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536B1 - 거즈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즈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536B1
KR102422536B1 KR1020200067418A KR20200067418A KR102422536B1 KR 102422536 B1 KR102422536 B1 KR 102422536B1 KR 1020200067418 A KR1020200067418 A KR 1020200067418A KR 20200067418 A KR20200067418 A KR 20200067418A KR 102422536 B1 KR102422536 B1 KR 10242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ze
holder
inlet
constrai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680A (ko
Inventor
한정현
Original Assignee
한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현 filed Critical 한정현
Priority to KR102020006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5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absorbent articles, e.g. bandages, garments, swab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61B50/37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absorbent articles, e.g. bandages, garments, swabs or towels
    • A61B2050/37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for absorbent articles, e.g. bandages, garments, swabs or towels f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4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는,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거즈가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인입부 및 상기 거즈인입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거즈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거즈인입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거치된 상기 거즈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즈용 거치대{Gauze Supporter}
본 발명은 병원 내 사용, 특히, 수술과정에서 사용되어 혈액이나 기타 체액을 흡수한 거즈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거즈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거치된 거즈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어 거즈가 유실되거나 손실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된 거즈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수술 후 환자 몸속에 거즈가 남아 방치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거즈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혈액이나 기타 체액은 거즈로 인해 수시로 제거되므로, 수술용 거즈는 수술 시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다.
수술에 사용된 거즈는 모두 인체로부터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나, 의료진의 실수에 의해 사용된 거즈가 인체에 잔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잔류거즈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복부 절개 수술을 다시 받아야하는 고통이 따르며, 병원은 의료과실에 따른 소송에 휘말리게 되는 바, 의료업계는 잔류거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국제 수술실 간호사 연맹(IFPN)은 2006년 발생한 가이드라인에서 수술보조 간호사와 순환 간호사는 수술용 거즈를 5개씩 한 그룹으로 모아서 계산하여야 하고, 수술 전, 수술 중 및 수술 후마다 각각의 거즈의 개수를 계산하고 기록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의료업계에서는 위와 같은 가이드라인에 의해, 수술에 사용된 거즈를 계산하고 있으나, 의료진이 일일이 하나 하나의 거즈를 계산하는 바, 의료진의 착오에 의해 계산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사용되어 오염된 거즈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거치대가 마련되지 않아, 오염된 거즈가 수술실 내에 방치됨에 따라, 수술을 진행 중인 환자의 감염 또는 수술실 내의 오염으로 인하여,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수술 시 거즈에 의해 제거된 혈액의 양을 의료진이 육안으로 대략 계산하여, 수술할 시 발생된 실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KR 20-2012-0002230 '의료기구 수납 키트'(2012.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된 거즈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거치된 상기 거즈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으므로, 거치된 거즈의 유실이나 손실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거즈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거즈가 거치된 거즈용 거치대 자체를 의료용 폐기물로 폐기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오염된 거즈로 인한 위생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된 거즈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거치된 거즈를 세지 않아도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환자 몸속에 거즈가 남은 채 방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거즈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수술 중 또는 수술 후에 거즈의 개수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세지 않아도,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거즈의 개수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시켜 제품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거즈가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인입부 및 상기 거즈인입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거즈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거즈인입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거치된 상기 거즈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인입부는, 상기 거즈가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입 공간을 포함하는 투입공 및 상기 투입공에 투입된 상기 거즈를 상기 거즈거치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공과 상기 