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13B1 -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13B1
KR102426413B1 KR1020150067065A KR20150067065A KR102426413B1 KR 102426413 B1 KR102426413 B1 KR 102426413B1 KR 1020150067065 A KR1020150067065 A KR 1020150067065A KR 20150067065 A KR20150067065 A KR 20150067065A KR 102426413 B1 KR102426413 B1 KR 10242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map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947A (ko
Inventor
강용혁
김현구
윤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13B1/ko
Priority to PCT/KR2015/004876 priority patent/WO2016182104A1/ko
Publication of KR2016013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자료 수집부; 상기 자료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지도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ENEWABLE ENERGY RESOURCE ATLAS}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태양열,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조류, 조력, 파력, 해수온도차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며, 이를 기반으로 첨단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주제도를 제작하고, 시계열 분석 및 공간 분석을 통해 자원량을 평가하여 신재생에너지 생산 활동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결할 친환경 녹색미래에너지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국가를 이끌어갈 미래 국가 성장의 새로운 동력산업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과감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 등과 같이, 발전량을 예상하거나, 발전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를 선정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해당지역에서 태양력, 또는 풍력 등의 자원량은 계절별, 월별, 일별로 유동적이므로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대와 관심을 반영하여, 태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자원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함으로써 연구와 개발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활용할 경우,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에 따른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계획 수립 및 달성을 위한 정책적인 목적의 유용한 의사결정 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국가의 전반적인 신재생에너지자원 현황을 알리고, 신재생에너지 활요엥 대한 인식 제고의 역할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05-0063616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 평가 및 활용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표준 신재생에너지자원 자원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재생에너지자원 개발 및 관측 및 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과학적 분석과 시각화를 통한 정보전달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자료 수집부; 상기 자료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지도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활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자료 수집부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실측 기반 분석부;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위성 기반 분석부;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 및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분석된 에너지 자원을 기상 수치 모델에 적용하여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해석 기반 분석부; 및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의 분석을 보완하는 통계 기반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및 폐기물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리정보는,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정보, 토지피복정보, 인문사회정보 및 입지규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너지 정보는, 발전설비 및 발전기록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잠재량 정보는, 배제분석을 통하여 획득되며, 해당 지역에 부존하는 이론잠재량으로부터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하여 산정되는 지리잠재량과 추가적으로 발전설비를 도입할 때 최소한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만을 선택한 기술잠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반영하고,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보급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하고,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학술분야와 관련하여, 자원평가, 설비개발, 녹색섬 및 친환경타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공공분야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료 수집부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 지도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정보 활용부에 의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실측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데이터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 위성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 및 해석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기상 수치 모델에 적용하여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및 폐기물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리정보는,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정보, 토지피복정보, 인문사회정보 및 입지규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정보는, 발전설비 및 발전기록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이며, 상기 잠재량 정보는, 배제분석을 통하여 획득되며, 해당 지역에 부존하는 이론잠재량으로부터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하여 산정되는 지리잠재량과 추가적으로 발전설비를 도입할 때 최소한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만을 선택한 기술잠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반영하고,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보급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하고,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학술분야와 관련하여, 자원평가, 설비개발, 녹색섬 및 친환경타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공공분야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자원의 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 평가 및 활용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표준 신재생에너지자원 자원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재생에너지자원 개발 및 관측 및 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과학적 분석과 시각화를 통한 정보전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의 자료 수집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의 자료 수집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100)는, 자료 수집부(110), 지도 생성부(120) 및 정보 활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료 수집부(110)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지도 생성부(120)는, 상기 자료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정보 활용부(130)는 상기 지도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신재생에너지라 함은,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및 폐기물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하며, 이 밖에도 통상의 기술자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사항의 범위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유형은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자료 수집부(110)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자료 수집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측 기반 분석부(111), 위성 기반 분석부(112), 해석 기반 분석부(113) 및 통계 기반 분석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라 함은, 해당지역 또는 국가에서 보유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일사량, 풍속, 강우량, 하천유량, 지중온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111)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센터라 함은 해당지역 또는 국가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관측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측 데이터는 상기의 데이터 센터에 의하여 직접 실측을 통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방법 중 상기와 같이 실측을 기반으로 획득되는 데이터는 정확도가 가장 우수하다. 