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252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252B1
KR102426252B1 KR1020170142561A KR20170142561A KR102426252B1 KR 102426252 B1 KR102426252 B1 KR 102426252B1 KR 1020170142561 A KR1020170142561 A KR 1020170142561A KR 20170142561 A KR20170142561 A KR 20170142561A KR 102426252 B1 KR102426252 B1 KR 10242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circuit
circuit module
tab
open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8067A (en
Inventor
허상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252B1/en
Priority to PCT/KR2018/009409 priority patent/WO2019088418A1/en
Publication of KR2019004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극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과, 전극 탭과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것으로, 전극 탭을 수용하는 탭 수용부와, 보호회로모듈과의 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접속 탭을 구비하되, 결합부는,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상에 접합되는 열 접합부와,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상에 물리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접속 탭의 위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접속 탭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cell including an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a protection circuit module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 connection tab including a tab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tab and a coupling portion for forming a coupling wit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a thermal bonding portion bon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 fastening part physically fasten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connection tabs that medi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securely fixed and the connection tabs can be easily coupled.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battery pack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as energy sources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electric bicycle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tc. It is also used in the form of a module bundled as a unit by connecting the batteries of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Small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can be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a single battery. A module type including a battery is preferred, and the output voltage or output current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ilt-in batt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접속 탭의 위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접속 탭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connection tab can be easily coupled whil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tab that mediat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firmly fixed. include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극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a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tabs;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및a protection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상기 전극 탭과 상기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 탭을 수용하는 탭 수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의 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접속 탭을 구비하되, A connection tab that mediat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includes a tab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tab, and a coupling portion forming a coupling wit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상기 결합부는, The coupling part,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상에 접합되는 열 접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상에 물리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and a thermal bonding portion bond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 coupling portion physically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예를 들어, 상기 탭 수용부와 열 접합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 배치되고, For example, the tab receiving part and the thermal bonding part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서 제2 면 측으로 연장되어 제2 면 상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may extend from the first surface side to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e fastened on the second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탭 수용부와 열 접합부는,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For example, the tab receiving portion and the thermal bonding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ame plane.

예를 들어, 상기 접속 탭은, 상기 탭 수용부 및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및For example, the connection tab may include a first plate including the tab receiv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and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전극 탭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하여 마주하게 절곡되어 상기 전극 탭을 덮어주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second plate bent to face the first plate so that the electrode tab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cover the electrode tab.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탭 수용부의 양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의 에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For exampl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y being drawn in from an edg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facing the battery cell,

상기 접속 탭이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편에 결합되고,As the connection tab extends across the opening,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상기 탭 수용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서 현수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2 면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The tab receiving part may be supported in a suspended state from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may be exposed to the second surface side through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along an incoming direction of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결합부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는 상기 열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열 접합부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thermal bond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long an incom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thermal bonding portions.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전극 탭의 최내측에는 형성되지 않고, It is not form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electrode tab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을 따라 전극 탭의 양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tab along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traction direction of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을 따라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along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coming direction of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접속 탭 좌측 단부의 결합부와 우측 단부의 결합부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of the left end of the connection tab and the coupling part of the right end of the connection tab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열 접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편에 솔더링 결합되며, For example, the thermal joint is solder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상기 탭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전극 탭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The tab receiving part may be welded to the electrode tab through the opening.

예를 들어, 상기 열 접합부와 체결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제2 면과 각각 서로 다른 이종 결합을 형성하며, For example, the thermal junction part and the fastening part form different heterogeneous couplings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respectively,

상기 열 접합부는, 고온으로 용융 또는 반용융된 후 고화된 조직을 포함하며, The thermal joint includes a solidified tissue after being melted or semi-melted at a high temperature,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 연장되며, 제2 면 상에 가압 접촉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may extend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rough the opening and be in press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상기 탭 수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면을 벗어난 깊이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a first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ortion and extending to a depth beyond the second surface;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a second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서 제2 면에 대해 가압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pressed against the second surface at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제2 면 사이의 보호회로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bending part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면 측의 탭 수용부와 상기 제2 면 측의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제2 면 사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may face each other in a thicknes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between the tab receiving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ide and the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side. It can provide elasticity.

예를 들어,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상에는 다수의 전기 소자들이 장착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팩은, For example, the battery pack is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셀 안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 안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frame including a cell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nd a circuit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예를 들어, 상기 셀 안착부는, 상기 회로 안착부의 양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ell mounting un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mounting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접속 탭에 있어, 접속 탭이 보호회로모듈의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에 대해 서로 다른 이종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접속 탭의 위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접속 탭의 가조립을 통하여 접속 탭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ion tab that mediat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connection tab forms different heterogeneous coupling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so that the connection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tabs can be fixed firmly,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abs can be easily achieved through the provisional assembly of the connection tab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보호회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속 탭을 설명하기 위한 서로 다른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cell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shown in FIG. 1 .
4 and 5 are different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tab shown in FIG. 1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보호회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속 탭을 설명하기 위한 서로 다른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cell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shown in FIG. 1 . 4 and 5 are different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tab shown in FIG. 1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전극 탭(215)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200)과, 상기 전극 탭(2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S1,S2)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300)과,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결합되는 접속 탭(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200 including an electrode tab 215 ,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215 , and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ncluding ( S1 , S2 ) and a connection tab 400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200)은,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밀봉하는 파우치(20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battery cell 20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nd a pouch 205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예를 들어, 양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미도시)과, 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음극판(미도시), 및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미도시)를 적층한 후, 이들 적층체를 젤리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양극판(미도시)과 세퍼레이터(미도시) 및 음극판(미도시)을 순차적으로 복수회 적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ncludes,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plate (not shown)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negative electrode plate (not shown)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parator (not shown)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fter lamination, these laminates may be wound up in the form of a jelly roll. Alternatively,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may be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not shown), a separator (not shown),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not shown) a plurality of times.

