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481B1 - 3D Printer - Google Patents

3D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481B1
KR102424481B1 KR1020210097782A KR20210097782A KR102424481B1 KR 102424481 B1 KR102424481 B1 KR 102424481B1 KR 1020210097782 A KR1020210097782 A KR 1020210097782A KR 20210097782 A KR20210097782 A KR 20210097782A KR 102424481 B1 KR102424481 B1 KR 10242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output device
wearing
wearable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환
Original Assignee
윤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환 filed Critical 윤정환
Priority to KR102021009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4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output device, which is a handheld 3D printer tha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regardless of how to use a separate tool or handicap, while improving the sophistication of work. The 3D output device comprises: a wearable part into which a finger is inserted, wherein a structure in which a filament can be discharged in response to a movement line of the wearable part can be formed. Accordingly, a natural feeling of use in terms of ergonomics and kinematics is provided so that a filament can be simply discharged where the fingertip points, and that even minute movements of the finger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an output result. Thus, the sophistication of the 3D printing work is improved, and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how to use or grip various tools, such as infants, can intuitively and immediately learn how to use the output device, so the convenience of use is also improved.

Description

3D 출력장치{3D Printer}3D Printer {3D Printer}

본 발명은 3D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 구조를 지닌 출력물을 제작하기 위한 3D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out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output device for producing an output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3D 프린팅 기술은 3차원적인 형상을 지닌 출력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 필라멘트 등 소정의 유동성과 점도를 지닌 소재를 적층 및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목적물을 창작, 제조, 가공하는 특성상 절삭, 타공 공구 등 다종의 가공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닌다. 3D print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an output with a three-dimensional shape. It is a method of laminating and hardening materials with predetermined fluidity and viscosity, such as filaments, to create, manufacture, and process objects, such as cutting and punching tool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require processing means of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3D 프린터가 종래에 알려져 있으나, 3D 프린터는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형태를 구현해내는 것으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및 도면을 작성하여야 하며, 평면의 화면상에서 3차원의 형상을 고려하여야 하는 점 등 다소 전문성을 필요로하여, 미숙련자나 비교적 소형의 형상을 지닌 창작물/제품 등을 형성하기에는 부적절할 수 있다. Although 3D printers using this principle are known in the prior art, 3D printers implement a shape by programming, and programming and drawing must be made using a computer,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must be considered on a flat screen, etc. As it requires some expertise, it may be inappropriate for unskilled people or to form creations/products with relatively small shap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 10-1906585 호에는 전기회로 제작용 3D 프린팅 펜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ceding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06585 discloses a 3D printing pen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 circui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행문헌에는 통상적으로 필라멘트라 지칭되는 수지액을 토출하기 위한 프린팅 수단 자체가 펜과 같이 필기구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ior literature discloses that the printing means itself for discharging the resin liquid, usually referred to as a filament,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pen.

이에 따라, 별도의 프로그래밍이 필요 없고 필기구 파지법에 대응되는 조작 방식으로 의도한 형상이 간편하게 출력될 수 있다는 사용상의 장점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use that no separate programming is required and an intended shape can be easily output through a manipul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writing instrument gripping method.

또한, 이와 같이 수작업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3D 프린팅의 적층 가공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rough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this manually,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additive manufacturing concept of 3D printing more intuitively occurs.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는 경우 유아, 손 부위에 장애를 지닌 사람 등과 같이 필기구의 파지법이 익숙치 아니하거나 필기구 파지가 불편 또는 불가능한 사용자에게는 그 장점이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advantages cannot be applied to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holding method of writing instruments, or who are uncomfortable or unable to hold writing instruments, such as infants and people with handicaps.

또한, 인체 결함상 결함이 없고 필기구 파지법이 익숙한 일반인이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필기구형 프린팅 수단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프로그래밍 방식 3D 프린터 대비 작업상의 정교함이 상당히 부족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human defect defect and a person familiar with the writing instrument gripping method uses the writing instrument type printing means disclosed in the preceding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precision is considerab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programming type 3D printer.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 10-1906585 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06585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작업의 정교함을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도구 사용법 숙지나 손의 장애 여부에 관계 없이 누구든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3D 프린터인 3D 출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s part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3D output device that is a handy 3D printer tha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regardless of whether he/she knows how to use a separate tool or has a hand disorder while improving the sophistication of work to do that for that purpose.

본 발명에 의한 3D 출력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손가락의 말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필라멘트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part into which at least one finger is inserted, and a discharge part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position of the finger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wearing part and from which the filament is discharged. characterized.

또한,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고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용바디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착용바디가 손가락의 마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착용부는 굽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wearing bodies into which at least one finger is inserted and coup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s, and each of the wearing bodies is mutually coupled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direction of the knuckles of the finge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ing part can be bent and unfolded as it become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착용바디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earable bodies is selectively detachable.