거즈거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가이드부는, 상기 거즈거치부와 인접한 구역의 면적이 상기 투입공과 인접한 구역의 면적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가이드부는, 상기 투입공의 중심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부의 구역을 분할하는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중심선(L)을 향해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돌기부는, 상방이 넓은 인입 면적을 가지며 하방이 좁은 인입 면적을 갖도록,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거치부는, 상기 거즈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거즈인입부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거즈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속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거치부는, 상기 구속공에 거치된 상기 거즈의 일부분을 추가적으로 끼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구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인입부는, 거치된 상기 거즈에 대한 구속력 강화를 위해, 상기 안내가이드부와 상기 거즈거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속로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최대 폭이 상기 거즈거치부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거치부는, 상기 거즈인입부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거즈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즈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구속공 및 상기 구속공측에 상기 거즈를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구속공의 각 변과 모서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구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용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판 상에, 상기 거즈인입부 또는 상기 거즈거치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만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즈용 거치대는, 상기 거즈거치부에 거치된 거즈가 함유한 액체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에, 상기 베이스판의 중량을 표기하도록 구비되는 중량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거즈용 거치대에 따르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베이스판과, 거즈가 인입되는 거즈인입부와 상기 거즈인입부로부터 인입된 거즈를 거치하고 거치된 거즈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거즈거치부를 포함함에 따라,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어 혈액이나 기타 체액을 흡수한 거즈를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으로부터 오염된 거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즈를 거치시킨 후 거즈용 거치대 자체를 폐기할 수 있으므로, 오염된 거즈로 인한 수술환자 또는 수술실 내의 위생 저하를 방지하는 바, 수술환자 또는 수술실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즈인입부가 거즈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공과, 상기 투입공과 거즈거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가이드부를 포함함에 따라, 투입공을 통해 삽입된 거즈를 거즈거치부를 향해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즈를 투입 후 거즈거치부를 향해 인입하는 과정에서, 거즈를 놓치더라도 거즈가 안내가이드부 상에 걸쳐지게 되어 베이스판 상에 잔류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의 외부로 거즈가 이탈되어 거즈가 유출 및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방이 넓은 인입 면적을 가지며 하방이 좁은 인입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부를 포함함에 따라, 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거즈가 거즈거치부를 향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거즈를 놓치더라도, 상기 거즈가 걸림돌기부에 끼워져 거치됨으로써, 상기 거즈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으므로, 거즈를 거치거치부를 향해 인입하는 과정에서 베이스판의 외부로 이탈되어 상기 거즈를 유실하거나 손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거즈거치부가 거즈 인입부로부터 인입되는 거즈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속공을 포함함에 따라, 거즈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거즈를 구속공에 거치시킬 경우 거즈의 움직임이 강하게 구속될 수 있으므로 거즈용 거치대에 외력이 인가되어 베이스판으로부터 거치된 거즈가 이탈될 수 있는 외부 상황이 발생더라도, 거즈가 베이스판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거치된 거즈의 손실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거즈거치부가 구속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 1 구속홈을 포함함에 따라, 구속공에 끼움 결합되어 거치되는 거즈의 일부분이 제 1 구속홈에 추가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거즈의 움직임이 구속공 뿐만 아니라, 제 1 구속홈에 의해서도 구속될 수 있으므로, 구속공만을 구비할 때보다 거즈의 유실이나 손실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즈용 거치대가 안내가이드부와 거즈거치부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로를 포함함에 따라, 거즈인입부를 통해 투입된 거즈가 구속로를 거쳐 거즈거치부에 최종 거치될 수 있으므로, 거즈거치부에 거치된 거즈의 상부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 거즈거치부에 거치된 거즈에 대한 구속력을 향상시켜 거즈의 손실이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거즈거치부가 거즈인입부를 통해 인입되는 거즈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는 다각형 형태의 구속공과, 구속공에 거치된 거즈를 추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속공의 변 및 모서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구속홈을 포함함에 따라, 구속공과 구속홈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형태의 거즈거치부를 구비할 수 있으는 바, 제품 선호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즈용 거치대가 거즈거치부에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카운팅부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된 거즈의 개수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거즈거치부에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일일이 