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13B1 -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13B1
KR102423913B1 KR1020197021920A KR20197021920A KR102423913B1 KR 102423913 B1 KR102423913 B1 KR 102423913B1 KR 1020197021920 A KR1020197021920 A KR 1020197021920A KR 20197021920 A KR20197021920 A KR 20197021920A KR 102423913 B1 KR102423913 B1 KR 10242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ackground
user
displaying
talk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832A (ko
Inventor
아야카 이마키
켄 카이즈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2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843A/ko
Publication of KR2019013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한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

Description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본 개시는,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하는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경 화면을 변경 가능한 채팅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단말과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채팅 윈도우의 배경 화면에,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고, 주변 상황을 상대방과 리얼타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표2015 -531180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서는, 하나의 단말로부터 다른 단말로 송신하는 영상을 채팅 윈도우의 배경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은 개시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방향의 영상의 송신으로 한정되어 있고, 해당 배경 화면의 표시가 어느 하나의 단말이 송신한 영상으로 한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한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배경에서의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2 유저에게 송신되는 하나의 레이어와는 상이한 다른 레이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다른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 중,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인원수에 응답하여,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콘텐츠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내에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소정의 조건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토크 룸의 배경에,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의 각각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유저에게서 선택된 콘텐츠를 팝업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선택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콘텐츠 중 선택한 유저수가 많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표시 방법은,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표시 방법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보처리 단말은,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정보처리 단말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한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의 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토크 룸의 배경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토크 룸의 배경의 다른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의 비밀의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의 개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통신의 비밀과 관련된 법적 사항을 준수한 후에 실시되는 것인 것임에 유의한다.
본 개시와 관련된 BOT 제어 관리 시스템 등(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30을 통해 서버 10과, 단말 20(단말 20A, 단말 20B, 단말 20C)이 접속된다. 서버 10은 네트워크 30을 통해 유저가 소유하는 단말 20에 단말 20 사이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30에 접속되는 단말 2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30은 하나 이상의 단말 20과 하나 이상의 서버 10을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네트워크 30은 단말 20이 서버 1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30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30은, 애드혹·네트워크(ad 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프라이빗·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LAN(wireless LAN: 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무선 WAN(wireless WAN: WWAN), 대도시권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일부, 휴대전화망,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s,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위성통신 등, 또는, 이러한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네트워크 30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 3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20(단말 20A, 단말 20B, 단말 20C)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처리 단말이라면 여하한 단말이 될 수 있다. 단말 20은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이며, 그 밖에 휴대전화(예를 들면, 피처 폰),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탑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디바이스, 시계형 디바이스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단말 20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20은 정보처리 단말로 표현될 수 있다.
단말 20A, 단말 20B 및 단말 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대표로서 단말 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단말 20X에 대응시킨 유저 정보를 유저 정보 X, 단말 20X를 조작하는 유저를 유저 X로서 설명한다. 또한, 유저 정보란 인스턴트 메신저를 대표로 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어카운트에 대응시킨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 예를 들면, 유저명이나 유저 화상이다. 그 밖에도 유저 식별자, 유저의 연령, 성별, 주소 등의 정보일 수 있고 그러한 조합일 수 있다. 단,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 10은 단말 20에 대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 10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처리 장치이면 여하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버 10은 대표적으로는 서버 장치이며, 그 밖에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탑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혹은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서버 10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 10은 정보처리 장치로 표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HW)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단말 20은, 제어장치 21(CPU: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28, 통신 I/F 22(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 23, 표시장치 24, 마이크 25, 스피커 26, 카메라 27을 구비한다. 단말 20의 HW의 각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버스 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통신 I/F 22는 네트워크 30을 통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해당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것으로도 실행될 수 있고, 서로의 통신이 실행될 수 있으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I/F 22는 네트워크 30을 통해, 서버 10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신 I/F 22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장치 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서버 1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 22는 서버 10으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장치 21에 전달한다.
