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406B1 -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406B1
KR102426406B1 KR1020160001166A KR20160001166A KR102426406B1 KR 102426406 B1 KR102426406 B1 KR 102426406B1 KR 1020160001166 A KR1020160001166 A KR 1020160001166A KR 20160001166 A KR20160001166 A KR 20160001166A KR 102426406 B1 KR102426406 B1 KR 10242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unit
hand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2030A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406B1/en
Priority to AU2016231536A priority patent/AU2016231536B2/en
Priority to CN201911148387.4A priority patent/CN110811466B/en
Priority to EP18186535.3A priority patent/EP3412196B1/en
Priority to EP16189823.4A priority patent/EP3146885B1/en
Priority to CN201610838415.5A priority patent/CN106551670B/en
Priority to US15/274,017 priority patent/US9763557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식기가 수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accommodating unit and a dish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comprising: a washing tub forming a washing space; In the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spraying parts,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rame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 movable roller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the moving roller part supported on a guide rail so that the frame is drawn out, and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coupled to the frame to form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selectively fix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roller unit and releas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moving roller unit can mov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식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Dish storage unit and dishwasher using same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며 수납된 식기를 보다 손쉽게 정리함과 동시에 수납부의 인출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 washing machine, which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pulled out and stored in the dish washing machine, and at the same time to organize the stored dishes more easily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when the storage unit is pulled out in advance; It relates to a dishwashe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sprays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o stored dishes, washes them, and then dries them. Specifically, the dishwasher operates so that washing water is sprayed at high pressure into the tub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nd the sprayed washing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hes to wash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dishes.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 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 dishwasher is configured to filter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by a filter, recycle the used washing water, and dissolve the detergent into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smoothly separated. In addition, recently, dish washing machines that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washing water by a heater or generating steam have been widely us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하부/상부/탑 분사부와, 세척조의 내부 하부/상부/탑 분사부사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제 하부/상부/탑 수납부를 구비한다.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case forming an external shape, a washing tub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 washing space for dishes, a door positioned in front of the washing tub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tub, and a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to wash dishes It is possible to withdraw between the driving part that supplies, collects, circulates, and drains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lower/upper/top spraying part that sprays the washing water supplied by the driving part to the dishes, and the inner lower/upper/top spraying part of the washing tank It is provided with a first lower/upper/top compartment that can be selectively loaded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tableware.

여기서, 각 수납부는 각각 하부에 다수의 이동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척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마련된다. Here, each accommod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rollers in the lower portion, and is guided by a separate guide rail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ub to be drawn out and accommodated.

한편, 상술한 하부 수납부는 하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큰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며, 상부 수납부는 상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고, 탑 수납부는 탑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식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식사 도구(예를 들어 수저, 나이프 등) 및 요리 도구(예를 들어 국자, 거품기 등)가 안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lower accommodating part is located adjacent to the lower spraying part and a relatively large size of dishes is seated, the upper storing part is located adjacent to the upper spraying part and relatively small sized dishes are seated, and the top receiving part is a top spraying part.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tableware and a smaller size than tableware (eg, spoon, knife, etc.) and cooking utensils (eg, ladle, whisk, etc.) are seated.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세척조 내부의 수납부 중 하나를 밖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고, 인출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Meanwhile, in order for a user to wash dishes using the dishwasher, the user opens the door of the dishwasher, takes out one of the accommodating units inside the washing tub, stores the dishes in the withdrawn accommodating unit, and stores the extracted accommodating unit in the dishwasher. After pushing it into the washing tub, close the door to store the dishes.

이후, 식기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부/하부/탑 분사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추가적으로 세척수에 의해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된 식기의 경우 스팀을 이용하여 식기를 가열하여 식기의 건조 및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dishwasher is operated, washing water is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upper/lower/top spraying uni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dishes loaded in the lower/upper/top receiving units are washed. Additionally, in the case of dishes that have been washed and rinsed by washing water, the dishes may be dried and sterilized by heating the dishes using steam.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상부/탑 수납부의 경우 각각 가이드 레일에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경우 세척조의 내부의 측벽에 고정된 상태이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각 수납부의 수직위치 또한 고정된 상태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ower/upper/top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rovided to be drawn out along the guide rail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guide rail, respectively. Here, in the case of each guide rail, it is fixed to the inner side wall of the washing tub,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each accommodation uni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s also fixed.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부의 경우 하부/상부/탑 수납부 사이의 공간보다 큰 식기의 경우 하부/상부/탑 수납부의 공간여유가 부족하여 수납이 불가능하며, 하부/상부/탑 수납부 사이의 공간보다 큰 식기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하부/상부/탑 수납부중 하나를 분리하고 분리된 수납부 아래의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이 수납부의 공간 활용에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tableware larg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lower/upper/top accommodating parts, the space between the lower/upper/top accommodating parts is insufficient, so storage is impossible, and between the lower/upper/top accommodating parts In order to store tableware larger than the space of There is a problem.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수납부의 경우 금속 프레임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재질로 형성되며, 수납부의 양측에는 수납부의 인출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수납부의 손잡이를 취부하여 수납부를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formed of a material coated with synthetic resin on a metal frame, and handles for withdrawing the accommodating par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art. can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의 건조 및 살균을 위해서는 스팀과 같은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식기를 가열하여야 하며, 식기가 안착된 수납부도 식기의 가열됨에 따라 같이 가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부의 손잡이를 취부하여 수납부를 인출할 때 가열된 수납부와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여 접촉하여 불쾌감 및 안전사고를 발생시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0033483 (1981-08-12)에 개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ry and sterilize the tableware, it is necessary to heat the tableware using a heating means such as steam. Therefore, when the user attaches the handle of the receiving unit to withdraw the receiving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ed receiving unit and the user's ski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cause discomfort and safety accidents.
The technology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Europ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EP0033483 (1981-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에서의 세척을 위하여 식기를 적재함에 있어 식기의 크기에 따라 식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수납부 및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dish storage unit and a dish washing machine that allow a space for storing dishes to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hes in loading dishes for washing in the dishwas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식기 수납부의 인출시 식기 수납부를 인출하는 사용자와 가열된 수납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수납부 및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 storage unit and a dishwasher capable of preventing a user's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a user who withdraws the dish storage unit and the heated storage unit when the dish storage unit is pulled out.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부는 식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이동롤러부,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ablewar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rame in which tableware is accommodated, a moving roller part that is vertically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supports a guide rail so that the frame is withdrawn, and the frame. Preferably, it is coupled to the frame to for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t the same time selectively fix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roller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part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movable roller part can move up and down.

