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68B1 - Head rest module - Google Patents

Head rest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68B1
KR102421468B1 KR1020200104681A KR20200104681A KR102421468B1 KR 102421468 B1 KR102421468 B1 KR 102421468B1 KR 1020200104681 A KR1020200104681 A KR 1020200104681A KR 20200104681 A KR20200104681 A KR 20200104681A KR 102421468 B1 KR102421468 B1 KR 10242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unit
mounting base
moving body
rear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3135A (en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10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6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tay;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stay; a front-rear moving body arrang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intersecting a plane formed by the sta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 front/rea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ront/rear moving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rein the front/rear drive unit includes: a first motor installed i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 eccentric rot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tor to rotate eccentrically; and a first conversion unit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d converting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o provide.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모듈{HEAD REST MODULE}Headrest Module{HEAD REST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module used in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In general, a head rest for a vehicle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seat, and is used as a headrest by lift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ccupant's head. The headrest also supports the occupant's head in the event of a rear-end collision, preventing neck injuries.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Recently, in addition to a function for preventing neck injuries and a headrest, a headrest is also used as an object to which a monitor for viewing an image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eadrest. In this case, the headrest is manufactured so that the rear occupant can linearly move i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watch the video in the vehicle.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그러한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슬림화에도 한계가 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본격화됨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 공간은 업무 공간, 또는 휴식 공간이 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실내 공간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시트, 나아가 헤드레스트의 슬림화는 절실한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for linear motion of the headrest has a large number of parts, so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lso difficult. In addition, the headrest has a limit in slimming by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interior space of a car is becoming a work space or a rest space as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s is in full swing, slimming the seat and headrest, which occupies a large volume in the interior space, is also an urgent requir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기존보다 슬림화하여 자율주행차 시대에 요구되는 실내 공간의 극대화에 부응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module that can meet the maximization of indoor space required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s by being slimmer than before while provid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headrest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tay;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stay; a front-rear moving body arranged to be relatively mov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intersecting a plane formed by the sta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 front/rea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ront/rear moving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rein the front/rear drive unit includes: a first motor installed i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 eccentric rot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tor to rotate eccentrically; and a first switching unit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back moving body, and converting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front-back movement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여기서, 상기 편심회전 유닛은, 구동 접촉면을 외주면으로서 구비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ccentric rotation unit may include a cam having a driving contact surface 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여기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을 내주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캠을 수용하는 구속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restraining space having a driven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ccommodating the cam.

여기서, 상기 구동 접촉면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피동 접촉면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접촉면은,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wherein the driving contact surface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driven contact surface includes a pair of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are dispose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ront-rear direction can do.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mounting base may include a plate having a first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couple the plate to the stay and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wherein the first motor includes the first width at the second width. It may be mounted on the plate so as to occupy a mounting space minus the .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plate may include an opening, and the first motor may be mounted to the pl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모터를 관통한 채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and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iec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motor and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can

여기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하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ay includes a pair of base fram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pair of clamping par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ate and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tay, Each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includes: a first corresponding area and a second corresponding area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an adjacent one of the pair of base frames; and a connection region connecting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여기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핀이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ront-rear moving body includes a guide pin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e of the plate and the coupling unit includes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in is inserted, and the guide pin is the guide pin. In a state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le, the front-rear moving body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ront-rear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승강 방향을 따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상기 승강 방향을 따른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unting base further includes a lif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ift in a lift direction intersec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rein the lift drive unit includes: a second motor installed i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stay; a rotation unit arranged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motor; and a second conversion unit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stay, and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to movement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회전 유닛은, 수나사산을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shaft having a male thread,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nut having a female thread screwed to the male thread.