입출력 장치 23은 단말 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 및 단말 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23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고,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입력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해당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장치 21에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장치는 대표적으로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실현되어,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지시 도구에 의한 접촉과 그 접촉 위치를 검출하고, 해당 접촉 위치의 좌표를 제어장치 21에 전달한다. 한편, 입력장치는 터치 패널 이외의 입력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예를 들면,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입력장치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장치는 제어장치 21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장치는 대표적으로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실현된다. 한편, 출력장치는 터치 패널 이외의 출력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음성 출력), 렌즈(예를 들면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출력장치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장치 24는 프레임 버퍼에 쓰여진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장치 24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표시장치 24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 24는 프로젝션 매핑, 홀로그램, 공기 중 등(진공일 수 있음)에 화상이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 가능한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장치 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 가능할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표시장치 24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출력 장치 23이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 장치 23과 표시장치 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장치 21은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가지고, 예를 들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장치 21은 대표적으로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그 밖에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 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일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제어장치 21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억장치 28은 단말 20이 동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억장치 28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 각종의 기억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기억장치 28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20은 프로그램 P를 기억장치 28에 기억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장치 21이 제어장치 21에 포함되는 각 부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장치 28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P는 단말 20에서 제어장치 21이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마이크 25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 26은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 27은 동영상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서버 10은 제어장치 11(CPU), 기억장치 15, 통신 I/F 14(인터페이스), 입출력 장치 12, 디스플레이 13을 구비한다. 서버 10의 HW의 각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버스 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제어장치 11은,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가지고, 예를 들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장치 11은 대표적으로는 중앙처리장치(CPU)이며, 그 외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 프로세서, ASIC, FPGA일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제어장치 11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억장치 15는 서버 10이 동작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억장치 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 각종의 기억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기억장치 15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I/F 14는, 네트워크 30을 통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해당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것으로도 실행될 수 있고, 서로의 통신이 실행될 수 있으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I/F 14는, 네트워크 30을 통해, 단말 20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신 I/F 14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장치 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단말 2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 14는 단말 20으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장치 11에 전달한다.
입출력 장치 12는 서버 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장치 12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해당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장치 11에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장치 12는 대표적으로는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실현된다. 또한, 입출력 장치 12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입출력 장치 12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13은, 대표적으로는 모니터(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13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13은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 가능할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13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 10은 프로그램 P를 기억장치 15에 기억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장치 11이 제어장치 11에 포함되는 각 부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장치 15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P는 서버 10에서 제어장치 11이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말 20 및/또는 서버 10의 CPU가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BOT 서버 40은 예를 들면, 서버 10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단말 20의 제어장치 21 및/또는 서버 10의 제어장치 11은, CPU뿐만 아니라, 집적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집적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회로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호칭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 P(소프트웨어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有形)의 매체"에, 프로그램을 기억 가능하다.
기억 매체는 적절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반도체 베이스의 또는 다른 집적회로(IC)(예를 들면,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또는 특정용도전용 IC(ASIC) 등),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하이브리드·하드·드라이브(HHD), 광디스크, 광디스크 드라이브(ODD), 광학 자기 디스크, 광자기 드라이브, 플로피·디스켓,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FDD), 자기테이프, 고체 드라이브(SSD), RAM 드라이브, 시큐어·디지털·카드 혹은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억 매체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기억 매체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 P를 기억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디바이스 또는 매체도 될 수 있다.
서버 10 및/또는 단말 20은, 예를 들면,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P를 읽어내어, 읽어낸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그램 P는,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서버 10 및/또는 단말 20에 제공될 수 있다. 서버 10 및/또는 단말 20은,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P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는, 프로그램 P가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내장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서버 10 및/또는 단말 2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고 있을 수 있다.
단말 2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 10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단말 20의 제어장치 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 10에서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서버 1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단말 20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서버 10의 제어장치 1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단말 20에서 실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판정의 구성은 필수가 아니라, 판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동작되거나, 판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소정의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개시의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상표)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램 언어,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단, 본 개시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토크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유저 사이에서 배경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형태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기재의 내용은 다른 각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능 구성>
(1) 단말의 기능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2는 제어장치 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토크 참가부 211과, 메시지 처리부 212와, 콘텐츠 처리부 213과, 표시 처리부 214를 가진다.
토크 참가부 211은, 원하는 토크 룸으로의 참가를 위한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토크 룸에는, 개인 단위로 참가할 수 있고, 그룹 단위로도 참가할 수 있다. 또한, BOT 서버 40에 대해서도, 개인과 동일하게, 토크 룸에 참가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룸을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다. 토크 룸에 참가한 상태로 메시지를 송신(발언)하는 것으로, 다른 참가자의 단말 2 및/또는 BOT 서버 40에 메시지가 송신된다.
