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255B1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255B1
KR102423255B1 KR1020200109671A KR20200109671A KR102423255B1 KR 102423255 B1 KR102423255 B1 KR 102423255B1 KR 1020200109671 A KR1020200109671 A KR 1020200109671A KR 20200109671 A KR20200109671 A KR 20200109671A KR 102423255 B1 KR102423255 B1 KR 10242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image
terminal devic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547A (en
Inventor
김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큐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큐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큐빅스
Priority to KR102020010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255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촬영 장치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정보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that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an image capturing device;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sensor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by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or for extract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vent.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 제조, 의료, 환경 분야 등에 적용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를 CCTV에서 녹화되는 영상정보와 동기화하여 통합관리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echnology capable of integrating and managing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pplied to agriculture, manufacturing, medical care, and environmental fields by synchronizing it with video information recorded in CCTV.

현재 일반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CCTV 시스템은, 다수의 CCTV 카메라를 현장에 설치하고, 이를 통합관제센터에서 대형 모니터 화면을 통해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방식이다.The CCTV system that is currently generally implemented is a method in which multiple CCTV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field, and the administrator monitors them in real time through a large monitor screen at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이러한 CCTV 시스템에는 수많은 CCTV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을 위해서 많은 인원이 필요하며, 인간의 시각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특정한 사건의 장면만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객체 검출(object detection), 추적(tracking), 상황 인식(event detection) 등의 복합적인 영상처리기술(video processing)이 도입되고 있으나, 실시간으로 방대한 영상을 처리하여 특정 장면이나 객체만을 추출하는 것은 속도적인 측면이나 정확도 측면에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Since many CCTV cameras are installed in this CCTV system, many people are required to monitor all the images at the same time. Have. Complex video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object detection, tracking, and event detection have been introduced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but by processing a vast amount of images in real time, a specific scene or The reality is that extracting only objects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in terms of speed or accuracy.

이러한 기술의 발전 방향에 있어서, 최근 4차 산업혁명이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물에 통신기능을 탑재하여 네트워크와 결합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CCTV 시스템과 연계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progressing in recent years,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in objects and combined with networks, is connected to the CCTV system to detect abnormal situations. Various types of technology development are required.

이와 같이 CCTV 시스템과 연계된 사물 인터넷 기술은 농업 분야(스마트팜), 제조 분야(스마트 팩토리), 환경 분야, 의료 분야(원격 의료), 생활 분야(스마트 홈)과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응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농업 분야의 스마트팜에서는 작물의 생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CCTV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와 동시에 IoT 센서(단말) 마다 측정된 값을 별도로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동기를 맞춰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As such, the IoT technology linked with the CCTV system can be appli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agriculture (smart farm), manufacturing (smart factory), environment, medical field (telemedicine), and living field (smart home). , for example, in smart farms in the agricultural field,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growth of crops, visually check through CCTV, and at the same time, separately check the measured value for each IoT sensor (terminal), and manually synchronize and identify the cause are doing

하지만, IoT 센서의 종류나 개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정보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측정된 센서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간의 동기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as the type or number of IoT sensors increases, the time required for information confirmation increases exponentially,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in that a synchronization error between measured sensor data and image data may occur.

또한, 제조 분야의 스마트 팩토리에서도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하여 진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CCTV와 IoT 단말이 설치된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CCTV는 타임레코드 기반 수작업으로 조회하고, 이와 별도로 IoT 단말의 측정된 값을 조회하여 일일이 맞춰가면서 원인을 찾아야만 하는 기술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smart factories in the manufacturing field are evolving by combining with big data-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f a problem occurs in the environment where CCTV and IoT terminals are installed, CCTV is manually inquired based on time record, and separately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in that you have to find the cause by inquir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IoT terminals and matching them one by one.