여기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tay, a pair of base frames coupled to the mounting base; and a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base frames, wherein the nut includes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shaft is disposed to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can b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의하면, 스테이에 마운팅 베이스가 결합되고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서는 전후 이동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 구동 유닛은 전후 이동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데, 그는 제1 모터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을 가지고 편심회전 유닛에 대응해서는 제1 전환 유닛이 구비되어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전후 방향을 따른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게 되어서, 헤드레스트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게 하면서도 전후 방향을 따르는 헤드레스트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자율주행차 시대에 요구되는 실내 공간의 극대화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의미가 크다.According to the headres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base is coupled to the stay and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is arranged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moves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Driving, he has an eccentric rotation unit rotated eccentrically by a first motor, and a first switching unit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eccentric rotation unit to convert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idth of the headrest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allowing the headrest to be positio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is significant as it responds to the maximization of interior space required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요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headrest module 100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part of the headrest module 100 in FIG. 2 ,
Figure 4 is a simplified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arts of the headrest module 100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in FIG. 2 ,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5;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main parts of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in FIG. 2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headrest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시트 백에 대해 승강 방향(V)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headrest module 100 forms mos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headrest. After the cushion is added to this headrest module 100, if the outer skin is finally covered, it becomes a headrest. This headrest is positioned above the seat back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The headrest may also be positioned relative to the seat back in the lift direction (V).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스테이(110)와, 전후 이동 바디(150)를 포함한다. 나아가,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전동 구동되는 경우에는 조작기(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headrest module 100, specifically, includes a stay 110 and a front-rear moving body 150 . Furthermore, when the headrest module 100 is electrically driven, the manipulator 180 may be further provided.

스테이(110)는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승강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는 전후 이동 바디(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ay 110 includes a base frame 111 coupled to the seatback. The base frame 111 may be provided as a pair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V).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1 may be located inside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스테이(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110)에 대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F 및 B)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바디(150)는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is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the stay 11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while a part of the stay 110 is embedded. Her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may be defined as directions crossing the plane formed by the pair of base frames 111 .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is wrapped with a cushion and finally finished by the outer skin, and serves to support the user's head.

조작기(18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동 명령은,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이거나, 전후 이동 바디(150)를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후술할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이상 도 2 참조)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The manipulator 180 is configured to receive a movement command from a user. The movement command may be, specifically, a command for moving the front-back moving body 150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or a command for moving the front-rear-moving body 150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V). have. This movement is ma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ront/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refer to FIG. 2 abov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bove headrest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module 100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part of the headrest module 100 in FIG. 2 , and FIG. 4 is the headrest module 100 of FIG. 3 . It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parts of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스테이(110) 및 전후 이동 바디(150)에 더하여,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그리고 승강 구동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drest module 100 is,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stay 110 and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a plate 120, a coupling unit 130, a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lift driving unit 170 .

스테이(1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절곡된 방향을 따라서는 지지 프레임(115)이 연장될 수 있다. The stay 110 may have a pair of base frames 111 . A pair of base frames 111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The support frame 115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base frames 111 are bent.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영역에 대응하는 사이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레이트(12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0)는 하나의 온전한 형태의 판재이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 구체적으로 그의 모터 장착을 위한 개구부(121)나 절곡부(125)를 가진 판재일 수도 있다. 플레이트(120)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1 폭(W1)을 가진다. 플레이트(120)는 금속 소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폭(W1)에도 불구하고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The plate 120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ea between the stay 110 , specifically, the pair of base frames 111 . Accordingly, the plate 120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plate 120 is a single plate material, o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 specifically the opening 121 or the bent part 125 for mounting its motor. ) may be a plate with The plate 120 has a first width W 1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The plate 120 may be formed by pressing a metal material, and in this case, it has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s 160 and the like despite the first width W 1 .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를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이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그들 한 쌍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와 연결되어 스테이(110)에 결합되고, 또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이 장착되는 대상이 된다. 그에 따라, 결합 유닛(130) 및 플레이트(120)는 마운팅 베이스로 통칭될 수도 있다. The coupl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plate 120 to the stay 110 , specifically, the base frame 111 . To this end, the coupling unit 13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plate 120 . When the coupling unit 130 is provided as a pai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20 , the pai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late 120 and coupled to the stay 110 , and is also a target to which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s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are mounted. Accordingly, the coupling unit 130 and the plate 12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ounting base.

