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999B1 -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999B1
KR102422999B1 KR1020200177608A KR20200177608A KR102422999B1 KR 102422999 B1 KR102422999 B1 KR 102422999B1 KR 1020200177608 A KR1020200177608 A KR 1020200177608A KR 20200177608 A KR20200177608 A KR 20200177608A KR 102422999 B1 KR102422999 B1 KR 10242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rculation pipe
encapsulation
body part
geotherma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169A (ko
Inventor
남유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24T10/13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 F24T10/15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using bent tubes; using tubes assembled with connectors or with return he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3Methods fo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은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는, 원통형의 바디부, 내부에 순환수가 흐르도록, 코일 형상으로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 -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바디부의 위로 인출됨 -, 바디부의 외측에서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 및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UNIT-TYPE GROUND HEAT EXCHANGER FOR LOW-DEPTH INSTALLA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이나 가정에서는 냉난방을 위해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가 직접 사용되거나, 이러한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석연료는 연소 시 공해물질이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매장량이 감소되고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풍력, 태양열 및 태양광이 고려되고 있다. 풍력이나 태양열 및 태양광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대규모의 발전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발전 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고, 에너지 효율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열 효율이 좋으면서 넓은 설치 면적이 요구되지 않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는 지중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지중열 교환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중열 교환 장치를 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지중열 교환 장치가 고심도로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지중열 교환 장치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에 100 m 이상의 지열공이 천공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지중열 교환 장치를 시공하기 위해 대형 천공 기기가 요구되기 때문에, 지중열 교환 장치를 시공하는 데 있어 효율성이 낮다. 나아가, 소형 건물을 위한 지중열 교환 장치의 도입이 어렵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는, 원통형의 바디부, 내부에 순환수가 흐르도록,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 -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상기 바디부의 위로 인출됨 -,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 및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상기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바디부를 준비하는 단계,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순환관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상기 바디부의 위로 인출됨 -,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상기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시공 방법은, 원통형의 바디부,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적어도 하나의 지열공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이 상기 지열공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지열공의 내부에 상기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열공의 외부에서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에 외부 배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열공의 내부를 흙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중열 교환 장치가 유닛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지반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에서, 순환관이 코일 형태로 형성될 뿐 아니라, 봉지부가 순환관을 덮으면서, 순환관의 지중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기 때문에, 순환수와 지중 사이에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가 저심도로 시공되더라도, 충분한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에 천공되는 지열공의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소형의 천공 기기로 지중열 교환 장치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 건물에도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가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가 건물의 아래에 직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순환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순환관(12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바디부(110), 순환관(120), 봉지부(130) 및 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순환관(120), 봉지부(130) 및 캡부(140)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11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에서의 내부 열저항 증가에 따른 상호 열간섭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에는, 순환관(120)과 맞물리도록 홈(도 4의 11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홈(111)은 바디부(1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순환관(120)는 내부에 순환수가 흐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순환관(120)은 바디부(110)의 둘레를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순환관(120)은 바디부(110)의 홈(111)에 맞물리면서, 바디부(110)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서로 나란하게 인출될 수 있다.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순환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를 위한 유입부(121)와 순환관(120)으로부터 유출되는 순환수를 위한 유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130)는 순환관(120)의 지중과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에 대해 순환관(1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순환관(120)을 덮을 수 있다. 즉,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둘레면과 순환관(120)에 밀착될 수 있다. 봉지부(130)는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130)의 높이는 바디부(11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봉지부(130)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원통형으로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캡부(140)는 바디부(110)의 위에서 순환관(120)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캡부(140)는 바디부(110)의 위에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밀봉하여,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140)는 봉지부(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캡부(140)는 순환관(120)의 유입부(121)와 유출부(123)를 함께 봉지부(130)에 고정시키면서 보호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가 준비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이 때 바디부(1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빈 공간은 충진되지 않아도 되므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10)의 직경은 대략 0.5 m 이상이고 2 m 이하일 수 있다. 바디부(110)는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10)에는, 순환관(120)과 맞물리도록 홈(도 4의 11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홈(111)은 바디부(1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111)의 깊이는 대략 20 cm 이상이고 30 cm 이하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관(120)은 바디부(110)의 둘레를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순환관(120)은 바디부(110)의 홈(111)에 맞물리면서, 바디부(110)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서로 나란하게 인출될 수 있다.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순환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수를 위한 유입부(121)와 순환관(120)으로부터 유출되는 순환수를 위한 유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에 대해 순환관(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순환관(120)을 덮을 수 있다. 즉,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둘레면과 순환관(120)에 밀착될 수 있다. 