한국공개특허 제10-1558419호(등록일자: 2015.10.01.)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1558419 (Registration Date: 2015.10.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synchronize separately configured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to store and inquire integrat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from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sensor information or to extract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센서정보 또는 영상정보에서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에게 별도의 확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when an event occurs in sensor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센서정보의 다양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시계열 그래프)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편리한 동기화된 영상정보를 조회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various interfaces (eg, time series graph) of sensor information, and to search for convenient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using thi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촬영 장치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정보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by synchroniz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that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an image capturing device;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sensor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by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or for extract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v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통신망 상에서 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촬영 장치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that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an image capturing device;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by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or extract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according to the event,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이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며,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기준이거나, 상기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객체인식 기준이고, 상기 선택된 영역은 상기 센서정보의 시계열 그래프 상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시간 영역이거나, 상기 영상정보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객체 영역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ent is a reference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r an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and the set standard is a measurement value standard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or object recognition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reference, and the selected area may be a time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n the time series graph of the sensor information or an object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the imag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값과 상기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객체인식을 서로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extractor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with the object recogni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구성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어, 수작업으로 영상정보와 센서의 측정값을 조회하여 매칭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동기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and inquire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separately configured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errors can be avo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관리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부 정보의 손실이나 시스템 고장을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or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so that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administrator can be extracted more accurately and conveniently. You can also check whether there is a loss of some information or a system fail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정보 또는 영상정보에서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에게 별도의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이상상황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occurs in sensor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a separate confirmation message is provided to the manager to quickly respond to an abnormal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정보에 대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시계열 그래프)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동기화된 영상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terfaces (eg, time series graphs) for sensor information are provided, and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searched using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에게 별도의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face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from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face screen showing another example of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from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fac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eparate confirmation message to an administrator when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특성 및 기능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4]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6]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various aspects, and the form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Whole 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synchroniz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통합관리시스템(200), 영상 촬영장치(300), 센서 단말장치(400), 관리자 단말장치(500) 및 운영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00 ,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300 , a sensor terminal apparatus 400 , a manager terminal apparatus 50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server (6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으로, 유선 및/또는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network capable of performing a series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operations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or wireless can be configured.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이동통신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등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통신망이다. 또한, 이러한 통신망(100)은 일정한 장소와 범위만 구축된 자가망과 연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local area network (LAN),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wide area network (W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wireless LAN LA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or ZigBee (ZigBee),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various types that can be connected and configured. . In addition,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associated with a self-network established only in a certain place and rang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영상 촬영장치(3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영상촬영 장치(300)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400)에서 측정되는 센서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영상정보,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Next,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one or more image capturing apparatuses 300 and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300 . It may be a system that collects each sensor information measured in 400 , synchronizes them, generates integrated inform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based on this.

또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정보는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온도, 습도, 가스농도, 진동 등에 관한 측정값(기준값)] 의해,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방식 또는 시계열의 그래프 상에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선택된 영역(예를 들면, 특정 시간영역 및/또는 특정 측정값 영역)에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 및/또는 선택된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nsor information is based on a standard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eg, a measurement value (reference value) related to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vibration, etc.) It may be a method of extracting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area (eg, a specific time area and/or a specific measurement value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on the graph, or a method of combining them. As described abov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selected region may mean a case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영상정보는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등에 관해 영상 객체인식 기준)에 의해,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방식 또는 영상정보 상에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선택된 영역(객체영역, 예를 들면, 특정 개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영역)에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방식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 및/또는 선택된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image information is a method or image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eg, the image object recognition criteria with respect to the color, shape, location, size, etc. of the object) A method of extracting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from an area (object area, for example, color, shape, location, and size area of a specific object)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on the information may be a method or a method combining them. As described abov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selected region may mean a case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영상 객체인식기술은 영상의 프레임마다 객체(특정 사람, 사물 등)의 색상정보, 형상정보, 위치정보, 크기정보 등의 객체특성을 추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인데, 이미 자율주행기술 또는 카메라 영상인식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is image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extract and process object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information, shap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an object (a specific person, object, etc.) for each frame of an image. Since it is a known technique in the field of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영상정보가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등에 관해 영상인식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정보에서 농장의 작물인 개체의 색상이 설정된 녹색이 아닌 노란색으로 인식될 경우, 해당 영역(시간)에 대응되는 센서정보(예를 들면, 온도, 습도, 조도, CO2 등)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정보와 해당 센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센서정보의 변화(설정된 기준 범위 밖으로의 변화)가 없을 경우, 센서 단말장치(400)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해당 센서를 점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corresponds to the criteria (eg, image recognition criteria regarding the color, shape, location, size, etc. of an object)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is synchronized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a function of extracting and compar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color of an object that is a farm crop is recognized as yellow instead of green in the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etc.) corresponding to the area (time) is displayed. By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can b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re is no change in sensor information (change outside the set reference range), a malfunction of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may be suspected, and a process of checking the corresponding sensor may be performed based on this.

또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와 센서정보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 단말장치(500)로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도 2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when an event occurs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specifical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300)는, 광각 렌즈를 구비하여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프레임 변환하여 영상정보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장치일 수 있다.Next,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ing apparatus that includes a wide-angle lens to photograph an object,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into a digital frame,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s image information.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장치(300)는 사람, 사물, 환경 등의 대상물을 촬영하는 광학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장치로, 촬영된 영상은 전송을 위해 디지털 압축하는 인코딩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장치(300)는 이후 설명되는 센서 단말장치(400)와 특정 장소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통합관리시스템(200)에 의해 연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농업 분야(스마트팜, 예를 들면, 종묘의 발아환경과 영상), 환경 분야(예를 들면, 미세 먼지와 영상), 제조 분야(스마트 팩토리, 예를 들면, 공정 불량과 영상), 의료 분야(원격 의료, 예를 들면, 환자의 바이오 정보와 영상), 생활 분야(스마트 홈, 예를 들면, 화재감시, 가전제품 동작과 영상) 등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is a camera apparatus having an optical lens for photographing an object such as a person, an object, or an environment, and may perform an encoding process of digitally compr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for transmission. In addition, to enhance security, it can be encrypted and transmitted. Such an image captur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place with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be link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for example, in the agricultural field (smart farm, for example). For example, germination environment and imaging of seedlings), environmental field (eg fine dust and imaging), manufacturing field (smart factory, eg process defect and imaging), medical field (telemedicine, eg patient of bio information and images), life fields (smart home, for example, fire monitoring, operation and images of home appliances), etc. can

