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52B1 -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 Google Patents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52B1
KR102421452B1 KR1020210111961A KR20210111961A KR102421452B1 KR 102421452 B1 KR102421452 B1 KR 102421452B1 KR 1020210111961 A KR1020210111961 A KR 1020210111961A KR 20210111961 A KR20210111961 A KR 20210111961A KR 102421452 B1 KR102421452 B1 KR 10242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sing
guide frame
separ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연태
Original Assignee
문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연태 filed Critical 문연태
Priority to KR102021011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싱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천공 시 발생하는 흙을 쉽게 제거하고 시공 후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Casing guide for CIP or sheet pile method}
본 발명은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싱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천공 시 발생하는 흙을 쉽게 제거하고 시공 후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 공사는 지반굴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여 굴착작업시 현장 내로 주변 흙이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주변 지반붕괴를 막고 토압 및 수압 등의 측압에 저항하도록 가설구조물을 설치하는 공사를 말한다.
이러한 흙막이 가시설에 요구되는 기능은 외력에 견딜만한 충분한 강도와 강성, 변위 및 침하에 의한 인접구조물 등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점, 경제성 및 안정성 등이 있다. 즉, 흙막이 가시설 공법의 선정은 지반조건, 지하수위, 인접구조물, 굴착규모와 깊이, 공사비, 시공성 및 안정성 등의 모든 조건을 검토하여 적정한 설계 및 시공이 되어야 한다.
최근의 건설공사는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 지하공간 활용의 필요성으로 인한 지하굴착 대심도화, 도심지 근접시공의 증가 등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대규모 지반굴착 및 흙막이 공사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10m 이상의 지하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에 대하여 지하안전영향평가 및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등 지하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지하안전관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최근 경향으로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설계 및 시공기술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흙막이 가시설 공법은 CIP(Cast-In-Placed-Pile) 공법, 쉬트파일(Sheet-Pile)공법 등이 있다. CIP 공법은 주열식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현장에서 타설하여 설치하는 공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할 때 마다 케이싱을 매립하여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철근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시멘트, 자갈, 모래 등으로 된 콘크리트 몰탈을 충전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주열식 벽을 형성하여 흙막이 하는 공법이다. 이때 일정 간격마다 H빔을 심재로 사용한 콘크리트 기둥을 사용하여 이웃하는 주열식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지지토록 시공된다.
특히, CIP 공법 중 겹침 CIP 공법은 일반적인 CIP 공법을 보안한 공법으로, 연속되는 겹침파일을 형성하여 벽체의 강성이 우수하며 수직도 및 겹공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시트파일 공법은 차수기능 및 흙막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한 진동 햄머로 시트파일을 직타하여 지반에 강제 삽입시키는 공법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시트파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속벽형 강성체로서의 토류벽 역활을 충분히 할 수 있으며, 접촉부의 수밀성이 우수하여 차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공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4110호 “케이싱 설치공법 및 그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지반에 연속해서 배치된 다수개의 케이싱(casing) 내부로 파일형성물질이 주입되어 성형된 파일이 연속체를 이루며 형성되는 연속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케이싱을 지반에 삽입하기 위한 케이싱 설치공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파일로 이루어진 연속벽의 전체단면 형상을 정해진 개수로 분할한 분할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 정해진 개수의 분할모형을 성형하는 분할모형 성형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케이싱이 배치될 영역을 따라 지반을 상기 케이싱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정해진 깊이까지 굴착하면서 굴착물을 제거하여 안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안내공간 형성단계와 상기 안내공간에 상기 분할모형을 위치시키고, 상기 안내공간으로 유동성이 있는 결합경화제를 주입하여 고화시키는 결합경화제 주입단계와 상기 안내공간에 주입되어 고화된 상기 결합경화제로부터 상기 분할모형을 인발하여 제거시켜 상기 안내공간에 홀형상의 안내라인을 형성시키는 안내라인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개의 케이싱이 상기 안내라인에 의해 정위치되어 지반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콘크리트로 굴착용 케이싱 가이드를 만들어 한 번 사용 한 후 다시 파괴하여 비경제적이고 폐기물 처리로 인한 환경 파괴적인 측면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천공 시 발생하는 흙을 쉽게 제거하고 시공 후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는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내면에 호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어 지반을 굴착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케이싱;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인양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부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은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이 배열되되,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싱은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케이싱키 및 상기 케이싱키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걸리는 케이싱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은 하단에 형성되어 천공 작업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링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고정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형성되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양부는 상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되었을 