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527B1 -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Google Patents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527B1 KR102421527B1 KR1020220036812A KR20220036812A KR102421527B1 KR 102421527 B1 KR102421527 B1 KR 102421527B1 KR 1020220036812 A KR1020220036812 A KR 1020220036812A KR 20220036812 A KR20220036812 A KR 20220036812A KR 102421527 B1 KR102421527 B1 KR 102421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hibians
- capture
- trap
- target site
- endangered speci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멸종위기종 양서류를 포획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멸종 위기종이 서식하는 지역 중 포획 대상지역을 설정하여 양서류의 활동을 활성화하고, 포획률을 높일 수 있는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and to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that can increase the capture rate and activate the activities of amphibians by setting a capture target area among regions where endangered species inhabit it's about
인간 활동으로 인한 무분별한 개발 및 자연자원의 이용은 많은 생물종의 서식지의 소식과 생물 다양성 감소를 초래했다. 국제적으로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변온동물, 피부호흡 등의 생태적 특징으로 인해 타 분류군보다 더 환경변화에 민감한 양서류는 이십년 안에 대부분의 양서류가 멸종위기종이 될 가능성이 크고 멸종하는 종도 생겨날 위험성이 크다. 국제보호연합에서는 현재 온난화에 의해 온도 변화에 민감한 양서류 종은 50%가 금세기 내에 위험성이 큰 멸종에 다가가는 것으로 보고 있다.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use of natural resources caused by human activities have resulted in habitat loss and loss of biodiversity for many species.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growing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amphibians, which are mo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than other taxa due to ecological features such as cold-blooded animals and skin respiration, are likely to become endangered species within 20 years, and there is a high risk of extinction. The International Conservation Union estimates that 50% of amphibians that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due to current warming are approaching high-risk extinction within this century.
기후 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는 지속적인 기간에 걸쳐 천천히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적합한 지표선정이 필요하다. 양서류는 환경 변화와 환경 호르몬에 민감한 생활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난 수십 년간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양서류의 감소 원인으로는 과잉 개발, 서식지의 손실 그리고 질병, 기후변화와 같은 원인이 있다.Ecosystem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appears slowly over a continuous period, so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index suitable for long-term monitoring in order to predict it. Because amphibians have a life cycle that is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ndocrine disruptors, it has shown a worldwide decline over the past few decades. Reasons for the decline of amphibians include overexploitation, loss of habitat, disease, and climate change.
주로 계곡이나 농경지, 하천, 묵논, 저수지, 우기시 생기는 둠벙 등의 수환경에서 산란하고 먹이섭식은 산란지나 산림으로 이동하여 먹이원을 보충하며, 동면은 이와 같은 지역과는 별개의 지역으로 이동하여 동면을 하는 종으로 이러한 서식지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위험한 분류군으로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생태환경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종일 뿐만 아니라 먹이사슬의 중간자 역할을 하고 있다.They spawn mainly in aquatic environments such as valleys, farmland, rivers, mud paddy fields, reservoirs, and dams that occur during the rainy season. Feeding moves to spawning grounds or forests to supplement food sources. Hibernation moves to an area separate from these areas. As a species that hibernates, it is a dangerous taxon if any of these habitats are lacking. It is very sensitive to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so it is not only an indicator species that can measure the ec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acts as an intermediate in the food chain.
국내에서는 법적보호종 지정을 통해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있으며, 이중 양서류는 맹꽁이, 금개구리, 수원 청개구리, 고리도룡뇽 4종을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특히, 맹꽁이는 인간의 간섭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In Korea, biodiversity is protected through the designation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among them, four species of amphibians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endangered species, such as the black frog, the golden frog, the Suwon tree frog, and the ringed salamander.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quirrels is significantly decreasing due to human interference.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환경 민감 분류군인 양서류와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결과와 데이터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양서류의 생태 및 생체변화 추이를 파악함은 물론 기후변화 민감종을 포함한 한국 전역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생태 연구를 통한 생태계의 완충적인 안정성과 서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초 자료를 토대로 향후 보전계획에 온도, 고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대체이주지 및 대체 서식지 조성의 기초적인 모형개발을 할 수 있다.However, research results and data on climate change and amphibians, which are environmentally sensitive taxa, are insufficient in Korea so far. Therefore, basic data for the buffer stability of the ecosystem and habitat management are needed not only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and biological changes of amphibians, but also to study the ecology of amphibians inhabiting all over Korea, including climate change-sensitive species. Based on these basic data, it is possible to develop a basic model for the creation of alternative migration sites and alternative habitats by considering temperature, altitude, and humidity in future conservation plans.