또한, 상기 각각의 착용바디는, 전방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의 전방을 개구한 채 후방까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 바디에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축 통과부와, 상기 축 통과부의 후방에 연장하여 절개 형성되는 축 안착부와, 측면 후방에 돌출된 구조로 구비되는 바디측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착용바디 중, 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가 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축 통과부를 통과한 후, 상기 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축 안착부에 안착되어 손가락의 마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wearable body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on body provided in the front, and a shaft pass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while opening the front of the connection body and formed in a cut-out structure on the connection body, It includes a shaft seating portion that extends to the rear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and is cut and formed, and a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provided with a structure protruding to the rear side, and among the plurality of wearable bodies,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of the front wearable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shaft passing portion of the rear wearing body, it is seated in the shaft seating portion of the rear wear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ngers.

또한, 상기 착용바디 및 상기 연결 바디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축 안착부는, 상기 축 통과부의 폭 또는 직경 크기를 초과하는 직경 크기를 지닌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는, 상기 축 안착부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 형상 및 직경을 지닌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축선이 상기 축 안착부의 동심 축선과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able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a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shaft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that exceeds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and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is,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haft seating por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may b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oncentric axis of the shaft sea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3D 출력장치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상기 착용부의 동선에 대응하여 필라멘트가 토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손가락 끝이 가리키는 곳에 필라멘트가 토출될 수 있다는 인체 공학, 운동 역학적으로 자연스러운 사용감이 제공되어,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도 충분히 출력 결과에 반영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3D 프린팅 작업의 정교성이 향상되고, 유아 등과 같이 각종 도구의 사용법 내지 파지법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 또한 직관적, 즉각적으로 해당 출력장치의 사용법을 습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The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part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filament can be discharged in response to the moving line of the wearing part, and thus the filament is simply discharged where the fingertip points. The ergonomic and kinematically natural feeling of use is provided, so even minute movements of the fingers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output result. Even unfamiliar users can intuitively and immediately learn how to use the corresponding output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상기 착용부는 각각을 일 마디 단위로 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면서도, 각 마디간 결합부를 축으로 손가락의 마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다른 형태와 각도를 지닌 마디의 구부림 또한 즉각적이면서도 자연스럽게 3D 출력장치의 조작에 반영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 및 정교성이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wearable par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each as a unit of one join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in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between the joints as an axis. The bending of the angular nodes can also be immediately and naturally reflected in the operation of the 3D output device, resulting in the effect of further enhancing the convenience and sophistication of us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착용부는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착용부간 결합 개수를 결정하는 것 만으로도 자신의 손가락 길이에 대응되는 3D 출력장치의 전체적 길이를 조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범용성과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earing parts may be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uncoupled, so that the user can create the overall length of the 3D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his or her finger just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couplings between the wearing parts. As a result, versatility and compatibility in use ar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용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 착용바디간 결합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일부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3D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state diagram of one us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wearing part shown in FIG. 4 .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7A to 7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process between wearing bodies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6 .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id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2 .
9 is a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a state viewed from section AA′ shown in FIG. 6 .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of one us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0A.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 this specification will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출력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This is the state of use.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3D 출력장치(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 3D out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3D 출력장치(1000)는 손가락이 끼워진 채 해당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1 to 4 , the 3D out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manipulated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ile the finger is inserted.

그리고, 해당 손가락의 끝 말단부에 필라멘트(F)가 토출되는 구조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3D 출력장치(1000)는 삽입된 손가락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손가락의 끝이 가리키는 위치에 3D 프린팅용 소재인 상기 필라멘트(F)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And, 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lament F is discharged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the 3D output device 1000 is movabl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inserted finger, and 3D printing is performed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tip of the finger. The filament (F), which is a material for use, can be discharged.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핑거 타입 핸디 구조라는 특성상 보관 및 운반상의 용이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특정 손가락의 인체적 구조 및 일상적인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3D 프린팅을 위한 출력장치의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3D 프린팅을 통한 각종 창작 및 제조 과정의 정교함, 편의성 등이 증진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finger-type handy structure, the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 is improved, and the output device for 3D printing can be operated naturally in response to the human body structure of a specific finger and the daily movement of the finger. Therefore, the sophistication and convenience of various cre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rough 3D printing can be improved.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착용부(100), 제 1 프레임(200), 제 2 프레임(300), 투입부(400), 토출부(500) 및 스위칭부(60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aring part 100 , a first frame 200 , a second frame 300 , an input part 400 , a discharge part 500 , and a switching part 600 - 1 .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further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어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착용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우측면도이다.Next,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earing part shown in FIG. 4 , and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1 .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 착용바디간 결합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nd, FIGS. 7A to 7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process between wearing bodies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6 .

도 5,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더 참조하면, 상기 착용부(100)는 출력장치의 조작을 위한 특정 손가락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착용바디(110)와, 제 1 삽입부(120)와, 연결 바디(130)와, 결합부(140)와,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5, 6, and 7A to 7C, the wear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insert a specific finger for manipulation of the output device, and the wearing body 110 and the first insertion unit 120 ), a connection body 130 , a coupling part 140 , and a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

이때, 도 3에는 착용부(100)에 인입 및 인출되는 손가락이 검지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손가락이 활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FIG. 3 shows that the finger drawn into and withdrawn from the wearing unit 100 is the index finger, other finger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착용바디(110)는 상기 제 1 삽입부(120)가 상기 착용바디(110)를 내부 중공 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일종의 골무 구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body 110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thimble structure by forming the first inserting part 120 into a structure in which the wearable body 110 is hollow inside.

