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694B1 -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 Google Patents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694B1
KR102421694B1 KR1020220020229A KR20220020229A KR102421694B1 KR 102421694 B1 KR102421694 B1 KR 102421694B1 KR 1020220020229 A KR1020220020229 A KR 1020220020229A KR 20220020229 A KR20220020229 A KR 20220020229A KR 102421694 B1 KR102421694 B1 KR 10242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ole
module
shoe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KR102022002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6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absorbing shoe, comprising: a shoe body; and a buffer shoe sole forming a lower part of the shoe body and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a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The buffer shoe sole comprises: an outsole which forms a sole and is a part where a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upper sole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outsole and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shoe body; and a buffer unit which has an upper module connected to a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a lower modul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outsole, forming one body with the upper module, and having a spring groove therein; and a spring disposed on the spring groove and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modules. The shock-absorbing shoe can buffer the load, minimize noise genera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Description

완충 신발{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cushioning shoes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본 발명은, 완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완충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ing shoe,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it can cushion a load, minimize noise genera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It is about cushioning shoes.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고 일정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역할을 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Shoes play a role in reducing foot fatigue by protecting people's feet and acting as a shock absorber for certain shocks.

최근에는 더욱 원활하게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스프링을 이용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신발들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functional shoes have been introduced in order to more smoothly reduce the impact, and in particular, shoes that use a spring to cushion the impact are being released.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656호에 제시된 충격흡수신발이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a shock-absorbing shoe presen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4656.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아웃솔과 어퍼솔의 사이에 탄성체로서 코일스프링이 배열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코일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체를 관통하여 코일스프링을 잡아주기 위한 연결핀이 구비된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coil spring is arranged as an elastic body between the outsole and the upper sole, and a fixing body for fixing the coil spr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il spring, and a support member for holding the fixing body are provided and a connection pin for holding the coil spr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ture.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보행 시 받는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를 하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shock-absorbing shoe absorbs the shock received when the wearer walk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부는 일정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코일스프링에 가해져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 간의 접촉으로 인한 심한 충격이 전해져 파손 및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a constant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oil spring and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p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such as damage and damage due to a severe shock due to contact between the coil springs.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완충 신발은 여러 개의 구성품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성품의 개수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수작업이 많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components are combined,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because a lot of manual work is required.

또한, 종래기술은 많은 구성품으로 인하여 무게가 증가하므로 특히 노약자 등을 위한 신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없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the shoe especially for the elderly and weak is deteriorated because the weight is increased due to many component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enerated and durability is reduced due to various parts. In addition, the prior art also h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두께 측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of a new technolog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6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34656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완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shioning sho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which can buffer the load, as well as minimize noise genera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상기 목적은, 신발 본체; 및 상기 신발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신발 본체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완충 신발창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신발창은, 밑창을 이루면서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는 부분으로서의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신발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어퍼솔; 및 상기 어퍼솔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는 상부 모듈과, 상기 아웃솔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 모듈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과, 상기 스프링홈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모듈과 함께 상기 신발 본체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에는 스프링의 외측으로 자바라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바라는 스프링을 지지하되, 걷지 않을 시 붙어 있다가 걸으면서 스프링이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홈에 배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 작용을 가이드하는 스프링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스프링홈 내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홈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모듈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보다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되며, 서로 접해서 결합하는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후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용 후크가 조립되는 후크 조립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스프링홈의 스프링에 대한 가압정도를 감지하는 스프링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The purpose is, the shoe body; and a cushioning sole that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and reduces noise while buffering a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wherein the cushioning sole comprises an outsole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forming a sole; an upper sol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sole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oe body; and an upper modul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a lower modul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outsole to form one body with the upper module, and a spr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buffer unit having a spring for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side together with the lower module, wherein the buffer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llows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and the bellows supports the spring However, when not walking, the spring can move along with it while walking, and it is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and further includes a spring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compression or expansion action of the spring, wherein the buffer unit is in the spring groove. It is disposed on the floor, further comprising a spring cap for supporting the spring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the upper module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the lower module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upper module, A hook for assembling is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that are coupled in contact, and a hook assembly groove in which the hook for assembly is assembled is formed in the oth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and the corresponding It is achieved by a cushioning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pressing against the spring of the spring groove.

