)를 시각화 하여 표출한다. 이는 산불 발생 시 풍향, 풍속, 습도 등에 의해 산불이 어느 정도 확산될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산불 감지는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CCTV 영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발화로 예측되는 영상이 실제 발화인지 유사 영상인지를 구분하고, 연기와 같은 영상이 산불에 의한 연기인지 기타 유사 영상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산불이 많이 자주 발생되는 지역의 소방 자원 보유 현황을 도표로 제공하여 보여주고, 산불 위험 지수와 산출 취약 지도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산불에 취약한 지역의 현재 산불 가능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산불 발생 시 산불 대응 화면에서는 산불이 발생된 지역의 날씨 현황(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 및 해당 지역의 산악기상정보 등을 보여준다. 또한 산불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에 연동하여 화면에 표현하고, 산불이 발생된 위치에서의 풍향에 따른 산불 위험 영향 범위를 시각화 하여 표시한다. 위험 범위 내 또는 범위 밖의 지역에 있는 위험시설물, 문화재, 주거 지역, 대피소 등의 위치와 정보를 지도 위에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이는 산불이 바람에 의해 확산되는 방향으로 인적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또는 시설물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미리 확인하여 의사결정자의 빠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정보들은 서버(120)의 데이터들 기반으로 시각화 하기 때문에 재난 상황 해결을 위한 빠른 판단 및 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계 210에서 재난 유형에 관련된 기초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한다. 여기서, 재난 유형은 폭염, 한파, 산불 중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초 데이터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재난 관련 현황 데이터로, 지역 선택 정보, 기상 정보, 체감온도 정보, 단기 예보 및 중기 예보 정보, 금일 특보현황, 재난 위기 경보 수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각 재난 유형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해당 지역의 관련 정보들을 분할된 화면에 시각화 하여 표현한다. 여기서, 시각화 되는 정보들은 재난 유형에 따라 기상정보, 기상예보, 기상특보, 산악기상정보, 산불위험등급, 소방자원 정보 및 CCTV 영상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버(120)는 과거 데이터와 현재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재난 전망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시각화한 후 출력 화면의 분할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재난 유형에 상응하여 재난 전망 모델이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서버(120)는 선택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 전망 모델을 재난 유형별로 상이한 전망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폭염 재난을 예로 들면, 서버(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전망 결과에 기초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폭염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과 폭염 정도 수준을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폭염 정도 수준에 따라 폭염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폭염 예상 지역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산불을 가정하기로 한다. 서버(120)는 평상 시 산불 감지 상황으로 지역의 기상 정보 및 주요 산악의 기상 정보 등을 시각화 하여 출력한다.
하지만 산불 발생 시 산불 대응을 위해 서버(120)는 산악의 풍향과 풍속, 산불 진행이 예상되는 반경 1km, 2km, 3km 범위를 표시를 해 주고 반경 내 주요 시설물들(주거지역, 위험 시설물, 문화재 등)의 위치와 정보를 아이콘화 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시각화 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빠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각화 화면(130)은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재난 상황 판단 및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버(120)는 웹을 통해 기상 관련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가공하여 유효 데이터 설정값에 따른 정보들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가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지도, 도표, 데이터 그리드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여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련 정보를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대응에 관한 평상시 화면과 산불 발생 시 대응 화면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는 데이터 획득부(410), 데이터 분석부(415), 시각화 처리부(420), 디스플레이부(425), 메모리(430) 및 프로세서(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획득부(410)는 재난 현황 및 분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기초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데이터 획득부(410)는 웹을 통해 기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축적하도록 한다.
데이터 분석부(415)는 재난 유형에 상응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상황 전망 결과는 재난별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부(415)는 재난 유형에 따른 과거 데이터와 현재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 유형에 따라 생성된 재난 상황 전망 결과는 상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시각화 처리부(420)는 데이터 분석부(415)를 통해 분석된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도표, 지도, 데이터 그리드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시각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시각화 처리부(420)는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시각화하여 출력함에 있어, 재난 유형에 따라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상이하게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유형이 폭염인 경우, 재난 상황 전망 결과는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를 기반으로 폭염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3일간(오늘, 내일, 모레) 정보로 표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화 처리부(420)는 폭염 피해 전망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지도상에서 손상에 따른 지역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5)는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디스플레이부(425)는 예를 들어,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상황 전망 결과를 복수의 분할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4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20)의 내부 구성(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410), 데이터 분석부(415), 시각화 처리부(420), 디스플레이부(425), 메모리(4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는 산불에 상응하는 산불 현황을 시각화 하여 출력한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산불 현황과 조기 대응에 관한 내용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시각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0: 서버
410: 데이터 획득부
415: 데이터 분석부
420: 시각화 처리부
425: 디스플레이부
430: 메모리
435: 프로세서

Claims (6)