양서류의 모니터링에 앞서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상지에서 목표 양서류를 포획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포획과정에서 함정트랩이나 유도트랩을 사용한다. 함정트랩은 통모양의 덫을 지면에 묻고 추락한 양서류를 채집하는 방법이다. 유도트랩은 함정트랩을 보완한 것으로 포획된 양서류가 함정트랩 안에서 일사 또는 물이 고여 저체온 증으로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토양에 구덩이를 만들어 비닐 막으로 바닥을 덮고, 볏짚으로 덮개를 만든 형태로 포획된 개체가 탈출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된 방법이다.Prior to monitoring amphibians, a research site should be selected and target amphibians should be captured at the selected site. In such a capture process, trap traps or guide traps are used. Trap trap is a method of burying a barrel-shaped trap in the ground and collecting fallen amphibians. The induction trap is a supplement to the trap trap, and in order to prevent the captured amphibians from dying from solar radiation or stagnant water in the trap, due to hypothermia, a pit is made in the soil, the floor is covered with a plastic film, and a cover is made of rice straw. A method designed to prevent an entity from escaping.
이와 같은 포획작업은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는 물론 개체 포획 후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으로 이주시키는 작업을 하여 개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서류의 기초자료 수집을 위한 모니터링 또는 양서류 이주작업을 위하여, 양서류의 포획과정에서 기존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포획개체의 생존률 증가와 포획효율을 높인 포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ch a capture operation can increase the number of individuals by migrating to an environment suitable for habitation after capture as well as basic data for monitoring.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ture device that enhances the survival rate and capture efficiency of captured individuals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limitations in the capture process of amphibians for monitoring for collecting basic data of amphibians or for migrating amphibians.
본 발명은 기후 및 환경 변화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멸종위기종 양서류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개체수 증가를 위한 노력으로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지역 중 포획대상지역을 설정하여 양서류의 활동을 활성화하고, 이에 포획률을 높일 수 있는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asic data for monito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whose population is decreasing due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sets a capture target area among regions where endangered species inhabit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number of amphibians to activate the activities of amphibians, In this regar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that can increase the capture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은 포획대상지를 선정하고 대상지 경계에 그물펜스를 설치하는 포획대상지 선정 및 경계 설정단계(가); 상기 (가)단계의 포획대상지 내에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함정수로를 설치하여 포획대상지를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하는 함정수로 설치단계(나); (가)단계로 설정된 포획대상지 내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물을 뿌려 공급하여 우기와 유사환 환경을 조성하는 우기 환경 조성단계(다); 상기 (나) 및 (다)단계가 완료된 포획대상지 내에서 일정기간 후 함정수로 및 웅덩이 함정에 유입된 양서류를 포획하는 단계(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 target site for capturing and setting a boundary for selecting a target site and installing a net fence at the boundary of the target site (A); A trap water trap installation step (b) for dividing the capture target area into one or more compartments by installing a trap water channel with an open top in the capture target site of step (a); A rainy season environment creation step (c) of installing one or more sprinklers in the capture target area set in step (a) and supplying water by spraying it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rainy season; It may consist of a step (d) of catching the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 and puddle tra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target site where steps (b) and (c) have been completed.
또한, 상기 (나)단계로 구분되는 포획대상지 내에는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 또는 포획용기를 매립하여 이루어진 포획장치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나)단계의 함정수로는 십자 또는 일자 형태로 (가)단계로 선정된 포획대상지를 굴착하여 하나 이상으로 포획대상지가 구분되고, 상기 굴착된 지역에 원형 또는 U자 관구조의 함정수로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ound recording and amplifying devices or capture devices made by embedding a capture container are installed in the capture target area divided in step (b), and the trap water in step (b) is in the form of a cross or a straight line (A). ), the capture target site is excavated to divide one or more capture target sites, and a trap water channel having a circular or U-shaped pipe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excavated area.
본 발명의 함정수로 및 웅덩이 함정은 시인성(視認性)이 있어 기존의 양서류 포획을 위한 트랩에 비해 포획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찾기 용이하여 포획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우기와 같은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양서류의 활동성 상승을 유도하여 포획률의 증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포획장치 내부에 유입된 양서류의 건조폐사(습도부족으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The trap waterway and puddle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visibility, so it is easier for workers to find than the conventional trap for catching amphibians, thereby reducing the catching time and creating an environment such as the rainy season. By inducing an increase in activity,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crease the capture rate, but also to prevent dry death (death due to lack of humidity) of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captur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그물펜스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구성된 포획대상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함정수로를 나타낸다.