세지 않아도 거치된 거즈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제품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거즈용 거치대가 베이스판의 중량을 표기하도록 구비되는 중량부를 더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거즈가 함유한 실혈량을 계수하고자 할 시, 혈액이나 기타 체액을 흡수한 거즈가 최종적으로 거치된 거즈용 거치대의 무게를 잰 후, 거즈의 무게와 베이스판의 무게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혈량을 계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거즈가 함유할 수 있는 실혈량 중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와 거즈거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인입부에 거즈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에 투입된 거즈가 거즈거치부를 향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인입부에 거즈가 통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거치부에 거즈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와 거즈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 거즈거치부 및 구속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 2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제 2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1000)는 베이스판(100), 거즈인입부(200), 거즈거치부(300), 카운팅부(400) 및 중량측정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거즈용 거치대(1000)에 삽입, 인입, 거치 및 결합될 수 있는 거즈(G)는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어 혈액이나 기타 체액을 흡수하여 의료용 폐기물로 폐기되어야 하는 거즈(G)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판(100)은 소정의 길이와 너비를 가지는 판상 형상으로, 후술할 거즈인입부(200)와 거즈거치부(300)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00)은 상기 거즈인입부(200)와 상기 거즈거치부(300)를 통한 거즈(G)의 삽입, 투입, 인입, 결합 및 거치가 용이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터(Polyest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변형 가능한 어떠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100)은 사용자가 거즈용 거치대(10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굽혀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즈(G)를 삽입, 투입, 인입 및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판(100)의 두께는 1.5mm 내지 2m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소재나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거즈인입부(2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거즈(G)가 투입, 삽입 및 인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즈인입부(2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거즈거치부(300)는 상기 거즈인입부(200)로부터 인입된 상기 거즈(G)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거즈거치부(300)는 상기 거즈인입부(20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거치된 거즈(G)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거즈용 거치대(1000)에 거치된 거즈(G)는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는 바,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상기 거즈(G)의 인출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거즈용 거치대(1000)는 사용자가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즈(G)를 거치시킨 후, 거치된 상기 거즈(G)를 인출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에 거즈(G)를 거치시킨 후, 그 자체를 의료용 폐기물로 폐기시켜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이로 인해, 거즈용 거치대(1000)가 베이스판(100), 거즈인입부(200) 및 거즈거치부(300)를 포함함에 따라, 수술 과정에서 사용되어 혈액이나 기타 체액을 흡수한 거즈(G)를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오염된 거즈(G)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에 거즈를 거치시킨 후, 거즈용 거치대(1000) 자체를 폐기할 수 있으므로, 오염된 거즈(G)가 수술실 내에 방치되지 않게 됨에 따라, 수술을 진행 중인 환자가 상기 거즈(G)로 인해 감염되는 경우나 상기 거즈(G)로 인하여 수술실이 오염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술환자 및 수술실의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거즈(G)를 거즈용 거치대(1000)에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 후 환자 몸속에 거즈가 남아 방치되는 상황과 같은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팅부(400)는 상기 베이스판(10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거즈인입부(200) 또는 거즈거치부(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만큼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카운팅부(400)는 상기 거즈인입부(200)에 인입된 거즈(G) 또는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의 개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카운팅부(400)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나 기호와 같이 거치된 거즈(G)의 개수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거즈용 거치대(1000)가 카운팅부(40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된 거즈(G)의 개수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의 개수를 세지 않아도, 상기 카운팅부(400)를 통해 거치된 거즈(G)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제품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운팅부(400)로 인해, 수작업으로 수술과정에서 사용된 거즈(G)의 개수를 세지 않고, 육안으로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상기 거즈(G)의 개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거즈(G) 계수 진행시의 계산 착오에 따라 수술 후 환자 몸속에 거즈(G)가 남은 채 방치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측정부(500)는 거즈(G)가 함유한 