또한, 상기 착용바디(110)의 양 단에는 상기 제 1 삽입부(120)의 양 단을 외부로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손가락이 상기 제 1 삽입부(120)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상기 착용바디(110)에 끼우거나 착용바디(110)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openings communicating both ends of the first inserting part 120 to the outsid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arable body 110 , fingers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inserting part 120 . Thus, the user can insert his or her finger into the wearing body 110 or take it out from the wearing body 110 .

이때, 상기 제 1 삽입부(120)의 폭 또는 직경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체형 등 각종 파라메터들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규격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part 120 may be variously standardized based on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user's age, gender, and body type.

또한, 상기 착용바디(11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외 손가락 마디의 굽힘 및 펼침 운동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 작용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는 탄성 소재가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body 1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other elastic materials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in response to bending and unfolding motions of the knuckles may be used. .

이와 같은 소재 선택에 기인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 작용을 통해, 손가락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착용바디(110)의 크기 및 형태 변형에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용이성, 작업의 정교함 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action due to such material selection, even minute movements of the fingers can be naturally reflected in the size and shape deformation of the wearing body 110, so that the ease of use and the sophistication of work can be improved. be able to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굵기보다 소정 크기 이상 작은 내부 중공 폭 또는 내부 중공 직경을 지닌 착용바디(110)가 적용된 출력장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user can use the output device product to which the wearable body 110 having an inner hollow width or inner hollow diamete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his or her finger by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이에 따라, 해당 착용바디(1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경우 해당 착용바디(110)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어 그 내부 폭 또는 직경이 증가하게 되고, 이후 해당 착용바디(110)는 그 내주면이 해당 손가락을 압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worn body 110, the corresponding worn body 110 is elastically deformed in response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finger, and its inner width or diameter increases, and then the corresponding worn body 110 ) is elastically restored in the direction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resses the corresponding finger.

그리하여, 해당 착용바디(110)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해 위치 고정 작용 내지 슬립 방지 작용을 구현하게 되어, 이를 통해 착용상의 안정감이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wearable body 110 implements a position fixing action or a slip prevention action for the user's finger,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wearing stability.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착용바디(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착용바디(110)들은 손가락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호 동축으로 줄지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간편하게 상호 분리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4, the wearing body 1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wearing body 110 may be continuously coupled to each other by lining up coaxiall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 In addition,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상기 착용바디(110)간 결합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자신의 손가락 길이에 대응되는 착용부(100)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total length of the wearing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his or her finger by adjusting the number of couplings between the wearing body 110, thereby improving compatibility in use.

이때, 상술한 각 착용바디(110)간 결합 및 결합 해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 착용바디(110) 마다 상기 연결 바디(130), 상기 결합부(140),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 등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 또한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coupling and dis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wearing body 110 , the connection body 130 , the coupling part 140 ,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for each worn body 110 , etc. This configuration may be, and these configurations may also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 바디(130)는 상기 각 착용바디(110)의 양측 전방에 한 쌍씩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전방이란 착용바디(1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해당 손가락의 말단부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후방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body 1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each wearing body 110 , and the front at this time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nto the wearing body 110 . It may mean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orresponding finger, and the rear may be understood as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 바디(130)는 상술한 전방 방향을 향해 볼록한 반원 내지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반 타원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ody 130 may be designed to have a semi-circle convex to a semi-ellipt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상기 각 연결 바디(130)에는 손가락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동선을 갖고, 상기 연결 바디(130)의 전방을 개구한 채 후방까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축 통과부(131)가 절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축 통과부(131)의 후방측인 말단에는 축 안착부(132)가 연장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connection body 130 has a moving lin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 and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while opening the front of the connection body 130 is formed.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may have a shaft seating portion 132 extending and incision formed.

이때, 상기 축 안착부(132)는 상기 축 통과부(131)의 동심축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aft seating part 132 may have a circular structu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oncentric axis of the shaft passing part 131 .

또한, 상기 축 안착부(132)의 직경 크기는 상기 축 통과부(131)의 폭 또는 직경 크기를 초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 size of the shaft seating part 132 may exceed the width or diameter size of the shaft passing part 131 .

그리고,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각 착용바디(110)의 후방 양 측 말단면으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함몰 내지 절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함몰 또는 절개 깊이는 연결 바디(130)의 폭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a recessed or incised structure from both rear end surfaces of the wearable body 110 toward the front, and the depth of the depression or incision i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body 130 . It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이때, 상기 결합부(140)의 구조에는 해당되는 착용바디(110)의 후방에 위치한 다른 착용바디(110)에 구비된 연결 바디(130)가 이에 면접촉된 채 회전 가능하도록 소정의 곡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140 , a predetermined curved part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body 130 provided in the other wearing body 110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rresponding wearing body 110 is rotatable while in surface contact with it. can be

즉, 결합부(140)의 전방에는 연결 바디(130)의 전방 곡선부가 면접촉 된 채 회전 가능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 rotatable structure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coupling portion 140 while the front curv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30 is in surface contact.