  1. (a)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재난 유형 항목과 재난 유형에 관련된 페이지를 선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재난 유형에 관련된 페이지는 재난 유형 항목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는 복수의 분할된 화면 영역을 포함함;
    (b) 상기 재난 유형 항목에 따라 관련 기본 정보 및 기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c) 과거 재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재난 발생 위험이 전망되는 지역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분석한 재난 상황 분석 결과를 지도 위에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은 폭염, 한파, 산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이 폭염인 경우, 읍, 면, 동 단위의 타겟 지역이 선택되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타겟 지역의 현재온도, 체감온도, 현재습도, 강수확률 및 현재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되,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범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상기 취약계층 대상은 노인, 어린이 및 취약거주환경임; 및 현재일 기준으로 3일간의 단기 예보 및 일주일 이상의 최저, 최고 기온에 대한 중기 예보를 그래프화하여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전국 단위의 특보 현황 및 폭염 재난위기 경보 수준을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과거 전국 단위의 폭염이 많이 발생된 지역의 데이터와 현재 폭염이 일어나는 지역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3일간의 전망 결과를 단위 시간에 따라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이 한파인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폭염 피해 전망과 동일하게 한파 경보 수준에 따라 한파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지역에 대한 전망을 색상별로 다르게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유형 항목이 산불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산불이 많이 발생되는 지역의 읍, 면, 동에 따른 타겟 지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타겟 지역의 산불위험등급, 상기 타겟 지역의 현재 기상 정보 및 상기 타겟 지역의 주요 산악 기상정보를 시각화하여 상기 분할된 화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고, CCTV로 들어오는 실시간 영상을 분석하여 산불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산불 발생시, 산불 대응 화면으로 전환되며, 산불 대응을 위해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산불 위치 및 산불 진행 방향을 1km, 2km, 3km 단위로 표현을 하고, 반경 내 주요 시설물의 위치와 정보를 레이어로 출력하되,
    상기 주요 시설물은 주거지역, 문화재, 위험 시설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6. 삭제
KR1020200152617A 2020-11-16 2020-11-16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KR10242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17A KR102427026B1 (ko) 2020-11-16 2020-11-16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617A KR102427026B1 (ko) 2020-11-16 2020-11-16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508A KR20220066508A (ko) 2022-05-24
KR102427026B1 true KR102427026B1 (ko) 2022-07-29

Family

ID=8180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617A KR102427026B1 (ko) 2020-11-16 2020-11-16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851B1 (ko) * 2022-06-30 2022-10-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난 위기 경보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623123B1 (ko) 2022-12-15 2024-01-10 대한민국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KR102655759B1 (ko) * 2023-10-13 2024-04-09 주식회사 헥코리아 실시간 기상 계측정보 기반 자연재해 예보 및 경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00B1 (ko) * 2019-09-09 2020-01-03 윤영복 산불 재해 감시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00B1 (ko) * 2019-09-09 2020-01-03 윤영복 산불 재해 감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508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026B1 (ko)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
Zhang et al. Modelling spatial patterns of wildfire occurrence in South-Eastern Australia
Lindell Improving hazard map comprehension for protective action decision making
Li et al. Using reverse geocoding to identify prominent wildfire evacuation trigger points
Sasaki et al. 5d world map system for disaster-resilience monitoring from global to local: environmental AI system for leading SDG 9 and 11
Promper et al. Multilayer-exposure maps as a basis for a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landslides: applied in Waidhofen/Ybbs, Austria
Dacre et al. Chilean wildfires: probabilistic prediction, emergency response, and public communication
KR101396160B1 (ko) 매시업 기능을 활용한 cctv 블라인드 스폿 분석 및 설치 위치 결정 방법
KR102350252B1 (ko) 맵 라이브러리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법
Isinkaralar Spatio-temporal patterns of climate parameter changes in Western Mediterranean basin of Türkiye and implications for urban planning
Roberto Barbosa et al. Forest Fire Alert System: a Geo Web GIS prioritization model considering land susceptibility and hotspots–a case study in the Carajás National Forest, Brazilian Amazon
Klockow Spatializing tornado warning lead-time: Risk perception and response in a spatio-temporal framework
KR101919993B1 (ko)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Akyürek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vegetation fires in Europe
Elvas et al. Data fusion and visualization towards city disaster management: Lisbon case study
Elhami-Khorasani et al. Review of Research on Human Behavior in Large Outdoor Fires
Zohar et al. Spatiotemporal analysis in high resolution of tweets associated with the November 2016 wildfire in Haifa (Israel)
Li et al. A model for phased evacuations for disasters with spatio-temporal randomness
Mavrakis et al.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disasters in Greece through Verhulst, multinomial and exponential models
Jolly et al. Volcanic crisis management
Kennedy Predictive rebound & technologies of engagement: science, technology, and communities in wildfire management
KR100990847B1 (ko) 태풍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Rossi et al. TXT-tool 2.039-1.1 Italian national early warning system
Ma et al. A new assessment model for evacuation vulnerability in urban areas
KR102450851B1 (ko) 재난 위기 경보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