도 5는 웅덩이 함정 측면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net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apture target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trap water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ump trap side view.
통상적으로 양서류는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하며 일부 종은 우기 시에 한정되어 활발한 짝짓기, 산란, 섭식 활동을 함에 따라 포획 기간의 제한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서식지를 우기 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양서류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 후, 포획함정으로 유인 및 포획함으로써 보다 포획 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과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Generally, amphibians are active from spring to autumn, and some species are limited during the rainy season, and as a result of active mating, spawning, and feeding activities, the capture period is limi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habitat similar to that of the rainy season to activate the activities of amphibians, and then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further reduce the time and effort of capturing by enticing and capturing them into a trap.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related to the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은 포획대상지를 선정하고 대상지 경계에 그물펜스를 설치하는 포획대상지 선정 및 경계 설정단계(가); 상기 (가)단계의 포획대상지 내에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함정수로를 설치하여 포획대상지를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하는 포획장치 설치단계(나); (가)단계로 설정된 포획대상지 내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물을 뿌려 공급하여 우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는 우기 환경 조성단계(다); 상기 (나) 및 (다)단계가 완료된 포획대상지 내에서 일정기간 후 함정수로 및 웅덩이 함정에 유입된 양서류를 포획하는 단계(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atch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target site for capture and installing a net fence at the boundary of the target site, selecting a target site and setting a boundary (A); A trapping device installation step (b) for dividing the target target area into one or more compartments by installing a trap waterway having an open top shape in the target area of the step (a); A rainy season environment creation step (c) in which one or more sprinklers are installed in the capture target site set in step (a), and water is sprayed and supplied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rainy season; It may consist of a step (d) of catching the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 and puddle tra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target site where steps (b) and (c) have been completed.
(가) 포획대상지 선정 및 경계 설정단계(A) Selection of target sites for capture and setting of boundaries
본 발명의 포획대상지 선정 및 경계 설정단계(가)는 목표하는 멸종위기종 양서류가 서식 및 포획하고자 하는 지역을 포획대상지로 선정하여, 선정된 포획대상지 경계에 그물펜스를 설치하여 포획하고자 하는 양서류의 탈출 및 유입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물펜스(100)는 포획대상지 내 양서류가 대상지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In the capture target site selection and boundary setting step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where the target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inhabit and capture is selected as a capture target area, and a net fence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of the selected capture target area to protect the amphibian to be captured. preventing escape and entry. The
도 2는 본 발명의 그물펜스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펜스는 양서류 개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직경의 망목이 형성되는 그물펜스부(100a)와, 상기 그물펜스 최상단에는 이탈방지프레임(100b)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프레임은 포획대상지 내부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면구조가 세워진 ㄷ자 형태로 홈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net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forming a
그물펜스부는 통상 0.4m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는 양서류의 최고 도약길이와 유사하여 양서류가 그물펜스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프레임에 양서류의 도약이 차단됨으로써 양서류의 도약에 의한 이탈방지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The net fence portion is usually formed to a height of 0.4 m or more, and the height is similar to the maximum jumping length of the amphibians, so that the amphibians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net fence. In addition, since the jumping of the amphibians is blocked in the escape prevention frame, the escape prevention rate by the jumping of the amphibians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멸종위기종 양서류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 금개구리, 개구리류 등과 같은 무미 양서류, 남생이, 거북류 등과 같은 파충류, 도롱뇽류 등과 같은 유미 양서류 중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endangered species, such as tasteless amphibians such as ferrets, gold frogs, and frogs, reptiles such as tortoises and turtles, and salamanders.
(나) 함정수로 설치단계(B) trap water installation stage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구성된 포획대상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함정수로 설치단계(나)는 상기 (가)단계의 포획대상지 내에 상부가 개구된 관형상의 함정수로를 십자형상으로 설치하여 포획대상지를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포획대상지 내에 웅덩이 함정을 하나 이상 설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3 shows a capture target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p water trap installation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bular trap water channel with an open upper part is installed in a cross shape in the capture target site of the step (a) to divide the capture target site into one or more compartments, and the divided capture target site It may be a step to install one or more puddle traps within.