결합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감싸는 형태의 클램핑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스테이(110)에 연관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서로 평행한 것으로 예시되나, 서로 간에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은 연결 영역(1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영역(133)은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에 대해 수직한 평면인 것으로 예시되나, 그는 곡면 등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130)은 플레이트(120)와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판의 중앙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플레이트(120) 부분을 성형한 후에, 상기 원판의 가장 자리 부분을 벤딩 가공하여 결합 유닛(130)이 성형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130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as a clamping part enclosing the base frame 111 . The clamping unit may have a first corresponding area 131 and a second corresponding area 132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stay 110 .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13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1 . Here,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132 are illustrated as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but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to each other. The first corresponding area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area 1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area 133 . The connection region 133 is exemplified as be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132 , but may have other shapes such as a curved surface. The coupling unit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20 and a single member. Specifically, after forming the plate 120 by press work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 the coupling unit 130 may be molded by bending the edge of the disc.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110)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응 영역(131)의 제1 접촉부(131a)와 제2 대응 영역(132)의 제2 접촉부(132a)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된 경우에,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에 대해 2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피칭(pitching)이 제한되어, 그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부(131a) 및 제2 접촉부(132a)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연장되는 선 접촉을 하거나, 일정 부분 면 접촉을 하는 것일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corresponding area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area 132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stay 11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1a of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32a of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132 are in contact with the base frame 111 , the plate 120 may Two points may be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tay 110 . Thereby, the pitching of the plate 120 with respect to the stay 110 is limited, and stable coupling and relative movement therebetween can be made|formed. 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131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32a may be in line contact extending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V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1 or may be in partial surface contact.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2 폭(W2)을 가진다. 제2 폭(W2)은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 간의 폭으로서, 본 실시예서는 연결 영역(133)의 폭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폭(W2)은 플레이트(120)의 제1 폭(W1) 보다 큰 것이다. The coupling unit 130 has a second width (W 2 )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The second width W 2 is a width between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region 132 ,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region 133 . The second width W 2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W 1 of the plate 120 .

결합 유닛(130)은 제1 가이드 홀(135), 나아가 제2 가이드 홀(136)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과 제2 가이드 홀(136)은 상기 클램핑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홀(135)이 제1 대응 영역(131)에 형성되는 것이라면, 제2 가이드 홀(136)은 제2 대응 영역(13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서로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2 가이드 홀(136)은 구비되지 않고 제1 가이드 홀(135)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 홀(135)은 제1 대응 영역(131)이 아닌 플레이트(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유닛(130)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130 may further have a first guide hole 135 and further a second guide hole 136 . The first guide hole 135 and the second guide hole 136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lamping part. Specifically, if the first guide hole 135 is formed in the first corresponding area 131 , the second guide hole 13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rresponding area 132 . The first guide hole 135 and the second guide hole 13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Unlike the above, the second guide hole 136 may not be provided, but only the first guide hole 135 may be provided. Furthermore, the first guide hole 135 may be formed in the plate 120 instead of the first corresponding region 131 . In addition, the coupling unit 130 may be slidably coupled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V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1 .

전후 이동 바디(150)는 가이드 핀(151)과, 몸체(155 및 156)를 가질 수 있다.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ody 150 may include a guide pin 151 and bodies 155 and 156 .

가이드 핀(151)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배열되고,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슬라이딩(예를 들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한 채로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되는 제3 접촉부(151a)를 가지게 된다. 제3 접촉부(151a)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접촉부(131a 및 132a)와 함께,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3점 지지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한 쌍의 가이드 핀(151)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측에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됨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플레이트(120)의 롤링(rolling)이 제한될 수 있다. The guide pins 151 are arrang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and can be slidably (eg, linearly moved)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135 (and the second guide hole 136 ). have. The guide pin 151 may be slidably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while in contact with the base frame 111 . In this case, the guide pin 151 has a third contact portion 151a in contact with the base frame 111 . The third contact portion 151a forms a three-point support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1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31a and 132a described above. Furthermore, by the pair of guide pins 151 contacting the base frame 111 from the outside of the pair of base frames 111, the rolling of the plate 120 with respect to the stay 110 is limited. can