봉지부(130)는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130)의 높이는 바디부(11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순환관(120)의 양 단부(121, 123)들은 바디부(110)와 봉지부(130) 사이에서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봉지부(130)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원통형으로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이 외부 거푸집(13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 거푸집(131)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거푸집(131)의 직경은 바디부(110)의 직경을 초과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거푸집(131)의 직경은,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이 외부 거푸집(131) 내에 위치될 때, 순환관(120)이 외부 거푸집(131)에 접촉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거푸집(131)은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거푸집(131)의 높이는 바디부(11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순환관(120)의 양 단부(121, 123)들은 바디부(110)와 외부 거푸집(131) 사이에서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될 수 있다.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거푸집(131) 내에 봉지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과 외부 거푸집(131) 사이에, 봉지 부재가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미관(tremie pipe)(133)을 이용하여, 봉지 부재가 충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봉지 부재가 경화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봉지부(130)는 봉지 부재로부터 생성되는 충전부(135) 또는 외부 거푸집(1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부(130)는 충전부(1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부(135)는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부(135)가 생성된 후에, 외부 거푸집(131)은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부(130)는 충전부(135) 및 외부 거푸집(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거푸집(131)은 바디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충전부(135)를 둘러쌀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캡부(140)는 바디부(110)의 위에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140)는 봉지부(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캡부(140)는 순환관(120)의 유입부(121)와 유출부(123)를 함께 봉지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준비될 수 있다. 즉,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G)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적어도 하나의 지열공(H)이 천공될 수 있다. 지반(G)에 저심도로 지열공(H)이 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지열공(H)의 깊이(D)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길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열공(H)의 깊이(D)는 2 m 이상이고 5 m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어스 오거(earth auger) 또는 백호(back hoe)와 같은 천공 기기(200)에 의해, 지반(G)에 지열공(H)이 천공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지열공(H)들이 천공될 수 있으며, 지열공(H)들은 일 축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지열공(H)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지열공(H)의 내부에서 지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이 지열공(H)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들이 하나의 지열공(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들이 복수의 지열공(H)들 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외부 배관(221, 223)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이 지열공(H)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므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이 지열공(H)의 외부에서 외부 배관(221, 223)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외부 배관(221, 223)들을 통해, 히트 펌프(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히트 펌프(230)는 냉난방 장치(24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히트 펌프(230)는 순환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배관(221, 223)들은 순환관(120)의 유입부(121)에 연결되는 유입관(221)과 순환관(120)의 유출부(123)에 연결되는 유출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출관(223)이 히트 펌프(230)의 순환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열공(H)의 내부가 흙(S)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지열공(H)의 내부에서 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지열공(H)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위에서, 지면에 그라우팅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순환수가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순환하면서, 순환수와 지중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수가 히트 펌프(230)로부터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후, 순환수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순환하면서, 순환수와 지중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순환수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로부터 히트 펌프(230)로 유출될 수 있다. 히트 펌프(230)는 순환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로 하여금, 순환수를 순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중열이 히트 펌프(23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트 펌프(230)에서 순환수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트 펌프(230)가 냉난방 장치(240)에 냉매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냉난방 장치(240)는 냉매열을 냉방 또는 난방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절기에는 지중의 낮은 열에 기반하여, 냉방이 이루어지고, 동절기에는 지중의 높은 열에 기반하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유닛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지반(G)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에서, 순환관(120)이 코일 형태로 형성될 뿐 아니라, 봉지부(130)가 순환관(120)을 덮으면서, 순환관(120)의 지중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기 때문에, 순환수와 지중 사이에 효과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내측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에서의 내부 열저항 증가에 따른 상호 열간섭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빈 공간은 충진되지 않아도 되므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저심도로 시공되더라도, 충분한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반에 천공되는 지열공(H)의 깊이(D)가 얕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소형의 천공 기기(200)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소형 건물에도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가 건물의 아래에 직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원통형의 바디부(110), 내부에 순환수가 흐르도록, 코일 형상으로 바디부(110)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120) -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됨 -,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순환관(120)을 덮는 봉지부(130), 및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봉지부(130)에 고정시키는 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부(110)에는, 순환관(120)과 맞물리도록 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에 밀착되는 충전부(135), 또는 바디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충전부(135)를 둘러싸면서 충전부(135)에 밀착되는 외부 거푸집(1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바디부(110)를 준비하는 단계, 코일 형상으로 바디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순환관(120)을 형성하는 단계 -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됨 -,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순환관(120)을 덮는 봉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봉지부(130)에 고정시키는 캡부(1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부(110)에는, 순환관(120)과 맞물리도록 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봉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는, 외부 거푸집(131) 내에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을 위치시키는 단계,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과 외부 거푸집(131) 사이에 봉지 부재를 충전하는 단계, 및 봉지 부재를 경화시켜, 봉지 부재 또는 외부 거푸집(13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봉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봉지 부재 또는 외부 거푸집(13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봉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는, 