경우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인양홈 및 상기 인양홈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에서 케이싱 받침판은 하면을 따라 다수개의 받침돌기를 포함하고, 가이드프레임은 상면의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받침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과 가이드프레임의 고정력을 높이는 받침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할 경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도록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간격조정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사이 간격을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거리측정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측정지점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적정 간격을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을 넓히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분리홀;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리홀과 연통되고 상측에 걸림홈이 구비된 분리홈; 상기 분리홈에 수용되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수단 및 스프링이 마련되어 상기 걸림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분리홀 방향의 상측 끝단이 곡선으로 형성된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가이드홀 측으로 이동시키는 분리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봉이 분리홀에 삽입되면, 상기 분리봉의 하단이 상기 분리부재의 곡선과 맞닿아 상기 분리부재를 누르며 내려가고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가이드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홀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는 케이싱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지반을 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상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천공 시 발생하는 흙을 쉽게 제거하고 시공 후 해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의 폭이 좁아 포크레인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케이싱의 다이아몬드 링비트를 통해 천공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 시, 간격조정부를 통해 간격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부를 통해 가이드홀을 넓혀 가이드프레임의 해체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다이아몬드 링비트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 및 (c)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인양부 및 결합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케이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와 회전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의 (a) 내지 (c)는 도 11의 분리부를 통해 파일과 가이드프레임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3에 다이아몬드 링비트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 및 (c)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연결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인양부 및 결합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가이드프레임(10), 케이싱(20), 고정부(30), 연결부(40), 인양부(50) 및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중앙에 가이드홀(11)이 형성되도록 내면에 호 형태의 가이드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10)은 케이싱(20) 또는 파일(P)이 가이드홀(11)에 삽입되도록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P)은 연속벽을 구성하는 연속체로, 지반에 일정크기의 홀을 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둥형상의 구조물이다. 파일(P)은 지반에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으면 파일(P)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연속벽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를 사용하여 지반에 수직으로 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P)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틀어지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0)은 제1 가이드프레임(13) 및 제2 가이드프레임(14)으로 구성되며, 제1 가이드프레임(13) 및 제2 가이드프레임(14)은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이드홈(12)이 배열되되,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케이싱(20)의 외면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프레임(13) 내측면의 가이드홈(12)과 제2 가이드프레임(14) 내측면의 가이드홈(12)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케이싱(20) 또는 파일(P)이 양측면을 감싸면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2)의 호의 길이는 파일(P)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직경이 큰 파일(P)을 만들고자 할 경우 가이드홈(12)의 호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직경이 작은 파일(P)을 만들고자 할 경우 가이드홈(12)의 호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0)은 합성수지 및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지반을 굴착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작업을 할 경우 흔들리지 않고 지반에 고정되며, 흙(S)이나 파일(P)로 인해 손상을 받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은 돌출된 부분이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지반 천공 작업 시 가이드프레임(10)에 쌓이는 흙(S)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케이싱(20)은 가이드홀(11)에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어 지반을 굴착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20)은 지반 상면 또는 지반에 일정 깊이로 삽입하여 가이드프레임(10)에 배열되고 천공기에 설치되어 지반에 수직으로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은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파일(P) 연속체로 된 연속벽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0)은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P)의 직경에 따라 규격이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케이싱(20)은 굴착 및 타설의 작업 효율성을 위해 케이싱키(21) 및 케이싱 받침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키(21)는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천공기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키(21)는 천공기와 연결되어 고정되거나 필요 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때, 케이싱키(21)는 천공기의 