상기 프레임은 수평 고리형태의 외곽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인출방향으로 배열되는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교차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ame includes a horizontal ring-shaped outer frame, a vertical frame arranged in a drawing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intersect the vertical frame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frame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be fasten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상기 이동롤러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인출방향의 양측에 대칭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roller unit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tate on both sides of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위치조절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ame cover is formed to extend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pa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ving roller unit includes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rail.

상기 이동롤러부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회전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림턱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회동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locking jaws are formed in the moving roller unit, and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receives pressure from a rotation lever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lever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jaw.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tation locking portion to be released.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에 연동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ing unit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frame, and the rotation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rotates by a button protrus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topp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n interlocking part that is linked to the rotating part and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terlocking part to be supported by the stopping protrusion.

상기 회동걸림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otation lock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pring for pressing the locking projection toward the locking jaw.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 일부를 형성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adjusting unit forms an outer part of the outer frame and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handle is formed o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extend adjacent to the housing.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외곽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손잡이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공간부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fixed to the outer frame and has a housing having a handle formed i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space penetrating through the housing,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the handle spac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extend adjacent to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식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부, 상기 수납부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washing tub forming a washing space, a accommodating part removably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ub and accommodating dishes, and washing water through the accommodating part. In the dish washing machine including a plurality of spraying parts for spraying,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rame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 movable roller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supported on a guide rail so that the frame is drawn out, the accommodating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to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for selectively fix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roller part and releas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movable roller part can mov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상기 이동롤러부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림턱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회동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locking jaws are formed in the moving roller unit,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es a rotation lever that is rotated by the user's pressure, and a rotation lock that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rotation lever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jaw. it is preferable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에 연동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frame, and the rotation lever includes a button protrusion to which the housing is rotatably coupled and a button protrus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rotating part rotated by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topp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n interlocking part that is linked to the rotating part and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terlocking part to be supported by the stopping protrusion.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손잡이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공간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 공간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has a housing fixed to the frame and having a handle formed i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space penetrating the housing, and the frame does not pass through the handle space. It is preferable to extend adjacent to the portion.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rame cover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위치 조절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the frame cover is formed to extend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서의 세척을 위하여 식기를 적재함에 있어 식기의 크기에 따라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dish storage unit and the dish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ight-adjustable storage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orage unit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h is loaded for washing in the dish washing machine. and to provide a dishwas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수납부의 인출시 식기 수납부를 인출하는 사용자와 가열된 수납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h storage unit and the dishwash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s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preventing a user taking out the dish storage unit from direct contact with the heated storage unit when the dish storage unit is pulled out.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수납부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수납부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orage uni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ight adjusting unit of the receiving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ing unit of the receiving uni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eceiving unit of 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orage unit and a dishwash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each defined component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name defined for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nother name in the art.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mplified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외형을 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130)와, 세척조(13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22)와,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와, 세척조(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다수의 수납부(150, 160, 170)와, 각 수납부(150, 160, 17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 및 수납부에 안착되어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건조 및 살균하기 위하여 식기를 가열하는 스팀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1 to 2, the dishwas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20 having an external shape,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20, forms a washing space for washing dishes, and has an open front. a washing tub 130 used as a washing machine, a door 1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surface of the washing tub 130, and a driving unit 140 located under the washing tub 130 and supplying, collecting, circulating, and drain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dishes ),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150 , 160 , 170 which are detachably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ub 130 and on which dishes are seated, and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accommodating part 150 , 160 , 170 , respectively, of the tableware. A plurality of spraying units 132 , 133 , 134 for spray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and a steam supply unit (not shown) for heating the dishes to dry and sterilize the dishes that are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e been washed are provided.