상기 배터리 셀(200)은,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 탭(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전극 탭(210,220)은 배터리 셀(200)의 제1 측부(201)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호회로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2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0 and 2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0 and 220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first side portion 201 of the battery cell 200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제2 전극 탭(210,220)을 통괄하여 전극 탭(215)으로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탭(215)이란, 상기 제1, 제2 전극 탭(210,22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제1, 제2 전극 탭(210,220)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0 and 22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electrode tab 215 . For example, the electrode tab 215 may be used to includ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0 and 220 , or bo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tabs 210 and 220 .

상기 배터리 셀(200)은, 서로 반대되는 일 면과 타 면을 포함하는 두 개의 주된 면과, 상기 주된 면들 간의 측부(201,202,203,204)들을 포함하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2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cluding two main surfaces includ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opposite to each other, and side portions 201 , 202 , 203 and 204 between the main surfaces.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셀(200)의 측부(201,202,203,204)는, 전극 탭(210,220)이 인출되는 제1 측부(201)와, 상기 제1 측부(201)의 반대 편에 형성된 제2 측부(202)와, 상기 제1, 제2 측부(201,202) 사이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 제4 측부(203,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200)의 제1 측부(201)에는 전극 탭(215)이 인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s 201 , 202 , 203 , and 204 of the battery cell 200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201 from which the electrode tabs 210 and 220 are drawn out, and a second side portion 20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 and third and fourth side portions 203 and 204 extending in parall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201 and 202 . For example, a terrace from which the electrode tabs 215 are draw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201 of the battery cell 200 .

도 1에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200)들은 두 개씩 쌍을 이루고,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배터리 셀(200)들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극 탭(215)이 인출되도록 배터리 셀(200)들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 배터리 셀(200)들로부터 인출된 전극 탭(215)들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호회로모듈(300)의 양 측에서 취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 the battery cells 200 are paired by two, and the battery cells ( 20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tabs 215 drawn out from each of the battery cells 200 may exten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be assembled at both side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200)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200)들로부터 인출된 전극 탭(215)들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호회로모듈(300)의 일 측에서 취합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s 20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tabs 215 drawn out from the respective battery cells 200 are extended in a parallel direction to preven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from forming. It may also be assembled on one side.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온도, 전압, 전류와 같은 배터리 셀(200)의 상태 변수를 측정하여 배터리 셀(2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20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cell 200 by measuring state variables of the battery cell 200 such as temperature, voltage, and current, and the battery cell 200 is charged according to the monitored result.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peration.

예를 들어, 각 배터리 셀(200)로부터 취합된 방전 전류는, 보호회로모듈(300)로 입력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300)을 통하여 세트 기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에는 세트 기기(미도시)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 부재(35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부재(350)는 다수의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charge current collected from each battery cell 200 may be input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may be connected to a set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o this end, a connection member 35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set devi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3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s.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팩은, 세트 기기(미도시)에 내장되어 전원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신호 전달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350)를 통하여 세트 기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 부재(350)의 일단에는 세트 기기(미도시)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커넥터(360)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pack may be embedded in a set device (not shown) to form a power supply device, and may be installed in a set device (not shown) through a connection member 350 including a plurality of wire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power supply. cit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Meanwhile, a connector 36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set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50 .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200) 및 보호회로모듈(300)을 다 함께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 배터리 팩의 골격을 형성하며, 배터리 셀(200)과 보호회로모듈(300)을 함께 지지하며, 전체 배터리 셀(200)과 보호회로모듈(300)을 구조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frame 100 for supporting both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gether. The frame 100 forms a skeleton of the entire battery pack, supports the battery cells 2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gether, and structurally binds the entire battery cells 2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can

상기 프레임(100)에는 배터리 셀(200)을 수용하기 위한 셀 안착부(G)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 안착부(G)는, 오목하게 인입된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배터리 셀(200)이 장착되는 위치를 정의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셀 안착부(G)는, 프레임 테두리를 따라 애워싸도록 형성된 격벽(100a)에 의해 배터리 셀(300)이 장착되는 위치를 정의해줄 수 있다. 상기 셀 안착부(G)는 배터리 셀(200)에 대응되는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적어도 둘 이상 다수의 배터리 셀(200)들을 지지해줄 수 있고, 각각의 배터리 셀(200)에 대해 격벽(100a)에 의해 둘러싸인 각각의 셀 안착부(G)를 제공할 수 있다.The frame 100 may have a cell seating portion G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s 200 . The cell seating part G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essed recess to define a posi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 200 is mounted. For example, the cell mounting part G may define a position at which the battery cell 300 is mounted by the partition wall 100a formed to surround the frame edge. The cell seating portion G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200 . The frame 100 may suppor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0 , and may provide each cell seating portion G surrounded by the partition wall 100a for each battery cell 200 . have.

상기 프레임(100)에는 보호회로모듈(300)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 안착부(P)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안착부(P)는, 보호회로모듈(300)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circuit mounting portion P for accommod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e circuit seating portion P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안착부(P)는, 프레임(100)의 대략 중앙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 안착부(P)를 기준으로 양편으로 셀 안착부(G)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300)은, 다수의 배터리 셀(20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어 전기적인 연결 패스를 단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circuit mounting part P may be form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sition of the frame 100 , and the cell mounting parts G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mounting part P as a reference. Sinc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0 , it is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to shorte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상기 셀 안착부(G) 및 회로 안착부(P)는, 프레임(100)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격벽(100a)들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셀 안착부(G) 및 회로 안착부(P)에 수용된 배터리 셀(200) 및 보호회로모듈(300)은 서로 이웃한 구성과의 기계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The cell mounting part G and the circuit mounting part P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y the barrier ribs 100a extending across the frame 100 , and each cell mounting part G ) and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ccommodated in the circuit seat P can avoid mechanical interference with neighboring components and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프레임(100)에는 강도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미도시)는 다수의 리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100) 평면상에서 일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도 보강부(미도시)는 전체 프레임의 중량을 저감하면서도, 휨이나 굽힘 변형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trength reinforcement part may be formed in the frame 100 .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not show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not shown), for example, a plurality of ribs (not shown) extending in parallel along one direction on the frame 100 plane. can Such a strength reinforcing part (not shown) may provide sufficient mechanical rigidity to resist bending or bending deformation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entire frame.