몸체(155 및 156)는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구동 유닛(160) 등을 감싸는 부분이다. 몸체(155 및 156)는 구체적으로, 제1 몸체(155)와 제2 몸체(156)로 나뉘어 그들이 체결 부재(159)에 의해 서로 체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핀(151)은 제1 몸체(155)에 결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1 몸체(155)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체결 부재(159)는 제2 몸체(156) 측에서 가이드 핀(151)에 삽입된 채로 제1 몸체(155)에 결합되어, 가이드 핀(15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The bodies 155 and 156 are portions surrounding the plate 120 , the coupling unit 130 ,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s 160 , and the like. The bodies 155 and 156 may be specifically divided into a first body 155 and a second body 156 so that they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159 . Here, the guide pin 151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155 , and specifically, may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155 . The fastening member 159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55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pin 151 from the second body 156 side, there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guide pin 151 .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후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플레이트(120)에 장착되어, 앞서 설명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전동 구동을 위한 제1 모터(161)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is configured to drive the front/rear moving body 150 in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plate 120 and occupy a mounting space by ΔW described above.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may have a configuration such as a first motor 161 for electric driving.

승강 구동 유닛(170)은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을 승강 방향(V)을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전후 구동 유닛(160)과 같이 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역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 역시 전동 구동을 위한 제2 모터(171)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 및 전후 구동 유닛(160)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lifting driving unit 170 is configured to drive the plate 120 and the coupling unit 130 in the lifting direction (V). The lifting driving unit 170 is mounted on the plate 120 like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 and may also occupy a mounting space by ΔW. The lift driving unit 170 may also have a configuration such as a second motor 171 for electric driving. The elevating driving unit 170 and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조작기(180)를 조작하여 전후 이동 바디(15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may wan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ront-back moving body 150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or 180 in order to optimize the size of the user's body.

먼저, 사용자가 전후 방향(F 및 B)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전후 구동 유닛(160)이 작동하면, 가이드 핀(151)은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55 및 156)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전후 구동 유닛(16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몸체(155 및 156)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이러한 작동 중에,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First, when the user wants to manipulate the position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when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is operated by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or 180, the guide pin 151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hole ( 135) (and the second guide hole 136), the bodies 155 and 156 may be mov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in the inserted state.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operates for a tim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causing the bodies 155 and 156 to stop at the user's intended posi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During this operation, the plate 120 and the coupling unit 130 do not mov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s F and B.

다음으로, 사용자가 승강 방향(V)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기(18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승강 구동 유닛(170)이 작동하면, 결합 유닛(130)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 그리고 전후 이동 바디(150)는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17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시간 동안 작동하여,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이 승강 방향(V)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추게 한다. Next, when the user wants to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lifting direction (V), when the lifting driving unit 170 is operated by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or 180, the coupling unit 130 moves the base frame 111 to the base frame 111. In the slidably clamping state, the plate 120 , the coupling unit 130 , and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may be moved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V). The lifting driving unit 170 operates for a tim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o that the plate 120 and the coupling unit 130 stop at the position intended by the user along the lifting direction (V).

이상과 같이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 등을 채용한 경우라도, 그들은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므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크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폭(W1)은 1.5 mm일 때, 제2 폭(W2)은 15.8 mm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 간의 차(ΔW)는 14.3 mm가 된다. 이러한 ΔW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체 폭이 작아지게 하는 요소가 된다. 구체적으로, 본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르는 전체 폭은 전후 이동 바디(150)의 폭으로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을 채용함에도, 75 mm 정도에 불과함을 확인하였다.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front-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are employed, they are installed by occupying the mounting space by ΔW, so the front-rear direction (F and B) of the headrest module 100 is The extent to which the width is increased is not larg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width W 1 is 1.5 mm, the second width W 2 may be 15.8 mm. In this case, the difference ?W between them becomes 14.3 mm. This ΔW becomes a factor that makes the overall width of the headrest module 100 small. Specifically, the overall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F and B) of the present headrest module 100 is the width of the front-back moving body 150, even though the front-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are employ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only about 75 mm.

이상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 및 승강 구동 유닛(170)의 구체적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front/rear drive unit 160 and the lift drive unit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먼저, 도 5는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과 승강 구동 유닛(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다.Firs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and the elevating driving unit 170 in FIG. 2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구동 유닛(160)은, 제1 모터(161)에 더하여, 편심회전 유닛(164)과 제1 전환 유닛(167,168,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ront/rear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first motor 161 , an eccentric rotation unit 164 and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see FIG. 2 ).