봉지 부재를 경화시켜, 봉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외부 거푸집(131)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의 시공 방법은, 원통형의 바디부(110), 코일 형상으로 바디부(110)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120), 및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순환관(120)을 덮는 봉지부(13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G)에 미리 정해진 깊이(D)로 적어도 하나의 지열공(H)을 천공하는 단계,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이 지열공(H)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지열공(H)의 내부에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를 삽입하는 단계, 지열공(H)의 외부에서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에 외부 배관(221, 223)들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지열공(H)의 내부를 흙(S)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은 바디부(110)의 위로 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100)는, 순환관(120)의 양 단부들(121, 123)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봉지부(130)에 고정시키는 캡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부(110)에는, 순환관(120)과 맞물리도록 홈(111)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봉지부(130)는, 바디부(110)의 외측에서 바디부(110) 및 순환관(120)에 밀착되는 충전부(135), 또는 바디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충전부(135)를 둘러싸면서 충전부(135)에 밀착되는 외부 거푸집(1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0)

  1.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바디부;
    내부에 순환수가 흐르도록,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 -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상기 바디부의 위로 인출됨 -;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 및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상기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빈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고,
    상기 봉지부는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봉지부의 위로 돌출되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순환관과 맞물리도록 홈이 마련되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순환관에 밀착되는 충전부; 또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충전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충전부에 밀착되는 외부 거푸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
  4.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바디부를 준비하는 단계;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순환관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상기 바디부의 위로 인출됨 -;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부의 위에서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상기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빈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고,
    상기 봉지부는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봉지부의 위로 돌출되는,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순환관과 맞물리도록 홈이 마련되는,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외부 거푸집 내에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순환관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순환관과 상기 외부 거푸집 사이에 봉지 부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 부재를 경화시켜, 상기 봉지 부재 또는 상기 외부 거푸집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또는 상기 외부 거푸집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봉지 부재를 경화시켜, 상기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8.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원통형의 바디부, 코일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감싸며 형성되는 순환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는 봉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지반에 미리 정해진 깊이로 적어도 하나의 지열공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이 상기 지열공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지열공의 내부에 상기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지열공의 외부에서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에 외부 배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열공의 내부를 흙으로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은 상기 바디부의 위로 인출되고,
    상기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는,
    상기 순환관의 양 단부들의 각각의 일부를 함께 상기 봉지부에 고정시키는 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는 비어 있고,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빈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순환관을 덮고,
    상기 봉지부는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봉지부의 위로 돌출되는, 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순환관과 맞물리도록 홈이 마련되는,
    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순환관에 밀착되는 충전부; 또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충전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충전부에 밀착되는 외부 거푸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KR1020200177608A 2020-12-17 2020-12-17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242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08A KR102422999B1 (ko) 2020-12-17 2020-12-17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08A KR102422999B1 (ko) 2020-12-17 2020-12-17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69A KR20220087169A (ko) 2022-06-24
KR102422999B1 true KR102422999B1 (ko) 2022-07-21

Family

ID=8221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608A KR102422999B1 (ko) 2020-12-17 2020-12-17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9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69B1 (ko) * 2004-06-23 2007-01-0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코일형 지열교환기
KR101370440B1 (ko) 2011-10-18 2014-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일형 지중열교환기 시공구조와 그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26Y1 (ko) * 2014-05-29 2016-05-11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박스형 지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69B1 (ko) * 2004-06-23 2007-01-0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코일형 지열교환기
KR101370440B1 (ko) 2011-10-18 2014-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일형 지중열교환기 시공구조와 그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69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591B2 (en) Self contained in-ground geothermal generator
US7849690B1 (en) Self contained in-ground geothermal generator
KR101150596B1 (ko) 개방형 환수관 오버플로우 방지장치가 구비된 지열식 냉난방장치
US8713940B2 (en) Self-contained in-ground geothermal generator
US20150007960A1 (en) Column Buffer Thermal Energy Storage
KR102422999B1 (ko) 저심도에 설치 가능한 유닛형 지중열 교환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20130063394A (ko) 지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100941731B1 (ko) 지중열 교환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70440B1 (ko) 코일형 지중열교환기 시공구조와 그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66469B1 (ko) 코일형 지열교환기
JP5848490B1 (ja) 発電設備の熱交換構造
KR100991002B1 (ko) 지중 열교환 장치
CN204652090U (zh) 一种1000mw级水氢氢汽轮发电机机座
KR101587495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102151268B1 (ko) 지하수정호 결합 복합 지열시스템 및 그 성능 평가방법
CN104695461B (zh) 一种立柱式定日镜安装基座及其安装方法
KR102196024B1 (ko) 모듈형 저심도 지중열 교환 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20134659A (ko) 대구경 천공을 활용한 혼합형 지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01658B1 (ko) 지열발전 시스템
KR101189079B1 (ko) 지중열교환용 말뚝
KR101673916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CN207166229U (zh) 一种发电机
KR101294249B1 (ko) 태양열 집열장치
KR102314799B1 (ko) 이중관형 지중 열교환 시스템
CN215170334U (zh) 一种发电机组的散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