예를 들어, 상기 셀 안착부(G) 및 회로 안착부(P)를 정의하는 격벽(100a)은, 프레임(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10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 프레임(100)의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해주는 강도 보강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은 절연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00a defining the cell mounting part G and the circuit mounting part P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100 or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ame 100 . It may serve as a strength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entire frame 100 . Meanwhile, the frame 10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n insulating resin as a material.

상기 프레임(100)은 제1 면(101)과 제2 면(102)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200) 및 보호회로모듈(300)은 다 같이 프레임의 제1 면(101)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0)의 제1, 제2 면(101,102)은 프레임(100)의 주된 면을 의미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100)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The frame 1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01 and a second surface 102 . For example,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re both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rame. It can be assembled from 101.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01 and 102 of the frame 100 refer to the main surfaces of the frame 100 and may occupy the largest area among the frame 10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도 1에 예시된 배터리 팩은, 프레임(100)의 제1 면(101)을 덮도록 배치되는 절연 플레이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500)는, 배터리 셀(200)이 프레임(100) 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프레임(100)의 제1 면(10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200)은 프레임(100)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절연 플레이트(500)는 상기 배터리 셀(200)을 덮도록 배치되어 배터리 셀(200)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제1 면(101) 상에 배치된 절연 플레이트(500)를 통하여 프레임(100) 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n insulating plate 500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101 of the frame 100 . The insulating plate 50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first surface 101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battery cells 200 are not separated from the frame 100 . For example, the battery cell 200 is seated on the frame 100 , and the insulating plate 500 is disposed to cover the battery cell 200 so that the battery cell 20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100 .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The battery cell 200 may be firmly positioned on the frame 100 through the insulating plate 500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01 of the frame 100 .

상기 절연 플레이트(5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조립되거나, 또는 프레임(100) 상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5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판 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plate 500 may be assembled on the frame 100 or may be adhesively fixed on the frame 100 . The insulating plate 5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as a whole.