편심회전 유닛(164)은 제1 모터(161)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캠일 수 있다. 상기 캠은 대체로 원판형 부재(164a)와 그의 중심에서 벗어나 연결되는 입력축(164b)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력축(164b)은 제1 모터(161)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그들이 서로 교차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들의 연동을 위해 베벨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부재(164a)의 외주면은 구동 접촉면(165)이 될 수 있다. The eccentric rotation unit 164 is linked to the first motor 161 to rotate eccentrically, and may be specifically a cam. The cam may have a generally disk-shaped member 164a and an input shaft 164b connected off the center thereof. The input shaft 164b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motor 161 , and when they are disposed along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 bevel gea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ir interloc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k-shaped member 164a may be a driving contact surface 165 .

제1 전환 유닛(167,168)은 편심회전 유닛(164)의 편심 회전을 전후 이동 바디(15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전환 유닛(167,168)은 편심회전 유닛(164)과 맞물려서 작동하게 된다. 제1 전환 유닛(167,168)은, 구체적으로, 전후 이동 바디(150)의 몸체(155 및 156)에 형성되는 구속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구속 공간은 상기 캠을 수용하며, 그의 내주면은 구동 접촉면(165)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169, 도 7 참조)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are configured to convert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164 to movement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 and B of the front-back moving body 150 . To this end,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are engaged with the eccentric rotation unit 164 to operate.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may be, specifically, restraint spaces formed in the bodies 155 and 156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ing body 150 . The restraining space accommodates the cam,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may form a driven contact surface 169 (refer to FIG. 7 )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165 .

승강 구동 유닛(170)은, 제2 모터(171)에 더하여, 회전 유닛(174)과 제2 전환 유닛(1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driving unit 170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second motor 171 , a rotation unit 174 and a second switching unit 177 .

회전 유닛(174)은 제2 모터(171)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샤프트일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승강 방향(V)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느는 제2 모터(171)의 출력축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그들이 서로 교차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들의 연동을 위해 베벨 기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75)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174 is configured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motor 171 , and may specifically be a shaft. The shaft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ase frame 111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V). The sharpener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motor 171 , and when they are disposed along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 bevel gea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ir interlocking. A male thread 175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제2 전환 유닛(177)은 회전 유닛(174)의 회전을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전후 이동 바디(150)의 승강 방향(V)을 따르는 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전환 유닛(177)은 수나사산(175)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산(미도시)을 구비하는 너트일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지지 프레임(115)에 결합되는데, 이는 그의 측방으로 개방된 수용홈(178)에 지지 프레임(115)이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너트는 지지 프레임(115)에 대해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샤프트는 지지 프레임(115) 중 수용홈(178)에 수용된 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116, 도 3 참조)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너트가 지지 프레임(115)에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그 결합에 따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전체 폭이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econd switching unit 177 is configured to conver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174 to movement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V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back moving body 150 . To this e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77 may be a nut having a female thread (not shown) that is screwed into the male thread 175 . The nut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5 , which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upport frame 115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78 opened to the side thereof. In that state, the nut may be welded to the support frame 115 . In this case, the shaft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116 (refer to FIG. 3 ) formed in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78 of the support frame 115 . Accordingly, although the nut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5 ,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the overall width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according to the coupling.

이상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제1 모터(161)와 제1 전환 유닛(167,168)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모터(161)가 전후 이동 바디(150)에 설치되고, 제1 전환 유닛(167,168)이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승강 구동 유닛(170)의 경우에도, 제2 모터(171)가 스테이(110)에 설치되고, 제2 전환 유닛(177)이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first motor 161 and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of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may b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motor 161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150, and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are formed on the mounting base.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lift driving unit 170, the second motor 171 may be installed in the stay 11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77 may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base.