한편, 영상 촬영장치(300)로는 일반적인 CCTV용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제한 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general CCTV camera may be used as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known cameras may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단말장치(400)는, 물리적인 양이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측정)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영상촬영 장치(300)와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전기적인 신호의 측정값인 센서정보를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that detects a physical quantity or change, converts (measure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function, and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sensor information that is a measurement value of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을 물리적인 조건(온도, 습도, 대기, 진동, 빛, 소리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검출 센서, 가스농도 검출 센서, 진동 센서, 조도센서, 음향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may be composed of a sensor module that can be used to detect a specific physical condition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e, vibration, light, sound, etc.),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micro It may be any one or more of those including a dust detection sensor, a gas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a vibration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 acoustic sensor, and the like.

이러한 센서 단말장치(400)는 앞서 설명된 영상 촬영장치(300)와 특정 장소(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예를 들면, 영상 촬영장치 1대 당 센서 단말장치 4대)되어,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단말장치(400)는 설정된 기준(측정값)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기준(측정값)을 만족할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센서정보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se sensor terminal devices 400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300 and a specific place (position) (for example, 4 sensor terminal apparatuses per on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by synchronizing IoT-based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a set criterion (measured value),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set criterion (measured value) is satisfied, and extracts ev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nsor information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정보, 센서정보 및/또는 이들을 동기화한 통합정보를 전송받고, 이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설정된 기준(측정값) 및/또는 선택된 영역 등]를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Next,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and/or integrated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nd It may be a digit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related information (eg, a set standard (measured value) and/or a selected area, etc.)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동기화된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온도, 습도, 가스농도, 진동 등에 관한 측정값) 또는 다른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등에 관해 영상 객체인식 기준)을 통합관리시스템(200)에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alyzes and extracts sensor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criteria (eg, temperature, humidity, gas)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 Measurement values related to density, vibration, etc.) or other set criteria (eg, image object recognition criteria with respect to color, shape, location, size, etc. of an object) may be provid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또한,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시계열의 그래프 상에서 선택된 영역(예를 들면, 특정 시간영역 및/또는 특정 기준값 영역) 또는 다른 선택된 영역(예를 들면, 특정 개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영역)을 통합관리시스템(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영상정보, 센서정보 및/또는 통합정보를 제공받고, 이벤트 정보를 설정(선택)할 수 있는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프로그램이 통합관리시스템(200)과 연동되도록 구비(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may include a selected region (eg, a specific time region and/or a specific reference value region) or another selected region (eg, color, shape, location, and size of a specific object) on the graph of the time series. area) may be provid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is provided with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and/or integrated information, and a dedicated web and/or app program capable of setting (selecting) event information i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200) may be provided (installed) to interlock.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장치, 유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장치 등의 다양한 공지된 디지털 기기가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C),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면서, 유/무선의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various well-known digital devices such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terminal devices, wired terminal devices, wireless terminal devices, and IP (Internet Protocol) terminal devices without limitation. can be Specifically,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foldab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PMP). Player) memory means such as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tablet PC,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digital signage device, etc. It is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equipped with an arithmetic capability, and is equipped with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mouse for inputting information, and includ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t may be adopted as a device.

또한, 이러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는 상기 영상정보, 센서정보 및/또는 통합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및 그 처리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용 웹(Web) 및/또는 앱(App)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수단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어, 입력수단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may include a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and/or integr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result thereof. For example, information that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a dedicated web and/or an app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display means is LCD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diode (LED),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 Dimension). In this case, the display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screen, and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means may be perform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600)는 통합관리시스템(200), 영상 촬영장치(300), 센서 단말장치(400) 및/또는 관리자 단말장치(500)와 통신하는 네트워크의 운영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nally, the operation serv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twork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300 ,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and/or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 can perform the operation server function of

예를 들어, 운영서버(600)는 CCTV 네트워크의 운영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운영서버(600)는 네트워크망의 영상저장 장치인 NVR(Network Video Recorder), 중앙관제시스템인 CMS(central monitoring system), 영상감시시스템인 VMS(Video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운영서버(600)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200)와 연동되어 영상정보, 센서정보 및/또는 통합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600 may be an operation server of a CCTV network.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600 is a network video recorder (NVR) that is an image storage device of a network network, and a central monitoring system (CMS) that is a central control system. ), and a video surveillance system, VMS (Video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operation server 600 may be linked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ly utilize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and/or integrated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통합관리시스템(200)과 운영서버(6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통합관리시스템(200)을 운영서버(6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nd the operation server 600 are separately configured in FIG. 1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t will be apparent that 200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operation server 600 .