상기 배터리 셀(200)은 보호회로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200)로부터 인출된 전극 탭(215)은, 보호회로모듈(300) 상의 접속 탭(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200)의 전극 탭(215)과 보호회로모듈(300) 상의 접속 탭(400)은, 서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More specifically, the electrode tab 215 drawn out from the battery cell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For example, the electrode tab 215 of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200)의 전극 탭(215)은, 보호회로모듈(300) 상의 접속 탭(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4 to 6 , the electrode tab 215 of the battery cell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200)의 전극 탭(215)은, 보호회로모듈(300) 상의 접속 탭(400) 위에 안착된 후에, 접속 탭(400)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200)의 전극 탭(215)과 보호회로모듈(300) 상의 접속 탭(400)은, 서로에 대해 겹쳐진 상태에서, 미도시된 용접 전극을 통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전극(미도시)은, 서로에 대해 겹쳐진 전극 탭(215)과 접속 탭(400)의 위와 아래를 통하여 전극 탭(215)과 접속 탭(400)의 용접 부분에 대해 각각 접근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 탭(215)의 상면과 개구부(OP)를 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된 접속 탭(400)의 저면을 통하여 용접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ode tab 215 of the battery cell 200 may be welded to the connection tab 400 after being seated on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In this case, the electrode tab 215 of the battery cell 200 and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hrough a welding electrode (not shown)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For example, a welding electrode (not shown) approaches each of the welding portions of the electrode tab 215 and the connection tab 400 through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de tab 215 and the connection tab 400 overlapping each other. In more detail, a welding current may be applied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tab 215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tab 400 exposed downward through the opening OP.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회로기판(301)과, 상기 회로기판(301) 상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 셀(20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1) 상에는 상기 배터리 셀(200)의 전극 탭(215)과 연결되는 접속 탭(400)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은, 회로기판(301)을 골격으로 하고, 상기 회로기판(301)의 제1, 제2 면(S1,S2) 상에는 다수의 부품들, 즉, 접속 탭(400)과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은 각각 회로기판(301)의 제1 면(S1)과 제2 면(S2)에 해당될 수 있다.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ncludes a circuit board 301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01 to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battery cell 200 . can do. In addition, a connection tab 4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215 of the battery cell 200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01 . For exampl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has a circuit board 301 as a skeleton,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that is, connections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of the circuit board 301 , are connected. The tab 400 and the electrical elements 300E may be mounted, and in this sense,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re the first surfaces of the circuit board 301 , respectively. It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예를 들어,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으로는 접속 탭(4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상에는 배터리 셀(20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서로 다른 제1 면(S1)과 제2 면(S2)을 통하여, 접속 탭(400) 및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됨으로써,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되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보호회로모듈(300)의 어느 일 면이 아닌,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S1,S2)을 활용함으로써, 한정된 보호회로모듈(300)의 영역 내에 다수의 부품들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되는 제2 면(S2)과 반대되는 제1 면(S1) 상으로 접속 탭(400)이 결합됨으로써, 전기 소자(300E)들의 장착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the battery cell 200 may be formed to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300E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battery may be mounted. In this way,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are mounted through different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so that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thinness of the mounted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be provided. That is, by utiliz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opposite to each other, not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efficiently arranged in the limited area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may be, and the connection tab 400 is coupled onto the first surface S1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S2 o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 elements 300E are mounted, so that the mounting space of the electric elements 300E is sufficient.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되는 제2 면(S2)과 반대되는 제1 면(S1) 상으로 접속 탭(400)이 결합됨으로써, 접속 탭(400)에 의해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된 제2 면(S2) 상의 보호회로모듈(300)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 상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41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전극 탭(215)을 덮어주는 제2 플레이트(420)를 포함하는데, 제1 플레이트(4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420)의 높이 또는 두께는,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장착된 제2 면(S2) 상으로부터의 보호회로모듈(300)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 탭(400)을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배치된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이 아닌,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 면(S2) 상으로 보호회로모듈(300)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ab 400 is coupled onto the first surface S1 opposite to the second surface S2 o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are mounted, there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ab 4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on the second surface S2 o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 elements 300E are moun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tab 400 is bent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plate 410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the first plate 410 to form the electrode tab 215 . It includes a second plate 420 that covers, the height or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420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late 410 is the second surface S2 o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are mounted. ) can increas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from the to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ab 400 is not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on which the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are disposed, but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By coupling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on the second surface S2 ,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thinn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OP)의 양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상기 접속 탭(400)의 일부인 탭 수용부(R)를 노출시킴으로써, 용접 전극(미도시)이 접속 탭(400), 보다 구체적으로, 탭 수용부(R)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OP)는, 배터리 셀(200)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OP)는 탭 수용부(R)를 충분히 노출시키도록 인입 방향(Z1)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 방향(Z1)과 수직한 폭 방향(Z2)을 따라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를 통하여 노출된 탭 수용부(R)로는, 용접 전극(미도시)의 접근 또는 레이저 조사가 허용되며, 이에 따라 전극 탭(215)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의 폭 방향으로 양편에는 접합 패드(300C)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OP)의 양편으로 형성된 접합 패드(300C)를 통하여 보호회로모듈(300)과 접속 탭(4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OP)는 접속 탭(400)이 보호회로모듈(300)의 서로 반대되는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대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nection tab 400 may extend across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The opening OP exposes the tab receiving portion R, which is a part of the connection tab 400 , so that a welding electrod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ab 400 , 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tab receiving portion R. make it accessible The opening OP may be formed to be drawn in from an edg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facing the battery cell 200 , and the opening OP may sufficiently expose the tab receiving part R. It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retracting direction Z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perpendicular to the retracting direction Z1. As the tab receiving portion 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P, access of a welding electrode (not shown) or laser irradiation is allowed, and thus the electrode tab 215 may be welded together. Bonding pads 300C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the connection tab 400 are connected through the bonding pads 300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opening OP may allow the connection tab 400 to form a coupling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first surface S1 and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41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 전극 탭(215)이 끼워지도록 전극 탭(215)을 덮어주는 제2 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410)와 제2 플레이트(420)는 벤딩부(4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탭(215)을 개재하여, 제1, 제2 플레이트(410,42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폴딩시킴으로써, 제1, 제2 플레이트(410,420)와 그 사이의 전극 탭(215)이 서로 중첩되어 포개어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어 제1, 제2 플레이트(410,420)와 전극 탭(215)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430)에는 절개부(430`)가 형성되어 제1, 제2 플레이트(410,42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tab 400 includes a first plate 410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an electrode tab 215 bent from the first plate 410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410 and the first plate 410 . ) may include a second plate 420 covering the electrode tab 215 to be inserted thereinto. The first plate 410 and the second plate 4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nding part 430 ,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0 and 420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de tab 215 interposed therebetween. By folding to ,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0 and 420 and the electrode tab 215 therebetween are welded to each other in an overlapping st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0 and 420 and the electrode tab 2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firmly coupled. A cutout 430 ′ is formed in the bending portion 430 , so that folding for bend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s 410 and 420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제1 플레이트(410)는, 전극 탭(215)을 수용하는 탭 수용부(R)와, 상기 탭 수용부(R)의 양편으로 형성된 결합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 수용부(R)는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410)의 가운데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200)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탭(215)을 수용하며, 제1 플레이트(410)와 마주하도록 폴딩되는 제2 플레이트(420) 사이로 전극 탭(215)을 개재할 수 있다. 상기 탭 수용부(R) 상으로 포개어진 전극 탭(215) 및 제2 플레이트(420)는, 용접 결합을 통하여 서로에 대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탭 수용부(R)는 전극 탭(215)을 수용하며 전극 탭(215)과의 용접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탭 수용부(R)는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를 통하여 노출된 탭 수용부(R)로는 용접 전극(미도시)의 접근이 허용되며, 레이저 용접과 같은 비접촉식 용접에서는 레이저의 조사가 허용될 수 있다. 상기 탭 수용부(R)는 용접 전극(미도시)의 위치 정렬 및 용접 전극(미도시)의 위치 고정을 위한 오목부(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W)는 서로 다른 극성의 용접 전극(미도시)에 대응하여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410 may include a tab accommodating part R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tab 215 and coupling parts C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b accommodating part R. The tab receiving part R may be form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first plate 410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and may include an electrode tab 215 extending from the battery cell 200 . The electrode tab 21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late 420 and the second plate 420 that is folded to face the first plate 410 . The electrode tab 215 and the second plate 420 superimposed on the tab accommodating part 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and the tab accommodating part R may be the electrode tab 215 . and to form a welded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tab 215 . To this end, the tab receiving portion R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the tab receiving portion R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e furnace allows access to a welding electrode (not shown), and laser irradiation may be allowed in non-contact welding such as laser welding. The tab receiving part R may include a concave part W for aligning the positions of the welding electrodes (not shown) and fixing the positions of the welding electrodes (not shown). The concave portions W may be formed in pairs to correspond to welding electrodes (not shown) having different polarities.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 탭(400)이 개구부(OP)를 가로질러 연장되면서, 접속 탭(400)의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양편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부(C) 사이의 탭 수용부(R)는 상기 개구부(OP)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탭 수용부(R)는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에서 현수된 상태로, 그러니까, 상기 탭 수용부(R)는 개구부(OP) 양편의 결합부(C)를 통하여 제1 면(S1) 측에서 부유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측으로 노출되어, 전극 탭(215)과의 용접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tab 400 may extend across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t this time, as the connection tab 400 extends across the opening OP, the coupling portions C of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an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C The tab receiving part R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P. At this time, the tab receiving portion (R) is suspended from the first surface (S1)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at is, the tab receiving portion (R) is a coupling portion ( C) can be support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S1)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 form a welded connection with the electrode tab (215). can