체결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싱키(21)와 천공기는 홈과 돌기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결합방식은 모두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천공기는 디젤해머, 쌍오거, 쇄암오거, 프리캐스트 파일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싱 받침판(22)은 케이싱키(21) 하측에 위치하되, 케이싱(2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케이싱 받침판(22)은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에 거치됨에 따라 지반의 상면 또는 지반의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받침판(22)은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를 케이싱 받침판(22)까지 타설되도록 하여 파일(P)의 높이를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20)은 하단에 천공 작업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링비트(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링비트(23)는 다이아몬드를 끼워 넣은 비트로 천공작업을 할 경우 지반 또는 파일(P)을 누르면서 회전시켜 구멍이 뚫리도록 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링비트(23)는 파일(P)을 천공하는 동시에 케이싱(20)을 가이드프레임(10)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흙막이 가시설 공사에서 1차 천공과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파일(P)의 측면을 2차 천공 시 깎으며 천공하는데, 다이아몬드 링비트(23)는 케이싱(20) 직경 및 가이드프레임(10) 높이만큼 파일(P)이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2차 천공 후 따로 케이싱(2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링비트(23)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다이아몬드 링비트(23)의 강도를 높이고 천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지면을 관통하여 가이드프레임(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30)는 고정홀(31) 및 가이드고정봉(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31)은 가이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31)은 제1 가이드프레임(13) 및 제2 가이드프레임(14)의 수직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이드고정봉(32)은 고정홀(31)에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1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가이드프레임(1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고정봉(32)은 지반에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10)이 천공 및 타설 작업 과정에서 밀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고정봉(32)은 인양이 쉽도록 상면에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리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인양연결수단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연결부(40)는 가이드프레임(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0)는 제1 가이드프레임(13) 및 제2 가이드프레임(14)의 간격을 조정하여 케이싱(20) 또는 파일(P)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40)는 연결홈(41) 및 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홈(41)은 가이드홈(12)의 상단에 형성되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41)은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부재(42)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는 모두 가능하다.
연결부재(42)는 연결홈(41)에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10)을 연결하고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재(42)의 형태는 사각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42)가 원통 막대형태일 경우 연결홈(41)의 하단면은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재(4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42)는 연결홈(41)에 삽입되는 양끝단을 제외하곤 넓게 형성되되, 넓게 형성된 부분의 양끝단이 가이드홈(12)에 맞닿도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결합 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40)는 연결홈(41)에 연결부재(42)가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10) 상면에는 돌출되는 부분 없이 제1 가이드프레임(13)과 제2 가이드프레임(14)을 연결하고 가이드홀(1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인양부(50)는 가이드프레임(10)을 인양하도록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양부(50)는 크레인과 연결되어 가이드프레임(10)을 지면에 설치하거나 해체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인양부(50)는 인양홈(51) 및 인양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양홈(51)은 가이드프레임(10) 상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10)이 연장되었을 경우 결합공간(510)을 형성할 수 있다.
인양부재(52)는 인양홈(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양부재(52)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인양연결수단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인양부재(52)는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이 아닌 인양홈(51)의 상면에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10)에 돌출부분을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양홈(51) 및 인양부재(52)는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되,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와이어로 연결되었을 때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양될 수 있다.
결합부(60)는 가이드프레임(10)이 연장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6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10)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60)는 결합돌기(61) 및 결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0)는 가이드프레임(10)의 양끝단 중 하나에는 결합돌기(61), 다른 한 곳에는 결합홈(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이드프레임(10)의 양끝단 중 하나에 결합돌기(61)와 결합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프레임(13)의 일단에 결합돌기(61)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14)의 일단에 결합홈(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가이드프레임(13)의 타단에 결합돌기(61)가 삽입되도록 결합홈(62)이 형성되고 제2 가이드프레임(14)의 타단에 결합홈(6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61)는 가이드프레임(10)의 일단에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6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돌기(610) 및 사각돌기(611)로 구성될 수 있다.