메시지 처리부 212는 토크 룸에서의 메시지의 송수신 및 송수신한 메시지의 자(自)단말에서의 표시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표시 화면으로서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는 시간 축에 대해, 좌측에 수신 메시지가 표시되고 우측에 송신 메시지가 표시된다. 메시지 처리부 212는 송수신한 메시지를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토크 룸의 배경에 표시하는 콘텐츠의 송수신 및 송수신한 콘텐츠의 자단말에서의 표시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자단말의 유저(제1 유저)가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제1 콘텐츠를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자단말의 배경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제1 콘텐츠를 토크 룸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유저(예를 들면, 제2 유저)의 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토크 룸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유저(예를 들면,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제2 유저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자단말의 배경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서버 10으로부터, 토크 룸의 배경에서의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를 미리 수신하고,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할 수 있다. 레이어는, 예를 들면, 토크 룸의 배경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이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 또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는 콘텐츠를 배치하는 우선도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표시장치 24에 표시되는 토크 룸의 배경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의 예이다. 레이어는, 토크 룸의 배경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이며, 도 2(a)의 예에서는, 2개로 분할되고 있다. 또한, 도 2(a)의 예에서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분할되어 있지만, 분할하는 영역의 크기는 대략 동일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커지도록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a)의 레이어의 예에서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우선도가 마련되어 있다. 도 2(a)의 예에서는, 토크 룸의 배경을 2개로 분할한 영역 중, 향하고 상방측을 향하는 영역의 우선도(우선도 1)가 높고, 하방측의 영역의 우선도(우선도 2)가 낮다. 또한, 도 2(a)에서 나타내는 영역의 우선도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상방측의 영역의 우선도를, 하방측의 영역의 우선도와 비교하여 낮게 설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서버 10으로부터 도 2(a)에서 예시하는 레이어를 미리 수신하고,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시킨다. 도 2(b)는, 레이어에 응답하여, 복수의 콘텐츠가 배경으로서 표시된 경우의 표시 예이다. 도 2(b)에서 나타낸 것처럼, 레이어로 설정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상이한 콘텐츠를 표시시킨다. 또한, 복수의 영역의 각각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반드시 상이할 필요는 없고 동일한 콘텐츠일 수 있다.
단말 10이 미리 수신하는 레이어는, 콘텐츠를 배치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고, 해당 복수의 영역은 반드시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의 다른 예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레이어는 토크 룸의 배경을 3개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레이어는, 도 3(a)에서 나타낸 것처럼, 토크 룸의 배경을 대략 동일하게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고, 도 3(b)에서 나타낸 것처럼, 각각 다른 크기로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 나타낸 것처럼, 레이어는, 토크 룸의 배경을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는 토크 룸의 배경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면, 임의의 개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일 수 있고, 분할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크기(면적)일 수 있다. 또한, 분할의 방법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어는, 도 3(c)에서 나타낸 것처럼, 우선도가 높은 영역의 면적(예를 들면, 우선도 1의 영역의 면적)을, 우선도의 낮은 면적(예를 들면, 우선도 5의 영역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넓게) 설정한다. 그 결과, 콘텐츠 처리부 213은 레이어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콘텐츠가 송수신된 시계열에 응답하여,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부 213은, 가장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우선도가 가장 높은 영역에서 표시시킨다. 새로운 콘텐츠를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 표시시키는 경우, 콘텐츠 처리부 213은 해당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다른 콘텐츠를 우선도가 낮은 영역에서 표시시킨다. 즉, 콘텐츠 처리부 213은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었던 다른 콘텐츠를 우선도가 낮은 영역으로 전치(이동)하도록 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화상으로서 표시된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게서 선택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팝업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표시장치 24에서 표시되는 토크 룸의 배경의 다른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예시하는 배경의 표시 예는, 도 3(c)에 예시하는 레이어에 응답하여, 복수의 콘텐츠를 표시한 것이다.