또한, 본 발명의 단계에는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500)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500)는 포획하고자 하는 양서류의 번식기 울음 소리 등을 녹음하고 이를 노출시켜 증폭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로 포획하고자 하는 양서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sound recording and amplifying
도 4는 본 발명의 함정수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함정수로(300)는 상부가 개구된 관로 형상으로 (가)단계의 구획된 포획대상지 내에 십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포획대상지를 4개의 구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포획대상지 내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의 양서류가 좌, 우, 상, 하로 이동하는 것을 감안함으로써 포획률을 가장 높일 수 있는 구획방법일 수 있다. 4 shows a trap water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나 함정수로 설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환경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그 형상은 직선, 곡선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도 설치하여 포획대상지 내에서 다양한 구획 구분이 가능하다. 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trap waterway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deformed into the most desirable shap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hap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traight lines and curves, so that various divisions within the capture target area are possible.
함정수로 설치에 앞서 함정수로를 설치하고자 하는 포획대상지 내에 십자 형상으로 굴착을 실시한다. 상기 굴착하는 깊이는 30 내지 50cm이고 폭은 50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함정수로 내로 유입된 양서류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Prior to installation of the trap waterway, excavate in a cross shape in the target area where the trap waterway is to be installed. The depth of the excavation is 30 to 50 cm, and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width to 50 cm or more. This may be to prevent escape of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
상기 굴착이 완료된 지역에 함정수로를 설치한다. 도 4에 도시된 A타입은 원형의 관구조로 상부 일측면에는 양서류가 관내로 유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함정수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관내 상부에는 개구부로 수렴하는 구조의 원형 프레임이 형성되어 유입된 양서류가 내부에서 점프하더라도 원형 단면에 의해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타입은 점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맹꽁이 포획에 용이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폭은 20cm, 관내 깊이는 30cm로 형성할 수 있다. A trap water channel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he type A shown in FIG. 4 has a circular tube structur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amphibians can flow into the tube is formed on on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p water. A circular frame with a structure converging to the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ube, so that even if the introduced amphibians jump from the inside, escape can be prevented by the circular cross section. Type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tch a fly with a relatively low jumping force, and the opening may have a width of 20 cm and a depth of 30 cm within the tube.
도 4에 도시된 B타입은 U자 구조의 상부가 개구된 관구조로 이루어지고 개구부 가장자리 측면을 따라 ∧자 구조의 탈출방지프레임(210)이 설치될 수 있다. 탈출방지프레임은 ∧자의 단면구조를 갖고 함정수로 설치방향 길이로 형성되며, 함정수로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탈출방지프레임은 상부를 향해 수렴하는 구조로 양방향에 경사가 형성되어 함정수로에 유입된 양서류가 도약하여 탈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이웃하는 포획대상지로 양서류가 이동시에 탈출방지 프레임의 경사구조를 따라 미끄러짐으로 효과적으로 함정수로 내부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 type shown in FIG. 4 is made of a tub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U-shaped structure is opened, and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타입의 함정수로는 깊이 50cm이상, 개구부 폭은 80cm이상으로 형성되었으며 개구부 가장자리 양단에 탈출방지프레임이 설치되어 함정수로 내부에 유입된 양서류 특히 금개구리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깊이와 폭은 금개구리의 수평 및 수직 도약 능력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The B-type trap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depth of 50 cm or more and an opening width of 80 cm or more, and escape prevention fram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edge to prevent the escape of amphibians, especially gold frog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 it can be The depth and width may be in considera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jumping ability of the gold frog.
본 발명의 함정수로는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함정수로 내부에는 강우 등에 의해 함정수로에 일정수위의 물이 차게 되면 유입된 양서류가 외부로 탈출하거나 물에 잠겨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수위 이상에서 저장된 물이 배수됨으로써 수위가 조절되는 수위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trap water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when the water in the trap waterway is filled with water at a certain level due to rain, etc.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by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above may be further included.