액체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량표시부(510)와 장착공(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표시부(510)는 베이스판(100)의 일단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중량을 표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520)은 베이스판(100)을 관통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장착공(520)은 별도의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거즈용 거치대(1000)를 상기 지지부재에 걸어 놓음으로써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는 별도의 케이블 타이 또는 별도의 끈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호 방식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를 고정 지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공(520)은 베이스판(100) 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중량측정부(500)는 거즈(G)에 흡수된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밀봉부재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1000)를 사용하여 수술 시 발생된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의 실혈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된 거즈(G)를 거즈용 거치대(1000)에 거치시킨 후, 장착공(520)을 별도의 거치대에 연결시키고, 별도의 저울을 통해 거즈(G)가 거치된 거즈용 거치대(1000)의 무게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거즈(G)가 거치된 거즈용 거치대(1000)의 무게에서 사용하지 않은 거즈(G)의 무게와 상기 중량측정부(510)에 기재된 베이스판(100)의 무게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실혈량을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거즈용 거치대(1000)가 중량측정부(500)를 포함함에 따라, 수술 시 거즈(G)에 의해 제거된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의 실혈량을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으므로, 거즈(G)에 의해 제거된 혈액 또는 체액을 의료진이 육안으로 확인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거즈용 거치대(1000)가 중량측정부(500)를 포함함에 따라, 의료진이 거즈(G)에 의해 제거된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의 실혈량을 계수할 수 있으므로, 수술을 진행하고 있는 환자 또는 수술이 완료된 환자에게 상기 혈액 또는 기타 체액의 실혈량을 고려한 처방 또는 시술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와 거즈거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인입부에 거즈가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에 투입된 거즈가 거즈거치부를 향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인입부에 거즈가 통과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즈거치부에 거즈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즈용 거치대(1000)는 거즈인입부(200)와 거즈거치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즈인입부(200)는 거즈(G)를 투입, 삽입 및 인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투입공(210), 안내가이드부(220) 및 구속로(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투입공(210)은 소정 면적과 소정 길이를 보유한 거즈(G)가 삽입이나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공(2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거즈(G)의 길이와 면적에 따라서, 상이한 인입 공간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투입공(210)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거즈(G)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투입공(210)의 직경이 상기 면적이 넓은 거즈(G)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됨으로써, 넓은 투입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공(210)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거즈(G)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투입공(210)의 직경이 상기 면적이 넓은 거즈(G)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 형성되는 상기 투입공(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구비됨으로써, 좁은 투입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가이드부(220)는 상기 투입공(210)과 상기 거즈거치부(300) 사이의 구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공(210)에 투입된 상기 거즈(G)를 거즈거치부(30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일단이 투입공(210)과 관통 연결되고, 타단이 거즈 거치부(300)와 관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거즈거치부(300)와 인접한 구역의 면적이 상기 투입공(210)과 인접한 구역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거즈거치부(300) 측을 향해 갈수록 인입 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거즈인입부(200)가 투입공(210)과 안내가이드부(220)를 포함함에 따라, 거즈(G)를 투입 또는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거즈(G)를 거즈거치부(300)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특히, 거즈인입부(200)가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를 포함함에 따라, 거즈(G)를 놓치더라도 거즈(G)가 안내가이드부(220) 상에 걸쳐질 수 있어, 상기 거즈(G)를 베이스판(100) 상에 잔류시킬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100) 외부로 거즈(G)가 이탈되어 거즈(G)가 유출 및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속로(230)는 안내가이드부(220)와 거즈거치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구속로(230)는 거즈인입부(200)와 거즈거치부(300)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거즈인입부(200)와 관통 연결되며, 타단이 거즈거치부(300)와 관통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속로(23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로부터 인입되는 거즈(G)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구속로(230)는 최대 폭이 거즈거치부(30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거즈인입부(200)를 통해 투입된 거즈(G)는 구속로(230)를 거쳐 거즈거치부(300)에 최종 거치될 수 있다.