상기 스프링홈에 배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 작용을 가이드하는 스프링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Doedoe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compression or expansion action of the spring.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스프링홈 내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홈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cap disposed on the bottom in the spring groove and supporting a spring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상기 상부 모듈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보다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module may be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and the lower module may be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upper module.

상기 상부 모듈은 68~72 범위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보다 약한 58~30 범위의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module may be made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aterial in the range of 68 to 72, and the lower module may be made of a polyurethane (PU) material having a hardness in the range of 58 to 30 that is weaker than that of the upper module.

서로 접해서 결합하는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후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용 후크가 조립되는 후크 조립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A hook for assembly may be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coup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hook assembly groove in which the hook for assembly is assembled may be formed in the other.

상기 스프링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스프링홈의 스프링에 대한 가압정도를 감지하는 스프링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movably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pressing against the spring of the spr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not only buffer the load, but also to minimize noise generation, and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완충 신발창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완충 유닛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하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모듈에 스프링캡이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서 완충 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서 하부 모듈에 스프링캡이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의 구조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view of the cushioning sole of FIG. 1 ;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ffer unit of Figure 2;
4 is an exploded view of FIG. 3 .
5 is a plan view of the lower module;
6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upled to the lower module of FIG. 5 .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FIG. 7 .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hioning unit in a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upled to the lower module in the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hioning unit applied to a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the terms used (referred to)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actions) referred to as 'including (or includ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commonly us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완충 신발창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 도 3은 도 2의 완충 유닛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하부 모듈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하부 모듈에 스프링캡이 결합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artial exploded view of the buffer sole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ffer unit of Figure 2, Figure 4 is Figure 3 of the exploded view, FIG. 5 is a plan view of the lower module, FIG. 6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upled to the lower module of FIG. 5,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100)은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게끔 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ushioning sho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it can buffer the load, minimize noise genera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make it possibl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100)은 신발 본체(110)와 완충 신발창(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ing sho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can provide such an effect may include a shoe body 110 and a cushioning sole 120 .

신발 본체(110)는 완충 신발창(1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리킨다. 도면에는 신발 본체(110)가 운동화로 적용되었지만, 신발 본체(110)는 레저화, 구두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shoe body 110 refers to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cushioning sole 120 . Although the shoe body 110 is applied as a sports shoe in the drawings, the shoe body 110 may be various such as leisure shoes and shoe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완충 신발창(120)은 신발 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완충 신발창(120)은 종래와 달리, 신발 본체(110)의 하부를 형성하되 신발 본체(110)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 기능을 담당한다.The cushioning sole 120 is a structure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110 . In particular, the cushioning sole 120 applied to this embodiment, unlike the prior art, forms the lower part of the shoe body 110, but serves to reduce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110 side. do.

이러한 완충 신발창(120)은 아웃솔(130), 어퍼솔(140) 및 완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sole 120 may include an outsole 130 , an upper sole 140 , and a buffer unit 150 .

아웃솔(130)은 밑창을 이루면서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는 부분이다. 아웃솔(130)은 충격 흡수와 지면과의 접촉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PU(폴리우레탄), 고무재질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The outsole 130 is a por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forming the sole. The outsole 130 may use a material such as an elastic elastomer, PU (polyurethane), or a rubber material to absorb shock and prevent slipping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그리고, 아웃솔(130)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 자체가 갖는 특성은 물론,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로 이루어진 돌출부(1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sole 130 has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tself as described above for elasticity and anti-slip properties, as well as protrusions 131 made of a number of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elasticity and slippage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mproved functionality for prevention.

어퍼솔(140)은 아웃솔(130)의 상부에 배치되되 신발 본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다.The upper sole 140 is a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110 .

이러한 어퍼솔(140)은 아웃솔(13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아웃솔(130)의 뒷축 부분에 이격공간(130a,140a)을 형성함으로써 완충 유닛(1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아웃솔(130) 쪽으로 하강하거나 완충 유닛(150)의 탄성력에 의해 아웃솔(130)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This upper sole 140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buffer unit 150 by forming spaced spaces 130a and 140a in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outsole 130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130, and is resistant to load or impact. It may descend toward the outsole 130 by the or may rise in a direction apart from the outsole 1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uffer unit 150 .