도 5는 웅덩이 함정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웅덩이 함정(200)은 통상의 양서류 중 금개구리는 물 웅덩이 바닥에 서식하고 있고 이와 같은 종의 유입 및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웅덩이 함정 가장자리를 따라 ∧자 구조의 탈출방지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웅덩이 함정에 서식 및 유입된 양서류의 탈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웅덩이 함정은 포획대상지 크기 및 환경에 따라 그 개수나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5 shows a sump trap side view. The
도 6은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500)의 주변에 함께 설치되는 포획장치를 나타낸다. 포획장치는 펜스 주변 또는 함정수로 주변 및 특정의 포획대상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용기부, 용기부 덮게, 용기부 덮게 버팀대로 이루어진다. 설치는 땅을 파고 용기부를 매립한후 용기부 덮개 버팀대를 설치하고 용기부 덮개를 씌워 완성한다. 포획장치 주변에는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500)를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특성상 동종개체의 구애활동으로 울음소리를 이용하는 특성을 반영하여, 포획장치와 함께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를 추가하여 멸종위기종을 효과적으로 포획장치 내로 포획할 수 있다. 6 shows a capture device installed together around the sound recording and amplifying
(다) 우기 환경 조성단계(C) Rainy season environment creation stage
본 발명의 우기 환경 조성단계(다)는 (가)단계로 설정된 포획대상지 내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400)를 설치하고 물을 뿌려 공급하여 우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는 포획대상지 내에 충분히 물을 뿌려 공급함으로써 우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함정수로 내 습도 유지를 통해 함정수로에 유입된 포획 개체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The rainy season environment creation step (c)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one or
(라) 양서류 포획단계 (D) Amphibian capture stage
본 발명의 양서류 포획단계(라)는 상기 (나) 및 (다)단계가 완료된 포획대상지 내에서 일정 기간 후, 함정수로 및 웅덩이 함정에 유입된 양서류를 포획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mphibian capturing step (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a step of capturing the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way and puddle tra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target site where steps (b) and (c) are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른 함정수로 및 웅덩이 함정은 시인성(視認性)이 있어 기존의 양서류 포획을 위한 트랩에 비해 포획작업을 실시하는 사람이 찾기 용이하여 포획작업 시간이 감소하고 우기와 같은 환경조성으로 양서류의 활동성이 높아 포획률의 증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포획된 양서류의 건조폐사(습도부족으로 인한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The trap waterway and puddl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visibility, so it is easier for people to find the trap than the conventional trap for catching amphibians, thereby reducing the catching time and creating an environment such as the rainy season for amphibians. Due to its high activ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apture rate as well as prevent the dry death (death due to lack of humidity) of the amphibians captured inside.
본 발명은 기후 및 온난화로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멸종위기종 양서류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 및 개체 포획 후 거주지 이동 작업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멸종위기에 처한 개체수의 증가와 더 나아가 생태계의 교란 방지를 통해 생물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도모하는 지속 발전의 범위 내에 포함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asic data for monito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whos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climate and warming, and a more efficient method for habitat transfer after capturing individuals,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endangered individuals and furthermore, the ecosystem I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as it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promotes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the environment by enabling biodiversity to be maintained through the prevention of disturbances.
100: 그물펜스
100a: 그물 펜스부 100b: 이탈방지프레임
200: 웅덩이 함정 210:탈출방지프레임
300: 함정수로 400: 스프링클러
500: 소리녹음 및 증폭장치 100: net fence
100a:
200: puddle trap 210: escape prevention frame
300: trap water 400: sprinkler
500: sound recording and amplifying device
Claims (3)
상기 (가)단계의 포획대상지를 십자 또는 일자 형태로 굴착하여 하나 이상으로 포획대상지를 구분하고, 상기 굴착된 지역에는 상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원형 관구조로 이루어지는 함정수로가 포설되는 함정수로 설치단계(나);
상기 (가)단계로 설정된 포획대상지 내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물을 뿌려 공급하여 포획대상지를 우기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우기 환경 조성단계(다);
상기 (나) 및 (다)단계가 완료된 포획대상지 내에서 일정기간 후, 함정수로에 유입된 양서류를 포획하는 단계(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A capture target site selection and boundary setting step (A);
The trapping water installation step in which the capture target site of step (a) is excavated in a cross or straight shape to divide the capture target site into one or more, and the excavated area is equipped with a trap waterway having an open top and a circular pipe structure in cross section (me);
a rainy season environment creation step (c) of installing one or more sprinklers in the capture target site set in step (a) and supplying water to the capture target site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rainy season;
A method for capturing endangered species amphibi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d) of catching the amphibians introduced into the trap wat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target site where steps (b) and (c) have been comple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812A KR102421527B1 (en) | 2022-03-24 | 2022-03-24 |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812A KR102421527B1 (en) | 2022-03-24 | 2022-03-24 |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527B1 true KR102421527B1 (en) | 2022-07-15 |
