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893B1 - 하이브리드 선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893B1
KR102426893B1 KR1020180118050A KR20180118050A KR102426893B1 KR 102426893 B1 KR102426893 B1 KR 102426893B1 KR 1020180118050 A KR1020180118050 A KR 1020180118050A KR 20180118050 A KR20180118050 A KR 20180118050A KR 102426893 B1 KR102426893 B1 KR 10242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load equipment
battery
distribu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18A (ko
Inventor
전원
성용욱
손문호
안희원
조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8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021/003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ower plant using fuel cells for energy supply or accumulation, e.g. for buffering photovolta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선박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선박은 선내에 구비된 부하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하는 배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장비는 상기 전력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고, 전력 전달 방해 요인에 의하여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한 상기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전부는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선박{Hybrid ship}
본 발명은 배터리 및 연료 전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선박은 내연기관 같은 엔진을 기본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수단이다. 하지만, 이러한 엔진은 대기 오염 물질을 다량 배출하고, 효율이 낮다는 단점으로 인해 친환경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점점 대체되고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라 함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복합 동력원을 말하는 것으로 엔진과 연계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연료전지와 연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기존의 엔진 동력원에 비해서 높은 효율 및 적은 대기 오염 물질의 배출을 제공한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종의 발전장치로 엔진에 비해서 효율이 더 높고, 대기 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연료전지와 배터리가 연계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매우 높은 효율과 친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친환경 선박의 동력원으로 고려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874호 (2014.01.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이브리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내에 구비된 부하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하는 배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하 장비는 상기 전력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고, 전력 전달 방해 요인에 의하여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한 상기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전부는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 장비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은 상기 배전부의 내부에서 발생된 단락 또는 지락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부는 배터리 및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한 상기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부하 장비로 공급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선박은 상기 전력부의 전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부가 정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부가 비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선박(10)은 선체(100), 연료 탱크(200), 전력부(300), 배전부(400), 추진부(500), 부하 장비(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 탱크(200)는 선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액체 연료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액체 연료는 액화 천연 가스(L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부(300)는 추진부(500) 및 선내에 구비된 부하 장비(6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부(300)는 전력을 생산하거나 저장할 수 있으며, 생산 또는 저장된 전력을 추진부(500) 및 부하 장비(600)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부(300)는 배터리 및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전지는 연료 탱크(200)에서 발생된 기화 가스(BOG; Boil Off Gas)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 추진부(500) 및 부하 장비(600)로 공급할 수 있다.
배전부(400)는 전력부(300)의 전력을 추진부(500) 및 부하 장비(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배전부(400)는 배선, 스위치 및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전력의 전달 경로가 결정되고, 컨버터에 의하여 전력부(300)의 직류 전력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각 부하 장비(600)는 사용 전력에 맞게 전압을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추진부(500)는 전력부(300)의 전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진부(500)의 추진력으로 선체(100)는 해상에서 항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부하 장비(600)는 선내 유지를 위한 장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선박(10)은 전력부(300)의 전력을 이용하여 항해 및 선내 유지를 수행할 수 있다.
부하 장비(600)는 선박 운항에 필요한 장비로서, 배수설비용 펌프, 연료공급용 펌프, 블로워, 공조장치, 전등, GPS 수신기, 레이더 장치, 선박 자동식별장치, 자기 나침반, 무선설비, 선박 위치발신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하 장비(600)는 전력부(300)를 제어하는 제어 장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비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전부(400) 내부의 단락 또는 지락 등의 전력 전달 방해 요인에 의하여 배전부(4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력부(300)의 전력이 추진부(500) 및 부하 장비(600)로 올바르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제어 장비로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여 제어 장비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전력부(300)의 동작까지 중단되고 선내 유지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배전부(400)는 부하 장비(600)로 전력부(300)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력 전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력 전달 경로는 정상 전력 전달 경로 및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전력 전달 경로는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 전력부(300)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전달되는 전력 전달 경로를 나타낸다. 비상 전력 전달 경로는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력부(300)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전달되는 전력 전달 경로를 나타낸다. 전력 전달 경로는 배전부(40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의 개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력 전달 방해 요인에 의하여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한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배전부(400)는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전력부(300)의 전력을 부하 장비(600)로 전달할 수 있다.