이러한 어퍼솔(140)은 아웃솔(130)과 본딩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면에는 신발의 깔창이 안착될 수 있다. 어퍼솔(140)과 아웃솔(130)의 결합을 위해, 이들에는 자리 배치용 홈부(142)와 자리 배치용 돌기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자리 배치용 홈부(142)와 자리 배치용 돌기부(132)는 선택사항일 뿐이며,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sole 140 may be firmly attached to the outsole 130 by bonding, and the insole of the sho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For coupling of the upper sole 140 and the outsole 130 , a groove 142 for seat arrangement and a protrusion 132 for seat arrangement may be formed therein. Of course, the groove portion 142 for seating arrangement and the projection portion 132 for seating arrangement are only optional, and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한편, 완충 유닛(150)은 아웃솔(130)과 어퍼솔(140) 사이의 뒤꿈치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아웃솔(130) 및 어퍼솔(140)과 함께 신발 본체(110)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완충 유닛(150)의 배치를 위해, 아웃솔(130)과 어퍼솔(140)의 뒤꿈치 영역(130a,140a)은 완충 유닛(150)의 배치를 위한 자리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ffer unit 150 is disposed in the heel region between the outsole 130 and the upper sole 140,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110 side together with the outsole 130 and the upper sole 140. It serves to reduce noise while buffering. For the placement of the cushioning unit 150 , the heel areas 130a and 140a of the outsole 130 and the uppersole 140 provide a place for the placement of the cushioning unit 150 .

이러한 완충 유닛(150)은 어퍼솔(140)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는 상부 모듈(160)과, 아웃솔(130)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되 상부 모듈(16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스프링홈(171)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170)과, 스프링홈(171)에 배치되되 상부 및 하부 모듈(160,170)과 함께 신발 본체(110)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스프링(180)을 포함한다.This cushion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upper module 160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140 and the heel region of the outsole 130 to form a single body with the upper module 160 and a spring groove therein. The lower module 170 in which the 171 is formed, and the spring 180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and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110 side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modules 160 and 170 ) is included.

상부 모듈(160)은 전술한 것처럼 어퍼솔(140)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부 모듈(160)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부 모듈(160)은 68~72 범위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질로 제작된다.The upper module 160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14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module 160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module 160 is made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aterial in the range of 68 to 72.

하부 모듈(170)은 상부 모듈(16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상부 모듈(160)과 스프링(180)을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 모듈(170)은 상부 모듈(160)보다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부 모듈(170)은 상부 모듈(160)보다 약한 58~30 범위의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제작된다.The lower module 170 supports the upper module 160 and the spring 180 while forming one body with the upper module 160 . The lower module 170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upper module 160 .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module 170 is made of a polyurethane (PU) material having a hardness in the range of 58 to 30 which is weaker than that of the upper module 160 .

이러한 하부 모듈(170)에는 스프링홈(17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모듈(170)에 4개의 스프링홈(171)이 형성된다. 하지만, 스프링홈(171)의 개수는 4개보다 적을 수도 있고 혹은 많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A spring groove 171 is formed in the lower module 170 . In this embodiment, four spring grooves 171 are formed in the lower module 170 . However, the number of spring grooves 171 may be less or more than four.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drawings.

스프링홈(171)에는 스프링캡(172)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캡(172)은 스프링홈(171) 내의 바닥에 배치되며, 스프링홈(171)에 수용되는 스프링(1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pring cap 172 may be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 The spring cap 172 is disposed on the bottom in the spring groove 171 , and serves to support the spring 180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171 .

상부 모듈(160)과 하부 모듈(170)은 분리 제작된 후, 서로 조립(결합)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데 상부 모듈(160)과 하부 모듈(170)이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서로 접해서 결합하는 상부 모듈(160)과 하부 모듈(170)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후크(165)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조립용 후크(165)가 조립되는 후크 조립홈부(175)가 형성된다.The upper module 160 and the lower module 17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body. A hook 165 for assembly is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module 160 and the lower module 170, and the hook assembly groove 175 in which the hook 165 for assembly is assembled is formed in the other.

