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133B1 -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 Google Patents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133B1
KR102426133B1 KR1020200052636A KR20200052636A KR102426133B1 KR 102426133 B1 KR102426133 B1 KR 102426133B1 KR 1020200052636 A KR1020200052636 A KR 1020200052636A KR 20200052636 A KR20200052636 A KR 20200052636A KR 102426133 B1 KR102426133 B1 KR 10242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emporal lobe
main body
infrared spectroscopy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697A (ko
Inventor
김재원
김재관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5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서, 피검사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신호획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측두엽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측두엽 기능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측두엽의 기능에 대한 보다 정확성이 높은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Near-infrared spectroscopy probe for measuring temporal lobe function}
본 발명은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에게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측두엽을 검사할 수 있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뇌는 좌우반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각기 크게 4개의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으로 나누어진다. 머리의 옆에 해당하는 왼쪽 측두엽은 청각적 단어, 숫자, 음성언어 등의 지각과 변별 및 저장에 관여하며, 오른쪽 측두엽은 시각적 단어나 패턴등의 지각과 변별 및 저장에 관여한다.
뇌의 손상으로 인한 뇌의 고위기능 장애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안된 시스템은 전무하며, 단지 기능적 이상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평가 시스템은 시각과 관련한 주의력 검사를 위하여 동그라미, 세모, 네모 등의 형상의 고정된 목표 자극을 모니터의 중앙에 일정 간격으로 제시하거나, 청각적 주의력의 검사를 위하여 한번, 두번, 세번의 리듬중 목표 자극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모든 평가 시스템은 일정한 검사 조건 하에서 행해진 수행 결과(performance)를 한시적으로 축적하여 얻어진 비교 그룹(normal group)의 수치와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정도에 국한되어 왔다. 즉, 뇌의 부위별 기능과의 관련성 보다는 외적으로 발현되는 특정 행동을 측정한 결과 수치를 정상인 그룹에 대하여한시적으로 채집한 규준치와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더 이상의 새로운 기능 탐색은 물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반응패턴의 시간적 변화의 과정 등을 분석하기가 불가능하고, 세월이 경과함에 따라 달라지는 그룹의 규준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년마다 비교 그룹을 다시 채집해야하는 등 연구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41080호: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검사자의 측두엽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측두엽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신호획득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피검사자의 귓구멍 속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인입부재를 구비하나.
상기 신호획득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향되는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측정유닛과,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제2측정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측정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에 대향되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재와,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로부터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제1수신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2측정유닛은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재와,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에서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는 제2수신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청각 자극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청각 자극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1스피커와,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에서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2스피커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피커는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며, 기입력된 소리 정보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된 고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측정유닛은 상기 고리부재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제2스피커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인입부재에,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 피부에 접하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근적외선 신호가 상기 메인바디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되는 제1광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광반사 방지층은 상기 제1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메인바디 표면을 무광처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근적외선 신호가 상기 인입부재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되는 제2광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광반사 방지층은 상기 제2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인입부재 표면을 무광처리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상기 신호획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응신호를 수집하는 측정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조사부재를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되,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는 반응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측두엽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측두엽 기능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측두엽의 기능에 대한 보다 정확성이 높은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의 착용 상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100)는 피검사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신호획득부(300)와,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는 청각 자극부(400)와, 상기 신호획득부(300)에서 획득된 상기 반응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측정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210)와, 상기 피검사자의 귓구멍 속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0)에 형성된 인입부재(220)를 구비한다.
메인바디(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로드(211)와, 상기 연장로드(2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된 고리부재(212)를 구비한다.
연장로드(211)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로드(211)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재(212)는 연장로드(211)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되, 피검사자의 귓등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리부재(212)는 피검사자의 피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후술되는 신호획득부(300)의 제1측정유닛(310)이 설치된다.
또한, 고리부재(212)는 상기 제1측정유닛(310)에서 발생된 근적외선 신호가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광반사 방지층(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광반사 방지층(213)은 제1측정유닛(310)에 인접된 영역의 고리부재(212)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광반사 방지층(213)은 고리부재(212) 외주면에, 흑색으로 무광처리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광반사 방지층(213)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흑색의 무광성을 가진 세라믹 재질 또는 고무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1광반사 방지층(213)이 고리부재(212)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로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인입부재(220)는 메인로드의 하단부에, 메인로드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인입부재(220)는 단부가 피검사자의 귓구멍으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메인로드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220)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재(220)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신호획득부(300)의 제2측정유닛(320) 및 청각 자극부(400)의 제2스피커(40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입부재(220)는 상기 제2측정유닛(320)에서 발생된 근적외선 신호가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광반사 방지층(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광반사 방지층(221)은 제2측정유닛(320)에 인접된 영역의 인입부재(220)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광반사 방지층(221)은 인입부재(220) 단부 외주면, 흑색으로 무광처리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2광반사 방지층(22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흑색의 무광성을 가진 세라믹 재질 또는 고무소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인입부재(220)는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폐부재(2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폐부재(222)는 상기 제2스피커(402)로부터 상기 메인바디(210)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인입부재(220)에,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 피부에 접하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차폐부재(222)는 상기 인입부재(220)의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차폐부재(222)에 의해 외부소음이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2스피커(402)에 출력되는 청각 자극이 보다 용이하게 피검사자에 제공된다.