특히, 거즈인입부(200)가 구속로(230)를 포함함에 따라,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가 상기 구속로(230)측을 향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에 대한 구속력을 향상시켜, 거즈(G)의 손실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속로(230)의 최대 폭은 2.5mm 내지 3m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속로(230)의 최대 폭이 2.5mm 미만일 경우, 거즈(G)가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인입공간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를 통과한 거즈(G)가 상기 구속로(230)로의 인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로(230)의 최대 폭이 3mm를 초과하는 경우, 구속로(230)에 인입된 상기 거즈(G)에 대하여 상기 거즈(G)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는 구속력이 충분히 인가되지 않으므로, 상기 거즈(G)가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거즈거치부(300)는 구속공(310)과 제 1 구속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구속공(310)은 거즈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된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거즈(G)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거즈(G)를 거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치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구속공(310)의 최대 직경은 상기 구속로(230)의 최대 폭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속공(310)이 형성하는 거치 공간의 면적은 상기 투입공(210)이 형성하는 인입 공간의 면적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구속공(310)에 의하여, 거치된 거즈(G)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상기 거즈(G)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거즈거치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의 움직임을 강하게 구속시킬 수 있으므로, 거즈용 거치대(1000)에 외력이 인가되어 베이스판(100)으로부터 거치된 거즈(G)가 이탈될 수 있는 외부 상황이 발생더라도, 거즈(G)가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거치된 거즈(G)의 손실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구속홈(320)은 상기 구속공(310)에 끼움 결합된 상기 거즈(G)를 추가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속공(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 현장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구속홈(320)은 상기 제 1 구속홈(320)에 추가 결합된 상기 거즈(G)에 대한 구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거즈거치부(300)가 제 1 구속홈(320)을 포함함에 따라, 구속공(310)에 끼움 결합되어 거치되는 거즈(G)의 일부분이 제 1 구속홈(320)에 추가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거즈거치부(300)가 상기 제 1 구속홈(320)을 포함함에 따라, 거즈(G)의 움직임이 구속공(310)으로 1차적으로 구속되고, 제 1 구속홈(320)에 의해서 2차적으로 구속될 수 있으므로, 거즈(G)의 유실이나 손실을 보다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구속홈(320)이 상기 구속공(310)에 거치된 상기 거즈(G)를 찔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거즈(G)를 향하여 구속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거즈(G)의 움직임을 상기 거즈(G)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즉, 모든 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어, 거즈(G)에 인가되는 구속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거즈거치부(300)에는, 상기 거즈거치부(300)의 형성 개수에 대응되도록 거즈(G)를 거치시켜, 상기 거즈(G)에 대한 구속력을 최대로 인가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거즈거치부(300)에는 하나의 거즈(G)를 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면,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투입공(210)을 통해 사용된 거즈(G)를 투입 및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투입 및 삽입된 거즈(G)는 안내가이드부(220)를 통과하여 거즈거치부(300) 측을 향해 인입 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가이드부(220)를 통과한 거즈(G)는, 구속로(230)를 통과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되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거즈(G)는 구속공(310)과 제 1 구속홈(32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거치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거즈(G)의 이동 경로는 투입공(210), 안내가이드부(220), 구속로(230), 구속공(310), 제 1 구속홈(320)의 순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와 거즈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부(220)는 걸림돌기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 2 실시예에서 안내가이드부(220)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걸림돌기부(221)는 투입공(210)의 중심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부(220)의 구역을 분할하는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중심선(L)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돌기부(221)는 상방이 넓은 인입 면적을 가지며 하방이 좁은 인입 면적을 갖도록,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부(221)에 인입되는 거즈(G)는 거즈거치부(300) 방향으로의 이동은 용이하나, 투입공(210)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안내가이드부(220)가 걸림돌기부(221)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거즈거치부(300)를 향해 거즈(G)를 인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거즈(G)를 놓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부(221)에 의하여 상기 거즈(G)의 인입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내가이드부(220)를 통해 인입되는 거즈(G)의 유실이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부(221)가 구비됨에 따라, 강력한 외압에 의하여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가 이탈되어, 구속로(230)를 통과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부(221)로 인해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거즈(G)가 유출되어 거즈(G)가 유실되거나 손실되는 경우를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거즈인입부(200), 거즈거치부(300) 및 구속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추가 실시예로 본원 발명의 투입공(210)은 추가구속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추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추가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도 추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추가구속홈(211)은 투입공(210)으로 투입되는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공(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가구속홈(211)은 연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추가구속홈(211)에 끼움 결합된 상기 거즈(G)에 대한 구속력을 보다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구속홈(211)은 투입공(210)을 통해 투입된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공(210)으로 투입되는 거즈(G)의 유실이나 