본 실시예에서 조립용 후크(165)는 상부 모듈(160)에, 후크 조립홈부(175)는 하부 모듈(170)에 형성되는데, 반대의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조립용 후크(165)가 하부 모듈(170), 후크 조립홈부(175)가 상부 모듈(160)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hook 165 is formed in the upper module 160, and the hook assembly groove 175 is formed in the lower module 170, and the reverse case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That is, the hook 165 for assembly may be formed in the lower module 170, and the hook assembly groove 175 may be formed in the upper module 160, and it should be said that all of these matter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상부 모듈(160)과 하부 모듈(170)이 조립식으로 적용될 경우, 스프링(180) 힘이 약해지면 추후에 상부 모듈(160)과 하부 모듈(170)을 분리하고 새로운 스프링(180)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upper module 160 and the lower module 170 are appli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f the spring 180 force is weakened, the upper module 160 and the lower module 170 are separated later and replaced with a new spring 180.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스프링(180)은 하부 모듈(170)의 스프링홈(171)에 배치되되 상부 및 하부 모듈(160,170)과 함께 신발 본체(110)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pring 180 is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of the lower module 170 and serves to reduce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110 side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modules 160 and 170 .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80)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되며, 하부 모듈(170)의 스프링홈(171)에 각각 배치된 후, 스프링홈(171)에서 스프링캡(172)에 의해 그 하단부가 지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180 is applied as a torsion coil compression spring, and after being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s 171 of the lower module 170 , the lower ends thereof by the spring caps 172 in the spring grooves 171 . is supported

이상 설명한 구조의 완충 신발창(120)이 적용된 완충 신발(100)을 착용하고 걸으면 완충 신발(100) 착용자의 하중이 완충 신발창(120)으로 전달되어 완충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상대적으로 견고한 재질인 상부 모듈(160) 쪽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소프트한 재질의 하부 모듈(170)로 전달되어 하부 모듈(170)이 눌리면서 완충되고, 이에 더해서 하부 모듈(170) 내의 스프링(180)의 작용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발생을 줄이면서도 무릎 등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실제, 스프링(180)이 스프링홈(171)에 수용된 상태로 작용하기 때문에 소음 저감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cushioning shoe 100 to which the cushioning sole 120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pplied is worn and walking, the load of the wearer of the cushioning shoe 100 is transferred to the cushioning sole 120 and can be buffered.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module 160 is transmitted to the lower module 170 made of a soft material and is buffered while the lower module 170 is pressed, and in addition, it is buffered by the action of the spring 180 in the lower module 170 .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strain on the knee and the like while reducing noise generation. In fact, since the spring 180 act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171 ,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ous effect for noise redu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ch acts based o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the prior 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load and minimize the noise gener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서 완충 유닛의 구조도이다.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hioning unit in a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250) 역시, 어퍼솔(140, 도 2 참조)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는 상부 모듈(160)과, 아웃솔(130, 도 2 참조)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되 상부 모듈(16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스프링홈(171)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170)과, 스프링홈(171)에 배치되되 상부 및 하부 모듈(160,170)과 함께 신발 본체(110)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스프링(180)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buffer unit 250 applied to this embodiment is also the upper module 160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140, see FIG. 2), and the outsole (130, see FIG. 2) of The lower module 170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and forming one body with the upper module 160 and having a spring groove 171 formed therein, and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toge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modules 160 and 170 It includes a spring 180 that reduces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110 side. Their structure, function, and role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is avoid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홈(171)에 스프링 가이드 돌기부(275)가 더 배치된다. 스프링 가이드 돌기부(275)는 스프링홈(171)에 배치되되 스프링(180)의 압축 또는 팽창 작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pring guide protrusion 275 is further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 The spring guide protrusion 275 is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171 and serves to guide the compression or expansion action of the spring 180 .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load can be buffered, noise generation can be minimized, and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서 하부 모듈에 스프링캡이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10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pring cap is coupled to the lower module in the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하부 모듈(370)에 스프링홈(171)이 형성되는데, 이 스프링홈(171)에 스프링 감지기(39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스프링 감지기(390)는 스프링홈(17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스프링홈(171)의 스프링(180, 도 4 참조)에 대한 가압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eve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spring groove 171 is formed in the lower module 370 , and the spring sensor 39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171 . That is, the spring sensor 39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171 , and serves to detect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to the spring 180 (refer to FIG. 4 ) of the spring groove 171 .