반원돌기(610)는 가이드프레임(10)의 일측면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반원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각돌기(611)는 반원돌기(6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62)은 가이드프레임(10)의 타단에 형성되되, 결합돌기(61)가 삽입되도록 결합돌기(6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62)은 결합돌기(61)와 동일한 형태의 홈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결합돌기(61)가 반원돌기(610) 및 사각돌기(611)로 구성될 경우, 결합홈(62)은 반원홈(620) 및 사각홈(6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원홈(620)은 입접한 가이드프레임(10)이 서로 결합하여 연장될 경우 반원돌기(61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프레임(10)의 타측면에 반원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사각홈(621)은 사각돌기(611)가 삽입되도록 사각돌기(611)와 대응되는 위치, 즉, 반원홈(620)의 상측에 형성되되, 반원홈(6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형태로 구성된 결합돌기(61)와 결합홈(62)의 끼움으로 결합된 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60)는 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1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60)는 인양부(50)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볼트가 결합되는 부분에 볼트홈(511, 6110)이 형성되어 볼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홈(511, 6110)은 결합돌기(61)의 사각돌기(611) 외측 끝단과 인양홈(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양홈(51)의 볼트홈(511)은 사각돌기(611)가 사각홈(621)에 삽입된 후 사각돌기(611)의 볼트홈(6110)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볼트는 인양홈(51)의 볼트홈(511)과 사각돌기(611)의 볼트홈(6110)을 차례대로 결합하면서 결합부(60)에 의해 연장되어있는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0)은 연장될 수 있고,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에는 돌출된 부분 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케이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에서 케이싱(20)은 받침돌기(220)를 포함하고, 가이드프레임은 받침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돌기(220) 및 받침홈(15)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돌기(220) 및 받침홈(15)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20)은 천공기에 연결되어 지반을 천공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 시 지반에 수직방향으로 천공 또는 타설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싱(20)은 받침돌기(220)를 포함하고, 가이드프레임은 받침홈(15)을 더 포함하여 가이드프레임(10)에서 케이싱(2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받침돌기(220)는 케이싱 받침판(22)의 하면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받침판(22)의 하면을 따라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받침홈(15)은 가이드프레임(10)의 상면에 받침돌기(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받침돌기(220)가 삽입되어 케이싱(20)과 가이드프레임(1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받침돌기(220)와 받침홈(15)의 결합은 케이싱키(2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천공기에 케이싱(20)을 연결할 때 케이싱(20)의 위치를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이 케이싱(20)을 천공기에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와 회전사시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간격조정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조정부(7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정부(7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간격조정부(70)는 가이드프레임(10)을 설치할 경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간격조정부(70)는 거리측정센서(71), 측정지점(72) 및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71)는 가이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10) 사이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71)는 가이드프레임(10)에 삽입되는 케이싱(20) 또는 파일(P)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홈(12)의 내주면에 구비된 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거리측정센서(71)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거리측정장치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거리측정센서(71)는 가이드프레임(10) 사이 간격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가이드홈(12)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프레임(10)의 사이 간격은 가이드홀(11)의 지름과 같을 수 있다.