상기 결합부(C)는 접속 탭(400)의 양편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 상에 걸쳐진 접속 탭(400)의 양편에 형성되어 개구부(OP)의 양편(보다 구체적으로 접합 패드 300C)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C)는, 접속 탭(4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개구부(OP) 양편에 걸쳐짐으로써 접속 탭(400)을 지지해줄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s C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ab 400 , an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ab 400 spanning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more specifically, bonding pad 300C). The coupling portion C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connection tab 400 and spa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to support the connection tab 400 .

상기 결합부(C)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서로 다른 제1, 제2 면(S1,S2)과 각각 서로 다른 이종 결합을 형성하는 열 접합부(CT)와 체결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C)의 열 접합부(CT)는,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온으로 용융 또는 반용융된 모재 또는 용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열 접합부(CT)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에 대해 열 접합되며, 예를 들어, 열적 공정으로 용융 또는 반용융된 후 고화된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접합부(CT)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형성된 접합 패드(300C)에 솔더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 패드(300C)는 개구부(OP)의 폭 방향(Z2)으로 양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 접합부(CT)는 상기 접합 패드(300C) 상에 안착되어 접합 패드(300C)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고, 열 접합부(CT)와 접합 패드(300C)는 솔더링과 같은 열 공정을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C includes a thermal bonding portion CT and a coupling portion CP that form different heterogeneous couplings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different from each other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respectively. can do. For example,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of the coupling portion C may include a base material or filler metal melted or semi-melted at a high temperatur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heat and pressure. That is,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is thermally bonded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olidified structure after being melted or semi-melted by a thermal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may be soldered to the bonding pad 300C formed o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e bonding pad 300C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in the width direction Z2 .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may be seated on the bonding pad 300C and overlapping the bonding pad 300C, and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and the bonding pad 30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hermal process such as soldering. can be combined.

상기 열 접합부(CT)는 상기 탭 수용부(R)와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탭 수용부(R)로부터 연장되어, 탭 수용부(R)와 함께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tab receiving portion R, and may extend from the tab receiving portion R, and may be formed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gether with the tab receiving portion R. 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S1) side.

상기 열 접합부(CT)와 달리, 상기 체결부(CP)는 보호회로모듈(300)과 물리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체결부(CP)의 형상 구조를 통하여 보호회로모듈(300)과 결합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CP)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에 대해 물리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접속 탭(400)의 체결부(CP)는 개구부(OP)를 통하여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으로부터 제2 면(S2) 측으로 연장되어, 제2 면(S2)의 개구부(OP) 양편에 대해 결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CP)는 탭 수용부(R)로부터 절곡되어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Unlike the thermal bonding part CT, the coupling part CP may be physically or mechanically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Here, being physically or mechanically coupled may mean forming a coupling wit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rough the shap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CP. More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CP may be physically or mechanically fastened to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coupled from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the fastening part CP of the connection tab 400 forms the opening OP.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extend from the first surface S1 side to the second surface S2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of the second surface S2.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CP) may be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art (R) to extend toward the second surface (S2)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the second surface ( It can be contacted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with respect to S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CP)는, 상기 탭 수용부(R)로부터 절곡되어 개구부(OP)를 통하여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을 벗어난 깊이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CP1)와, 상기 제1 연장부(CP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면(S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CP2)와, 상기 제2 연장부(CP2)의 단부에서 제2 면(S2)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접촉되는 접촉부(CP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astening part CP is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art R and extending to a depth outside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rough the opening OP. A first extension part CP1, a second extension part CP2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CP1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urface S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CP2 The end portion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CP3 that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S2 by a predetermined pressure.

즉, 상기 체결부(CP)는 제1, 제2 면(S1,S2) 사이의 보호회로모듈(300)의 두께 방향(Z3)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제2 절곡부(b1,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b1)는, 상기 탭 수용부(R)와 제1 연장부(CP1) 사이에서 하방 절곡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절곡부(b2)는, 상기 제1 연장부(CP1)와 제2 연장부(CP2) 사이에서 상방 절곡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회로모듈(300)의 두께 방향(Z3)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300)에 대해 조립되는 접속 탭(400)의 조립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fastening part CP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twice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Z3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S1 and S2.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b1 and b2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bent part b1 may be bent downward between the tab receiving part R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CP1, and the second bent part b2 may include the first extension part ( An upward bending may be formed between CP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CP2. Here, the thickness direction Z3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mean an up-down direction, or may mean an assembly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ab 400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상기 체결부(CP)는, 보호회로모듈(300)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로부터 절곡되어 제2 면(S2)에 대해 결착되는 구조로서, 접속 탭(400)이 결합되는 제1 면(S1)으로부터 접속 탭(400)을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대해 효과적인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접합부(CT)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에 열 접합되어, 접속 탭(400)이 결합된 제1 면(S1)으로부터 접속 탭(400)을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저항을 제공할 수 있으나, 제1 면(S1)과의 결합 강도에 따라 외력에 효과적으로 대항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체결부(CP)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에 대해 지지 결착되어 있으므로, 제1 면(S1)으로부터 접속 탭(400)을 분리시키려는 외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CP) is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art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surface (S2), and the connection tab 400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ective resistance against an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connection tab 400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be coupled. For example,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is thermally bonded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the connection tab 400 is connected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which the connection tab 400 is coupled.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ertain amount of resistance to the external force to be separated, it may be difficult to effectively counteract the external force depending on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first surface S1. Since the fastening part CP is supported and fasten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an external force to separate the connection tab 400 from the first surface S1. .