이에, 신발을 처음 구매할 때, 스프링홈(171)들에 스프링 감지기(390)를 넣어두고 신발을 사용하도록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스프링 감지기(390)를 꺼내 확인하면, 복수 개의 스프링(180) 중에서 어느 것이 좀 더 작용을 많이 하는지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정보가 검출되면 이후에 스프링 감지기(390)를 모두 제거한 후, 해당 스프링(180)에 대하여 스프링력이 좀 더 강하거나 약한 것으로 교체해 줌으로써 자신의 걸음습관에 맞는 최적화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 감지기(390)는 추후 신발 교정을 위한 서비스 개념으로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refore, when purchasing a shoe for the first time, put the spring sensor 390 in the spring grooves 171 to use the shoe, and then take out the spring sensor 39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heck, a plurality of springs 180 . You can detect which one of them works more. When this information is detected, after removing all of the spring detector 390, the spring 180 is replaced with a stronger or weaker spring force, thereby providing an optimized shoe for one's walking habit. There is this. The spring detector 390 may be a device provided as a service concept for later shoe correc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신발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의 구조도이다.1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hioning unit applied to a cushioning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완충 유닛(350) 역시, 상부 모듈(360), 하부 모듈(370) 및 스프링(38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buffer unit 350 applied to this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n upper module 360 , a lower module 370 and a spring 380 .

이때, 스프링(380)은 스프링 지지대(382)에 지지된다. 스프링 지지대(382)와 스프링(380)은 복수 개가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ring 380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382 . A plurality of spring support 382 and spring 380 may be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의 완충 유닛(350)에는 스프링(380)의 외측으로 자바라(390)가 더 마련된다. 자바라(390)는 스프링(3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평상 시 붙어 있다가 걸으면서 스프링(380)이 따라 움직일 수 있게끔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ffer unit 350 of this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llows 390 to the outside of the spring 380. The bellows 390 serves to support the spring 380 , and allows the spring 380 to move along while walking while being usually attached.

상부 모듈(360)은 파이론(361) 및 TPU(362)를 포함하고 하부 모듈(370)은 고무 라바(370)로 적용되는데, 자바라(390)와 TPU(362) 및 고무 라바(370)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module 360 includes a pyron 361 and a TPU 362 and the lower module 370 is applied as a rubber rubber 370, the bellows 390 and the TPU 362 and the rubber rubber 370 are adhesive can be combined in this way.

자바라(390)의 재질 역시, 고무일 수 있지만, 탄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실리콘, 우레탄 등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적인 특징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material of the bellows 390 may also be rubber, but if it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may be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erial characteristics.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보다 간단하지만 더욱 효과적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어서 하중을 완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but more effective structure than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load can be buffered, noise generation can be minimized, and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완충 신발 110 : 신발 본체
120 : 완충 신발창 130 : 아웃솔
140 : 어퍼솔 150 : 완충 유닛
160 : 상부 모듈 165 : 조립용 후크
170 : 하부 모듈 171 : 스프링홈
172 : 스프링캡 175 : 후크 조립홈부
180 : 스프링
100: buffer shoes 110: shoe body
120: buffer sole 130: outsole
140: upper sole 150: buffer unit
160: upper module 165: hook for assembly
170: lower module 171: spring groove
172: spring cap 175: hook assembly groove
180: spring

Claims (7)