그리고,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상기 각 결합부(140)마다 착용바디(110)의 길이축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원기둥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결합부(140)에 부착, 삽입, 연장 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that protrudes towar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wearable body 110 for each coupling portion 140 , and is attached to and inserted into each coupling portion 140 . ,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ming an extension.

또한,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길이 축선이 상기 축 안착부(132)의 동심 축선과 동축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와 축 안착부(132)는 손가락 마디 구부림 운동의 축선에 대응되는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axis is coaxial with the concentric axis of the shaft seating part 132 , and accordingly,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and the shaft seating part 132 . can be provided coaxially corresponding to the axis of the knuckle bending motion.

또한, 상호 복수 마련된 착용바디(110)는 그 각각에 구비된 연결 바디(130)와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를 통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wearable bodies 110 provided with each other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body 130 and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provided therein.

더 상세하게는, 어느 착용바디(110)의 연결 바디(130)가 그 전방에 위치한 착용바디(110)의 결합부(140) 전방 내측 벽면까지 진입되어 상기 연결 바디(130)가 상기 결합부(140)에 완전히 함입됨으로써 해당 연결 바디(130)와 해당 결합부(140)이 상호 면접촉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전방측의 착용바디(110)에 위치한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가 후방측 착용바디(110)의 축 안착부(132)를 관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body 130 of a wearing body 110 enters to the front inner wall of the coupling part 140 of the wearing body 110 located in the front thereof, so that the connection body 130 is the coupling part ( 140),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ody 130 and the coupling part 14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by being completely impregnated in 140),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located in the wearing body 110 on the front side is worn on the rear side It may pass through the shaft seating portion 132 of the body 110 .

이때,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의 직경 크기는 축 안착부(132)의 직경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haft seating portion 132 .

이에 따라, 축 안착부(132)에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가 안착된 경우, 해당 축 안착부(132)의 내측 테두리에는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의 외주면을 압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is seated on the shaft seating part 132 ,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edge of the shaft seating part 132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 it will work

그리하여, 해당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에는 상술한 탄성 복원력에 대응되는 위치 이탈 방지 및 슬립 방지 효과가 작용하게 될 수 있다. Thus,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may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position departure and preventing slip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은 착용바디(110)간 결합 과정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착용바디(110) 측의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가 후방에 위치한 착용바디(110)의 축 통과부(131) 입구측으로 진입된다. To describe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wearing bodies 110 in more detail, first, as shown in FIG. 7a,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on the side of the wearing body 110 located in the front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wearing body ( 110) enters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inlet side.

다음으로, 도 7a에서 7b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착용바디(100)측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후방 착용바디(100)측 축 통과부(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해당 축 통과부(131)의 내측 말단에 위치한 축 안착부(1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the order of 7a to 7b, the front worn body 100 sid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is a corresponding ax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worn body 100 side shaft passing part 131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haft seating part 132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passing part 131 .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축 부재(150)의 직경(d1) 크기는 축 통과부(131)의 폭 크기(w1)보다 크므로, 전방 착용바디(100)측 회전축 부재(150)가 위치한 지점의 후방 착용바디(100)측 축 통과부(131)의 폭 크기(w2)는 전방 착용바디(100)측 회전축 부재(150)의 직경(d1)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탄성 변형된다.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diameter d1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150 is larger than the width size w1 of the shaft passing part 131, the front worn body 100 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is located at the point The width size w2 of the shaft passing part 131 on the rear wearing body 100 side is elastically de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d1 size of the front wearing body 100 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

그리고, 해당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가 그 위치를 벗어남에 따라 탄성 변형되었던 해당 축 통과부(131)의 폭 크기는 원래의 크기(w1)로 탄성 복원된다.And, as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deviates from its position, the width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that was elastically deformed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ize w1.

이와 같은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의 반복 작용은, 전방 착용바디(100)측 회전축 부재(150)가 후방 착용바디(100)측 축 통과부(131)를 완전히 통과할 때 까지 해당 축 통과부(131)의 전체 길이 구간에 발생하게 된다. The repeated action of such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rotation shaft member 150 on the front worn body 100 side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shaft passage part 131 on the rear worn body 100 side. ) in the entire length section.

마지막으로, 도 7b에서 도 7c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착용바디(100)측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후방 착용바디(100)측 축 안착부(132)에 안착됨으로써 상호 전후로 구비된 착용바디(110)간 결합이 완료된다.Finally, as shown in the order of Figures 7b to 7c,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on the front worn body 100 side is seated on the rear worn body 100 side shaft seating part 132, thereby provid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worn body 110 is completed.

