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241B1 - 캔용기 - Google Patents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241B1
KR102425241B1 KR1020210142380A KR20210142380A KR102425241B1 KR 102425241 B1 KR102425241 B1 KR 102425241B1 KR 1020210142380 A KR1020210142380 A KR 1020210142380A KR 20210142380 A KR20210142380 A KR 20210142380A KR 102425241 B1 KR102425241 B1 KR 10242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container
lower ring
bottle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준
Original Assignee
성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준 filed Critical 성민준
Priority to KR102021014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241B1/ko
Priority to PCT/KR2022/014673 priority patent/WO20230751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 B65D2517/0004Location of opening in can base, i.e. the part on which the containe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면서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캔용기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는 상부에만 토출구(11)가 형성된 종래의 캔용기와 달리,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당겨 하판(30)을 넓게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캔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세척할 때, 상기 하부덮개(33)를 개방함으로써, 캔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캔용기{can bottle}
본 발명은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면서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음료나 기타 식품 등을 담는데 사용되는 캔용기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캔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를 담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캔용기는 상면이 토출구(11)가 형성된 금속재의 용기본체(10)와, 상기 토출구(11)에 결합된 마개(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개(20)는 상기 토출구(11)에 나사결합되어, 사용자가 마개(20)를 회전시켜 토출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캔용기는 상기 토출구(11)의 크기가 작아서 내부에 있는 음료가 천천히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러한 캔용기는 세척후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캔용기는 토출구(11)의 크기가 작아서 캔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음료용 캔용기뿐 아니라, 상면에 절취선(31)에 의해 개방되는 뚜껑 구비된 음료용 또는 음식물용 캔용기, 즉 통조림 용기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캔용기는 바닥면이 평면을 이루거나 둘레부에 비해 바닥면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된다.
공개특허 10-2015-000071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캔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구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의 하측면에는 절취선(31)에 의해 구획된 하부덮개(3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 결합된 하부고리부재(34)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손으로 잡고 하부덮개(33)를 당겨 절취선(31)에 의해 구획된 하부덮개(33)를 뜯어냄으로써, 하측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캔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캔용기는 하측면이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측면에 결합된 하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31)은 상기 하판(30)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4a)이 형성되고 기단부에 근접되는 위치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벳(34b)에 의해 상기 하판(3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가 상기 하판(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판(3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는 보조절개선(35)에 의해 구획된 개방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6)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키면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위치되는 부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킨 후 하부고리부재(34)를 회동시키면,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가 개방부(36)를 가압하여 하부덮개(33)의 중간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덮개(33)에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37)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37)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킬 때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부(37)를 타고 올라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는 상부에만 토출구(11)가 형성된 종래의 캔용기와 달리,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당겨 하판(30)을 넓게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캔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세척할 때, 상기 하부덮개(33)를 개방함으로써, 캔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용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요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하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제2 실시예의 하측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재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캔용기는 상면이 토출구(11)가 형성되고 금속재의 용기본체(10)와, 상기 토출구(11)에 결합된 마개(2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측면에 결합된 하판(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판(30)은 둘레부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판(30)의 둘레부에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캔용기의 하측면에는 절취선(31)에 의해 구획된 하부덮개(3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는 하부고리부재(34)가 결합된다.
상기 절취선(31)은 상기 하판(30)의 상기 하판(30)의 둘레부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덮개(33)의 면적이 최대한 넓게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4a)이 형성되고 기단부에 근접되는 위치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벳(34b)에 의해 상기 하판(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선단부가 하부덮개(33)의 내측을 향하고 기단부가 하부덮개(33)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캔용기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관통공(34a)에 손가락을 걸고 하부고리부재(34)를 당기면,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가 하부덮개(33)를 눌러 기단부쪽의 절취선(31)이 절취되도록 하며, 절취선(31)의 일측이 절취된 상태에서 하부고리부재(34)를 상측으로 당기면 절취선(31)이 절취되면서 하부덮개(33)가 하판(30)으로부터 탈락되어, 하판(30)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인 깡통을 따는 방법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캔용기는 상부에만 토출구(11)가 형성된 종래의 캔용기와 달리,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당겨 하판(30)을 넓게 개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캔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해 세척할 때, 상기 하부덮개(33)를 개방함으로써, 캔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캔용기는 상면이 토출구(11)가 형성되고 금속재의 용기본체(10)와, 상기 토출구(11)에 결합된 마개(2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측면에 결합된 하판(30)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캔용기는 도 5에 도시한 음식용 캔용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팸통조림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캔용기는 상하측이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하측면에 결합된 상판(40)과 하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40)에는 상부덮개(41)와 상부고리부재(42)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리부재(42)를 당겨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가 상기 하판(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판(3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는 보조절개선(35)에 의해 구획된 개방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절개선(35)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개방부(36)의 일측이 하부덮개(33)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36)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키면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위치되는 부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33)에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37)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7)는 상기 하부덮개(33)를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킬 때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부(37)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캔용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캔용기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부(37)를 타고 올라가서, 하부고리부재(34)가 하측으로 돌출된 하판(30)의 돌출부(32)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고리부재(34)의 관통공(34a)에 손가락을 걸고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를 상측으로 당기면,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가 상기 개방부(36)를 하측으로 눌러, 보조절개선(35)이 절개되도록 하며, 하부고리부재(34)를 충분히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개방부(36)가 하측으로 눌리면서 상기 하부덮개(33)의 중간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을 통해 캔용기의 내부 상측으로 공기가 공급됨으로, 캔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스팸이 간단하게 캔용기에서 하측으로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캔용기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이용하여 개방부(36)를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즉, 스팸을 손쉽게 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용기본체 20. 마개
30. 하판 40. 상판