통합관리시스템(200)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that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영상정보 수집부(210), 센서정보 수집부(220), 통합정보 생성부(230), 정보 추출부(240), 정보 제공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 an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 and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 240 ),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 a database 260 , a communication unit 270 , and a control unit 280 .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정보 수집부(210), 센서정보 수집부(220), 통합정보 생성부(230), 정보 추출부(240), 정보 제공부(250), 데이터베이스(260),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영상 촬영장치(300), 센서 단말장치(400), 관리자 단말장치(500) 및/또는 운영서버(6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통합관리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20,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30,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40,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the database ( 260), the communication unit 270 and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receive data with at least some of them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300,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operation server 600 It can be program modules that do.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Also,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 Meanwhile,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to be described later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수집부(210)는, 영상 촬영장치(300)에서 촬영하여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이후 설명되는 정보 제공부(25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 수집부(210)는 전송된 영상정보를 디코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mage information that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300, and provides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study 250 can be performed.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coding and monitoring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정보 수집부(220)는, 센서 단말장치(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인 센서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서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이후 설명되는 정보 제공부(25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정보 수집부(220)는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측정값을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측정값을 분석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Next,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ensor information, which is a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and monitors the collected sensor information.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may be performed.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20 may separately store and manage the measured values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nd monitoring the measured value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 생성부(230)는, 수집된 상기 센서정보과 상기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collected sensor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정보 생성부(230)는 영상정보 수집부(210)에서 제공되는 영상정보 및 센서정보 수집부(220)에서 제공되는 센서정보를 서로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업 분야(스마트팜, 예를 들면, 종묘의 발아환경과 영상), 환경 분야(예를 들면, 미세 먼지와 영상), 제조 분야(스마트 팩토리, 예를 들면, 공정 불량과 영상), 의료 분야(원격 의료, 예를 들면, 환자의 바이오 정보와 영상), 생활 분야(스마트 홈, 예를 들면, 화재감시, 가전제품 동작과 영상) 등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기 센서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서로 동기화하여 통합정보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synchronizes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nd the senso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nd store integrated information. can be done For example, agriculture (smart farm, eg, germination environment and images of seedlings), environmental sector (eg, fine dust and images), manufacturing sector (smart factory, eg, process defects and images) , the IoT-based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medical field (telemedicine, for example, patient's bio-information and images), and the life field (smart home, for example, fire monitoring, operation and image of home appliances), etc. Integrate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추출부(240),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추출부(240)는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Next,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Also,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may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추출부(240)는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온도, 습도, 가스농도, 진동 등에 관하여 감지되어 측정된 측정값)에 의해,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방식 또는 시계열의 그래프 상에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선택된 영역(예를 들면, 특정 시간영역 및/또는 특정 기준값 영역)에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 및/또는 선택된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3 및 4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is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based on the standard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eg, measured values detected and measured with respect to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vibration, etc.) A method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by , or a method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from a region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on a graph of a time series (eg, a specific time region and/or a specific reference value reg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selected region may mean a case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또한, 정보 추출부(240)는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등에 관한 영상 객체인식 기준)에 의해,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방식 또는 영상정보 상에서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선택된 영역(객체영역, 예를 들면, 특정 개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영역)에서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방식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 및/또는 선택된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is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eg, image object recognition criteria related to the color, shape, location, size, etc. of the object), A method of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or extracting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from the area (object area, for example, the color, shape, location, size area of a specific object)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on the image information method or a combina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selected region may mean a case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정보 추출부(240)는 동기화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영상정보가 관리자 단말장치(5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등에 관해 영상인식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센서 단말장치(40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영상촬영 장치(300)에서 촬영된 객체인식을 서로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영상정보에서 농장의 작물인 개체의 색상(객체인식)이 설정된 녹색이 아닌 노란색으로 인식될 경우, 해당 영역(시간)에 대응되는 센서정보(예를 들면, 온도, 습도, 조도, CO2 등의 측정값)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정보와 해당 센서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센서정보의 변화(설정된 기준 범위 밖으로의 변화)가 없을 경우, 센서 단말장치(400)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관리자는 해당 센서를 점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corresponds to the standard (eg, the image recognition standard regarding the color, shape, location, size, etc. of the object)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for image information in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a function of extracting and compar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erformed.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and the object recogni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300 with each other. When the color (object recognition) is recognized as yellow instead of set green,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time) (eg, measured values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CO2, etc.) is extracted and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ensor information (change outside the set reference ran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 malfunction of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may be suspected, and based on this, the manager may perform a process of checking the corresponding senso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250)는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5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상기 영상정보 또는 센서정보 중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 단말장치(500)로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에 따라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in real time. In addition, when an event occurs among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or sensor information, a function of provid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may be performed. A method of providing may be specifical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60)는, 영상정보, 센서정보, 통합정보 및/또는 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일 수 있다.Next, the database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integrated information, and/or related information.