그리고,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에 축 통과부(131)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의 외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의 직경(d1) 크기와 축 통과부(131)의 폭 크기(w1)간 차이에 따른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nd, even if an external forc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ts on the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in the direction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 the diameter d1 of the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and the width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131 are An interferenc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w1), so that separation of the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can be prevented.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개수의 착용바디(110)들이 순차적으로 줄지어 상호간 결합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same manner, various numbers of the worn body 110 can be sequentially lined up and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착용바디(110)는 손가락의 일부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구조를 지니고 있고,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가 상기 착용바디(110)에서 손가락의 마디 운동 동선에 대응되는 회전축 구조를 지님에 따라, 상호 복수 연결된 착용바디(110)들 사이에는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를 축으로 하여 손가락 마디의 굽힘 및 펼침 운동에 대응되는 회전 작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wearing body 110 has a length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 and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has a rotation shaft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knurl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wearing body 110. Accordingly, a rotational ac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nd unfolding motions of the knuckles can occur between the wearable bodie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as an axis.

따라서, 착용부(100)에는 복수 개의 착용바디(100) 각각의 사이에 구비된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손가락 마디 운동에 대응되는 굽힘 및 펼침 작용이 발생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wearing unit 100, bending and unfolding actions corresponding to knuckle movements can be generat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s 150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wearing bodies 100. will be.

또한,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해 상술한 과정들이 역순 진행됨으로써 각 착용바디(110)들이 상호 분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연결바디(130) 제조에 활용된 소재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필요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r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hrough FIGS. 7A to 7C , each wearing body 11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or this purpose,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ing body 130 may be required. have.

덧붙여,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결합부(140)에서 연장된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소재 및 결합 관계간 단일화를 통해 제조 비용, 제조 공수 등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also be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140, and through unification between the manufacturing material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manufacturing cost, manufacturing Man-hours and the like can be reduced.

또는,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별도의 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강성 소재란 착용바디(110)와의 면접촉 또는 착용바디(110)에 의한 압박에도 탄성 변형 또는 압축 변형 등 각종 외형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이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separate rigid material, and the rigid material at this time is elastic deformation or compression deformation, etc. It can be understood as a material in which various external deformations hardly occur.

이와 같은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의 강성 확보를 통해,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본래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원형 형상의 이점을 이용한 회전 작용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 Through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as described above,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can maintain its original shape, so that the rotation operation using the advantage of the circular shape can proceed smoothly.

이 경우,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는 결합부(140) 측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15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or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140 side.

아울러, 연결 바디(130)는 회전축 부재(150)가 축 통과부(131)를 통과하고 축 안착부(132)에 안착되는 과정 및 그 역순의 과정에서 원활히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이 진행될 수 탄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body 130,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rotating shaft member 150 passes through the shaft passing part 131 and is seated on the shaft seating part 132 and the reverse order of the elastic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with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200)은 필라멘트(F) 토출에 필요한 구성들이 거치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바디(210)와, 제 2 삽입부(220)와, 프레임측 회전축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frame 200 is for mounting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discharging the filament (F), and includes a first body 210, a second insertion part 220, and a frame-side rotation shaft member 230. can

상기 제 1 바디(210)는 내측에 제 2 삽입부(220)가 형성된 내부 중공 구조로 구성되며, 이러한 중공 구조의 양 단은 개구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210 has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part 220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hollow structure may be opened.

이때, 상기 제 2 삽입부(220)는 전술한 제 1 삽입부(120)의 폭 또는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폭 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착용부(100)를 통과한 손가락의 말단측 마디 부분이 이에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insertion unit 220 may have a width or diameter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unit 120 described above, A distal segment may be inserted therein.

그리고, 상기 프레임측 회전축 부재(230)는 전술한 바디측 회전축 부재(150)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디(210)의 양 측면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side rotating shaft member 230 is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150 ,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210 .

또한, 상기 프레임측 회전축 부재(230)는 상기 착용부(100)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축 안착부(132)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프레임(200)과 착용부(100)간 결합 및 분리 과정은 도 7a 내지 도 7c를 통해 전술한 사항과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side rotation shaft member 230 may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shaft seating part 132 located at the front of the wearing part 100 , and the first frame 200 and the wearing part 100 . The liver coupling and sepa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

이어서, 도 8은 도 2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일부 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Next,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ide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2 ,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section A-A′ shown in FIG. 6 .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 2 프레임(300)은 제 2 바디(310)와, 관 안착부(320)와, 연결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9 , the second frame 300 may include a second body 310 , a tube seat 320 , and a connection tube 330 .

상기 제 2 바디(310)는 상기 제 1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착용부(100)를 통과한 손가락의 말단 상부에 구비되면서도 해당 손가락의 길이 축선과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200 , and thus, while bein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ing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earing part 100 ,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length axis of the corresponding finger.

또한, 상기 제 2 바디(310)는 내측에 상기 관 안착부(320)이 형성된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중공 구조의 양 단은 개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body 310 is formed in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in which the tube seating part 320 is formed therein, and both ends of the hollow structure may be opened.

그리고, 상기 연결관(330)은 양 단이 개구된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관 안착부(320)에 안착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tube 33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nd is seated on the tube mounting part 320 .

그리고, 상기 투입부(400)는 필라멘트(F)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동력부재(410)와, 장착바디(420)와, 요입홀(421)과, 구동륜(4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40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filament (F), and may include a power member 410 , a mounting body 420 , a concave hole 421 , and a driving wheel 430 . .