여기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00)의 구조 중 세척조(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 among the structures of the dish washing machine 100 described above, the washing tank 130 , the driving unit 140 , and each inje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s as those of the prior art.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다수의 수납부(150, 160, 17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서 세척조(130)의 개방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 1수납부(150)와, 제 1수납부(150) 상측에 위치하고 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 2수납부(160)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 3수납부(17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150 , 160 , 170 ar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130 to the open side of the washing tub 130 . Each of these accommodating units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130 and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for accommodating relatively large dishes,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located abov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for accommodating relatively small-sized dishes. It includes 160 and a third storage unit 170 positioned above the washing tub 130 and accommodating dishes and the like.

그리고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수납부(150, 160, 17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수납부(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 1수납부(150)와 제 2수납부(16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2수납부(150, 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3수납부(170) 또는 제 2수납부(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praying units 132 , 133 , and 134 are provided to spray washing water on dishes stored in each of the receiving units 150 , 160 , 170 . Each of these spraying parts 132 , 133 , 134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ank 130 and includes a lower spraying part 134 for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first receiving part 150 , the first receiving part 150 and the first receiving part 150 . An upper spraying part 133 positioned between the two accommodating parts 160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150 and 160, and a third accommodating part 170 located above the washing tub 130 Alternatively, it includes a top spraying part 132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second receiving part 160 .

한편, 세척조(130)의 양측벽에는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220)이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220)은 제 1수납부(15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제 2, 3수납부(160, 17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제 2, 3수납부(160, 17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s of the washing tank 130 are provided with guide rails 220 for guiding the withdrawal and inpu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ccommodating parts 150 , 160 , and 170 , and the guide rail 220 includes the first A fixed guide rail (not shown) in the form of a simple rail for guiding the withdrawal and input of the accommodating part 150 and the second and third accommodating parts ( It may be provided as a telescopic guide rail (not shown) whose withdrawal distanc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160 and 170 .

한편, 도어(122)는 상술한 세척조(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개방면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122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30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door 122 is provided with a hinge part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22 at the lower part of the open surface, and the door 122 is opened by using the hinge part as a rotation axis.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 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23)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세척조(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의 개방시 제 1수납부(15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은 제 1수납부(150)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handle 124 for opening the door 122 and a control panel 123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10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22 .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2 forms one surface of the washing tub 130 when the door 122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first storage unit 150 can be seated when the door 122 is opened. . For this purpose, when the door 122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surface of the door 122 forms a horizontal plane state extending to the guide rail through which the first receiving part 150 is guided.

한편, 본 발명은 비교적 다양한 크기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제 2수납부(160)에 관한 것이다. 즉, 제 2수납부(160)의 경우 수직 위치의 가변에 따라 제 2수납부(160)와 제 3수납부(170)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 제 2수납부(160) 자체에 수납되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 2수납부(160)의 경우 수직 위치의 가변에 따라 제 2수납부(160)와 제 1수납부(150)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어 제 1수납부(150)에 수납되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의 경우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에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 storage unit 160 in which dishes of relatively various sizes can be accommod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70 varie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vertical position, so that the spac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itself. can be vari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is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so that the spac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is variable. can do.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orage units 150 , 160 , and 170 .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수납부(160)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면 제 2수납부(160) 이외에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다른 수납부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econd storage unit 160 as an example. However, unles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 second storage unit 160 may be applied to other storage units in which dishes can be accommodated.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 2수납부(16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수납부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수납부의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iving uni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of the receiving unit in 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height of the receiving unit in 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의 제 1수납부(150)는 식기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고정된 상태로 식기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미도시)와, 프레임(210)의 인출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220)에 안착되는 이동롤러부(230)와, 프레임(210)에 구비되어 이동롤러부(230)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240) 및 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프레임(210)을 덮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커버(250)를 구비한다. 3 to 5 , the first storage unit 150 of the dishwash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210 that forms a space in which dishes are accommodated, and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210 . A plurality of guides (not shown) for supporting dishes in a fixed state, a movable roller unit 2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10 in the drawing-out direction and seated on the guide rail 220 , and the frame 210 . I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adjusting unit 240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and a frame cover 250 which is provided on the frame 210 to cover the frame 210 .

여기서, 프레임(210)은 그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격자 모양으로 교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표면에는 와이어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질 수 있다. Here, the frame 210 may be formed in a grill shape. In addition, the frame 210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wire crossed in a grid shape, and the surface of the wire may be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to prevent corrosion of the wire.

즉, 프레임(210)이 그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 분사부(134) 또는 상부 분사부(133)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제 1수납부(150)에 수납된 식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at is, the frame 2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ill so that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lower spray unit 134 or the upper spray unit 133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dishe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

한편, 프레임(210)은 외곽 프레임(212), 가로 프레임(214) 및 세로 프레임(216)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212)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연속된 수평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rame 2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212 , a horizontal frame 214 , and a vertical frame 216 . The outer frame 212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horizontal ring shape by connecting one or more frames.

여기서, 세로 프레임(216)은 제 1수납부(150)의 인출 방향으로 배열되어 외곽 프레임(21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214)은 세로 프레임(216)과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되며 외곽 프레임(212) 및 세로 프레임(216)과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vertical frame 216 may be arranged in the drawing-out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12 .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214 is arranged to cross the vertical frame 216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12 and the vertical frame 216 .