한편,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60)는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60)는 통합관리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하거나 운영서버(6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6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260)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atabase 260 in FIG. 2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60 i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nd 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r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operation server 600 . The database 260 is a concept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fers not only to a narrow database, but also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data record based on a file system, and even a simple set of logs. If data can be extracted by searching, it may be included in the database 260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70)는, 통합관리시스템(200)이 영상 촬영장치(300), 센서 단말장치(400), 관리자 단말장치(500) 및/또는 운영서버(6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in the communication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includes the image capturing device 300 ,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nd/or the operation server ( 600) and the like, and may perform a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0)는, 영상정보 수집부(210), 센서정보 수집부(220), 통합정보 생성부(230), 정보 추출부(240), 정보 제공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8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통합관리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정보 수집부(210), 센서정보 수집부(220), 통합정보 생성부(230), 정보 추출부(240), 정보 제공부(250), 데이터베이스(260) 및 통신부(27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nally, the control unit 2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30 ,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40 , and the information system. Study 250, the database 2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70 can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That is, the control unit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from the outside or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30 ,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40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0 , the database 2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respectivel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통합관리시스템(2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정보를 조회하고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method for querying and analyzing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

통합정보 조회 및 분석Integrated information inquiry and analysis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분야에서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를 구현하여, 관리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일례로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농업 분야(스마트팜, 예를 들면, 종묘의 발아환경과 영상), 환경 분야(예를 들면, 미세 먼지와 영상), 의료 분야(원격 의료, 예를 들면, 환자의 바이오 정보와 영상), 생활 분야(스마트 홈, 예를 들면, 화재감시, 가전제품 동작과 영상) 등의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smart factory is implemented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manufacturing field for producing products, and i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 explained as This is a descrip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application proces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gricultural field (smart farm, for example, the germination environment and image of the seedling), the environmental field (eg, fine dust) and imaging), medical fields (telemedicine, eg, patient bio-information and images), and life fields (smart home, eg, fire monitoring, operation and imaging of home appliances),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3 is an interface screen showing an example of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from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좌측 상단의 메뉴부(S), 우측 상단의 센서정보(측정값)를 보여주는 그래프부(G), 좌측 하단에 영상정보의 특성을 보여주는 영상특성부(P) 및 우측 하단에 통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제1 화면부(V1) 및 이벤트에 해당되는 통합정보를 보여주는 제2 화면부(V2)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menu unit (S) at the upper left of the interfac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a graph unit (G) showing sensor information (measured values) at the upper right, and image information at the lower left It may be composed of an image characteristic unit (P)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 a first screen unit (V1) showing integr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lower right side, and a second screen unit (V2) showing integr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이러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내부에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단말장치(400)가 일례로, 2대 설치(미도시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상장치(300)가 1대 설치(미도시됨)되어,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각각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this interface screen, for example, two sensor terminal devices 400 for measuring IoT-based sensor information may be installed (not shown) in a factory that produces products, and an imaging device ( 300) is installed (not shown), so that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displayed, respectively.

이때, 센서 단말장치(400)는 일례로 가스농도 검출 센서, 진동 센서일 수 있는데, 공장 내부에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가스 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공정의 이상 유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비정상정인 충격(진동)을 감지하여 설비 기계의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terminal device 400 may be, for example, a gas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and by detecting a change in gas concentration that occurs during product production inside the factory, information on whether the process is abnormal or not, abnormal By detecting static shock (vib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to check whether the equipment is malfunctioning.

먼저, 메뉴부(S)는 상태메뉴(실시간 CCTV, 영상분석)와 제어메뉴(영상녹화, 실시간 보기/숨기기, 영상화면 캡처)를 포함하여, 관리자의 선택에 따른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First, the menu unit (S) includes a status menu (real-time CCTV, video analysis) and a control menu (video recording, real-time view/hide, video screen capture), including a function to check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lection. interface provided.

이어서, 영상특성부(P)는 영상의 재생, 정지, 재생 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Next, the image characteristic unit (P) is a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 function to adjust the playback, stop, and playback speed of the image.

이어서, 그래프부(G)는 센서정보(측정값)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상기 가스농도 검출 센서(센서 단말장치)와 진동 센서에서 측정된 가스 농도(CO2 ppm 단위)와 진동량(g 단위)를 시계열 그래프로 도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n, the graph part G is a screen showing sensor information (measured value), and the gas concentration (CO2 ppm unit) and the vibration amount (g unit) measured by the gas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sensor terminal device) and the vibration sensor are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as a time series graph.

이어서, 제1 화면부(V1)는 상기와 같은 영상정보와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생성한 통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Next, the first screen unit V1 is a display screen that shows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n real time.