신호획득부(300)는 상기 메인바디(210)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210)에 대향되는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다수의 제1측정유닛(310)과, 상기 인입부재(220)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제2측정유닛(3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측정유닛(310)은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에 대향되는 상기 메인바디(210)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재(311)와,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로부터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210)에 설치되는 제1수신부재(312)를 구비한다.
제1조사부재(311)는 피검사자의 머리에 대향되는 메인바디(210)의 고리부재(212)에 설치되며, 측두엽에 대응되는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로 근적외선 신호 즉, 근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730nm 파장 또는 850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LED가 적용된다.
제1수신부재(312)는 제1조사부재(311)에 인접된 위치의 고리부재(212)에 설치된다. 상기 제1수신부재(312)는 제1조사부재(311) 또는 후술되는 제2측정유닛(320)의 제2조사부재(321)에서 조사된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피검사자의 측두엽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응신호 즉, 혈류역학적 fNIR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센서가 적용된다. 해당 제1수신부재(312)는 수신한 반응신호를 측정제어부(500)에 전송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복수의 제1측정유닛(310)이 고리부재(212)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측정유닛(31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고리부재(2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유닛(320)은 상기 인입부재(220)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재(321)와,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에서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부재(220)에 설치되는 제2수신부재(322)를 구비한다.
제2조사부재(321)는 피검사자의 귓구멍으로 삽입되는 인입부재(220)의 단부에 설치되며, 측두엽 측으로 근적외선 신호 즉, 근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730nm 또는 850nm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LED가 적용된다. 이때, 제2조사부재(321)는 고막이 아니라 측두엽 측으로 근적외선 신호가 조사되도록 인입부재(220)의 상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신부재(322)는 제2조사부재(321)에 인접된 위치의 인입부재(220) 상측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수신부재(322)는 제1조사부재(311) 또는 제2조사부재(321)에서 조사된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피검사자의 측두엽으로부터 출력되는 반응신호 즉, 혈류역학적 fN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센서가 적용된다. 해당 제2수신부재(322)는 수신한 반응신호를 측정제어부(500)에 전송한다.
청각 자극부(400)는 상기 메인바디(210)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1스피커(401)와, 상기 인입부재(220)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에서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2스피커(40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피커(401)는 메인바디(210)의 고리부재(212)에 설치되는데, 피검사자의 피부에 대향되는 고리부재(212)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스피커(401)는 제1광반사 방지층(213)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피커(401)는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0)에 설치되며, 기입력된 소리 정보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스피커(402)는 인입부재(2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구멍 속에서 기입력된 소리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2스피커(402)는 제2광반사 방지층(221)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리 정보는 음악과 함께 40Hz의 소리 자극이 포함된다.
상기 측정제어부(500)는 상기 신호획득부(300)를 제어하여 상기 반응신호를 수집한다. 측정제어부(500)는 피검사자가 본체(200)를 착용한 다음 검사자로부터 검사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청각자극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조사부재(311,321)를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되,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수신부재(312,322)를 통해 수신되는 반응신호를 수집한다.
일예로, 측정제어부(500)는 청각자극부가 작동된 다음,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인입된 제2조사부재(321)를 작동시키고, 제1 및 제2수신부재(312,322)에서 수신된 반응신호를 수집한다. 다음, 측정제어부(500)는 제2조사부재(321)를 정지시키고, 제1조사부재(311)들 중 하나를 작동시킨 다음, 제1 및 제2수신부재(312,322)에서 수신된 반응신호를 수집한다. 다음, 측정제어부(500)는 작동된 제1조사부재(311)를 정지시키고, 제1조사부재(311)들 중 다른 하나를 작동시킨 다음, 제1 및 제2수신부재(312,322)에 수신된 반응신호를 수집한다.