또한,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212)의 구비되며 이동롤러부(230)가 가이드 레일에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21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17)은 제 2수납부(160)를 형성하는 프레임(2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플레이트(23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부(218)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guide frame 217 that is provided of the outer frame 212 forming the frame 210 and guides the moving roller 230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uide rai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guide frame 217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ame 210 form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60 , and a pair of vertical portions 218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late 231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is provided.

상술한 외곽 프레임(212), 가로 프레임(214) 또는 세로 프레임(216)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생략되거나 또는 그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프레임(210)의 재질 및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Any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outer frame 212 , horizontal frame 214 , or vertical frame 216 may be omitted or a part thereof may be omitted, and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frame 2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

구체적으로 다수의 세로 프레임(216) 및 다수의 가로 프레임(214) 중 위치조절부(240)에 인접하는 세로 프레임(216) 및 가로 프레임(214)의 일부는 위치조절부(2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216 and the horizontal frame 214 adjacent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16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21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 I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connected.

특히, 세로 프레임(216) 또는 가로 프레임(214)이 위치조절부(240)의 손잡이(242) 내측으로 연장될 경우 식기의 세척 및 건조시 가열되는 프레임(210)을 사용자가 위치조절부(240)의 손잡이(242)를 취부할 때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세로 프레임(216) 및 가로 프레임(214) 중 위치조절부(240)에 형성되는 손잡이(242)의 내측으로는 연장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 vertical frame 216 or the horizontal frame 214 extends inside the handle 242 of the positioning unit 240 , the user controls the position control unit 240 of the frame 210 heated during washing and drying of dishes. ) when the handle 242 is attached to it, so that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Preferably, the vertical frame 216 and the horizontal frame 214 are preferably provided so as not to extend inside the handle 242 formed i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외곽 프레임, 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210)과 달리 구성된다고 하여도 본 발명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프레임(210)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frame 210 constituted by the outer fram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it corresponds to the fram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ablew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여기서, 프레임 커버(250)는 상술한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212)의 상부에 외곽 프레임(212)을 따라 프레임(210)의 전방 일면 또는 전면에 걸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 커버(250)는 프레임(210)을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212) 및 외곽 프레임(212)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214) 및 세로 프레임(216)의 일부를 덮어 사용자가 프레임(21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프레임 커버(250)는 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위치조절부(240) 사이로 연장되어 외곽 프레임(212)의 전방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rame cover 250 is provided detachably over the front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210 along the outer frame 21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2 forming the above-described frame 210 . The frame cover 250 covers a portion of the frame 210 and the horizontal frame 214 and the vertical frame 216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12 and the outer frame 212 constituting the frame 2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rame 210 and to avoid direct contact with Here, the frame cover 250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extend between the position adjustment units 24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210 to cover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2 .

이러한 프레임 커버(250)는 하면에 외곽 프레임(2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곽 프레임(212)이 형성되는 몸체부(252)와, 몸체부(252)의 하면에 형성되어 외곽 프레임(212)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슬롯(254)이 형성되며, 삽입슬롯(254)의 내측 양면에는 외곽 프레임(212)이 삽입될 때 외곽 프레임(212)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cover 250 includes a body portion 252 having an outer frame 212 formed there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212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n outer frame 212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52 . ), an insertion slot 254 exten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is formed, and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outer frame 212 when the outer frame 212 is inserted is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insertion slot 254 . (not shown) may be formed.

이러한, 프레임 커버(250)는 수납부(160)의 사용시 프레임(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식기의 세척 및 건조시 프레임(210)이 가열되었을 때 프레임(21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사용자가 수위치조절부(240)의 손잡이를 취부할 때 수납부(160)의 프레임(210)과 사용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곽 프레임(212)과 사용자의 온도 차이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함을 예방할 수 있다. The frame cover 25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10 when the receiving unit 160 is used to shiel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10 when the frame 210 is heated during washing and drying of dishes, so that the user can When the handle of the hand position control unit 24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contacting the frame 210 of the receiving unit 160 and the user's discomfort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frame 212 and the user. have.

이동롤러부(230)는 프레임(210)의 인출방향에 대하여 프레임(210)의 양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212)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롤러부(230)는 프레임(210)의 양측에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이동롤러부(23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타측 이동롤러부(23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The moving roller unit 23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10 with respect to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frame 210 . Preferably, it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outer frame 212 forming the frame 210 . The moving roller unit 230 is formed in a direction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frame 210 , and only one moving roller unit 230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moving roller unit 230 will be omitted.

이러한 이동롤러부(230)는 가이드 프레임(217)의 수직부(218)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231)와, 플레이트(231)의 상측에 마련되어 가이드 레일(220)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롤러(236)와, 플레이트(231)의 하측에 마련되어 가이드 레일(22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롤러(237)를 구비한다. The moving roller unit 230 includes a plate 231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218 of the guide frame 217 , and an upper portion provided above the plate 231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20 . A roller 236 and a lower roller 237 provided under the plate 231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20 is provided.