도 4(a)에서 나타낸 것처럼, 콘텐츠 처리부 213은 도 3(c)에 예시하는 레이어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을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다른 콘텐츠를 표시시킨다. 여기서, 토크 룸에 참가하는 1의 유저(예를 들면, 제1 유저)의 단말이,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새로운 콘텐츠를 송수신한 것으로 한다(도 4(b)). 콘텐츠 처리부 213은, 새로운 콘텐츠를 송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해당 새로운 콘텐츠를 레이어 중 가장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 표시한다. 즉, 콘텐츠 처리부 213은 도 4(b)에서 예시하는 송수신된 새로운 콘텐츠를 우선도 1의 영역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 콘텐츠 처리부 213은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 표시하고 있었던 다른 콘텐츠의 각각을, 우선도가 하나 낮은 영역에 전치(이동)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우선도 1의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콘텐츠 A를 우선도 2의 영역에 표시시킨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우선도 2의 영역에 표시되고 있었던 콘텐츠 B를 우선도 3의 영역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콘텐츠 처리부 213은 새로운 콘텐츠를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 표시시키는 경우, 해당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었던 다른 콘텐츠를 우선도가 낮은 영역에서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콘텐츠 처리부 213은 복수의 콘텐츠를 해당 콘텐츠가 송수신된 시계열 순서로 우선도가 높은 영역에서 낮은 영역으로 각각 표시시킨다.
표시 처리부 214는 메시지 처리부 212가 생성한 메시지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장치 24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 214는 콘텐츠 처리부 213이 생성한 토크 룸의 배경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장치 24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 처리부 214는 메시지 처리부 212 및 콘텐츠 처리부 213이 생성한 표시용 데이터를 화소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장치 24의 프레임 버퍼에 쓰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표시 처리부 214는 콘텐츠 처리부 213이 생성한 토크 룸의 배경에 관한 표시 데이터에 중첩하여 메시지 처리부 212가 생성한 메시지에 관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2)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1은 제어장치 1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토크 룸 관리부 111과, 메시지 처리부 112와, 콘텐츠 처리부 113을 가진다.
토크 룸 관리부 111은 토크 룸의 참가자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시지 처리부 112는 특정한 토크 룸에서 송신된 메시지를 단말 2부터 수신한 경우에, 수신인으로서의 다른 참가자의 단말 2 및/또는 BOT 서버 40에 해당 메시지를 송신(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다른 유저의 단말 2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부 113은 제1 유저의 단말 20A로부터 수신한 제1 콘텐츠를 제2 유저의 단말 20B에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제2 유저의 단말 20B로부터 수신한 제2 콘텐츠를 제1 유저의 단말 20A에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 토크 룸의 배경에서의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를 미리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부 113은, 예를 들면, 도 2(a)나, 도 3(a) 내지(c)에서 예시하는 레이어를 미리 단말 20A나 20B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에 대해, 각각 다른 레이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저의 단말 20A에 대해서는, 도 2(a)에서 예시하는 레이어를 송신하고, 제2 유저의 단말 20B에 대해서는, 도 3(c)에서 예시하는 레이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에서 송신되는 레이어의 각각은, 각각의 단말을 이용하는 유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수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을 분할하는 영역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참가하는 유저의 수가 적은 경우와 비교해, 토크 룸의 배경을 보다 많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113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수에 응답하여 결정된 영역 수로 분할된 레이어를 해당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레이어를 송신할 수 있다. 소정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로부터의 요청을 받은 경우나, 레이어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등의, 여하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된 콘텐츠의 전부를 비표시로 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처리부 113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크 룸의 배경에서 콘텐츠를 전혀 표시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린다(리셋한다). 그리고, 콘텐츠 처리부 113은 콘텐츠를 비표시로 한 시점으로부터 새롭게 송수신한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시킬 수 있다. 소정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의 경우나,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최초로 콘텐츠를 표시한 시간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시간 등) 경우 등의 여하한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113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된 콘텐츠의 일부를 비표시로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처리>
도 5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10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의 각각에 대해, 토크 룸의 배경에서의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를 미리 송신한다(S101).
단말 20A는, 자단말의 유저인 제1 유저가 제1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경우,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02).
단말 20A는 제1 유저가 제1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토크 룸에 참가하는 다른 유저인 제2 유저의 단말 20B에 대해, 서버 10을 통해, 제1 콘텐츠를 송신한다(S103).
단말 20B는 단말 20A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04).
또한, 단말 20A는 제1 유저가 제2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경우,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2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05).
그리고, 단말 20A는, 제1 유저가 제2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유저의 단말 20B에 대해, 서버 10을 통해, 제2 콘텐츠를 송신한다(S106).
단말 20B는 단말 20A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2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07).
계속해서, 단말 20B는 제2 유저가 제3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경우,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3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08).
그리고, 단말 20B는, 제2 유저가 제3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유저의 단말 20A에 대해, 서버 10을 통해, 제3 콘텐츠를 송신한다(S109).