Claims (4)

  1.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상기 상면보다 더 넓은 금속재로 구성된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의 하측면에는 절취선(31)에 의해 구획된 하부덮개(33)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 결합된 하부고리부재(34)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손으로 잡고 하부덮개(33)를 당겨 절취선(31)에 의해 구획된 하부덮개(33)를 뜯어냄으로써, 하측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캔용기는
    하측면이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하측면에 결합된 하판(30)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31)은 상기 하판(30)의 둘레부에 근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4a)이 형성되고 기단부에 근접되는 위치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벳(34b)에 의해 상기 하판(3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리부재(34)는 기단부가 상기 하판(3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판(3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덮개(33)에는 보조절개선(35)에 의해 구획된 개방부(36)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6)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키면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위치되는 부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킨 후 하부고리부재(34)를 회동시키면,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가 개방부(36)를 가압하여 하부덮개(33)의 중간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33)에는 상기 하부고리부재(34)의 기단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37)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37)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부고리부재(34)를 180도 회전시킬 때 하부고리부재(3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부(37)를 타고 올라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KR1020210142380A 2021-10-25 2021-10-25 캔용기 KR10242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80A KR102425241B1 (ko) 2021-10-25 2021-10-25 캔용기
PCT/KR2022/014673 WO2023075184A1 (ko) 2021-10-25 2022-09-29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80A KR102425241B1 (ko) 2021-10-25 2021-10-25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241B1 true KR102425241B1 (ko) 2022-07-27

Family

ID=8270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380A KR102425241B1 (ko) 2021-10-25 2021-10-25 캔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5241B1 (ko)
WO (1) WO2023075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84A1 (ko) * 2021-10-25 2023-05-04 성민준 캔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945A (ja) * 1995-10-04 1997-04-15 Nkk Corp 開缶性に優れた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90002093U (ko) * 2007-08-30 2009-03-04 김효진 양방 모두 딸 수 있는 캔 포장 개선방법
US20140263320A1 (en) * 2013-03-12 2014-09-18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KR20150000711A (ko) 2013-06-25 2015-01-05 주식회사 아이비텍 음료수 캔따개
US20210309408A1 (en) * 2020-04-03 2021-10-07 David Dahl Container for liqui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241B1 (ko) * 2021-10-25 2022-07-27 성민준 캔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945A (ja) * 1995-10-04 1997-04-15 Nkk Corp 開缶性に優れた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KR20090002093U (ko) * 2007-08-30 2009-03-04 김효진 양방 모두 딸 수 있는 캔 포장 개선방법
US20140263320A1 (en) * 2013-03-12 2014-09-18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KR20150000711A (ko) 2013-06-25 2015-01-05 주식회사 아이비텍 음료수 캔따개
US20210309408A1 (en) * 2020-04-03 2021-10-07 David Dahl Container for liqu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84A1 (ko) * 2021-10-25 2023-05-04 성민준 캔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184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00982A (en) Bottle cap
US20060151421A1 (en) Closure with push type opener
KR2010011946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425241B1 (ko) 캔용기
BG62765B1 (bg) Контейнер, по-специално за напитки
US10843853B2 (en) Resealable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concealed electronic device
US3049264A (en) Sanitary removable covers for containers
US2619255A (en) Sealed metallic container
KR101135033B1 (ko) 액체 용기용 캡
US4205759A (en) Closure having vent means for liquids under pressure
JP2007526178A (ja) 再封可能な小出し容器
US4200198A (en) Can top opener
KR200174444Y1 (ko) 토출구 경사각을 갖는 음료 용기
US3557999A (en) Push-button self-opener can
KR100537942B1 (ko) 캔용기의 오프너용 탭어셈블리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210000791U (ko) 이액 음료 용기캔
KR20190000110U (ko) 이액 음료 용기캔
KR200210336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JP2023079929A (ja) 飲料容器の蓋構造及び飲料容器
KR20100120064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240113312A (ko) 식료품용 캔
KR20110058992A (ko) 캔 용기의 유출구 개폐장치
JP4002330B2 (ja) 分別機能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