상기 동력부재(410)는 회전력 발생을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일 예로 언급된 도면들에는 동력부재(410)가 일종의 모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 다양한 수단들이 선택될 수 있다.The power member 410 is configured as a means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lthough the power member 410 is shown as a kind of motor in the drawings mentioned as an example for this, various other means may be selected.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동력부재(4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은 전선을 이용한 방식, 배터리 충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power for driving the power member 410 may be suppli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using an electric wire and a battery charging method.

그리고, 상기 장착바디(420)는 상기 연결관(330)의 후방측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재(410)가 안착되고 동력부재(410)의 회전축이 상기 연결관(330)의 후방측 개구단측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 및 중공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the mounting body 42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330 , the power member 410 is seated,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member 410 is the rear open end of the connection pipe 330 . It has an opening and a hollow structure to be provided on the side.

또한, 상기 장착바디(420)에는 상기 연결관(330)과 연통될 수 있는 요입홀(421)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홀(421)을 통해 3D 프린팅을 위한 필라멘트(F)가 출력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cave hole 421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330 is formed in the mounting body 420 , and a filament F for 3D printing is coupled to the output device through the concave hole 421 . can be

이때, 동력부재(410)의 회전축의 길이 축선은 요입홀(421)의 동심선과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member 410 may be provided to intersect the concentric line of the concave hole 421 .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륜(430)은 상기 요입홀(421)을 통과하는 필라멘트(F)와 면접촉하도록 동력부재(410)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동력부재(410)의 회전축 구동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필라멘트(F)를 제 1 프레임(200) 방향, 즉 전방 방향으로 밀어내어 이동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And,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driving wheel 4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power member 410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concave hole 421, and the power member 410 ) by rotating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rotation shaft, the filament (F)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200,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perform the action of moving.

그리고, 상기 토출부(500)는 3D 프린팅 가능하도록 조성된 필라멘트(F)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노즐바디(510)와 토출통로(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500 performs a function for discharging the filament (F) composed to be 3D printing possible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nozzle body 510 and a discharge passage 520 .

상기 노즐바디(510)는 제 1 프레임(200)의 전방에 구비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통로(520)가 형성됨으로써 전후로 개구된 중공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nozzle body 51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irst frame 200, and the discharge passage 520 is formed on the in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may have a hollow structure opened back and forth.

또한, 상기 토출통로(520)는 상기 연결관(330)과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입홀(421), 연결관(330) 및 상기 토출통로(520)는 상호 연통될 수 있고, 그리하여 요입홀(421)로 인입된 필라멘트(F)는 최종적으로 연결관(330)을 지나 토출통로(520)의 전방측 개구단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assage 52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ipe 330, and accordingly, the concave hole 421, the connection tube 330, and the discharge passage 5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filament F drawn into the inlet hole 421 can finally be discharged through the front open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52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30 to the outside.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노즐바디(510)에는 별도의 발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통로(520)를 통과하는 필라멘트(F)는 이러한 발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3D 프린팅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유동성 및 점도를 지닌 상태로 녹아내릴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hea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nozzle body 510 , and the filament F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520 is heated by such a heating means to be suitable for 3D printing. It can be melted with the fluidity and viscosity of

그리고, 상기 토출통로(520)의 전방측 개구단이 중력 방향을 향하면 가열된 필라멘트(F)가 상기 토출통로(520)의 전방 개구단 외부로 최종 토출됨으로써 3D 프린팅 작업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And, when the front open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520 faces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heated filament (F)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open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520, so that the 3D pri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600-1)는 상기 투입부(400)와 상기 토출부(5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 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600 - 1 performs a function of turning on/off the driving of the input unit 400 and the discharge unit 500 .

예컨대, 상기 스위칭부(600-1)가 온 동작을 수행하면, 토출부(500)가 그 내측에 구비된 필라멘트(F)의 전방 길이 구간을 가열하는 과정과 투입부(400)가 해당 필라멘트(F)의 후방측 길이 구간을 전방측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witching unit 600-1 performs an ON operation, the discharge unit 500 heats the front length section of the filament (F) provided therein and the input unit 400 is the corresponding filament (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ear length section of F) to the front side can be performed.

반대로, 상기 스위칭부(600-1)가 오프 동작을 수행하면, 상술한 온 동작에 대응되는 과정들이 중단된다.Conversely, when the switching unit 600 - 1 performs an off operation, processe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on operation are stopped.

이와 같은 온/오프 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 지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차에 따라 해당 온/오프 동작이 구현되는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A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such an on/off operation, a method in which the corresponding on/off operation is implemente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vertical distance from the ground.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부(100)에 손가락이 통과된 상태를 기준으로 손가락의 말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칭부(600-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칭부(600-1)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수직 거리 이상 근접한 경우 상술한 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unit 600 - 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finger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passes through the wearing unit 100 , and the switching unit 600 - 1 The above-described 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it is closer than a predetermined vertical distance from the ground.

반대로, 상기 스위칭부(600-1)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수직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술한 오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높이차 인식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이 선택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switching unit 600 - 1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vertical distance or more, the above-described off operation may be performed,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selected for recognizing such a height difference.