상기 측정제어부(500)는 수신된 반응신호를 관리서버 또는 검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100)는 피검사자의 측두엽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측두엽 기능을 검사할 수 있으므로 측두엽의 기능에 대한 보다 정확성이 높은 검사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200: 본체
210: 메인바디 211: 연장로드
212: 고리부재 213: 제1광반사 방지층
220: 인입부재 221: 제2광반사 방지층
222: 차폐부재 300: 신호획득부
310: 제1측정유닛 311: 제1조사부재
312: 제1수신부재 320: 제2측정유닛
321: 제2조사부재 322: 제2수신부재
400: 청각 자극부 401: 제1스피커
402: 제2스피커 500: 측정제어부

Claims (17)

  1. 피검사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인접된 피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로 상기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신호획득부;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 및
    상기 피검사자의 귓구멍 속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인입부재;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획득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향되는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측정유닛; 및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제2측정유닛;을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인접된 피부에 대향되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에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재; 및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머리로부터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제1수신부재;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유닛은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재; 및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에서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는 제2수신부재;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6. 피검사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획득하는 신호획득부; 및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청각 자극부;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 및
    상기 피검사자의 귓구멍 속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인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청각 자극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에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1스피커; 및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에서 청각 자극을 인가하는 제2스피커;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상기 피검사자의 피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며, 기입력된 소리 정보를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로드; 및
    상기 연장로드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자의 귀에 걸릴 수 있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게 형성된 고리부재;를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유닛은 상기 고리부재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으로 외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제2스피커로부터 상기 메인바디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인입부재에, 상기 피검사자의 귓속 피부에 접하도록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근적외선 신호가 상기 메인바디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되는 제1광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반사 방지층은 상기 제1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메인바디 표면을 무광처리하여 형성된,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근적외선 신호가 상기 인입부재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인입부재에 형성되는 제2광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반사 방지층은 상기 제2측정유닛에 인접된 영역의 상기 인입부재 표면을 무광처리하여 형성된,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획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반응신호를 수집하는 측정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측정유닛은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으로 상기 근적외선 신호를 조사하는 제2조사부재; 및
    상기 근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측두엽 측에서 출력되는 반응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입부재에 설치되는 제2수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조사부재를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되,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수신부재를 통해 수신되는 반응신호를 수집하는,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KR1020200052636A 2020-04-29 2020-04-29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KR10242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36A KR102426133B1 (ko) 2020-04-29 2020-04-29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36A KR102426133B1 (ko) 2020-04-29 2020-04-29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697A KR20210133697A (ko) 2021-11-08
KR102426133B1 true KR102426133B1 (ko) 2022-07-27

Family

ID=7848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636A KR102426133B1 (ko) 2020-04-29 2020-04-29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1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8089A (ja) 2017-03-23 2018-10-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脳波測定装置及び脳波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80B1 (ko) 1999-12-30 2002-06-20 이영란 뇌기능 장애 검사/평가/훈련 시스템
KR20100014752A (ko) * 2009-12-23 2010-02-11 정기삼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KR20140068629A (ko) *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라온소닉 무통증 이어폰
KR20140112989A (ko) *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80074534A (ko) * 2016-12-23 2018-07-03 쁘랑누아 과기 (베이징) 유한공사 이어후크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1815B1 (ko) * 2017-01-25 2019-02-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귀 착용형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8089A (ja) 2017-03-23 2018-10-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脳波測定装置及び脳波測定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nsoo Ha and Hoi-Jun Yoo, An EEG-NIRS Ear-Module SoC for Wearable Drowsiness Monitoring System, IEEE Asian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Toyama, Japan(2016.11.7~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697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2481C (zh) 用于诊断脑干病症的系统和方法
KR102037970B1 (ko) 뇌파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및 방법
JP6596089B2 (ja) アレルギー検査で使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DE60135496D1 (de) Verbessertes verfahren und verbesserte vorrichtung zur erfassung und diagnose von krankheiten unter verwendung von elektrischer impedanz
US20210369147A1 (en) Multimodal Neuroimaging-Based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innitus
Lee et al. Dipole source localization of mouse electroencephalogram using the fieldtrip toolbox
Zhang et al. Application of EEG in migraine
KR102426133B1 (ko) 측두엽 기능 측정용 근적외선 분광 기법 프로브
CN115844393A (zh) 基于近红外数据的焦虑障碍评估装置和焦虑障碍评估系统
KR102239984B1 (ko) 휴지기 뇌파를 이용한 뇌전증 진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20482A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행동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13855012B (zh) 一种近红外光谱成像系统及其应用
KR101095302B1 (ko) 부위별 시신경 두께 패턴을 이용한 시신경질환 자동진단 프로그램장치 및 그 프로그램방법
US20220211308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function, a method and a program for measuring biological function
US20240074691A1 (en) Devices,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electroretinography
CA2866415C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etermination of a brain response state
KR102540660B1 (ko) 다중 생체신호 기반 노인성 인지장애 진단 방법 및 장치
Bueno-Junior et al. REM sleep has minute-scale rhythms in mice and humans: A non-binary continuum between phasic and tonic microstates
Zhang et al. Adaptation of stimulation duration to enhance auditory response in fNIRS block design
Burns-Yocum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image quality of sparse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vs high-density diffuse optical tomography
Zhang et al. 0311 Automated Apnea and Hypopnea Event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Atchuthan et al. Classification of noxious and non-noxious event-related potentials from S1 in pig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117457189A (zh) 一种用于耳迷走神经刺激治疗的疗效预测装置
RU2017146507A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эпилепсии
CN116616764A (zh) 菱形高分辨率近红外光谱脑功能成像头帽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