부하 장비(600)는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부하 장비(600)에 의하여 전력부(300)가 제어됨에 따라 정상 상태에서의 배전부(400)의 배선상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력부(300)의 제어가 지속되고 선내 유지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700)는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을 감지하고, 전력부(300) 및 배전부(4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700)는 전력부(300) 및 배전부(4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부하 장비(600)에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별도로 구비된 경우 제어부(700)는 전력부(300)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통하여 전력부(300), 배전부(400), 추진부(500), 부하 장비(6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부(300)는 제1 배터리(311), 제2 배터리(312), 제1 연료 전지(321), 제2 연료 전지(322), 제1 DC/DC 컨버터(331), 제2 DC/DC 컨버터(332), 제3 DC/DC 컨버터(333) 및 제4 DC/DC 컨버터(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배터리(311) 및 제2 배터리(312)는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배전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배터리(311) 및 제2 배터리(312)의 전력은 각각 제1 DC/DC 컨버터(331) 및 제3 DC/DC 컨버터(333)에 의하여 전압 변환 후에 배전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배터리(311) 및 제2 배터리(312)는 연료 전지(321, 322)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제1 연료 전지(321) 및 제2 연료 전지(322)는 연료 탱크(200)에서 발생된 기화 가스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배전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연료 전지(321) 및 제2 연료 전지(322)의 전력은 제2 DC/DC 컨버터(332) 및 제4 DC/DC 컨버터(334)에 의하여 전압 변환 후에 배전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배전부(400)는 배전반(410), 제1 DC/AC 컨버터(421) 및 제2 DC/AC 컨버터(4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410)을 통하여 전력부(300)의 전력이 배전부(4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DC/AC 컨버터(421) 및 제2 DC/AC 컨버터(422)는 전력부(30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하 장비(600)는 제1 DC/AC 컨버터(421) 및 제2 DC/AC 컨버터(422)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자신에 맞게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추진부(500)는 추진 모터(510, 520) 및 DC/AC 컨버터(511, 521)를 포함할 수 있다. DC/AC 컨버터(511, 521)는 배전부(40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추진 모터(510, 520)는 DC/AC 컨버터(511, 521)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하 장비(600)는 선내 유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내에는 서로 다른 전력을 이용하는 다양한 장비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하 장비(610), 제2 부하 장비(620) 및 제3 부하 장비(630)는 각각 직류 12V, 직류 24V 및 교류 220V를 이용하는 장비일 수 있다. 배전부(4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기 위하여 제1 부하 장비(610) 및 제2 부하 장비(620)에는 AC/DC 컨버터(611, 621)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부가 정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력부(300)의 전력은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추진부(500) 및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배전부(400)에는 배전반(410)의 배전 스위치(411)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4 스위치(SW4) 및 제5 스위치(SW5)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스위치(SW4)를 통하여 부하 장비(600)로 전력이 공급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SW5)를 통하여 부하 장비(60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효율적인 운전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전 스위치(411), 제4 스위치(SW4) 및 제5 스위치(SW5)의 동작에 따라 제1 배터리(311) 및 제1 연료 전지(321)의 전력만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되거나, 제2 배터리(312) 및 제2 연료 전지(322)의 전력만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되거나, 제1 배터리(311), 제2 배터리(312), 제1 연료 전지(321) 및 제2 연료 전지(322)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력부(300)에서 부하 장비(600)로 연결된 전력 전달 경로가 전술한 정상 전력 전달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배전 스위치(411), 제4 스위치(SW4) 및 제5 스위치(SW5)의 동작에 따라 제1 배터리(311) 및 제1 연료 전지(321)의 전력만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되는 전력 전달 경로, 제2 배터리(312) 및 제2 연료 전지(322)의 전력만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되는 전력 전달 경로, 제1 배터리(311), 제2 배터리(312), 제1 연료 전지(321) 및 제2 연료 전지(322)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되는 전력 전달 경로도 전술한 정상 전력 전달 경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부가 비상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력부(300)의 전력은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전력부(300)에 구비된 제1 배터리(311) 또는 제2 배터리(312)의 전력은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연료 전지(321, 322)는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복잡한 과정을 수반하며, 생산과 공급간의 시간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배터리(311, 312)는 저장된 전력을 곧바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한 비상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전력부(300)는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열림 및 닫힘이 교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SW1)가 열린 경우 제2 스위치(SW2)는 닫히고, 제1 스위치(SW1)가 닫힌 경우 제2 스위치(SW2)는 열릴 수 있다.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W1)가 열리고, 제2 스위치(SW2)가 닫힌 경우 제2 배터리(312)의 전력이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W1)가 닫히고, 제2 스위치(SW2)가 열린 경우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해 제1 배터리(311)의 전력이 부하 장비(6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배터리(311) 또는 제2 배터리(312)의 전력 전달을 위하여 단락 또는 지락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부하 장비(600)에 연결된 제3 스위치(SW3)가 닫힐 수 있다.