단말 20A는, 단말 20B로부터 제3 콘텐츠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 10으로부터 미리 수신한 레이어에 응답하여, 제3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한다(S110).
여기서, 서버 10이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도 5의 예에서는, 단말 20A 및 단말 20B)의 각각에 대해, 새로운 레이어를 송신한 것으로 한다(S111).
이 경우에, 단말 20의 각각은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레이어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하고 있었던 콘텐츠(제1 내지 제3 콘텐츠)를 재표시한다(S112).
상기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정보처리 단말은 토크 룸에 참가하는 복수의 유저 사이에서 배경에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변형 예>
제1 변형 예는,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송수신된 경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한다.
단말 20은,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내에, 레이어에서 설정된 영역의 분할수 이상의 복수의 콘텐츠가 송수신되면, 송수신한 복수의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처리 부하가 증가될 우려가 있다. 그런 경우에,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일부의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단말 20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단말 20의 콘텐츠 처리부 213은,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송수신된 경우, 해당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시킨다. 소정의 시간 내는, 예를 들면, 1분 이내 이거나 1시간 이내 등의 여하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콘텐츠는,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소정수를 넘는 수의 콘텐츠 수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지는 소정수는 소정의 시간 내와 레이어에서의 영역의 분할 수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이 1분 이내이고, 레이어에서의 영역의 분할 수가 5인 경우, 소정수는 10장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수치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으로서, 자단말이 송신한 콘텐츠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소정의 조건으로서, 반대로, 다른 단말 20으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우선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송수신된 복수의 콘텐츠의 각각을 유저가 선택한 경우, 소정의 조건으로서, 복수의 콘텐츠 중, 선택한 유저수가 많은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배경에 표시하는 콘텐츠 주변에, 유저가 선택 가능한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소정의 아이콘은, 예를 들면, "좋아요!"라는 문자가 더해진 아이콘이며, 유저가 선택 가능하다. 유저는, 예를 들면, 자신이 "좋아" 혹은 "좋은 인상"이라고 느낀 콘텐츠에 대해서, 해당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아이콘은, "좋아요!"라는 문자가 더해진 아이콘으로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에 대해 유저가 선택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아이콘도 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유저가 소정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 10을 통해, 다른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다른 단말 20으로부터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콘텐츠 중,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선택한 횟수가 많은 콘텐츠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예를 들면,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소정의 조건으로서,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를 포함하는 사진을 우선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사진에 포함되는 얼굴의 형상 등에 응답하여, 해당 사진에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처리부 213은, 사진에 포함되는 인물의 얼굴 구형(顔矩形)과 얼굴 속성(얼굴의 표지(目印) 등)에 응답하여, 사진에 포함되는 인물의 얼굴과, 미리 파악하고 있는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얼굴을 비교하고, 해당 유저가 사진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콘텐츠 처리부 213은, 특정한 결과에 응답하여,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포함되어 있는 사진을 우선하여 표시하는 콘텐츠로 결정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13은, 사진에 포함되는 얼굴의 형상 등에 응답하여, 해당 사진에 포함되는,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수를 특정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 213은, 특정한 유저의 수가 많은 사진을, 특정한 유저의 수가 적은 사진보다, 우선하여 표시하는 콘텐츠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변형 예는, 소정의 시간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송수신된 경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서 표시할 수 있어, 단말 20의 처리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서버 10이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게 송신하는 형태이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재의 내용은, 다른 각 실시 형태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20의 콘텐츠 처리부 213은, 자단말의 유저가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 10에 해당 콘텐츠를 송신한다.
서버 10의 콘텐츠 처리부 113은, 미리 정해진 레이어에 응답하여, 수신한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콘텐츠 처리부 113은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대해 송신한다.
단말 20의 표시 처리부 214는,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장치 24에 표시한다.
<통신 시스템의 처리>
도 6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의 처리의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20A는, 자단말의 유저인 제1 유저가 제1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경우(S201), 서버 10에 제1 콘텐츠를 송신한다(S202).
서버 10은, 미리 정해진 레이어에 응답하여, 단말 20A로부터 수신한 제1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S203). 그리고, 서버 10은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한다(S204).
단말 20의 표시 처리부 214는,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장치 24에 표시한다(S205).
