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12B1 -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12B1
KR102426412B1 KR1020220009590A KR20220009590A KR102426412B1 KR 102426412 B1 KR102426412 B1 KR 102426412B1 KR 1020220009590 A KR1020220009590 A KR 1020220009590A KR 20220009590 A KR20220009590 A KR 20220009590A KR 102426412 B1 KR102426412 B1 KR 10242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oldable
hinge
link par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중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Priority to KR102022000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12B1/ko
Priority to PCT/KR2023/001107 priority patent/WO20231407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하나의 회전축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언폴딩 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단일 평면에서 지지하면서 폴딩 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할 확보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구성으로 폴딩 시 여유공간과 언폴딩 시 단일평면으로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동일 회전축을 통해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지되 회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foldable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디바이스에서 접히거나 펼쳐질 부위에 장착되는 힌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블 디바이스는 플랙서블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폴딩, 언폴딩되는 구조로서 폴더블 디바이스의 중앙부위에 접혀질 수 있는 힌지가 마련되는데 폴딩되었을 때 폴딩 부위의 곡률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확보하면서 언폴딩되었을 때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보급되는 등 종래 평판 디스플레이에서 곡면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있다. 이에 더해 폴더블 디바이스와 같이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양산되고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된 기기로서 종래 LCD, OELD와 같이 유리 기판과 같이 딱딱한 기판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휘어질 수 있는 기판에 회로소자를 형성하여 휘어져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폴더블 디바이스는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기기이므로 접혀지는 부위가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언폴딩 시 즉, 펼쳐졌을 때 FPD와 같은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FPD는 기본적으로 폴딩을 상정하지 않아 접히는 구조가 없고 일반적인 힌지장치로는 경첩을 예로들 수 있는데 단순히 접히거나 펼쳐지는 힌지장치를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같이 유연한 기판에 직접 적용하였을 때에는 접혔을 때 곡률이 너무 작아 원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등 실 사용 환경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힌지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5855호에 개시되어 있고 855호 특허에는 가요성이 있는 패널을 제1몸체, 제2몸체와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통해 지지하고 제1몸체와 제2몸체는 힌지부재를 통해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서 접혀졌을 때 가용성이 있는 패널의 곡률을 유지하면서 펼쳐졌을 때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통해 단일평면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다른 회전축을 통해 접철되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서 하나의 단일 평면에서 가요성 있는 패널을 지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폴딩/언폴딩이 반복되면 가요성이 있는 패널의 접히는 부위에 접힘 자국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언폴딩 시 완벽한 평면 패널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힌지장치에 포함되는 필수적인 구성이 많아 동작이 복잡하고 회전축이 다수이므로 힌지장치 좌우의 몸체가 따로 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며 제1, 제2몸체가 각각의 회전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블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하나의 회전축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언폴딩 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단일 평면에서 지지하면서 폴딩 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플랙서블 디스플레이의 파손을 방지할 확보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구성으로 폴딩 시 여유공간과 언폴딩 시 단일평면으로 디스플레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동일 회전축을 통해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지되 회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폴딩/언폴딩 부위에 마련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제2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디바이스의 일단과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와 제1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의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의 제3링크부와 제4링크부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언폴딩 시 단일 평면에서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 사이에서 서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단일평면 상에 지지하도록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4링크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제1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4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제2돌출부를 갖으며, 상기 제4링크부 및 제2링크부에는 각각 삽입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 제4링크부와 제3링크부의 각 접촉면의 형상은 폴딩 또는 언폴딩될 때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진 상태로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 제4링크부와 제3링크부의 각 접촉면의 형상은 곡면 돌출부 또는 홈부로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에는 회동 가이딩 홈 또는 회동 가이딩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동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장치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탄성재질을 완충재가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폴더블 디바이스의 폴딩 시 가요성 패널이 최대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언폴딩 시 완벽한 단일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폴더블 디바이스의 양측 디바이스가 회동할 수 있어 별도의 구성 없이도 동기화된 폴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통해 폴딩/언폴딩 시 별도의 구성 없이도 안정적인 회동 가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언폴딩 시 단일 평면을 통해 가요성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힌지장치가 없는 FPD와 같은 평탄도와 지지도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에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지는 회동장치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가 폴딩 시 접히는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폴딩 