측정지점(72)은 거리측정센서(7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거리측정센서(71)가 레이저 센서일 경우 거리측정센서(71)의 레이저가 측정지점(72)에 도달해야만 거리가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측정지점(72)은 거리측정센서(71)가 정확한 가이드프레임(10) 사이 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제1 가이드프레임(13)과 제2 가이드프레임(14)이 대응되도록 배치가 되었는지, 가이드홀(11)에 다른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알림부(미도시)는 거리측정센서(71)를 통해 가이드프레임(10)의 적정 간격을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림부(미도시)는 거리측정센서(71)로부터 가이드프레임(10) 사이간격 측정값을 수신하여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가이드프레임(10)의 적정 간격을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수단(미도시)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값은 사용자가 미리 알림부(미도시)에 입력해 놓은 가이드프레임(10) 사이간격값일 수 있고 오차범위를 포함하여 입력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알림수단(미도시)은 작업자가 구비하는 단말기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성모듈, 디스플레이모듈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간격조정부(70)는 가이드프레임(10)을 설치 시 가이드프레임(10)을 정확하게 배치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과 작업자를 분리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를 도시한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정단면도이고, 도 13의 (a) 내지 (c)는 도 11의 분리부를 통해 파일과 가이드프레임이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분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부(8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부(8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분리부(80)는 가이드프레임(10)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가이드홀(11)을 넓힐 수 있다. 분리부(80)는 가이드홀(11)을 넓히기 위해, 케이싱(20) 또는 파일(P)과 가이드프레임(10)의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부(80)는 분리홀(81), 분리홈(82), 분리부재(83) 및 분리봉(84)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홀(81)은 가이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리홀(81)은 고정부(30)의 고정홀(31)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홈(82)은 가이드홈(12)의 내주면에 가이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분리홀(81)과 연통되고 상측에 걸림홈(820)이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재(83)는 분리홈(82)에 수용되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수단(830) 및 스프링(831)이 마련되어 걸림홈(8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재(83)는 분리홀(81) 방향의 상측 끝단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봉(84)은 분리홀(81)에 삽입되면서 분리부재(83)를 가이드홀(1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봉(84)은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고정부(30)의 가이드고정봉(32)을 사용할 수 있어 추가 부품비용이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분리봉(84)을 가이드고정봉(32)으로 사용할 경우, 가이드고정봉(32)이 삽입되도록 분리홀(81)의 직경은 고정홀(31)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1)에서 분리부(80)가 작동하는 과정을 하기에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0)은 고정부(30)의 가이드고정봉(32)이 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분리부재(83)는 분리홀(81) 및 분리홈(82)에 형성될 수 있다. 지반에 고정된 가이드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흙(S)이 되매움되고 천공 및 타설 작업을 마친 뒤, 가이드프레임(10)을 해체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봉(84)을 가이드고정봉(32)으로 사용할 경우, 가이드고정봉(32)을 고정홀(31)에서 분리하여 분리홀(81)에 삽입할 수 있다. 가이드고정봉(32)은 도 13의 (b)와 같이, 분리홀(81)에 삽입되면서 가이드고정봉(32)의 하단이 분리부재(83)의 곡선과 맞닿아 분리부재(83)를 누르며 내려가고 분리부재(83)가 가이드홀(11)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분리부재(83)는 파일(P)을 미는 힘의 반작용으로 양측의 흙(S)을 밀어내면서 가이드홀(11)을 넓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이드고정봉(32)을 분리홀(81)에서 분리하면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재(83)가 분리홀(81)측으로 이동하고 파일(P)과 가이드프레임(10)은 분리될 수 있다.
즉, 분리부(80)는 케이싱(20) 또는 파일(P)과 가이드프레임(10) 사이를 분리시켜 가이드프레임(10)을 해체할 때 케이싱(20) 또는 파일(P)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프레임(10)의 해체를 위한 인양과 유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10 : 가이드프레임
11 : 가이드홀
12 : 가이드홈
13 : 제1 가이드프레임
14 : 제2 가이드프레임
15 : 받침홈
20 : 케이싱
21 : 케이싱키
22 : 케이싱 받침판
220 : 받침돌기
23 : 다이아몬드 링비트
30 : 고정부
31 : 고정홀
32 : 가이드고정봉
40 : 연결부
41 : 연결홈
42 : 연결부재
50 : 인양부
51 : 인양홈
510 : 결합공간
511 : 볼트홀
52 : 인양부재
60 : 결합부
61 : 결합돌기
610 : 반원돌기
611 : 사각돌기
6110 : 볼트홈
62 : 결합홈
620 : 반원홈
621 : 사각홈
70 : 간격조정부
71 : 거리측정센서
72 : 측정지점
80 : 분리부
81 : 분리홀
82 : 분리홈
820 : 걸림홈
83 : 분리부재
830 : 걸림수단
831 : 스프링
84 : 분리봉
P : 파일
S : 흙

Claims (12)

  1.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내면에 호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어 지반을 굴착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케이싱;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인양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할 경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도록 간격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정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 사이 간격을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상기 거리측정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측정지점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적정 간격을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이 배열되되,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케이싱키 및