또한, 단말 20B는, 자단말의 유저인 제2 유저가 제2 콘텐츠를 토크 룸의 배경으로 선택한 경우(S206), 서버 10에 제2 콘텐츠를 송신한다(S207).
서버 10은, 미리 정해진 레이어에 응답하여, 단말 20B로부터 수신한 제2 콘텐츠를 배경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S208). 그리고, 서버 10은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한다(S209).
단말 20의 표시 처리부 214는, 서버 10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응답하여,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장치 24에 표시한다(S210).
상기와 같이, 서버 10이,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관리를 서버 10이 일괄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여러 도면이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한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은 논리적이게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은 분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로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10 서버(정보처리 장치)
11 제어장치
111 토크 룸 관리부
112 메시지 처리부
113 콘텐츠 처리부
12 입출력 장치
13 디스플레이
14 통신 I/F
15 기억장치
20 단말(정보처리 단말)
21 제어장치
211 토크 참가부
212 메시지 처리부
213 콘텐츠 처리부
214 표시 처리부
22 통신 I/F
23 입출력 장치
24 표시장치
25 마이크
26 스피커
27 카메라
28 기억장치
30 네트워크
40 BOT 서버

Claims (11)

  1.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고,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실행시키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사진을 상기 배경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에서의 콘텐츠의 배치에 관한 레이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레이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저에게 송신되는 하나의 레이어와는 상이한 다른 레이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레이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중,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의 인원수에 응답하여, 상기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콘텐츠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룸의 배경에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각각을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배경에서 표시된 콘텐츠 중 상기 제1 유저에게서 선택된 콘텐츠를 팝업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9.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고,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선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선택한 유저수가 많은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상기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0. 정보처리 단말에서,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시키는 표시 방법으로서,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방법은,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사진을 상기 배경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인, 표시 방법.
  11. 제1 유저와 제2 유저가 참가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토크 룸의 배경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제1 유저가 송신하는 제1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콘텐츠와 제2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제2 콘텐츠를 배경에서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제1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된 콘텐츠를, 상기 배경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사진인 경우,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토크 룸에 참가하는 유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사진을 상기 배경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인, 정보처리 단말.
KR1020197021920A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KR10242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4826A KR20220104843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4846 WO2018189812A1 (ja) 2017-04-11 2017-04-11 プログラム、表示方法および情報処理端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826A Division KR20220104843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32A KR20190139832A (ko) 2019-12-18
KR102423913B1 true KR102423913B1 (ko) 2022-07-21

Family

ID=637925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826A KR20220104843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KR1020197021920A KR102423913B1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KR1020247011856A KR20240054379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826A KR20220104843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856A KR20240054379A (ko) 2017-04-11 2017-04-11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7138625B2 (ko)
KR (3) KR20220104843A (ko)
WO (1) WO201818981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113A1 (en) 2014-03-20 2015-09-2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WO2016002306A1 (ja) 2014-07-02 2016-01-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456A (ja) * 1998-07-15 2000-0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プライト符号化を用いた動画像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器、復号器およ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1109371A (ja) * 2009-11-17 2011-06-02 Kddi Corp 3次元画像にコメントテキストを重畳して表示する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40089143A (ko) * 2013-01-0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4222439A (ja) * 2013-05-14 2014-1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パーツ生成利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88596A (ko) * 2014-01-24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감성적 메시지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113A1 (en) 2014-03-20 2015-09-2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WO2016002306A1 (ja) 2014-07-02 2016-01-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7681B2 (ja) 2024-01-18
JPWO2018189812A1 (ja) 2020-02-20
JP2022179488A (ja) 2022-12-02
KR20240054379A (ko) 2024-04-25
WO2018189812A1 (ja) 2018-10-18
JP2024024079A (ja) 2024-02-21
KR20220104843A (ko) 2022-07-26
JP7138625B2 (ja) 2022-09-16
KR20190139832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240B2 (en) Geo-location based event gallery
US20220391528A1 (en) Onlin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JP704168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JP700716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247931B1 (ko)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단말
CN113521728A (zh) 云应用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75372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
KR102423913B1 (ko)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정보처리 단말
JP7338935B2 (ja) 端末の表示方法、端末、端末のプログラム
JP2019109651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232519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JP6912207B2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JP731942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JP707110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JP7297971B2 (ja) サーバ、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725943B2 (ja) 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963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WO2020003508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
JP2022017341A (ja) 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02000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9071145A (ja) 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16570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