여기서, 플레이트(231)의 전방측와 후방측에는 각각 가이드 프레임(217)에 구비되는 한쌍의 수직부(218)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전방 가이드(232) 및 후방 가이드(233)가 형성되며, 플레이트(231)의 전방 끝단에는 위치조절부(240)에 거치되는 제 1, 2걸림턱(234, 235)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2걸림턱(234, 235)은 플레이트(231)의 전방에 계단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걸림턱(234)은 플레이트(23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제 2걸림턱(235)은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레이트(231)에는 필요에 따라 제 1, 2걸림턱(234, 235) 이외에 추가적인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Here, a front guide 232 and a rear guide 233 that are movably fastened to a pair of vertical portions 218 provided in the guide frame 217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plate 231, respectively, and the plate ( The front end of the 231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234 and 235 mounted on the positioning unit 240 . Here,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protrusions 234 and 235 are formed in a step shape in front of the plate 231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23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231 , and 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235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However,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projections 234 and 235, additional stopping projection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plate 231 if necessary.

한편, 상술한 제 2수납부(160)의 경우 한쌍의 이동롤러부(230)가 세척조(130)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20)에 안착되었을 때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제 2수납부(160)의 자중에 의해 제 2수납부(160)가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동롤러부(230)는 가이드 레일(220)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프레임(217)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receiving unit 160 , the second moving roller unit 230 including the frame 210 when the pair of moving roller units 230 is seated on the guide rails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130 .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ing unit 160 and the moving roller unit 230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 220 and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217 . keep the status

위치조절부(240)는 이동롤러부(230)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롤러부(230)의 제 1, 2걸림턱(234, 235)이 삽입되며 이동롤러부(230) 전방에 위치하는 외곽 프레임(212)에 고정되는 하우징(241)과, 하우징(2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동롤러부(230)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플레이트(231)의 제 1, 2걸림턱(234, 235)에 거치되는 회동걸림부(248)와, 하우징(2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걸림부(248)를 회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회동레버(244)를 구비한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i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234 and 235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are inserted, and the moving roller unit 230 is inserted. ) The housing 241 fixed to the outer frame 212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of the plate 231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41 to limit the rise of the movable roller unit 230 . A rotation locking part 248 mounted on the 234 and 235 and a rotation lever 244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1 to rotate the rotation locking part 248 by an external forc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

여기서, 하우징(241)은 사용자가 제 2수납부(160)의 인출, 이동 및 높이 조절시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242)가 형성되며, 하우징(241)의 상면에는 회동레버(244)가 노출되는 버튼부(243)가 형성된다.Here, the housing 241 is provided with a handle 242 that can be attached when the user withdraws, moves,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second housing unit 160 , and the rotation lever 244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41 . A button portion 243 is formed.

이러한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은 외곽 프레임(212)의 소정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에 형성된 손잡이(242)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취부하기 위한 손잡이 공간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에 형성된 손잡이(242)의 손잡이 공간부(242a) 내측으로는 프레임(210)을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212), 가로 프레임(214), 세로 프레임(216)이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ing unit 24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2 , and inside the handle 242 formed in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ing unit 240 , a user can use the handle. A handle space for mounting is formed. Here, inside the handle space 242a of the handle 242 formed in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ing unit 240 , the outer frame 212 forming the frame 210 , the horizontal frame 214 , and the vertical frame 216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extend.

즉,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의 형성된 손잡이(242)의 손잡이 공간부(242a) 내측으로는 외곽 프레임(212), 가로 프레임(214), 세로 프레임(216)이 연장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잡이(242)를 취부할 때 사용자의 손과 외곽 프레임(212), 가로 프레임(214), 세로 프레임(216)이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의 하부에는 가로 프레임(214), 세로 프레임(216)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241)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하우징(241)의 하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outer frame 212, the horizontal frame 214, and the vertical frame 216 do not extend inside the handle space 242a of the handle 242 formed of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ing unit 240. When the user mounts the handle 242, the user's hand and the outer frame 212, the horizontal frame 214, and the vertical frame 216 are formed so that they do not contac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frame 214 and a vertical frame 216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ing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41 to reinforce the fixing of the housing 241 . have.

한편, 하우징(241)에 형성된 버튼부(243)의 일측 하부에는 회동레버(24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회전축(245)이 구비되고, 제 1회전축(245)의 하부에는 회동걸림부(248)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회전축(249)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 first rotational shaft 245 to which a rotation lever 244 is rotatably coupled is provid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243 formed in the housing 241 , and a rotation lock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45 . A second rotation shaft 249 to which 248 is rotatably coupled is provided.

한편, 회동레버(244)는 중앙부가 제 1회전축(2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는 버튼부(24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돌기(246)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동걸림부(248)에 접하여 버튼돌기(246)의 가압시 회동되어 회동걸림부(248)를 회동시키는 회동부(247)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부(247)는 버튼돌기(246)에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동부(247)가 회동됨에 따라 버튼돌기(246)에 가해지는 압력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여 회동걸림부(248)를 회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pivot lever 244 has a centr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45 , a button protrusion 246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utton portion 243 is formed on one side, and a rotation locking portion 24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 is rotated when the button protrusion 246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portion 247 for rotating the rotation locking portion 248 is formed to extend. Here, the rotating part 247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246, and as the rotating part 247 rotates, the pressure is appli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ssure direction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246. The rotation stopper 248 is rotated by transferring.