부하 장비(600)에 포함된 제어 장비가 배터리(311, 312)를 정상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선내 유지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력부(300)에 구비된 컨버터(331, 332, 333, 334)는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배전부(4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컨버터(331, 332, 333, 334)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이로 인해 전력부(300)의 전력이 배전부(400)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하 장비(700)는 컨버터 전력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컨버터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부(300)에 구비된 컨버터(331, 332, 333, 334)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버터 전력 공급 장치는 배터리(311, 312)의 전력을 컨버터(331, 332, 333, 334)로 공급할 수 있다. 컨버터(331, 332, 333, 334)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전력부(300)의 전력이 배전부(400)로 전달되고, 선내 유지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이브리드 선박 100: 선체
200: 연료 탱크 300: 전력부
311, 312: 배터리 321, 322: 연료 전지
400: 배전부 410: 배전반
500: 추진부 510: 추진 모터
600: 부하 장비 700: 제어부

Claims (5)

  1. 선내에 구비된 부하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하는 배전부; 및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을 감지하고, 상기 전력부 및 상기 배전부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장비는 상기 전력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부는,
    전력 전달 방해 요인에 의하여 정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한 상기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전력부의 전력을 상기 부하 장비로 전달하되,
    상기 전력부는,
    배터리 및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비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상기 부하 장비로 공급되도록하며,
    상기 부하 장비는,
    비상 전력 전달 경로를 통하여 공급된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부하 장비에 의하여 상기 전력부가 제어됨에 따라 정상 상태에서의 상기 배전부의 배선상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전력부의 제어가 지속되고 선내 유지가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력부 및 상기 배전부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부하 장비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하이브리드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비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선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 방해 요인은 상기 배전부의 내부에서 발생된 단락 또는 지락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선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의 전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선박.
KR1020180118050A 2018-10-04 2018-10-04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2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0A KR102426893B1 (ko) 2018-10-04 2018-10-04 하이브리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0A KR102426893B1 (ko) 2018-10-04 2018-10-04 하이브리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18A KR20200038618A (ko) 2020-04-14
KR102426893B1 true KR102426893B1 (ko) 2022-07-28

Family

ID=7029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50A KR102426893B1 (ko) 2018-10-04 2018-10-04 하이브리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671B1 (ko) 2021-08-04 2023-04-13 주식회사 삼원중공업 하이브리드 추진 엔진 비상 전력 회복 시스템
CN117360752B (zh) * 2023-12-07 2024-03-26 山东科技大学 船舶复合能源动力系统的热管理系统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74B1 (ko) 2011-11-30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0317B1 (ko) * 2015-03-27 2016-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70121910A (ko) * 2016-04-26 2017-11-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주방 장비의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KR20170122584A (ko) * 2016-04-27 2017-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냉동 컨테이너 전력 시스템
EP3346567B1 (en) * 2017-01-04 2020-02-19 Danfoss Mobile Electrification Oy An electric power system and a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18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20B1 (ko) 에너지 공급선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공급방법
KR102426966B1 (ko)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38842B1 (ko) 하이브리드 선박
US7183742B2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fuel cell powered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102426969B1 (ko) 하이브리드 선박
EP3770060A1 (en) Ship propulsion system
KR102426893B1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49345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26938B1 (ko) 하이브리드 선박
CN108069012B (zh) 用于运行装备有电动机的船的系统
US20060071630A1 (en) Hybrid power system
KR20200046607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140038763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용 선박
KR20200041454A (ko) 하이브리드 선박
US8736100B2 (en) Ship
KR102426977B1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59742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55999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101680321B1 (ko) Ess 제어 장치
KR20200056560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26890B1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38581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36448A (ko) 하이브리드 선박
KR102477554B1 (ko) 하이브리드 선박
KR20200049248A (ko) 하이브리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