다음으로, 도 6은 도 5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요부의 사시도이다. Nex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5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모터(161) 및 제2 모터(171)는 플레이트(120)에 대해 강인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first motor 161 and the second motor 171 may have a strong coupl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plate 120 .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0)의 개구부(121)에 제1 모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개구부(121)의 측방에는 장착 브라켓(12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27)은 제1 모터(161)가 개구부(12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기에, 제1 모터(161)의 측면 중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고정 피스(169)는 장착 브라켓(127)의 관통홀 및 제1 모터(16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장착 브라켓(127)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피스(169)는 장착 브라켓(127) 및 제1 모터(161)를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tor 16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21 of the plate 120 , a mounting bracket 127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opening 121 . Since the mounting bracket 127 protrud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otor 161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121 , i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otor 161 . In this state, the fixing piece 169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127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otor 161 to be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127 . Here, the fixing piece 169 may include a bolt passing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127 and the first motor 161 , and a nut screwed to the bolt.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제1 모터(161)는 플레이트(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모터(171) 역시 제1 모터(161)와 동일한 결합 구조에 의해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With this coupling structure, the first motor 161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plate 120 . Furthermore, the second motor 171 may also be coupled to the plate 120 by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first motor 161 .

다음으로, 도 7은 도 2에서 전후 구동 유닛(160)의 요부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Next,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main parts of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in FIG. 2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구동 유닛(160)에 있어서, 편심회전 유닛(164)의 구동 접촉면(165)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제1 전환 유닛(167,168)은 그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그의 내주면인 피동 접촉면(169)은 대체로 트랙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동 접촉면(169)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 160, when the driving contact surface 165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164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first switching units 167 and 168 have thei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m. The phosphor driven contact surface 169 may form a generally track-like cross-section. Alternatively, the driven contact surface 169 may form a rectangle.

이러한 피동 접촉면(169)은, 구체적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169a)을 가질 수 있다. 대응 접촉면(169a)은 구동 접촉면(165)과 접촉되어, 구동 접촉면(165)의 편심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대응 접촉면(169a)은 전후 방향(F 및 B)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T)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교차 방향(T)은 스테이(110)의 지지 프레임(115)이 연장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This driven contact surface 169 may, specifically, have a pair of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169a parallel to each other. The mating contact surface 169a i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165 and is subjected to a force generated by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driving contact surface 165 . Here,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169a may be disposed along the intersecting direction T intersecting the front-rear directions F and B. The crossing direction T may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frame 115 of the stay 110 extends.

이렇게 피동 접촉면(169)이 교차 방향(T)을 따라 배치됨에 의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체 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By disposing the driven contact surface 169 along the intersecting direction 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the overall width of the headrest module 10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 and B.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eadrest module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100: 헤드레스트 모듈 110: 스테이
120: 플레이트 130: 결합 유닛
150: 전후 이동 바디 160: 전후 구동 유닛
170: 상승 구동 유닛 180: 조작기
100: headrest module 110: stay
120: plate 130: coupling unit
150: front and rear moving body 160: front and rear drive unit
170: lift drive unit 180: manipulator