그리고 회동걸림부(248)는 제 2회전축(24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은 회동레버(244)의 회동부(247)에 접하여 회동레버(244)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연동부(251)가 구비되며, 하단은 연동부(251)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며 이동롤러부(230)의 플레이트(231)에 형성된 제 1, 2걸림턱(234, 235)에 거치되는 걸림돌기(25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And the rotation locking part 24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49, and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part 247 of the rotation lever 244 and a linkage part which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244 ( 251) is provided, and the lower end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age part 251, and the locking protrusions 252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234 and 235 formed on the plate 231 of the moving roller part 230. ) is formed by protruding.

또한, 회동걸림부(248)에는 이동롤러부(230)의 플레이트(231)에 형성된 제 1, 2걸림턱(234, 235)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가 제 1걸림턱(234) 또는 제 2걸림턱(235)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253)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234 and 235 formed on the plate 231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to the rotation locking part 248, and the locking protrusion 252 of the rotation locking part 248 is applied. ) is provided with a spring 253 to maintain a state fixed to the first locking jaw 234 or the second locking jaw 235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height-adjustable storage unit and a dishwash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element mention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00)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100)의 도어(122)를 열고 세척조(130) 내부의 제 1수납부(150), 제 2수납부(160), 제 3수납부(17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밖으로 인출하여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적재하고, 식기가 적재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조(130)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122)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Meanwhile, in order for a user to wash dishes using the dishwasher 100 , the door 122 of the dishwasher 100 is opened and the first storage unit 150 and the second storage unit 160 inside the washing tub 130 . ),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hird storage units 170 are pulled out to load the dishes into the drawn-out rece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loaded with the dishes is pushed into the washing tub 130 of the dishwasher 100, The door 122 is closed to store dishes.

이후, 식기 세척기(100)를 작동시키면 구동부(140)의 동작에 따라 상부 분사부(133), 하부 분사부(134), 탑 분사부(132)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각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가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의 경우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100)의 동작과 매우 유사함으로 상세한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reafter, when the dishwasher 100 is operated, the washing water is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upper spraying unit 133 , the lower spraying unit 134 , and the top spraying unit 13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40 to each receiving unit. The loaded dishes are washed, rinsed and dried. In the case of washing, rinsing, and drying dishe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is very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dishwasher 100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에 앞서 각 수납부(150, 160, 170)에 식기를 수납하여야 하며, 식기의 수납을 위해서는 특정 수납부의 인출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Her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0 as described above, dishes should be stored in each of the accommodating units 150 , 160 , and 170 , and for accommodating the dishes, the specific accommodating unit must be withdrawn inevitably.

먼저, 제 2수납부(160) 및 제 3수납부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에 구비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인출이 안내되어 인출 거리가 조절되며 신축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상태에서 식기의 적재가 이루어진다.First, in the cas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the withdrawal is guided by the extension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washing tub 130 to adjust the withdrawal distance, and the tableware is stor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extension guide rail. loading is made

그리고 제 1수납부(150)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며 인출시 개방된 도어(122)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도어(122)의 안착면(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식기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And in the case of the first storage unit 150, it is guided and moved by fixed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washing tub 130,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door 122 that is opened when it is withdrawn, and the door 122 is seated. The dishes are stored in the state seated on the surface 125 .

한편, 제 2수납부(160)에 수납되는 식기의 경우 비교적 다양한 크기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으며, 제 2수납부(160)에 수납되는 식기의 크기에 제 2수납부(160)의 수직 위치를 가변하여 제 2수납부(160)에 상부 수납 공간을 확장시켜 다양한 크기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ablew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60 , dishes of relatively various sizes may be accommodated,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storage unit 160 relative to the size of the tablew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60 . can be varied to expand the upper storage space in the second storage unit 160 to accommodate dishes of various sizes.

한편, 본 발명의 이동롤러부(230) 및 위치조절부(240)는 제 2수납부(160)의 프레임(210)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일측 이동롤러부(230)와 위치조절부(240)의 작동을 설명하고 타측 이동롤러부(230)와 위치조절부(240)의 작동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moving roller unit 23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sides of the frame 210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on one side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on the other side will be omitted.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제 2수납부(160)의 일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제 2수납부의 일사용 상태의 경우 제 2수납부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기가 적재되거나, 제 1수납부에 비교적 큰 식기가 적재될 경우 제 2수납부의 사용상태이다. First, a working state of the second storage unit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In the case of a working state of the second storage unit, when relatively small dishes are load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or when relatively large dishes are loaded in the first storage unit, the second storage unit is in use.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수납부(160)의 일사용 상태는 이동롤러부(230)의 플레이트(231)에 형성된 제 1걸림턱(234)에 위치조절부(240)에 구비되는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가 거치되는 상태이다. As shown, the working stat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is a rotation stopping unit provided i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on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234 formed on the plate 231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 248) i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252 is mounted.

여기서, 위치조절부(240)의 회동걸림부(248)는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래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가 제 1걸림턱(234) 측으로 탄성 지지되며,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는 제 1걸림턱(234)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동걸림부(248)가 구비되는 위치조절부(240) 및 위치조절부(240)에 결합된 프레임(210)의 경우 가이드 레일(220)에 안착된 이동롤러부(230)의 플레이트(231)의 제 1걸림턱(234)에 지지되어 가이드 레일(220) 및 이동롤러부(230)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유지한다. Here, the rotation stopper 248 of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240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first locking jaw 23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53 and the locking protrusion 252 of the rotation stopper 248 is rotated. The locking projection 252 of the locking part 248 maintains a state supported by the first locking jaw 234 .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rame 210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provided with the rotation stopper 248 , the plate 231 of the moving roller unit 230 seated on the guide rail 220 . ) is supported by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234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220 and the moving roller unit 230 .