상기 체결부(CP)는 탭 수용부(R)로부터 상하 방향(Z3)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구조를 갖고,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와 제2 면(S2) 측의 접촉부(CP3)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와, 제2 면(S2) 측의 접촉부(CP3)를 탄성적으로 연결해준다는 것은,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와, 제2 면(S2) 측의 접촉부(CP3)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적인 인력을 제공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체결부(CP)의 탄성 작용으로, 탭 수용부(R)와 연결된 열 접합부(CT)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에 대해 가압 접촉되며, 상기 접촉부(CP3)는 제2 면(S2)에 대해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CP)를 통하여, 열 접합부(CT)가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에 가압 접촉되고, 접촉부(CP3)가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측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전체적인 접속 탭(400)이 보호회로모듈(300) 상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CP)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ab receiving part (R) is bent twice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3), and the tab receiving part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elastically connect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CP3 on the side of the two surfaces S2. Here, elastically connecting the tab receiving portion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and the contact portion CP3 on the second surface S2 side means the tab receiving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R) and the second surface (S2) to provide an elastic attractive force that pulls the contact portion (CP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the elastic action of this fastening portion (CP), the tab receiving portion (R) The thermal junction CT connected to may be in press-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the contact portion CP3 may be in press-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S2 . As such,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CP,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is press-contacted to the first surface S1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the contact portion CP3 is the first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By press-contacting the two sides (S2) side, the entire connection tab 400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n close contact.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CP)는 탭 수용부(R)로부터 상하 방향(Z3)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제2 절곡부(b1,b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CP) 중 제1 연장부(CP1)의 일단은,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1 연장부(CP1)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연장부(CP2)는 상방으로 절곡되며 접촉부(CP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CP)의 절곡된 구조는 상하 방향(Z3)을 따라 신장 압축될 수 있는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접속 탭(400)을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안착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접속 탭(400)의 체결부(CP)를 제2 면(S2) 상에 결착시키는 접속 탭(400)의 조립 공정에서, 유연한 탄성 변형을 통하여 접속 탭(40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이 완료된 접속 탭(40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호회로모듈(300) 상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astening part CP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ab receiving part R is bent twice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3, and i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b1 and b2.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CP1 of the fastening part CP is bent downward from the tab receiving part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CP1 The second extension part CP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s bent upwar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ct part CP3. The bent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CP can induce elastic deformation that can be stretched and compressed along the up-down direction Z3, for example, the connection tab 400 is the second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ion tab 400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urface S1 and at the same time binds the fastening part CP of the connection tab 400 on the second surface S2, it is connected through flexible elastic deformation. The tab 40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the assembled connection tab 400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 및 폭 방향(Z2)을 따라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체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에 균형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4 and 5 , the coupling portion C may be symmetrically formed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and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and through this, the entire connection tab 400 )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ay provide a balanced coupling for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접속 탭(400)의 양편 단부에 결합부(C)가 형성되며, 접속 탭(400)의 양편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C)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접속 탭(40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C)와, 접속 탭(40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C)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접속 탭(40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C)와 우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C)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에 균형적인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coupling portions C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tab 400 , and coupling portions C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tab 400 . ) may have symmetrical shapes. That is,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the coupling portion C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coupling portion C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connection tab 400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can be formed negative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portion C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coupling portion C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connection tab 400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opening ( A balanced coupling for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

또한, 상기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접속 탭(400)의 양편 단부, 그러니까, 결합부(C)의 전방 단부와, 결합부(C)의 후방 단부에는 열 접합부(CT)가 형성되며, 상기 열 접합부(CT) 사이의 가운데 위치에는 체결부(C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결합부(C)의 이종 결합을 형성하는 열 접합부(CT)와 체결부(CP)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에 균형적인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long the lead-in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both ends of the connection tab 400 ,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C, an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C are thermally bonded CT ) is formed, and a fastening portion CP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thermal bonding portions C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ermal junction CT and the fastening part CP that form a heterogeneous coupling of the coupling part C are symmetrically formed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the opening OP is drawn in. A balanced coupling for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long the direction Z1.

상기 체결부(CP)는, 열 접합부(CT)의 열적 접합 이전에, 열 접합부(CT)와 보호회로모듈(300) 사이에서 가조립 상태를 형성해줄 수 있다. 상기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의 결합에 관하여,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의 개구부(OP) 상에 안착될 수 있는데, 접속 탭(400)의 탭 수용부(R)는 개구부(OP)를 통하여 노출되며, 탭 수용부(R) 양편의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양편에 걸쳐지도록, 접속 탭(400)을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 탭(400)을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안착시키면서, 탭 수용부(R) 양편의 결합부(C)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및 제2 면(S2)과 접촉을 형성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C) 중 열 접합부(CT)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C) 중 체결부(CP)는 개구부(OP)를 관통하여 제2 면(S2) 상에 결착되도록 한다. The fastening part CP may form a temporary assembly state between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before thermal bonding of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Regard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seated on the opening OP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the tab of the connection tab 400 . The receiving portion R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P, and the connection tab 400 is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so that the coupling portions C of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R spa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 may be seated on the first surface S1. While the connection tab 400 is seated o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e coupling portions C on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R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S1) and to form a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S2). More specifically, the thermal bonding part CT of the coupling part C is seated on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and the coupling part CP of the coupling part C is an opening. Penetrates (OP) to be bound on the second surface (S2).