신발 본체; 및
상기 신발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신발 본체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완충 신발창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신발창은,
밑창을 이루면서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는 부분으로서의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신발 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어퍼솔; 및
상기 어퍼솔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는 상부 모듈과, 상기 아웃솔의 뒤꿈치 영역에 연결되되 상기 상부 모듈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는 하부 모듈과, 상기 스프링홈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모듈과 함께 상기 신발 본체 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에는 스프링의 외측으로 자바라가 더 마련되고,
상기 자바라는 스프링을 지지하되, 걷지 않을 시 붙어 있다가 걸으면서 스프링이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홈에 배치되되 상기 스프링의 압축 또는 팽창 작용을 가이드하는 스프링 가이드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스프링홈 내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홈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모듈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보다 소프트한 재질로 제작되며,
서로 접해서 결합하는 상기 상부 모듈과 상기 하부 모듈 중 어느 하나에는 조립용 후크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용 후크가 조립되는 후크 조립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해당 스프링홈의 스프링에 대한 가압정도를 감지하는 스프링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신발.
shoe body; and
It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shoe body, but includes a cushioning sole for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hoe body side,
The cushioning sole,
The outsole as a part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forming the sole;
an upper sol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sole a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oe body; and
An upper modul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upper sole, a lower module connected to the heel region of the outsole to form one body with the upper module and having a spring groove formed therein; It includes a buffer unit having a spring for reducing noise while buffer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shoe body together with the lower module,
The buffer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ellows on the outside of the spring,
The bellows supports the spring, but when not walking, the spring can move along with it while walking,
Doedoe disposed in the spr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spring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compression or expansion action of the spring,
The buffer unit is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in the spr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spring cap for supporting the spring accommodated in the spring groove,
The upper module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and the lower module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upper module,
A hook for assembling is provided in one of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that are coup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hook assembly groove in which the hook for assembling is assembled is formed in the other,
Buffer shoes,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and include a spring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to the spring of the spr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모듈은 68~72 범위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부 모듈은 상기 상부 모듈보다 약한 58~30 범위의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신발.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module is made of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aterial in the range of 68 to 72, and the lower module is made of a polyurethane (PU) material having a hardness in the range of 58 to 30, which is weaker than that of the upper module. cushioning sho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20229A 2022-02-16 2022-02-16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KR102421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29A KR102421694B1 (en) 2022-02-16 2022-02-16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29A KR102421694B1 (en) 2022-02-16 2022-02-16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694B1 true KR102421694B1 (en) 2022-07-15

Family

ID=8240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229A KR102421694B1 (en) 2022-02-16 2022-02-16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69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61A (en) * 2009-04-15 2010-10-25 김대석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KR101034656B1 (en) 2010-05-27 2011-05-16 박철수 Shoe for protecting shock
KR20120063287A (en)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쉘톤스포츠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1278647B1 (en) * 2013-01-31 2013-06-25 장지성 Cushion outer soles
JP2020163084A (en) * 2019-03-31 2020-10-08 美津濃株式会社 Sole of sports shoe
KR102235366B1 (en) * 2019-12-27 2021-04-02 국방과학연구소 Smart shoe to measure foot press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61A (en) * 2009-04-15 2010-10-25 김대석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KR101034656B1 (en) 2010-05-27 2011-05-16 박철수 Shoe for protecting shock
KR20120063287A (en)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쉘톤스포츠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1278647B1 (en) * 2013-01-31 2013-06-25 장지성 Cushion outer soles
JP2020163084A (en) * 2019-03-31 2020-10-08 美津濃株式会社 Sole of sports shoe
KR102235366B1 (en) * 2019-12-27 2021-04-02 국방과학연구소 Smart shoe to measure foot pres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5453B2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6694642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6665958B2 (e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20120137541A1 (en) Shock absorbing unit,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US786606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CA2798780C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0887625B1 (en) The elastic sole and its shoes having elastic reaction force and shock absorption
JPH0556881B2 (en)
CN101204257A (en) Shoe
US20100281709A1 (en) Elastic Shoes For Cushioning Against Impact
KR100518307B1 (en) Shoes
KR102421694B1 (en)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KR101298196B1 (en)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KR101600973B1 (en) Shoe sole
KR20120063413A (en)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KR101217094B1 (en) Shoes for shock absorbing
KR200412015Y1 (en) The sole of functional shoes
KR20120063417A (en)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KR200410356Y1 (en) shock absorbing shoes
CN219613188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sole
KR100885066B1 (en) The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