손실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추가구속홈(211)은 사용자가 투입공(210)을 통해 거즈(G)를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여, 미처 거즈거치부(300)에 거즈(G)를 거치하지 못할 경우에도, 추가구속홈(211)에 거즈(G)를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거즈(G)의 유실이나 손실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 2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제 2 추가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추가 실시예로 거즈용 거치대는 크기표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추가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추가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추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크기표시부(600)는 베이스판(100)의 상에 형성되어,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의 크기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크기표시부(600)는 사용자가 거즈거치부(300)에 거즈를 거치한 후, 거즈(G)의 크기를 해당되는 부분을 상방이나 하방을 향해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거즈(G)의 크기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크기표시부(600)는 사용자가 별도의 마킹을 통해 상기 거즈(G)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식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거즈(G)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기표시부(600)는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즈거치부(300)에 거치된 거즈(G)로 인하여, 상기 크기표시부(600)를 가리거나 막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크기표시부(600)는 거즈(G)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한자,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크기표시부(600)는 거즈인입부(200)나 또는 거즈거치부(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수만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거즈용 거치대가 크기표시부(600)를 포함함에 따라, 거치된 거즈(G)의 크기를 베이스판(100) 상에 나타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된 거즈(G)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1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0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용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즈거치부(300)는 다각형 형상을 보유한 구속공(310)과 제 2 구속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공(310)은 거즈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된 상기 거즈(G)가 상기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구속홈(330)은 상기 구속공(310) 측에 상기 거즈(G)를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속공(310)의 각 변과 모서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거즈거치부(300)가 구속공(310)과 제 2 구속홈(330)을 포함함에 따라, 구속공(310)과 구속보조부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거즈(G)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거즈거치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즈용 거치대(1000)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품 선호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덧붙여, 도면에는 상기 거즈거치부(300)의 구성 중에서, 구속로(230)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속로(230)를 포함하도록 실시하여, 거즈(G)를 향한 구속력을 보다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G : 거즈
L : 중심선
1000 : 거즈용 거치대
100 : 베이스판
200 : 거즈인입부
210 : 투입공
211 : 추가구속홈
220 : 안내가이드부
221 : 걸림돌기부
230 : 구속로
300 : 거즈거치부
310 : 구속공
320 : 제 1 구속홈
330 : 제 2 구속홈
400 : 카운팅부
500 : 중량측정부
510 : 중량표시부
520 : 장착공
600 : 크기표시부

Claims (10)

  1. 탄성 변형 가능한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거즈(G)가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즈(G)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공(21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인입부(200); 및
    상기 거즈인입부(200)로부터 인입된 상기 거즈(G)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거즈인입부(20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거치된 상기 거즈(G)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즈거치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거즈인입부(200)는,
    상기 투입공(210)에 투입된 상기 거즈(G)를 상기 거즈거치부(300) 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가이드부(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상기 투입공(210)의 중심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안내가이드부(220)의 구역을 분할하는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중심선(L)을 향해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면서, 상방이 넓은 인입 면적을 가지며 하방이 좁은 인입 면적을 갖도록,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걸림돌기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210)은,
    상기 거즈(G)가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상기 투입공(210)과 상기 거즈거치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부(220)는,
    상기 거즈거치부(300)와 인접한 구역의 면적이 상기 투입공(210)과 인접한 구역의 면적 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거치부(300)는,
    상기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거즈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거즈(G)가 상기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속공(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거치부(300)는,
    상기 구속공(310)에 거치된 상기 거즈(G)의 일부분을 추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공(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 1 구속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인입부(200)는,
    거치된 상기 거즈(G)에 대한 구속력 강화를 위해, 상기 안내가이드부(220)와 상기 거즈거치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구속로(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로(23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최대 폭이 상기 거즈거치부(30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즈거치부(300)는,
    상기 거즈인입부(200)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거즈(G)가 상기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거즈(G)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구속공(310); 및
    상기 구속공(310) 측에 상기 거즈(G)를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구속공의 각 변과 모서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구속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즈용 거치대.