상기 체결부(CP)는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와 제2 면(S2) 측의 접촉부(CP3)를 탄성적으로 연결해줌으로써, 탭 수용부(R)와 연결된 열 접합부(CT)는 제1 면(S1)에 대해 가압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부(CP3)는 제2 면(S2)에 대해 가압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 탭(400)은 보호회로모듈(300) 상에 가조립된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후행하는 열 접합부(CT)의 열적 접합을 위한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탭 수용부(R) 양편의 열 접합부(CT)와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 패드 300C)에 대해 솔더링과 같은 열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속 탭(400)을 보호회로모듈(300) 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CP elastically connects the tab accommodating part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and the contact part CP3 on the second surface S2 side, so that the column connected to the tab accommodating part R The bonding portion CT may be in press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S1 , and the contact portion CP3 may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S2 . Accordingly, the connection tab 400 may form a state temporarily assembled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and may provide stable support for thermal bonding of the following thermal bonding portion CT. In a state of being temporarily assembled between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e thermal bonding portion CT of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R and the first surface S1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more specifically bonding By performing a thermal process such as soldering on the pad 300C),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firmly positioned 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상기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결합부(C)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는 열 접합부(CT)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 접합부(CT) 사이의 가운데 위치에는 체결부(CP)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CP)는, 열 접합부(CT)와 인접한 위치에서 열 접합부(CT)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열 접합부(CT)의 열적 접합 이전에도 열 접합부(CT)와 보호회로모듈(300) 간의 위치 고정을 통하여 열 접합부(CT)의 열적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thermal junction CT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C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and the coupling portion CP is disposed at a center between the thermal junction parts CT. ) is formed. Accordingly, the fastening part CP may provide stable support for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and even before thermal bonding of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the thermal junction part CT. The thermal bonding of the thermal junction CT may be easily achieved by fixing the position between the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이와 같이, 상기 접속 탭(400)의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의 열 접합부(CT)와, 상기 전후방 열 접합부(CT) 사이의 체결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접속 탭(400)의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대칭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 탭(400)의 결합부(C)가 개구부(OP)의 인입 방향을 따라 대칭적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전방 단부의 열 접합부(CT)와 후방 단부의 열 접합부(CT)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전방 단부, 그러니까, 내측의 열 접합부(CT)가 후방 단부, 그러니까, 외측의 열 접합부(CT)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As such, the coupling portion C of the connection tab 40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thermal junctions CT and the front and rear thermal junctions CT along the lead-in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CP of In this regard, the coupling portion C of the connection tab 40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coupling portion C of the connection tab 400 is symmetrically formed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OP, the front end portion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al junction CT and the thermal junction CT of the rear end have the same length.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ie, the inner thermal junction CT, along the lead-in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is greater than the rear end, ie, the outer thermal junction CT. It may have a relatively long length.

상기 접속 탭(400)은 개구부(OP)로부터 노출되는 탭 수용부(R)와, 개구부(OP)의 양편에 걸쳐지며 개구부(OP)의 양편에 결합되는 결합부(C)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C)는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접속 탭(400)의 양편 단부에 형성되며, 개구부(400)의 인입 방향(Z1)을 따라 접속 탭(400)의 최내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The connection tab 400 includes a tab receiving part R exposed from the opening OP, and a coupling part C spanning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The coupling portion C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tab 400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and is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onnection tab 400 along the inlet direction Z1 of the opening 400 . It is not formed on the inside.

즉, 상기 접속 탭(400)과 보호회로모듈(300) 간의 결합은, 개구부(OP)의 폭 방향(Z2)을 따라 개구부(OP)의 양편에서 이루어지며, 개구부(OP)의 인입 방향(Z1)으로 최내측, 그러니까, 배터리 셀(200)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에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개구부(OP)의 최내측에서는 접속 탭(40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on tab 40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s made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along the width direction Z2 of the opening OP, and the retraction direction Z1 of the opening OP. ) to the innermost side, that is, the connection tab 400 is not coupled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opening OP farthest from the edg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facing the battery cell 200 .

상기 개구부(OP)는 배터리 셀(200)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일 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구부(OP)의 3 면 중에서, 개구부(OP) 양편으로는 접속 탭(400)이 결합되지만, 개구부(OP)의 최내측에는 접속 탭(400)이 결합되지 않는다.The opening OP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side is opened by being drawn in from an edg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facing the battery cell 200 , for example, three sides of the opening OP. Among them, the connection tab 40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P, but the connection tab 400 is not coupled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opening OP.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CP)는, 제1 면(S1) 측의 탭 수용부(R)로부터 절곡되어 개구부(OP)를 관통하며 제2 면(S2) 측으로 연장되어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에 대해 결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CP)가 결착되는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은,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실장되어 있는 소자 실장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탭(400) 중에서, 보호회로모듈(300)의 제1 면(S1) 측에는 탭 수용부(R)와, 탭 수용부(R) 양편의 결합부(C) 중 열 접합부(CT), 그리고, 제2 플레이트(4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탭(400) 중에서,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측에는 결합부(C) 중 체결부(CP)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astening part CP is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art R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passes through the opening OP, and extends toward the second surface S2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t is bound to the second surface (S2) of (300). In this case,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o which the fastening part CP is coupled may correspond to a device mounting surface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E are mounted. Among the connection tabs 400, the first surface (S1)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has a tab receiving portion (R) and a thermal bonding portion (CT) of the coupling portions (C) of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R); Then, the second plate 420 is disposed. And, among the connection tabs 400 , a fastening part CP among the coupling parts C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S2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상기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에는, 배터리 셀(20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소자(300E)들이 배치되므로, 보호회로모듈(300)의 제2 면(S2) 측으로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체결부(CP)가 배치되는 것이, 보호회로모듈(300)의 장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Since a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300E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the battery cell 200 ar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is The arrange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CP occupying a smaller area toward the surface S2 may be more effective in efficiently utiliz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300 .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point can be understood.