이러한 수직 거리 센싱 방식에 따르면, 스위칭 조작을 위한 다른 손가락 등 타 신체 부위의 별도의 의식적 동작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3D 출력물 형상 작업에 있어 사용자는 착용부(100)의 이동 등 필수적인 부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vertical distance sensing method, separate conscious movements of other body parts such as other fingers for switching operation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user can focus only on essential parts such as movement of the wearing part 100 in the 3D print shape work. be able to

또는,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3D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3D 출력장치의 일 사용 상태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술한 스위칭 구동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lternatively, FIGS.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tate diagram of the 3D output device shown in FIG.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a를 참조하면, 스위칭부(600-2)는 일종의 터치 감응 방식으로 상술한 온/오프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the switching unit 600 - 2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on/off driving in a kind of touch sensitive method.

또한, 도 11을 더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작용이 원활히 수행되기 위하여, 착용부(100)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해당 손가락의 말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칭부(600-2)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further to FIG. 11 ,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such a touch action, the switching unit 600 - 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end of the corresponding finger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wearing unit 100 .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출력장치의 조작을 위해 자연스럽게 손을 내측으로 오므리면 착용부(100)에 삽입된 손가락의 측면에 위치한 다른 손가락이 스위칭부(600-2)에 놓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naturally closes his hand inward for manipulating the output device, another finger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wearing unit 100 can be placed on the switching unit 600 - 2 .

이에 대한 일 예로, 도 11에는 검지 손가락이 착용부(100)에 삽입되고, 스위칭부(600-2)가 제 1 프레임(200)에 구비되어 검지 손가락의 말단 마디 대응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엄지 손가락이 스위칭부(600-2)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of this, in FIG. 11 , the index finger is inserted into the wearing unit 100 , and the switching unit 600 - 2 i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200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knuckle of the index finger, so that the thumb naturally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unit 600 - 2 can be contacted is shown.

또한, 스위칭부(600-2)에 면접촉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상술한 온 동작이 수행되고, 이러한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오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a surface contact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600 - 2 , and an OFF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contact state is released.

덧붙여, 엄지 손가락으로 스위칭부(600-2)를 조작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도 10a 및 도 11에는 오른손 잡이용으로 스위칭부(600-2)가 구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10b에 비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잡이용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Incidentally, based on the case of operating the switching unit 600-2 with the thumb, FIGS. 10A and 11 show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unit 600-2 is configured for right-handed use, but a comparison is shown in FIG. 10B It can also be configured for left-handed use as described above.

또한, 이러한 접촉 방식 스위치 구조는 가압력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일종의 압입형 구조 뿐만이 아닌, 그 외 다양한 스위치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type switch structure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other switch structures as well as a type of press-fit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exposed to the outsid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칭부(600-2)를 구성하기 위한 다른 방식의 일 예로,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만 인체 전류를 센싱하여 온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인체 전류 감응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an example of another method for configuring the switching unit 600 - 2 , a type of human body current sensing method that senses human body current and performs an ON function only when the human body is in contact may be selected.

이러한 인체 전류 감응 방식에 따르면, 별도의 가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손가락에 특별한 힘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해당 손가락을 스위칭부(600-2)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도 상술한 온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human body current-sensing method, the above-described 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ply by naturally bringing the corresponding finger to the switching unit 600-2 without applying a special force to the finger to generate a separate pressing force.

즉, 사용자로서는 3D 출력에 사용되는 손에 불필요한 힘을 가하거나 긴장 상태를 조성할 필요 없이, 인체 구조 및 운동 역학적으로 자연스럽고 릴렉스된 파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 만으로도 상술한 온 동작이 구현될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사용자는 착용부(100)의 이동 등 필수적인 조작 동작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unnecessary force or create a tension state to the hand used for 3D printing, and the above-described on-action can be implemented just by maintaining a natural and relaxed gripping state in the human body structure and kinematics. Therefore, ev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concentrate only on essential manipulation operations such as movement of the wearing unit 100 .

덧붙여, 상기 스위칭부(600-2)가 표면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조작상 사용자의 손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11에는 상기 스위칭부(600-2)가 제 2 프레임(300)의 표면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unit 600-2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stalled inside the surface, interference that may occur in the user's hand dur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in FIG. 11, the switching unit 600-2 is It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 the in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00 .

또한, 이 경우 스위칭부(600-2)가 구비된 위치의 표면에는 프린팅 등 별도의 시각적 표시가 행해짐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스위칭부(600-2)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case, a separate visual display such as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on where the switching unit 600 - 2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600 - 2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3D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이 아닌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technical idea to provide a 3D output device, and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claims It will also extend to equivalent embodiments that may exist in various ways.