이어서, 관리자에 의해 그래프부(G)상에서 선택된 센서정보의 영역(10)이 이벤트로 처리되어‘장소: 공장1, 시간: 2020-05-07, 20:05:03, 센서정보: 가스농도(CO2 500ppm), 진동량(2g)’관련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동기화된 영상정보도 함께 제2 화면부(V2)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시간영역: 10)의 센서정보(가스농도, 진동량)가 현재보다 높았다는 것[가스농도(CO2 450 -> 500ppm), 충격량(1.5 -> 2g)]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area 10 of the sensor information selected on the graph part G by the administrator is processed as an event, so that 'Location: Factory 1, Time: 2020-05-07, 20:05:03, Sensor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 CO2 500ppm) and vibration amount (2g)' related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V2 together. Therefore, it is convenient that the sensor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vibration amount) of the area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time domain: 10) was higher than the present [gas concentration (CO2 450 -> 500ppm), impact amount (1.5 -> 2g)] can be confirm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가스농도, 진동 기준값)에 의해, 자동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동기화된 영상정보도 함께 제2 화면부(V2)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even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ens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gas concentration, vibration reference value) set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is also included in the second screen unit (V2) can be displayed on

이와 같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기술을 통해 설계 및 개발, 제조 등의 제품생산 과정에서 공장내 환경, 설비와 기계에 사물인터넷(IoT)을 설치하여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생산 공장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rough smart factory technology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installed in the factory environment, facilities and machines in the process of product production such as design,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to provide real-time process data.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lligent production factory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quality by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4 is an interface screen showing another example of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sensor information from integr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술된 도 3과 동일하게 관리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주변환경 정보를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로 각각 수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단말장치(400)가 일례로, 4대 설치(미도시됨: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가스농도 검출 센서)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상장치(300)가 1대 설치(미도시됨)될 수 있는데, 그래프부(G)는 센서정보(측정값) 중 온도와 습도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시계열 그래프로 도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화면부(V1)는 상기와 같은 영상정보와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생성한 통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s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3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four sensor terminal devices 400 for measuring IoT-based sensor information may be installed (not shown: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gas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One imag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not shown), and the graph unit G is a screen show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mong sensor information (measured values), and may be displayed as a time series graph. Next, the first screen unit V1 is a display screen that shows the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n real time.

이어서, 관리자에 의해 그래프부(G) 상에서 선택된 센서정보의 영역(시간영역, 10)이 이벤트로 처리되어‘장소: 환경1, 시간: 2020-08-12, 17:08:48, 온도: 24.7도, 습도: 58.8%, 조도: 1953.0Lx, CO2: 1003ppm’관련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동기화된 영상정보도 함께 제2 화면부(V2)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구성의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상세한 설명과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Then, the area (time area, 10) of the senso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on the graph unit G is processed as an event, so that 'Place: Environment 1, Time: 2020-08-12, 17:08:48, Temperature: 24.7 Degree, humidity: 58.8%, illuminance: 1953.0Lx, CO2: 1003ppm' related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the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unit V2. A description of the other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screen will be omitted to avoid overlap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실시간 조회 및 이벤트 알림Real-time inquiry and event notifica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작물(버섯)을 재배하는 농장에서 본 발명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을 통해 스마트팜(smart farm)을 구현하여,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 단말장치(500)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일례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smart farm is implemented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arm growing crops (mushrooms), and when an event occurs, it is display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device 500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that is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활용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분야(예를 들면, 미세 먼지와 영상), 제조 분야(스마트 팩토리, 예를 들면, 공정 불량과 영상), 의료 분야(원격 의료, 예를 들면, 환자의 바이오 정보와 영상), 생활 분야(스마트 홈, 예를 들면, 화재감시, 가전제품 동작과 영상) 등의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This is a descrip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application proces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vironment field (eg, fine dust and images), the manufacturing field (smart factory, for example, process defects and images) ), medical field (telemedicine, eg, patient bio-information and images), and life field (smart home, eg, fire monitoring, operation and imaging of home appliances), and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에게 별도의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5 is an interface screen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separate confirmation message to an administrator when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작물(버섯)을 재배하는 농장 내부에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단말장치(400)가 일례로, 4대 설치(미도시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영상장치(300)가 1대 설치(미도시됨)되어,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각각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for example, four sensor terminal devices 400 for measuring IoT-based sensor information may be installed (not shown) in a farm where crops (mushrooms) are grown, and corresponding One imaging device 300 is installed at a location (not shown) to collect sensor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respectively.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200)를 통해 센서정보과 영상정보가 동기화되어 통합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화면(A)와 같이 관리자 단말장치(500)는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통합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n,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are synchronized to generate the integrated information. Integrated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for monitoring.