100: 프레임 200: 배터리 셀
300: 보호회로모듈 400: 접속 탭
410: 접속 탭의 제1 플레이트 420: 접속 탭의 제2 플레이트
430: 접속 탭의 벤딩부 430`: 절개부
S1: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S2: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R: 탭 수용부 W: 오목부
C: 결합부 CT: 열 접합부
CP: 체결부 CP1: 제1 연장부
CP2: 제2 연장부 CP3: 접촉부
b1,b2: 제1, 제2 절곡부 OP: 보호회로모듈의 개구부
100: frame 200: battery cell
300: protection circuit module 400: connection tap
410: first plate of connection tab 420: second plate of connection tab
430: bending part of the connection tab 430`: cutout
S1: the first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S2: the second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R: tab receiving portion W: concave portion
C: joint CT: thermal joint
CP: fastening part CP1: first extension part
CP2: second extension CP3: contact
b1, b2: first and second bent parts OP: opening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Claims (19)

전극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을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전극 탭과 상기 보호회로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 탭을 수용하는 탭 수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의 결합을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접속 탭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상에 접합되는 열 접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상에 물리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회로모듈에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마주하는 보호회로모듈의 에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열 접합부와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배터리 팩.
a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tab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tab that mediat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includes a tab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tab, and a coupling portion forming a coupling wit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coupling part,
A thermal bonding portion bond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 coupling portion physically fasten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y being drawn in from an edg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facing the battery cell,
The thermal junction part and the fastening part of the coupling part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an incoming direction of the open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수용부와 열 접합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서 제2 면 측으로 연장되어 제2 면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tab receiving part and the thermal bonding part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fastening part extends from the first surface side to the second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is fastened on the seco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수용부와 열 접합부는, 서로 연결되어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tab receiving portion and the thermal bond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am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탭은, 상기 탭 수용부 및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전극 탭이 끼워지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하여 마주하게 절곡되어 상기 전극 탭을 덮어주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tab may include: a first plate including the tab receiv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and
and a second plate bent to face the first plate so that the electrode tab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cover the electrode ta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탭 수용부의 양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b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탭이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편에 결합되고,
상기 탭 수용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면 측에서 현수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2 면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As the connection tab extends across the opening,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tab accommodating part is supported in a suspended state from the first surfac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is exposed to the second surface side through the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결합부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는 상기 열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열 접합부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upl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The thermal bonding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long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thermal bonding por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을 따라 접속 탭의 최내측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을 따라 접속 탭의 양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upling part,
It is not form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connection tab along the inlet direction of the opening,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ab along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인입 방향과 수직한 폭 방향을 따라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along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접속 탭 좌측 단부의 결합부와 우측 단부의 결합부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n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eft end of the connection tab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right end have a symmetrical shape to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접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편에 솔더링 결합되며,
상기 탭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전극 탭과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hermal bonding portion is solder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tab accommodating part is welded to the electrode tab through the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접합부와 체결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1, 제2 면과 각각 서로 다른 이종 결합을 형성하며,
상기 열 접합부는, 고온으로 용융 또는 반용융된 후 고화된 조직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 연장되며, 제2 면 상에 가압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hermal junction part and the fastening part form different heterogeneous couplings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respectively,
The thermal joint includes a solidified tissue after being melted or semi-melted at a high temperature,
The fastening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second surface through the opening, and is in press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탭 수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면을 벗어난 깊이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서 제2 면에 대해 가압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astening part,
a first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tab receiving portion and extending to a depth beyond the second surface;
a second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urface; and
and a contact portion that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t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제2 면 사이의 보호회로모듈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bent parts bent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절곡부는, 상기 제1 면 측의 탭 수용부와 상기 제2 면 측의 접촉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제2 면 사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long a thicknes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between the tab receiving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ide and the contact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side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제2 면 상에는 다수의 전기 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lectrical elements are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한 셀 안착부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 안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further comprising: a frame including a cell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nd a circuit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셀 안착부는, 상기 회로 안착부의 양편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mounting portion.
KR1020170142561A 2017-10-30 2017-10-30 Battery pack KR102426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61A KR102426252B1 (en) 2017-10-30 2017-10-30 Battery pack
PCT/KR2018/009409 WO2019088418A1 (en) 2017-10-30 2018-08-16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61A KR102426252B1 (en) 2017-10-30 2017-10-30 Battery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67A KR20190048067A (en) 2019-05-09
KR102426252B1 true KR102426252B1 (en) 2022-07-28

Family

ID=6633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61A KR102426252B1 (en) 2017-10-30 2017-10-30 Battery pac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6252B1 (en)
WO (1) WO2019088418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183B1 (en) * 2006-02-09 2008-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PCM of Assembling Type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108445B1 (en) * 2007-07-04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of Mechanical Connection of Secondary Battery and Connecting Member therefore
KR101658526B1 (en) * 2013-12-13 2016-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Hav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s with Over Voltage Protection Structure
KR102284485B1 (en) * 2014-09-29 2021-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1834506B1 (en) * 2015-03-27 201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18A1 (en) 2019-05-09
KR20190048067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7244B2 (en) battery pack
JP7106675B2 (en) Battery module with connector mounted on FPCB,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bile
US9112202B2 (en) Battery module
JP7045592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ntaining it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JP7069312B2 (en) Battery pack with connection plate
US9673437B2 (en) Battery pack
JP7128287B2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with improved energy densit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utomobile
JP2020520060A (en) Battery module having an initial pressing force strengthening structure for a cel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083831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ntaining it and car containing this battery pack
JP5490027B2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579359A2 (en) Battery pack having compact structure
US11031648B2 (en) Battery pack
WO2013132978A1 (en) Assembled battery
KR20130139472A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CN111295794B (en) Battery pack
KR20180132338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5396422B2 (en) Secondary battery
KR102426252B1 (en) Battery pack
KR102384022B1 (en) Battery pack
JP7137020B2 (en) Battery pack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connection plates and automobiles
KR20220011431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90864B1 (en) Secondary battery
KR20210011641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514511B1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20328946A1 (e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