1000 : 본 발명에 의한 3D 출력장치
100 : 착용부
110 : 착용바디
120 : 제 1 삽입부
130 : 연결 바디
131 : 축 통과부
132 : 축 안착부
140 : 결합부
150 : 바디측 회전축 부재
200 : 제 1 프레임
210 : 제 1 바디
220 : 제 2 삽입부
230 : 프레임측 회전축 부재
300 : 제 2 프레임
310 : 제 2 바디
320 : 관 안착부
330 : 연결관
400 : 투입부
410 : 동력부재
420 : 장착바디
421 : 요입홀
430 : 구동륜
500 : 토출부
510 : 노즐바디
520 : 토출통로
600-1, 600-2 : 스위칭부
1000: 3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wear part
110: wear body
120: first insertion part
130: connection body
131: shaft passing part
132: shaft seating part
140: coupling part
150: body side rotation shaft member
200: first frame
210: first body
220: second insertion part
230: frame side rotation shaft member
300: second frame
310: second body
320: tube seating part
330: connector
400: input unit
410: power member
420: mounting body
421: concave hole
430: drive wheel
500: discharge part
510: nozzle body
520: discharge passage
600-1, 600-2: switching unit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에 손가락이 끼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손가락의 말단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필라멘트가 배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부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삽입되고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착용바디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착용바디가 손가락의 마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착용부는 굽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출력장치.
a wearing part into which at least one finger is inserted; and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l position of the finger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wearing part and includes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filament is discharged,
The wearing part,
At least one finger is inserted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wearable body coupl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nger,
3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able portion can be bent and unfolded as each of the worn bodies is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nger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착용바디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출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wearing bodies,
Optionally, at least one 3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착용바디는,
전방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의 전방을 개구한 채 후방까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 바디에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축 통과부와, 상기 축 통과부의 후방에 연장하여 절개 형성되는 축 안착부와, 측면 후방에 돌출된 구조로 구비되는 바디측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착용바디 중, 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가 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축 통과부를 통과한 후, 상기 후방측 착용바디의 상기 축 안착부에 안착되어 손가락의 마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출력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Each of the wearable bodies,
At least one connection body provided in the front, a shaft pass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with the front of the connection body open and formed in a cutout structure on the connection body,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shaft passing portion to cut out It includes a shaft seating portion formed, and a body-side rotating shaft member provided in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wearable bodies, the body-side rotation shaft member of the front wearable body passes through the shaft passing part of the rear wearable body, and is seated in the shaft seating part of the rear wearable body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gers. 3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바디 및 상기 연결 바디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축 안착부는,
상기 축 통과부의 폭 또는 직경 크기를 초과하는 직경 크기를 지닌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측 회전축 부재는,
상기 축 안착부에 대응되는 원형 단면 형상 및 직경을 지닌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축선이 상기 축 안착부의 동심 축선과 동축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출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earable body and the connection body,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shaft seating portion,
It is formed in a circle having a diameter size exceeding the width or diameter size of the shaft passing part,
The body side rotating shaft member,
3D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haft seating por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can be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oncentric axis of the shaft seating portion.
KR1020210097782A 2021-07-26 2021-07-26 3D Printer KR102424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782A KR102424481B1 (en) 2021-07-26 2021-07-26 3D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782A KR102424481B1 (en) 2021-07-26 2021-07-26 3D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481B1 true KR102424481B1 (en) 2022-07-22

Family

ID=8260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782A KR102424481B1 (en) 2021-07-26 2021-07-26 3D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4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8069A (en) * 2015-03-11 2016-09-23 株式会社日立ライフ Washing device
KR101906585B1 (en) 2017-04-12 2018-10-10 이정진 3D printing pen for electrical circuit production
US20200040291A1 (en) * 2016-10-07 2020-02-06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Tissue pr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8069A (en) * 2015-03-11 2016-09-23 株式会社日立ライフ Washing device
US20200040291A1 (en) * 2016-10-07 2020-02-06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Tissue printer
KR101906585B1 (en) 2017-04-12 2018-10-10 이정진 3D printing pen for electrical circuit pro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358B1 (en) Tube unit system including an adapter interposed between a connector and a connecting part
US20060279534A1 (en) Replaceable instrument mechanism for haptic devices
CN103507489B (en) Holding auxiliary device and pen with same
KR102424481B1 (en) 3D Printer
JPH07306749A (en) Finger-mounting computer interface device
US7128656B1 (en) Golf club gripping device
US9505259B2 (en) Grip for hand-held too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724109B2 (en) Robot jacket
US20140219702A1 (en) Pen/Pencil Grip
KR102113474B1 (en) Finger aid apparatus
CN216602813U (en) Endoscope
JP2005524897A (en) Ergonomic computer pointing device
US20200146706A1 (en) Ultrasonic treatment tool
KR101846083B1 (en) Robot hand
JP6177477B2 (en) Manipulator system
JP4471233B2 (en) toothbrush
US20170128095A1 (en) Treatment instrument
GB2455343A (en) A gripper for the shaft of an endoscope
KR101842671B1 (en) Supplementary device for drawing eyebrows
JP6643504B2 (en) Treatment tool
JP6695488B1 (en) Tweezers
KR101515218B1 (en) Angled motor of handpiece
CN217390875U (en) Handle and surgical robot applying same
CN219044235U (en) Pen holding auxiliary device
US506012A (en) Opera-glas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