다만, 데이터 센터는 해당지역 또는 국가의 특정장소에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센터가 위치하지 않은 장소에 대해서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112)를 통하여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111)에서는 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는Point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간(interpolation)에 의한 데이터 분석이 수행되지만,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112)에서는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여 획득되는 데이터로서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113)는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111) 및/또는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112)에 의하여 분석된 에너지 자원을 기상 수치 모델(Numerical Meteorological Model)에 적용하여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계 기반 분석부(114)는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의 분석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111),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112) 및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113)에 의할 경우에도 수집/분석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하여 통계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로 생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지도 생성부(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도 생성부(120)는 상기 자료 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지리정보는 해당지역의 지형지물정보, 토지피복정보, 인문사회정보 및 입지규제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해당지역에 그린벨트, 또는 군사지역 등이 포함되어 에너지 발전 단지의 설립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 정보는, 발전설비 및 발전기록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도 생성부(120)는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함에 있어서, 계절별, 월별, 일별 등의 시계열적으로 현재의 발전설비 및 현재 또는 과거의 발전기록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자료 수집부(1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후 발전 가능한 지역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재량 정보는, 배제분석을 통하여 획득되며, 해당 지역에서 발전 가능한 이론 잠재량에서, 지리 정보를 반영하여 제한되는 지리잠재량을 차감한 기술잠재량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지역에서 발전 가능한 잠재량을 산출한 이후에, 상기 지리 정보를 반영하여 지리잠재량을 차감하고, 현실적으로 발전가능한 잠재량인 기술잠재량을 에너지 자원지도에 반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도 생성부(120)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120)는 상기 자료 수집부(11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해당지역 별 예상되는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는데, 풍력, 수력, 태양력 등을 상호 간에 조합하여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화석 연료 등과 달리 신재생에너지자원의 경우 자연환경 및 계절 등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총합을 산출할 수 있고, 수요와 공급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공급이 수요에 못미치는 시점과, 넘치는 시점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력의 수요 공급의 관계를 기반으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될 수 있도록 어느 지역에, 어떠한 에너지 발전 단지를, 어떠한 규모로 설립할 것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활용부(130)는, 상기 지도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반영하고,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보급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하고,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학술분야와 관련하여, 자원평가, 설비개발, 녹색섬 및 친환경타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공분야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바일 서비스로도 공중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100)와 중복되는 기술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은, 자료 수집부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S100); 지도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S110); 및 정보 활용부에 의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신재생에너지자원의 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 평가 및 활용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신재생에너지자원 개발 및 관측 및 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과학적 분석과 시각화를 통한 정보전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110: 자료 수집부
120: 지도 생성부
130: 정보 활용부
111: 실측 기반 분석부
112: 위성 기반 분석부
113: 해석 기반 분석부
114: 통계 기반 분석부

Claims (15)

  1.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자료 수집부;
    상기 자료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생성부; 및
    상기 지도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활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료 수집부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실측 기반 분석부;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위성 기반 분석부;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 및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분석된 에너지 자원을 기상 수치 모델에 적용하여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해석 기반 분석부; 및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의 분석을 보완하는 통계 기반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석 기반 분석부는, 상기 실측 기반 분석부 및 상기 위성 기반 분석부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분석된 에너지 자원을 기상 수치 모델(Numerical Meteorological Model)에 적용하여 분석하되, 전력 수요와 공급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여 공급이 수요에 못 미치는 시점과, 넘치는 시점을 분석하여 전력의 수요 공급의 관계를 기반으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될 수 있도록 어느 지역에, 어떠한 에너지 발전 단지를, 어떠한 규모로 설립할 것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지도 생성부의 지리정보는, 해당지역의 지형지물정보, 토지피복정보, 인문사회정보 및 입지규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생성부는 상기 자료 수집부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풍력, 수력, 및 태양력을 상호 간에 조합하고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신재생에너지자원의 해당지역 별 예상되는 발전량을 산출하며,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반영하고,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보급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 상기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하고,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 상기 학술분야와 관련하여, 자원평가, 설비개발, 녹색섬 및 친환경타운에 대한 분석 데이터, 및 상기 공공분야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및 폐기물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는,
    발전설비 및 발전기록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재량 정보는,
    배제분석을 통하여 획득되며, 해당 지역에 부존하는 이론잠재량으로부터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하여 산정되는 지리잠재량과 추가적으로 발전설비를 도입할 때 최소한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만을 선택한 기술잠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를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으로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료 수집부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
    지도 생성부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리정보, 에너지 정보 및 잠재량 정보가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자원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정보 활용부에 의하여, 상기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정책분야, 산업분야, 학술분야 및 공공분야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실측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데이터 센터로부터 제공받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
    위성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받은 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 및
    해석 기반 분석부에 의하여, 기상 수치 모델에 적용하여 에너지 자원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에너지, 풍력, 수력,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및 폐기물 에너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리정보는,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정보, 토지피복정보, 인문사회정보 및 입지규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정보는,
    발전설비 및 발전기록에 대한 시계열적 데이터이며,
    상기 잠재량 정보는,
    배제분석을 통하여 획득되며, 해당 지역에 부존하는 이론잠재량으로부터 지리적 제약조건을 배제하여 산정되는 지리잠재량과 추가적으로 발전설비를 도입할 때 최소한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만을 선택한 기술잠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보 활용부는,
    상기 정책분야와 관련하여,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반영하고,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보급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산업 분야와 관련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하고, 사업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학술분야와 관련하여, 자원평가, 설비개발, 녹색섬 및 친환경타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공공분야와 관련하여, 상기 지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지도를 웹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방법.