한편, 도 6을 참고하여 제 2수납부(160)에 비교적 큰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다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다. 제 2수납부(160)의 다른 사용상태는 제 2수납부(160)가 제 1수납부(150) 측으로 하강된 상태이다. Meanwhile, another use state for accommodating relatively large dishes in the second storage unit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Another use stat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is lowered towar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수납부(160)와 제 3수납부(170)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제 2수납부(160)를 제 1수납부(150)측으로 하강시켜야 된다. 이에 사용자는 위치조절부(240)의 손잡이(242)를 취부하고 위치조절부(240)의 회동레버(244)에 구비된 버튼돌기(246)를 가압한다. 이때 회동레버(244)의 버튼돌기(246)를 가압하는 방향은 사용자가 위치조절부(240)의 손잡이 취부하여 가하는 힘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해진다.As shown, the user has to lower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toward the first receiving unit 150 in order to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and the third receiving unit 170 . Accordingly, the user attaches the handle 242 of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240 and presses the button protrusion 246 provided on the rotation lever 244 of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240 .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button protrusion 246 of the rotation lever 244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by attaching the handl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

한편, 회동레버(244)의 버튼돌기(246)에 가해지는 압력은 회동레버(244)를 제 1회전축(245)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회동레버(244)의 회동부(247)는 회동걸림부(248)의 연동부(251)를 가압하여 회동걸림부(248)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동걸림부(248)가 회전됨에 따라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가 이동롤러부(230)의 플레이트(231)의 형성된 제 1걸림턱(234)에서 이탈되어 위치조절부(240)가 이동롤러부(230)에 대하여 하강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246 of the rotation lever 244 rotates the rotation lever 244 bas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245, and the rotation part 247 of the rotation lever 244 to be rotated is By pressing the interlocking part 251 of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is rotated. Here, as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is rotated, the stopping protrusion 252 of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pping projection 234 formed of the plate 231 of the moving roller part 230 to adjust the position. The part 240 is able to descend with respect to the moving roller part 230 .

이후, 사용자는 위치조절부(240) 및 위치조절부(240)가 결합된 프레임(210)을 제 1수납부(150) 방향으로 하강시키고, 위치조절부(240)의 버튼돌기(246)에 가해지던 압력을 해제한다. 이에 위치조절부(240)의 스프링(253) 측으로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된 회동걸림부(248)는 스프링(253)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걸림부(248)의 걸림돌기(252)가 플레이트(231)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 2걸림턱(235)에 거치된다. Thereafter, the user lower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and the frame 210 to whic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is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unit 150 , and is placed on the button protrusion 246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 Release the applied pressure. Accordingly, in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in which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pring 253 side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is released, the stopping protrusion 252 of the rotation stopping part 248 is the plate 2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53 . ) and is mounted on the second locking jaw 235 .

따라서 제 2수납부(160)를 제 1수납부(150) 측으로 이동시켜 제 2수납부(160)에 식기가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제 2수납부(160)에 보다 큰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Therefore, by moving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50 sid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dishes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 so that larger dishes can be plac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60 . can be stored

한편, 제 2수납부(160)의 인출 및 높이 조절에 있어서 사용자가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에 형성된 손잡이(242)를 취부할 때 외곽 프레임(212)의 설치된 프레임 커버(250)에 의해 제 2수납부(160)의 외곽 프레임(212)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ttaches the handle 242 formed on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in the withdrawal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 the frame cover 250 installed in the outer frame 212 . )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212 of the second housing 160 .

또한, 제 2수납부(160)의 인출 및 높이 조절에 있어서 사용자가 위치조절부(240)의 하우징(241)에 형성된 손잡이(242)를 취부할 때 하우징(241)에 형성된 손잡이(242)의 내측으로 외곽 프레임(212), 세로 프레임(216), 가로 프레임 등의 프레임(210)이 연장되지 않아 사용자의 위치조절부(240) 취부시 각 프레임(212, 214, 216)과 접촉이 방지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attaches the handle 242 formed in the housing 241 of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240 in withdrawing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160, the handle 242 formed in the housing 241. Since the frame 210 such as the outer frame 212, the vertical frame 216, and the horizontal frame does not extend inside, contact with each frame 212, 214, 216 is prevented when the user's position adjusting unit 240 is mounted. .