Family
ID=8240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6812A KR102421527B1 (en) | 2022-03-24 | 2022-03-24 |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527B1 (e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647B1 (en) * | 2007-08-10 | 2008-01-24 | 임운섭 | Breeding facility of frog and breeding method |
KR100931379B1 (en) * | 2009-03-18 | 2009-12-11 |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 Draining way block for preventing road kill |
KR101309633B1 (en)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Method for capturing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
KR101309632B1 (en) *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
KR101400430B1 (en) * | 2014-01-21 | 2014-05-28 |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capturing small animals including frogs for protection in construction site |
JP2014231695A (en) * | 2013-05-29 | 2014-12-11 | 三菱樹脂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 Revet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vetment structure |
KR101589602B1 (en) | 2014-03-21 | 2016-01-28 | 주식회사 녹인 | Amphbian and reptile capturing apparatus considering season condition |
JP2018145798A (en) * | 2018-07-03 | 2018-09-20 | 三菱ケミカル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 Revet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vetment structure |
KR102056321B1 (en) | 2019-03-26 | 2020-01-14 |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 Amphibians and reptile trapping device |
KR102182679B1 (en) | 2020-05-21 | 2020-11-24 | (주)우신이엔씨 | Capturing apparatus for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
-
2022
- 2022-03-24 KR KR1020220036812A patent/KR10242152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647B1 (en) * | 2007-08-10 | 2008-01-24 | 임운섭 | Breeding facility of frog and breeding method |
KR100931379B1 (en) * | 2009-03-18 | 2009-12-11 |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 Draining way block for preventing road kill |
KR101309633B1 (en)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Method for capturing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
KR101309632B1 (en) * | 2013-03-04 | 2013-09-17 | 심재한 |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inducing and capturing apparatus |
JP2014231695A (en) * | 2013-05-29 | 2014-12-11 | 三菱樹脂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 Revet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vetment structure |
KR101400430B1 (en) * | 2014-01-21 | 2014-05-28 |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 Apparatus for capturing small animals including frogs for protection in construction site |
KR101589602B1 (en) | 2014-03-21 | 2016-01-28 | 주식회사 녹인 | Amphbian and reptile capturing apparatus considering season condition |
JP2018145798A (en) * | 2018-07-03 | 2018-09-20 | 三菱ケミカルインフラテック株式会社 | Revet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vetment structure |
KR102056321B1 (en) | 2019-03-26 | 2020-01-14 | 한국생태연구소 주식회사 | Amphibians and reptile trapping device |
KR102182679B1 (en) | 2020-05-21 | 2020-11-24 | (주)우신이엔씨 | Capturing apparatus for amphibian or reptile of endangered speci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mpbell-Palmer et al. | The Eurasian beaver handbook: ecology and management of Castor fiber | |
Hawbecker | The burrowing and feeding habits of Dipodomys venustus | |
JP2005065562A (en) | Method for culturing loach | |
Wohl | Saving the dammed: why we need beaver-modified ecosystems | |
Halloran et al. | Water development for desert bighorn sheep | |
JP2012165684A (en) | Insectary for firef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insectary for firefly | |
KR102421527B1 (en) | The capturing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
KR100958933B1 (en) | 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kaloula | |
Loucif et al. | Nest site selection and breeding ecology of the Ferruginous Duck (Aythya nyroca) in Algeria | |
KR20120037831A (en) | Fish-breeding strucrute and eco-incubator strucrute using the same | |
Delclaux et al. | Water and people in the Yaere floodplain (North Cameroon) | |
KR102421530B1 (en) | the resources management method for endangered species | |
CN211746257U (en) | Special enemy prevention system for loach breeding in rice field | |
Swystun et al. | Cavity roost site availability and habitat use by bats in different aged riparian cottonwood stands | |
Witmer et al. | Rodent burrow systems in North America: Problems posed and potential solutions | |
JP3822878B2 (en) | Fish catching method and stationary net used therefor | |
CN114586739B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rtificial breeding farm of amphibian and artificial breeding farm | |
CN220579937U (en) | Landscape fishway suitable for fish perching and breeding and capable of improving local microclimate | |
Darby et al. | Ecological studies of apple snails | |
Vorel et al. | Handbookfor | |
Area | Spencer Creek riparian treatments | |
Pirtscher | A strangely-shaped protection area | |
CANDOTTI | The Return of Eurasian Beavers: Mitigating Potential Conflicts Through Adaptive Management | |
Hegdal | Prevention and control of animal damage to hydraulic structures | |
Barber et al. | Off-Channel Winter Rearing for Coho Salmon and Steelhead in Floodplai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