KR1020150067065A 2015-05-14 2015-05-14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2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65A KR102426413B1 (ko) 2015-05-14 2015-05-14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PCT/KR2015/004876 WO2016182104A1 (ko) 2015-05-14 2015-05-15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65A KR102426413B1 (ko) 2015-05-14 2015-05-14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47A KR20160134947A (ko) 2016-11-24
KR102426413B1 true KR102426413B1 (ko) 2022-08-01

Family

ID=5724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65A KR102426413B1 (ko) 2015-05-14 2015-05-14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6413B1 (ko)
WO (1) WO2016182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80B1 (ko) * 2019-09-16 2021-08-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판별 방법 및 장치
CN111371681B (zh) * 2020-03-12 2021-11-19 郑州轻工业大学 一种资源和能耗感知的网络服务功能链映射方法
CN111950843A (zh) * 2020-06-19 2020-11-17 湖南拓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生态环境开发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509A (ko) * 2010-03-02 2011-09-08 대한민국(기상청장) 풍력-기상자원지도 구축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130019876A (ko) * 2011-08-18 2013-02-27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기상자료기반 고해상도 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방법 및 장치
KR20140029882A (ko) * 2012-08-31 2014-03-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차원 영상기반 신재생에너지 현장 평가 방법 및 평가 시스템
KR101445081B1 (ko) * 2012-12-24 2014-10-02 한국전기연구원 보급 계획을 반영한 신재생에너지 전원구성 예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47A (ko) 2016-11-24
WO2016182104A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n et al. Resource potential and variability assessment of solar and wind energy in India
Ahmed et al. A comparative review of China, India and Pakistan renewable energy sectors and sharing opportunities
Blechinger et al. Global analysis of the techno-economic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hybrid systems on small islands
Anwarzai et al. Utility-scale implementable potential of wind and solar energies for Afghanistan using GIS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Habib et al. Spatial modeling for the optimum site selection of solar photovoltaics power plant in the northwest coast of Egypt
Mattsson et al. An autopilot for energy models–Automatic generation of renewable supply curves, hourly capacity factors and hourly synthetic electricity demand for arbitrary world regions
Segurado et al. Increasing the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 S. Vicente, Cape Verde
Wu et al. Decision framework of solar thermal power plant site selection based on linguistic Choquet operator
Ruiz-Arias et al. Assessment of the renewable energies potential for intensive electricity production in the province of Jaén, southern Spain
Hereher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lar, tidal, and wind energy resources in Oman using an integrated climatic-socioeconomic approach
Meschede Increased utilisation of renewable energies through demand response in the water supply sector–A case study
Feizizadeh et al. GIS-based procedures of hydropower potential for Tabriz basin, Iran
Sakti et al. Spatial integration framework of solar, wind, and hydropower energy potential in Southeast Asia
Thomas et al. Constructing statutory energy goal compliant wind and solar PV infrastructure pathways
KR102426413B1 (ko)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Gamil et al. Concentrating solar thermal power generation in Sudan: Potential and challenges
Harrucksteiner et al. A geospatial assessment of the techno-economic wind and solar potential of Mongolia
Keck et al. Assessment of two optimisation methods for renewable energy capacity expansion planning
Kiss et al. The effect of time resolution on energy system simulation in case of intermittent energies
Abedi et al. Real-time photovoltaic energy assessment using a GSM-based smart monitoring system: Addr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olar energy estimation software
Ioannou et al. Geoinformatics as a tool for the application of energy policy
Sayah The Use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in the Libyan Energy System. Case Study: Brak City Region
Imam et al. Potential of Concentrated Solar Power in the Western Region of Saudi Arabia: A GIS-Based Land Suitability Analysis and Techno-Economic Feasibility Assessment
Izeiroski et al. Gis-based multi criteria analysis of site suitability for exploatation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Driscoll et al. Florida's center for ocean energy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