KR1020200067418A 2020-06-04 2020-06-04 거즈용 거치대 KR102422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8A KR102422536B1 (ko) 2020-06-04 2020-06-04 거즈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8A KR102422536B1 (ko) 2020-06-04 2020-06-04 거즈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80A KR20210150680A (ko) 2021-12-13
KR102422536B1 true KR102422536B1 (ko) 2022-07-20

Family

ID=7883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18A KR102422536B1 (ko) 2020-06-04 2020-06-04 거즈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5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52B2 (ja) 1994-05-09 2000-09-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クリート工事用無機質打込型枠材
JP2005246085A (ja) 2000-10-02 2005-09-15 Koseki Ika Kk 手術用縫合針カウンター
JP2007330445A (ja) * 2006-06-14 2007-12-27 Hakujuji Co Ltd 手術用ガーゼ計数プレート及び手術用ガーゼの包装体
US20080030303A1 (en) 2006-08-04 2008-02-07 Myles Kobren Surgical pad accounting system and method
JP2008110005A (ja) 2006-10-30 2008-05-15 Hogi Medical:Kk ガーゼカウント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929Y2 (ja) * 1991-04-03 1995-11-15 パピルス化成株式会社 ガーゼカウントホルダー
JP3085852U (ja) * 2001-11-06 2002-05-24 星二郎 奥沢 手術用ガーゼカウンター
US8371448B1 (en) * 2009-10-01 2013-02-12 Brian K. Reaux Storage system for medical waste materials
KR20120002230U (ko) 2010-09-17 2012-03-27 케어캠프 주식회사 의료기구 수납 키트
KR20190013210A (ko) * 2017-08-01 2019-02-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즈 카운트 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852B2 (ja) 1994-05-09 2000-09-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クリート工事用無機質打込型枠材
JP2005246085A (ja) 2000-10-02 2005-09-15 Koseki Ika Kk 手術用縫合針カウンター
JP2007330445A (ja) * 2006-06-14 2007-12-27 Hakujuji Co Ltd 手術用ガーゼ計数プレート及び手術用ガーゼの包装体
US20080030303A1 (en) 2006-08-04 2008-02-07 Myles Kobren Surgical pad accounting system and method
JP2008110005A (ja) 2006-10-30 2008-05-15 Hogi Medical:Kk ガーゼカウント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80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765B2 (ja) 取り外し可能なフラッシュチャンバー
US4883461A (en) Safety needle sheath in anti-reflux catheter having novel valve means
US9743874B2 (en) Liquid sampling device with passive safety
US20080029416A1 (en) Surgical sponge counting device and method
EP3541283B1 (en) A cord blood collection device
KR102422536B1 (ko) 거즈용 거치대
CN113181504B (zh) 一种血管鞘组
AU691378B2 (en) Blood sampling unit with protected needle and a method for sampling blood
Mendez Evidence-based practice for obtaining blood specimens from a central venous access device.
US7913841B2 (en) Temporary needle holder with lateral needle holder aperture
CN108348301B (zh) 用于医疗手术的安全设备
Asai et al. Efficacy of catheter needles with safeguard mechanisms
US5626230A (en) Sharps kit for percutaneous catheterization
US20060133963A1 (en) Adapter for attaching information to test tubes
Ernst et al. Phlebotomy tools of the trade
US20190142320A1 (en) Fluid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14010192A (zh) 上肢前臂抽血辅助装置
JP5069522B2 (ja) 採血管用スタンド
CN219629636U (zh) 一种麻醉复苏握力计
CN219278087U (zh) 一种便于器具清点的辅助堆叠盒
EP1658806A1 (de) Kalibrierreflektorvorrichtung und damit ausgestattete Sondenanordnung
CN118001514A (zh) 一种便携式医疗废物预处理装置
CN215778538U (zh) 一种用于骨科克氏针的护具
CN211674274U (zh) 一种临床医学检验科用真空采血装置
KR102394927B1 (ko) 거즈를 이용한 출혈량 계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