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25B1 -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25B1
KR102425625B1 KR1020200048736A KR20200048736A KR102425625B1 KR 102425625 B1 KR102425625 B1 KR 102425625B1 KR 1020200048736 A KR1020200048736 A KR 1020200048736A KR 20200048736 A KR20200048736 A KR 20200048736A KR 102425625 B1 KR102425625 B1 KR 10242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e
ocarina
light source
hol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473A (ko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102020004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손잡이용 홀이 형성된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손잡이용 홀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밀폐형 공간 내부에 오카리나가 안착될 수 있는 오카리나 안착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의 결합 시 제 1 및 손잡이용 홀 및 제 2 손잡이용 홀이 결합되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오카리나가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에 안착될 때의 상기 오카리나의 취구의 위치와 대향하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구의 소독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광원 동작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POTABLE OCARINA STERILIZER}
본 발명은 오카리나를 휴대함과 동시에 오카리나의 취구를 소독할 수 있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오카리나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폐관악기로서 내부에 울림공간이 형성되고 울림공간과 연통되는 취구, 소리구멍 및 복수개의 운지공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운지공을 파지하고 취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으면 울림공간으로 불어넣어진 공기가 울림공간 내부에서 진동과 반사되면서 개방된 운지공과 소리구멍을 통해 일정 음을 발생시켜 연주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오카리나는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때 생성되는 침 등의 타액을 흡수해야만 소리가 제대로 발생되기 때문에 대부분 흙을 주원료로 하여 도자기식으로 제작되나, 흙으로 빚어 제작되는 오카리나는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사용 중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뿐 아니라 제작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오카리나가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 오카리나는 취구에서 발생되는 침고임 현상에 의해 연주를 중단하고나 악기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뿐만 아니라 침고임으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카리나의 취구를 살균하기 위한 오카리나 소독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20-2008-0004650 U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 및 광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카리나의 취구 및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오카리나 안착부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오카리나를 휴대 시 흔들림 없이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제 1 손잡이용 홀이 형성된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손잡이용 홀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밀폐형 공간 내부에 오카리나가 안착될 수 있는 오카리나 안착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의 결합 시 제 1 및 손잡이용 홀 및 제 2 손잡이용 홀이 결합되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오카리나가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에 안착될 때의 상기 오카리나의 취구의 위치와 대향하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구의 소독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광원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는 상기 광원부와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오목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구용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용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하측면과 바닥면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되,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제 2 하우징케이스간의 결합 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좌우측면에 인접한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오카리나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움직임 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은 상기 오카리나 안착 시 상기 오카리나의 운지공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된 오카리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광원부 및 광원 동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 동작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 스위치와, 상기 광원부와 광원 동작부간을 연결시켜 상기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건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에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의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 동작부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픈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동작 스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홀 및 제 2 홀을 구비하며, 측면에 고정용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내부 커버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스위치 및 동작 스위치는 제 1 홀 및 제 2 홀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제 2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 2 하우징케이스가 결합 시 상기 제 2 홀을 통해 돌출되는 동작 스위치를 눌러 상기 광원부와 상기 광원 동작부를 연결시키는 스위칭 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광원부가 삽입된 제 1 고정부재의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간의 결합 시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취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자외선 LED 램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LED 램프는 240nm 내지 290nm의 파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LED 램프에는 내부에 상기 광원부의 자외선 광에 따라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에 상기 광원부가 동작 중일 때 상기 형광물질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용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 및 광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를 제공함으로써, 오카리나를 휴대하면서 오카리나의 취구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카리나의 취구 및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의 오카리나 안착부를 갖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오카리나를 휴대 시 흔들림 없이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광원부 및 광원 동작부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내부 커버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하우징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안착되는 오카리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안착되는 오카리나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여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광원부 및 광원 동작부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내부 커버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하우징케이스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안착되는 오카리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안착되는 오카리나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 제 2 하우징케이스(200) 및 손잡이(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는 제 1 손잡이용 홀(110)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케이스(200)는 제 1 손잡이용 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손잡이용 홀(210)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300)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결합 시 제 1 손잡이용 홀(110) 및 제 2 손잡이용 홀(21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는 힌지 결합되어 밀폐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걸림턱(102) 및 걸림편(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02)은 광원부(130)가 삽입된 제 1 고정부재(131)의 인접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202)은 