이어서, 화면(B)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온도 17도, 습도 70%의 측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확인 메시지(예를 들면, 문자 또는 알림)가 수신되고, 수신된 메시지에는‘1. 시간정보, 발생일: 2019.03.02, 발생시간: 19:50:03, 2. 장소정보, 주소: OOO, 제1 농장 1구역, 3. 이벤트 정보, 온도 16.5도, 습도 75.6%’가 포함되어 있어, 설정된 습도 기준값인 70% 이상일 경우에 해당하여 이벤트가 수신되었고, 관리자는 작물(버섯)을 재배하는 농장의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의 해당 영상정보(또는 통합정보)를 ‘영상 확인하기’버튼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Then, as shown in the screen (B), if an event occur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by the administrator (measured value of temperature of 17 degrees and humidity of 70%), a confirmation message (eg, text or notification) is received and , in the received message'1. Time information, date of occurrence: 2019.03.02, time of occurrence: 19:50:03, 2.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OOO, farm 1 area 1, 3. event information, temperature 16.5 degrees, humidity 75.6%' is included. In this case, the event was received when the humidity was higher than the set humidity reference value of 70%, and the manager clicked the 'Check Video' button to view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or integrated information) of the time when the event of the farm growing crops (mushrooms) occurred. You can choose to be provid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존에는 작물에 관수할 때 직접 밸브를 열고 모터를 작동해야 했다면, 스마트 팜에서는 상술된 온도, 습도의 센서정보를 이용하여 전자밸브가 설정값(측정값)에 맞춰 자동으로 관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ast, when watering crops, it was necessary to directly open the valve and operate the motor. In Smart Farm, 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adjusts to the set value (measured value) using the sensor inform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trolled to irrigat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합관리시스템(200)을 통해 작물(버섯)을 재배하는 농장을 스마트팜(smart farm)을 구현하면, 생육 단계별 정밀한 관리와 예측 등이 가능하여 수확량, 품질 등을 향상시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동력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a farm that grows crops (mushrooms) is implemented as a smart farm through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management and prediction by each growth stage are possible to improve yield, quality, etc. can increase profitability. In addition,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by efficiently managing labor and energy.

또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 기술을 통해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환경 정보(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빛, 토양 등)와 생육 정보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 농장, 스마트 온실, 스마트 축사, 스마트 양식장 등의 전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collects accurate data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light, soil, etc.) and growth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rough smart farm technology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 smart farms, smart greenhouses, smart livestock houses, smart farms, etc.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DVD, an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ly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100: 통신망
200: 통합관리시스템
210: 영상정보 수집부
220: 센서정보 수집부
230: 통합정보 생성부
240: 정보 추출부
250: 정보 제공부
260: 데이터베이스
270: 통신부
280: 제어부
300: 영상 촬영장치
400: 센서 단말장치
500: 관리자 단말장치
600: 운영서버
100: communication network
200: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210: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20: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40: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50: information provider
260: database
270: communication department
280: control unit
300: video recording device
400: sensor terminal device
500: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600: operation server

Claims (5)

통신망 상에서 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촬영 장치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통합정보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이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며,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기준이거나, 상기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객체인식 기준이고,
상기 선택된 영역은, 상기 센서정보의 시계열 그래프 상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시간영역이거나, 상기 영상정보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객체영역이며,
상기 정보 추출부는,
상기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값과 상기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객체인식을 서로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동기화된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하며, 상기 동기화된 통합정보에서 영상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객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에 관해 영상인식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여 영상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는, 시계열의 그래프 상에서 선택된 영역(특정 시간영역 또는 특정 기준값 영역) 또는 다른 선택된 영역(특정 개체의 색상, 형상, 위치, 크기 영역)을 시스템에 제공하고, 영상정보, 센서정보 또는 통합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벤트 정보를 설정(선택)할 수 있는 전용 웹(Web) 또는 앱(App) 프로그램이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비(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는 통합정보에서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메뉴부(S), 센서정보(측정값)를 보여주는 그래프부(G), 영상정보의 특성을 보여주는 영상특성부(P), 통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제1 화면부(V1), 및 이벤트에 해당되는 통합정보를 보여주는 제2 화면부(V2)로 구성되되, 상기 메뉴부(S)는 상태메뉴(실시간 CCTV, 영상분석)와 제어메뉴(영상녹화, 실시간 보기/숨기기, 영상화면 캡처)를 포함하여, 관리자의 선택에 따른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특성부(P)는 영상의 재생, 정지, 재생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그래프부(G)는 센서정보(측정값)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가스농도 검출 센서(센서 단말장치)와 진동 센서에서 측정된 가스 농도(CO2 ppm 단위)와 진동량(g 단위)를 시계열 그래프로 도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화면부(V1)는 영상정보와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생성한 통합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상기 제2 화면부(V2)는 관리자에 의해 그래프부(G)상에서 선택된 센서정보의 영역이 이벤트로 처리되어 장소, 시간, 센서정보(가스농도, 진동량)를 추출하여, 이와 동기화된 영상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기준(가스농도, 진동 기준값)에 의해, 자동으로 이벤트가 발생하여 센서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동기화된 영상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s a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by synchroniz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which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sensor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by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 integrate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or for extract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vent
including,
The event is
It is a criterion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r an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he set standard is a measurement value standard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or an object recognition standard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The selected area is a time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n the time series graph of the sensor information, or an object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the imag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with the object recogni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is analyzed and extracted from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 when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synchronized integrat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riteria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mage recognition criteria with respect to the color, shape, location, and size of an object), the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the image information and compare,
The manager terminal device provides a selected area (a specific time area or a specific reference value area) or another selected area (a color, shape, location, size area of a specific object) on the graph of the time series to the system, and provides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or A dedicated web or app program that can receive integrated information and set (select) event information is provided (installed) to work with the system,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cludes an interface screen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information, and the interface screen includes a menu unit (S) and a graph unit (S) showing sensor information (measured values) G), an image characteristic unit (P) showing characteristics of image information, a first screen unit (V1) showing integr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 second screen unit (V2) showing integr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The menu unit (S) includes a status menu (real-time CCTV, video analysis) and a control menu (video recording, real-time view/hide, video screen capture), and provides a function to check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lection And, the image characteristic unit (P) provides a function to adjust the playback, stop, and playback speed of the image, and the graph part (G) is a screen showing sensor information (measured value), a gas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 The sensor terminal device) and the vibration sensor show and display the gas concentration (CO2 ppm unit) and the vibration amount (g unit) as a time series graph, and the first screen unit V1 synchronizes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and the second screen unit V2 displays the area of the sensor information selected on the graph unit G by the administrator as an event, so that the location, time, and sensor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vibration amount) are processed as events. ) to extract and display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generate an event based on the standard (gas concentration, vibration reference value) set by the administrator to extract sensor information, and display the synchronized image information together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망 상에서 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촬영 장치와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되는,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센서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정보를 추출하거나, 생성된 상기 통합정보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준으로, 이벤트에 해당되는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정보를 관리자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이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며,
상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센서 단말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값 기준이거나, 상기 영상촬영 장치에서 촬영되는 객체인식 기준이고,
상기 선택된 영역은, 상기 센서정보의 시계열 그래프 상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시간영역이거나, 상기 영상정보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장치에 의해 선택된 객체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by synchronizing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that is captured and transmitted by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by one or more sensor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generating integrated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sensor information;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or information, or extracting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from the generated integr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nd according to the event, transmitting a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event is
It is a criterion set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r an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The set standard is a measurement value standard measured by the sensor terminal device, or an object recognition standard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The selected area is a time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on the time series graph of the sensor information, or an object area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device in the image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200109671A 2020-08-28 2020-08-28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KR102423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71A KR102423255B1 (en) 2020-08-28 2020-08-28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71A KR102423255B1 (en) 2020-08-28 2020-08-28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47A KR20220028547A (en) 2022-03-08
KR102423255B1 true KR102423255B1 (en) 2022-07-20