시 내부 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에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지는 회동장치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a, 4b는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가 폴딩 시 접히는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의 폴딩 시 내부 공간을 확대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더블 디바이스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언폴딩 시 즉, 펼쳐졌을 때 디스플레이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되어야 하고 폴딩 시 디스플레이가 뾰족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접히는 부분의 곡률이 최대가 되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힌지장치는 언폴딩 시 평탄도를 균일하게 확보하기 어렵고 폴딩 시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최대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힌지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좌우 몸체가 각각 별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폴딩/언폴딩이 대칭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히는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련되는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폴딩/언폴딩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디바이스(10)의 일단에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110)와 제2디바이스(20)의 일단에 일정 범위 내에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120)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100)와, 제2디바이스(20)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210)와 제1디바이스(10)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220)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는 하나의 동일한 회전축(C)를 중심으로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를 회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는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를 폴딩/언폴딩 시 동일한 하나의 회전축(C)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제1연결부(100)는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를 연결하고, 제2연결부는 제2디바이스(20)와 제1디바이스(1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100)는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는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부(110)는 제1디바이스(10)에 제1피봇연결부(130)을 통해 연결되고 도면에 표시된 일례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된다. 제2링크부(120)는 제2디바이스(20)에 제1돌출부(150)을 통해 연결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된다.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는 제1연결부(100) 내에서 디스플레이(30)가 마련된 평면의 반대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제1링크연결부(14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연결부(200)도 제1연결부(100)와 유사하게 제3링크부(210)가 제2디바이스(20)에 제2피봇연결부(230)을 통해 연결되고 제4링크부(220)는 제2돌출부(250)을 통해 제1디바이스(10)에 연결된다. 제3링크부(210)와 제4링크부(220)는 디스플레이(30)가 마련된 평면의 반대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제2링크연결부(24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연결부(100, 200)이 두 개의 링크부(110, 120, 210, 220)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링크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각 연결부에 포함되는 링크부의 개수가 많을수록 폴딩 시 내부의 여유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내구도가 떨어지는 단점 또는 부가적인 구성이 포함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힌지장치가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따라 최적의 개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가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에 걸쳐 연결되므로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는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D)이 있을 수밖에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연결부(100)의 제2링크부(120)와 제2연결부(200)의 제4링크부(220)는 단일 평면상에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디스플레이(30)를 평평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제2링크부(120)의 제1돌출부(150)는 제4링크부(22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되고 제4링크부(220)에는 제1돌출부(15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마찮가지로 제2링크부(120)에는 제4링크부(220)의 제2돌출부(250)와 동일한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렇게 서로 맞물린 상태로 교차하므로 본 발명의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는 디스플레이(30)가 접히는 부분이 단일한 선분이 아니라 서로 맞물린 형태의 평면 상태가 되어 종래 힌지장치가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30)의 접힘 자국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30) 전체를 빈틈없이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제2링크부(120)이 제2디바이스(20)에 연결되면서 제1디바이스(10)를 통과하는데 언폴딩 시 제1디바이스(10)가 제2링크부(120)를 지지하도록 하면 언폴딩 시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가 디스플레이(30)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접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링크부(220)도 동일한 원리고 제2디바이스(20)가 지지하여 언폴딩 시 더욱 단단하게 디스플레이(3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1돌출부(150)와 제2돌출부(250)는 하나 이상 마련되며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접힘 자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가공이 복잡해지는 단점도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30)는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에 걸쳐 설치되며 폴딩 시 접히는 부분의 최대 곡률을 확보하기 위해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의 일정 영역에서 비접촉되는 부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의 회전축(C)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3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회전축(C)은 디스플레이(30)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3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회전축(C)이 디스플레이(30)의 상부에 마련될 경우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폴딩 시 디스플레이(30)의 비접촉되는 부위의 곡률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물론 회전축(C)이 디스플레이(30) 상부에 위치하므로 비접촉되는 부위에서 디스플레이(3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피봇연결부(130) 및 제2피봇연결부(230)의 회동축을 제1디바이스(10) 및 제2디바이스(20)의 하면에 마련하는 등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가 접혀졌을 때 여유공간의 외곽부 길이를 디스플레이(30)의 비접촉 부위의 길이보다 크도록 유지하는 구조상의 보완이 필요하다. 물론 외곽부의 길이를 디스플레이(30)의 비접촉 부위의 길이보다 크도록 유지할 수 있는 구조면 어떤구조이든 상관은 없다.