걸림턱(102)에 대응되는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간의 결합 시 걸림편(202)이 걸림턱(10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에는 밀폐형 공간 내부에 오카리나(10)가 안착될 수 있는 오카리나 안착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오카리나 안착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은 광원부(130)와 인접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오카리나(10)의 취구(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오카리나(10)의 몸체(14)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에 안착된 오카리나(1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126)는 오카리나(10) 안착 시 오카리나(10)의 운지공(16)에 대응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카리나 안착부(120)는 두 개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 및 세 개의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카리나 안착부(120)가 두 개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을 가질 때, 각각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오카리나(10)의 취구(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다른 높이 및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은 광원부(1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130)와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갈수록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의 중앙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30)와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갈수록 취구용 지지프레임(122)의 곡률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오카리나 안착부(120)가 세 개의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을 가질 때, 각각의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오카리나(10)의 몸체(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다른 길이, 높이 및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취구용 지지프레임(122)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오카리나(10)의 취구(12)의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상측, 중앙 및 하측 높이는 모두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중앙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측 높이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 및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하측 높이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하측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 및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하측 높이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상측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곡률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곡률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 및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곡률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에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까지 이격된 거리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에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우측면에 가깝게 위치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까지 이격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밀폐형 공간 내부에 오카리나(10)가 안착될 때, 오카리나(10)의 취구(12)와 광원부(130)가 가까이 위치하도록 오카리나(10)를 고정하여 취구(12)의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2 하우징케이스(200)에는 오카리나 안착부(120)에 안착된 오카리나(10)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움직임 제한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움직임 제한부재(220)는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내부 하측면과 바닥면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되, 제 1 하우징케이스(100)와 제 2 하우징케이스(200)간의 결합 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내부 좌우측면에 인접한 몸체용 지지프레임(124)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카리나 안착부(120)의 취구용 지지프레임(122) 및 몸체용 지지프레임(124)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움직임 제한부재(220)는 제 2 하우징케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광원부(130), 광원 동작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오카리나(10)의 취구(12)의 소독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광원부(130)는 오카리나(10)가 오카리나 안착부(120)에 안착될 때의 오카리나(10)의 취구(12)의 위치와 대향하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부(130)는 240nm 내지 29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자외선 LED 램프일 수 있다.
자외선 LED 램프는 내부에 광원부(130)의 자외선 광에 따라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제 2 하우징케이스(200)에 광원부(130)가 동작 중일 대 형광물질의 발광에 따라 발생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용 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동작부(140)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가 결합됨에 따라 광원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광원 동작부(140)는 제 1 손잡이용 홀(110) 및 광원부(130)와 이웃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동작부(140)는 전원 공급부(150)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 스위치(142) 및 광원부(130)와 광원 동작부(140)를 연결시켜 광원부(130)를 동작시키는 동작 스위치(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42)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의 전원을 ON 또는 OFF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동작 스위치(144)는 전원 스위치(142)가 ON 상태일 때,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가 결합됨에 따라 전원 공급부(150) 및 광원부(130)를 연결시켜서 광원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1하우징케이스(100) 및 제2하우징케이스(200)가 결합 해제됨에 따라 전원 공급부(150) 및 광원부(130)를 연결 해제시켜서 광원부(130)에 전원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광원부(130) 및 광원 동작부(14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건전지일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50)는 제 1 손잡이용 홀(110) 및 광원 동작부(140) 인근에 설치되며, 광원 동작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제 1 손잡이용 홀(110)에 인접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수납부(152)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서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제 1 고정부재(131), 제 2 고정부재(141), 내부 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재(131)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광원부(130)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재(141)는 제 1 손잡이용 홀(110)의 인접한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광원 동작부(140)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커버(160)는 제 1 고정부재(131) 및 제 2 고정부재(141)를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며, 광원부(130)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픈되고, 전원 스위치(142)에 대응되는 부분 및 동작 스위치(144)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홀(162) 및 제 2 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스위치(142) 및 동작 스위치(144)는 제 1 홀(162) 및 제 2 홀(164)을 통해 돌출되며, 제 2 홀(164)에 대응되는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바닥면에는 스위칭 누름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의 결합 시 스위칭 누름부(240)가 제 2 홀(164)을 통해 돌출되는 동작 스위치(144)를 눌러 광원부(130)와 광원 동작부(1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내부 커버(160)의 측면에는 고정용 가이드부재(166)가 형성되고,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결합부재(10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커버(160)의 고정용 가이드부재(166)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결합부재(106)에 결합됨으로써 내부 커버(160)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커버(160)의 고정용 가이드부재(166)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결합부재(106)에 결합 해제됨으로써 내부 커버(160)가 제 1 하우징케이스(100)의 바닥면과 분리될 수 있다.