    상기 케이싱키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걸리는 케이싱 받침판을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하단에 형성되어 천공 작업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링비트를 더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고정봉을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형성되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면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되었을 경우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인양홈 및
    상기 인양홈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부재를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 수직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9. 삭제
  10. 삭제
  11.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내면에 호 형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어 지반을 굴착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케이싱;
    지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인양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인양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연장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홀을 넓히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로 형성되는 분리홀;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리홀과 연통되고 상측에 걸림홈이 구비된 분리홈;
    상기 분리홈에 수용되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수단 및 스프링이 마련되어 상기 걸림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분리홀 방향의 상측 끝단이 곡선으로 형성된 분리부재 및
    상기 분리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분리부재를 상기 가이드홀 측으로 이동시키는 분리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봉이 분리홀에 삽입되면, 상기 분리봉의 하단이 상기 분리부재의 곡선과 맞닿아 상기 분리부재를 누르며 내려가고 상기 분리부재가 상기 가이드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홀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12. 삭제
KR1020210111961A 2021-08-24 2021-08-24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KR10242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61A KR102421452B1 (ko) 2021-08-24 2021-08-24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61A KR102421452B1 (ko) 2021-08-24 2021-08-24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52B1 true KR102421452B1 (ko) 2022-07-18

Family

ID=8270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61A KR102421452B1 (ko) 2021-08-24 2021-08-24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28B1 (ko) * 2012-08-31 2013-03-15 차수익 2대의 지반굴착 장비와 비용접 결합된 케이싱을 이용한 지반 굴착형 말뚝 시공 방법
KR102217329B1 (ko) * 2020-05-07 2021-02-18 삼보토건 주식회사 케이싱의 연속 굴착용 가이드장치
KR20210033356A (ko) * 2019-09-18 2021-03-26 삼보토건 주식회사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28B1 (ko) * 2012-08-31 2013-03-15 차수익 2대의 지반굴착 장비와 비용접 결합된 케이싱을 이용한 지반 굴착형 말뚝 시공 방법
KR20210033356A (ko) * 2019-09-18 2021-03-26 삼보토건 주식회사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2217329B1 (ko) * 2020-05-07 2021-02-18 삼보토건 주식회사 케이싱의 연속 굴착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43B1 (ko) 벽체말뚝용 피에이치씨 파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KR102353939B1 (ko)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US8043028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support column
JP2020522635A (ja) オープンケーソン施工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3008197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사용한 지하구조물 영구벽체 시공 방법
KR101071958B1 (ko) 내부 굴착 말뚝 공법
KR100652558B1 (ko) 시트파일설치용 가이드관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설치공법
KR101840226B1 (ko) 지반굴착기의 오거용 가이드홀 거푸집
KR102023135B1 (ko) 팔각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0618597B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00006650A (ko) 흙막이 설치용 원통기둥 및 그것을 이용한 흙막이설치공법
KR102421452B1 (ko) 겹침 cip 또는 쉬트파일 공법용 케이싱 가이드
KR101331219B1 (ko)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마이크로 파일
KR101253841B1 (ko) 편심굴착 보링공 내에 수직으로 삽입하는 기둥 및 그 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JP2000170149A (ja) 地中杭の成形方法及び装置
KR102082495B1 (ko) 선단부 현장타설 복합 말뚝 공법
KR20180112453A (ko) Phc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12437A (ko) 기둥 시공을 위한 케이싱 가이드 구조체
KR200403694Y1 (ko) 시트파일설치용 가이드관
CN113718814A (zh) 桩基施工方法和桥墩施工方法
KR102168528B1 (ko) 케이싱 인발이 가능한 지하연속벽 언더피닝 장치 및 그 방법
JP2017197910A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JP536065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による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