회전축(C)이 디스플레이(30)와 동일 평면에 마련되거나 하부에 마련될 경우 비접촉 부위의 곡률을 크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내구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링크부(110), 제2링크부(120), 제3링크부(210) 및 제4링크부(220)은 서로 맞닿는 접촉부(500)가 있는데 이 접촉부(500)에서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접촉부(500)가 수직으로 형성되면 회동을 위해서 이격이 필요하고 이러한 이격에 의해 디스플레이(30)를 지지하지 못하는 부위가 생기게 되며 접힘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촉부(500)를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테이퍼진 상태로 형성하거나 곡면 돌출부와 곡면 홈으로 형성하여 이격 없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의 맞닿는 부분을 설명하면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는 디스플레이(30)의 하부로 접철되도록 회동되는데 제1링크부(110)를 하부면이 긴 형상을 갖고 반대로 제2링크부(120)의 상부면이 긴 형상을 갖도록 하면 접철 시 하부로 회동할 수 있을 뿐 디스플레이(30)의 상부로는 접철되지 않는다. 또한, 이격 없이도 접철이 가능하므로 빈틈없이 디스플레이(30)를 지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제1링크부(110)에는 곡면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2링크부(120)에는 곡면 홈부를 형성하여 서로 맞닿게 구성하면 이격 없이 회동이 가능하고 보다 부드러운 접철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30) 상부로도 회동이 가능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회동장치(300)는 각각 제2링크부(120)와 제4링크부(220)에 연결되어 동일 회전축(C)을 중심으로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양쪽 측면에 마련되지만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폴더블 디바이스의 중간 부분에도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링크부(120)에는 회동 가이딩 홈(310)이 설치되고 제4링크부(220)에는 회동 가이딩 돌출부(320)이 설치되어 서로 끼워지도록 하면 동일 회전축(C)을 중심으로 폴딩/언폴딩이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30) 상부에 회전축(C)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30) 하부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므로 언폴딩 시 디스플레이(30)의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완충재(400)는 신축석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폴딩 시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에 제1연결부(100)과 제2연결부(200)이 접촉되는 부위에 마련되어 접촉 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과도한 힘으로 폴딩이 이루어질 경우 제1디바이스(10)와 제2디바이스(20)의 하부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연결부 : 100 제1링크부 : 110
제2링크부 : 120 제2연결부 : 200
제3링크부 : 210 제4링크부 : 220
회동장치 : 300 완충재 : 400

Claims (9)

  1.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폴딩/언폴딩 부위에 마련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제2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디바이스의 일단과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부와 제1디바이스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회동시키고,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 사이에서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며, 언폴딩 시 단일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연결부의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의 제3링크부와 제4링크부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 사이에서 서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단일평면 상에 지지하도록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4. 청구항 2에서,
    상기 제2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4링크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제1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4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부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제2돌출부를 갖으며,
    상기 제4링크부 및 제2링크부에는 각각 삽입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 제4링크부와 제3링크부의 각 접촉면의 형상은 폴딩 또는 언폴딩될 때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진 상태로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 제4링크부와 제3링크부의 각 접촉면의 형상은 곡면 돌출부 또는 홈부로 맞물린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를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각각에는 회동 가이딩 홈 또는 회동 가이딩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동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회동장치는 상기 폴더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9.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와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탄성재질을 완충재가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KR1020220009590A 2022-01-22 2022-01-22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KR10242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90A KR102426412B1 (ko) 2022-01-22 2022-01-22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PCT/KR2023/001107 WO2023140718A1 (ko) 2022-01-22 2023-01-25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90A KR102426412B1 (ko) 2022-01-22 2022-01-22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412B1 true KR102426412B1 (ko) 2022-07-29

Family

ID=8260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590A KR102426412B1 (ko) 2022-01-22 2022-01-22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6412B1 (ko)
WO (1) WO2023140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718A1 (ko) * 2022-01-22 2023-07-27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15A (ko) * 2010-03-09 201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20140050504A (ko) * 2012-10-19 201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96827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30652A (ko) * 2014-05-13 2015-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8407A (ko) * 2015-04-01 2016-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60144299A (ko)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70103268A (ko) * 2016-03-03 201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136907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이랜텍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36903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09994048A (zh) * 2019-05-17 2019-07-09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屏折叠结构
CN111179762A (zh) * 2020-03-06 2020-05-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
WO2020209424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387B1 (ko) * 2017-12-04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412B1 (ko) * 2022-01-22 2022-07-29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15A (ko) * 2010-03-09 201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20130021762A1 (en) * 2011-07-11 2013-01-24 Polymer Vision B.V.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20140050504A (ko) * 2012-10-19 201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96827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7971B1 (ko) * 2014-02-21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50130652A (ko) * 2014-05-13 2015-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8407A (ko) * 2015-04-01 2016-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60144299A (ko)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70103268A (ko) * 2016-03-03 201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136907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이랜텍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36903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WO2020209424A1 (ko)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326751A1 (en) * 2019-04-11 2020-10-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994048A (zh) * 2019-05-17 2019-07-09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屏折叠结构
CN111179762A (zh) * 2020-03-06 2020-05-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718A1 (ko) * 2022-01-22 2023-07-27 주식회사 아이피엘랩스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718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75B1 (ko) 힌지 장치
US20180150107A1 (en) Folding Device of Folda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26412B1 (ko)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US20210356989A1 (en) Vehicle diagnostic tablet computer and housing assembly thereof
US20190208649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920395B2 (en)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111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구조
US20120044620A1 (en) Mobile device
US20040165342A1 (en) Connecting mechanism
KR20180049857A (ko) 표시 장치
US20020001469A1 (en) Video camera support device
KR102158620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JP2021524006A (ja) ヒンジ及び移動端末
CN114449074B (zh)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和电子设备
CN113404770A (zh) 铰链、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4466092A (zh)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和电子设备
KR20190067400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듀얼힌지장치
CN113940048B (zh) 多轴软铰链机构以及具有该多轴软铰链机构的可折叠设备
US20230032983A1 (en) Support structur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6740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듀얼힌지장치
KR102492937B1 (ko)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US2023020975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114863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US20230030559A1 (en) Foldabl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102560376B1 (ko)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