내부 커버(160)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200)와 같은 소재일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 1 하우징케이스
102 : 걸림턱
106 : 결합부재
110 : 제 1 손잡이용 홀
120 : 오카리나 안착부
122 : 취구용 지지프레임
124 : 몸체용 지지프레임
126 : 돌기
130 : 광원부
131 : 제 1 고정부재
140 : 광원 동작부
141 : 제 2 고정부재
142 : 전원 스위치
144 : 동작 스위치
150 : 전원 공급부
152 : 배터리 수납부
160 : 내부 커버
162 : 제 1 홀
164 : 제 2 홀
166 : 고정용 가이드부재
200 : 제 2 하우징케이스
202 : 걸림편
210 : 제 2 손잡이 홀
220 : 움직임 제한부재
230 : 확인용 홀
240 : 스위칭 누름부
300 : 손잡이

Claims (13)

  1. 제 1 손잡이용 홀이 형성된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손잡이용 홀을 구비하는 제 2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밀폐형 공간 내부에 오카리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구용 지지프레임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몸체용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오카리나 안착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의 결합 시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 및 제 2 손잡이용 홀이 결합되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오카리나가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에 안착될 때의 상기 오카리나의 취구의 위치와 대향하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취구의 소독을 위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 및 제 2 하우징케이스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광원 동작부와,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하측면과 바닥면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되,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제 2 하우징케이스간의 결합 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내부 좌우측면에 인접한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카리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오카리나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움직임 제한부재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의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 동작부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를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광원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오픈되고, 측면에 고정용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내부 커버와,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취구용 지지프레임은 상기 광원부와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은,
    상기 오카리나의 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각 다른 길이, 높이 및 곡률을 가지되,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중앙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오카리나 안착 시 상기 오카리나의 운지공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용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된 오카리나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고정용 가이드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용 가이드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 해제를 통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광원부 및 광원 동작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 동작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 스위치와,
    상기 광원부와 광원 동작부간을 연결시켜 상기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건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기 제 1 손잡이용 홀에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는 상기 전원 스위치에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동작 스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홀 및 제 2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 스위치 및 동작 스위치는 상기 제 1 홀 및 제 2 홀을 통해 돌출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는,
    상기 광원부가 삽입된 제 1 고정부재의 인접한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케이스와 상기 제 2 하우징케이스간의 결합 시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취구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되, 240nm 내지 290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자외선 LED 램프인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48736A 2020-04-22 2020-04-22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KR10242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36A KR102425625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36A KR102425625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473A KR20210130473A (ko) 2021-11-01
KR102425625B1 true KR102425625B1 (ko) 2022-07-26

Family

ID=7851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36A KR102425625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115Y1 (ko) * 2006-08-04 2006-10-17 이필국 칫솔 및 젓가락 겸용 휴대용 살균기
KR200445190Y1 (ko) * 2009-03-11 2009-07-06 김재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650U (ko) 2007-04-11 2008-10-15 나정현 살균 기능이 있는 악기케이스
KR101688044B1 (ko) * 2014-04-24 2016-12-20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115Y1 (ko) * 2006-08-04 2006-10-17 이필국 칫솔 및 젓가락 겸용 휴대용 살균기
KR200445190Y1 (ko) * 2009-03-11 2009-07-06 김재준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473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7113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38499B2 (en) Electronic gadget disinfection
KR200445190Y1 (ko)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및 리드 살균소독 및 탈습기
KR10170583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ATE442870T1 (de) Flaschenauswurfmechanismus für bedufter
KR101595806B1 (ko) 살균 기능 및 뱀프 변형 방지 기능을 갖는 리드 보관 케이스
KR102425625B1 (ko) 휴대용 오카리나 소독기
US20210338853A1 (en) Portable finger disinfection apparatus
JP2010282791A (ja) ファン付除菌照明装置
KR101503774B1 (ko) 이·미용기기용 살균소독장치
JP2005111034A (ja) 歯ブラシの滅菌装置
US6972416B2 (en) Disinfecting and desiccating container for personal sanitary articles
KR102342246B1 (ko) 다기능 악기 소독기
KR102231960B1 (ko) 오카리나 살균케이스
KR200387227Y1 (ko) 컴팩트 보청기 건조장치
KR200391490Y1 (ko)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살균기
KR102564525B1 (ko) 필기구용 살균장치
JP2012018759A (ja) 床面埋設型誘導灯装置
CN213583066U (zh) 一种吹奏乐器消毒盒
JP2022029099A (ja) 除菌装置および除菌システム
JP2020171406A (ja) 光触媒装置
KR102287606B1 (ko) 모바일 기기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스테이션 충전 장치
KR102628677B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
JP2020171405A (ja) 脱臭装置
JP4728924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