Claims (12)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구동 유닛, 그리고 상기 스테이의 일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이동 바디는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stay;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stay;
a front-rear moving body disposed to be relatively movable along a front-rear direction intersecting a plane formed by the sta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nd a front-rea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a first motor installed o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an eccentric rot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tor to rotate eccentrically; and
A first conversion unit formed on the other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d converting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y,
a body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mounting base, the front and rear driving units, and the stay; and
and a guide pin coupled to the body and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ounting base is
and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in is insert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i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front-rear moving body is formed to move linear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ront-rear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 유닛은,
구동 접촉면을 외주면으로서 구비하는 캠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eccentric rotation unit,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cam having a driving contact surface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유닛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는 피동 접촉면을 내주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캠을 수용하는 구속 공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version unit,
A headrest module having a driven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ing a restrain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a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접촉면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피동 접촉면은, 상기 구동 접촉면과 접촉되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대응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접촉면은,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contact surface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driven contact surface includes a pair of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contact surface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is dispose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headrest module.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결합되는 마운팅 베이스;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스테이가 이루는 평면에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후 이동 바디;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구동하는 전후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 연동되어 편심 회전하는 편심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편심회전 유닛의 편심 회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른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2 폭에서 상기 제1 폭을 뺀 장착 공간을 차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stay;
a mounting base coupled to the stay;
a front-rear moving body disposed to be relatively movable along a front-rear direction intersecting a plane formed by the sta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ase; and
and a front-rea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a first motor installed o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 eccentric rota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tor to rotate eccentrically; and
A first conversion unit formed on the other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nd converting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eccentric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ounting base is
a plate having a first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d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couple the plate to the stay and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motor,
The headrest module is mounted on the plate so as to occupy a mounting spac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width from the second wid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채로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ate is
comprising an opening;
The first motor,
A headrest module mounted on the plat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모터를 관통한 채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피스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late is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The front and rear drive unit,
The headres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iec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penetrating the first motor and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중 인접한 하나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대응 영역과 제2 대응 영역; 및
상기 제1 대응 영역과 상기 제2 대응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ay is
Including a pair of base frames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unit is
A pair of clamping par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late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tay,
Each of the pair of clamping parts,
a first corresponding area and a second corresponding area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an adjacent one of the pair of base frames; and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connection area connecting the first corresponding area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테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폭 보다 큰 제2 폭을 가지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유닛 중 하나에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ase is
a plate having a first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d a coupling unit configured to couple the plate to the stay and having a second width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guide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plate and the coupling unit, the headres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승강 방향을 따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구동 유닛은,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2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스테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을 상기 승강 방향을 따른 상기 마운팅 베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바디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제2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drive uni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ounting base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crossi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ifting drive unit,
a second motor installed on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stay;
a rotation unit arranged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motor; and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unit formed o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stay and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into movement of the mounting base and the front-rear moving body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수나사산을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 유닛은,
상기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구비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tating unit is
a shaft having an external thread;
The second conversion unit,
A headrest module comprising a nut having a female thread screwed to the male threa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ay is
a pair of base frames coupled to the mounting base; and
A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base frames,
The nut is
and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frame,
The shaft is
The headrest module, which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frame.
KR1020200104681A 2020-08-20 2020-08-20 Head rest module KR102421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en) 2020-08-20 2020-08-20 Head rest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en) 2020-08-20 2020-08-20 Head rest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35A KR20220023135A (en) 2022-03-02
KR102421468B1 true KR102421468B1 (en) 2022-07-18

Family

ID=8081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81A KR102421468B1 (en) 2020-08-20 2020-08-20 Head rest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6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342B1 (en)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KR101784154B1 (en) 2016-10-18 2017-10-11 현대다이모스(주) Headrest apparatus
JP2017210057A (en) 2016-05-24 2017-11-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9888Y2 (en) * 1992-03-02 1999-09-20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Lumber support mechanism
JP2601770Y2 (en) * 1993-06-08 1999-12-06 アラコ株式会社 Headrest device for vehicle seat
JP3509219B2 (en) * 1994-09-29 2004-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Headrest device
KR20070009086A (en) * 2005-07-15 2007-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ead rest and the control method for seat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342B1 (en)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JP2017210057A (en) 2016-05-24 2017-11-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Headrest
KR101784154B1 (en) 2016-10-18 2017-10-11 현대다이모스(주) Headres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35A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011B2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ssembling method
KR102576172B1 (en) Seat swivel mechanism for vehicle seat
JP3814270B2 (en) Automatic switchgear for vehicles
EP1215076A2 (en)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CN102442232A (en) Movable head restraints for vehicle seats
KR101987006B1 (en) Electric-powered sliding console for vehicle
US10589650B2 (en) Headrest device
US10266089B2 (en) Headrest
KR102421468B1 (en) Head rest module
JP2024032946A (en) Electric slide rails and vehicle seats equipped with electric slide rails
KR102435907B1 (en) Head rest module
US10293727B2 (en) Headrest
KR102154755B1 (en) Head rest module and stay unit used therefor
KR102419986B1 (en) Head rest module
KR102419987B1 (en) Head rest module
US5375915A (en) Seat structure for a land motor vehicle
KR20220080662A (en) Headrest assembly
KR102419989B1 (en) Head rest assembly and biasing module used therefor
KR100472187B1 (en) High-rigidity type recliner for vehicle
KR100699053B1 (en)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KR102333282B1 (en) Head rest module
JP2013199159A (en) Vehicle seat
JP2024057955A (en) ACTUATOR AND VEHICLE SEAT
JP3780275B2 (en) Automatic switchgear for vehicles
KR200395741Y1 (en)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