따라서, 식기의 세척, 건조시 가열된 각 프레임(212, 214, 216) 중 외곽 프레임은 프레임 커버(250)에 차폐되고, 위치 조절부(240)의 손잡이(242)의 내측에는 가로 프레임(214) 및 세로 프레임(216)이 연장되지 않아 가열된 프레임(210)과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er frame among the frames 212 , 214 , and 216 heated during washing and drying of dishes is shielded by the frame cover 250 , and the horizontal frame 214 is inside the handle 242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0 . ) and the vertical frame 216 is not extend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heated frame 210 and the us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ly, modifications of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세척기 120: 케이스
130: 세척조 140: 구동부
150: 제 1수납부 160: 제 2수납부
170: 제 3수납부 210: 프레임
220: 가이드 레일 230: 이동롤러부
240: 위치조절부
100: washing machine 120: case
130: washing tank 140: driving unit
150: first storage unit 160: second storage unit
170: third storage unit 210: frame
220: guide rail 230: moving roller unit
240: position control unit

Claims (17)

식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고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이동롤러부;
상기 프레임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제 1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회전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제 2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레버의 상기 회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가 연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회동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
a frame in which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a moving roller unit coupled to the frame to move up and down, supporting the guide rail so that the frame is drawn out,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It is coupled to the frame to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t the same time selectively fix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roller part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position adjusting part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movable roller part can move up and down,
The positioning unit
a housing fixed to the frame;
A button protrusion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first rotating shaf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rotating part rotated by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A rotary lever that rotates under pressure,
It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part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by a second rotating shaft and is interlock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part of the rotating lever, and a stopp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terlocking part and supported by the stopping jaw, and the rotating part is interlocked. Accommoda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tation locking part that unlock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jaw as it 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수평 고리형태의 외곽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인출방향으로 배열되는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교차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에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Horizontal annular outer frame;
a vertical frame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is drawn out;
and a horizontal frame arranged to cross the vertical frame and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The accommodation unit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rame cover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 및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인출방향의 양측에 대칭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4] The accommoda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oving roller unit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re provided in a symmetrical state on both sides of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fra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위치조절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Claim 5] The accommodation un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rame cover extends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The accommoda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roller unit includes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ra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걸림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stopper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ring for pressing the locking projection toward the locking jaw.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외측 일부를 형성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forms an outer part of the outer frame, a handle is formed o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extend adjacent to the hous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곽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손잡이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공간부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outer frame, a handle is formed o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space penetrating through the hous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the handle space Receiv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adjacent to the portion.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식기가 수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이 인출되도록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이동롤러부;
상기 수납부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롤러부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롤러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돌기 및 상기 버튼돌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이동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아 회전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레버의 상기 회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가 연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회동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A dish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tub forming a washing space; a receiving part removably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ub to accommodate dishes;
a frame in which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a moving roller unit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supported on the guide rail so that the frame is drawn out,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It is coupled to the frame to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selectively fix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roller part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position adjusting part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so that the movable roller part can move up and down,
The positioning unit
a housing fixed to the frame;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 button protrus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rotating part rotated by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protrusion, and is rotated under pressur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rotation lever,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n interlocking part that is interlock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part of the rotation lever, and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terlocking part to be supported by the locking jaw, and as the pivoting part is interlocked, the locking jaw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lock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측 소정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손잡이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공간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 공간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The handl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frame, a handle is formed on an inner predetermined portio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space penetrating the housing, and the frame does not pass through the handle space. A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djacent to the space por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체결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프레임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The dishwasher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rame cover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위치 조절부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The dish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the frame cover extends betwe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s.
KR1020160001166A 2015-09-24 2016-01-05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426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66A KR102426406B1 (en) 2016-01-05 2016-01-05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AU2016231536A AU2016231536B2 (en) 2015-09-24 2016-09-21 Dish rack for dishwasher
CN201911148387.4A CN110811466B (en) 2015-09-24 2016-09-21 Dish washing machine
EP18186535.3A EP3412196B1 (en) 2015-09-24 2016-09-21 Dish rack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EP16189823.4A EP3146885B1 (en) 2015-09-24 2016-09-21 Dish rack and dishwaher using the same
CN201610838415.5A CN106551670B (en) 2015-09-24 2016-09-21 Dish-washing machine
US15/274,017 US9763557B2 (en) 2015-09-24 2016-09-23 Dish rack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66A KR102426406B1 (en) 2016-01-05 2016-01-05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30A KR20170082030A (en) 2017-07-13
KR102426406B1 true KR102426406B1 (en) 2022-07-28

Family

ID=5935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66A KR102426406B1 (en) 2015-09-24 2016-01-05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40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60064D1 (en) * 1980-02-05 1983-03-24 Bauknecht Hausgeraete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rack in a domestic dishwasher
KR100798776B1 (en) * 2006-07-12 200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hwasher having apparatus for adjustment height of b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30A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2196B1 (en) Dish rack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KR100798776B1 (en) Dishwasher having apparatus for adjustment height of basket
KR102002419B1 (en) Dish washer
KR102393509B1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8567882B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rack assemblies of appliances
US8840201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US20210274993A1 (en) Dishwashing appliances and open-door drying methods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WO2015100705A1 (en) Lockable water tank washing machine housing body
US20170332879A1 (en) Lower rack for a domestic dishwasher having a lower-rack raising means
JP2001000377A (en) Dishwasher
KR102486273B1 (en) dish washer
KR102426406B1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JP2004049868A (en) Dish washer
KR102413327B1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170036393A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378131B1 (en) Auxiliary basket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396039B1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170021599A (en) Rack for dishwasher and compact type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109072532B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drawer assembly
JP2004049443A (en) Dishwasher
KR20200118646A (en) Dishwasher
US20140306588A1 (en) Multiple compartment dishwasher with interior and exterior closure elements
JP3950435B2 (en) Tableware basket and dishwasher
JP2023062222A (en)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