Family

ID=8081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71A KR102423255B1 (en) 2020-08-28 2020-08-28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2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1B1 (en) * 2022-04-29 2023-01-10 (주)하이브시스템 Video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event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16B1 (en) 2014-08-11 2014-12-09 (주)엔토스정보통신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of sensing ris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ensing area and method thereof
KR102028147B1 (en) *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Integrated control system, video analysis device and loc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ev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66B1 (en) * 2013-09-26 2015-05-0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A Parking Event Detection System Based on Object Recognition
KR101558419B1 (en) 2015-06-11 2015-10-07 (주)프로브디지털 Image processing unit and contolling methods using plural cameras
KR101953744B1 (en) * 2017-05-17 2019-03-04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server an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R102159786B1 (en) * 2018-09-17 2020-09-24 김명호 System for Serarching Using Intelligent Analyzing Vide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16B1 (en) 2014-08-11 2014-12-09 (주)엔토스정보통신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of sensing ris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ensing area and method thereof
KR102028147B1 (en) *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Integrated control system, video analysis device and loc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e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47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761B2 (en) Complex hardware-base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tracking
JP74175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displaying acoustic data
US9342594B2 (en) Indexing and searching according to attributes of a person
US7840515B2 (en) System architecture and process for automating intelligent surveillance center operations
US201002018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monitoring
US20220181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CN105933664A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display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video
WO2017057780A1 (en) Data collec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 panel or control panel
CN101375599A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video flashlight
KR20190143680A (en)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groth state of crop in green hous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6464836A (en) Smart shift selection in a cloud video service
KR1024232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synchronizing sensor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KR101545615B1 (en) Growth Process Monitoring System for Wild Plants
CN106303457A (en) Continuous remote mobile video monitoring method based on wireless location technology and system
US20230024701A1 (en) Thermal imaging asset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60093253A (en) Video based abnormal flow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9111237B2 (en) Evaluating an effectiveness of a monitoring system
KR101060414B1 (en) Monitoring system and mathod for the same
US20200204792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health check of cameras and a camera system
KR101169631B1 (en) Video analysis camera, video analysis system having detection interface and detecting adjustment method of the same
US20140325574A1 (en) Perceptors and methods pertaining thereto
CN108076312A (en) Demographics monitoring identifying system based on depth camera
WO2023022207A1 (en) Management system
KR102479412B1 (en) Measurement of polygonal area Industrial thermal imaging camera
CN108846362A (en) A kind of corps diseases identify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Cloud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