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47B1 -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47B1
KR102421247B1 KR1020200144017A KR20200144017A KR102421247B1 KR 102421247 B1 KR102421247 B1 KR 102421247B1 KR 1020200144017 A KR1020200144017 A KR 1020200144017A KR 20200144017 A KR20200144017 A KR 20200144017A KR 102421247 B1 KR102421247 B1 KR 10242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allocation
bitmap
allocation bitmap
b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983A (ko
Inventor
김은숙
진은숙
최영민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버로직
Priority to KR102020014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5MAP-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기지국 등으로부터 통신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고, 수신한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사용가능한 자원을 의미하는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검출 과정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ecod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기지국 등으로부터 통신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고, 수신한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사용가능한 자원을 의미하는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검출 과정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5세대 이동통신(5th Generation, 5G)을 비롯한 패킷 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eNodeB, eNB)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슬롯 단위로 해당 기지국의 셀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게 어느 자원을 할당할지 결정하는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스케쥴링을 통해 결정된 자원할당 정보는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하향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와 같은 물리채널을 통해 각각의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원은 네트워크의 접속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 기반의 네트워크에서의 자원은 시간 슬롯 자원에 해당하고,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기반의 네트워크에서의 자원은 코드 자원에 해당하고,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 기반의 네트워크에서의 자원은 주파수 대역 자원에 해당하고, 4세대 및 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 기반의 네트워크에서의 자원은 서브 캐리어 자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상술한 TDMA, CDMA, FDMA 및 OFDMA 등의 접속 방식을 복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서의 자원은 복수의 자원 모두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한편, 기지국은 각각의 슬롯 단위 별로 해당 슬롯에서 어떤 단말기에 어떤 자원을 할당했는 지를 알려주는 지시자(Indicator)를 물리채널을 통해 각각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시자는 단말기의 식별자와 자원할당 식별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자원할당 식별자는 해당 네트워크의 자원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식별자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N 개의 자원이 있는 경우에 N 개의 자원 각각에 대하여 할당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 비트의 값을 갖는 비트맵을 통해 네트워크의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물리채널을 통해 수신한 자원할당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의 식별자를 통해 자신에게 해당하는 정보인지를 판별할 수 있고, 자신에게 해당하는 정보인 경우에 비트맵을 통해 자신에게 어떤 자원이 할당되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트맵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값들은 자원이 할당된 경우에 1의 값을 갖고,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 0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12 개의 자원을 갖는 경우, 12 개의 자원 각각에 대한 비트값들이 비트맵에 포함되고, 1, 3, 및 5번째 자원이 할당된 경우에 비트맵은 1, 3, 및 5번째 자원에 상응하는 비트값들이 1의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판별함으로써 자신에게 할당된 네트워크 자원을 판별할 수 있고, 해당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판별하기 위하여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은 비트맵에 포함된 복수의 비트값들을 계수기 등을 통해 각각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비트맵에 포함된 N개의 비트값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판별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판별하기 위하여 많은 리소스가 사용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5G 이동통신에서는 3,300개의 서브 캐리어를 12개의 그룹으로 하는 275개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을 단위로 하는 비트맵을 사용하므로,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275개의 비트값들을 각각 확인해야 하므로, 처리시간에 따른 통신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더욱더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값들을 효율적으로 판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기지국 등으로부터 통신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고, 수신한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사용가능한 자원을 의미하는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데 있어서, 검출 과정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단계;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에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에서 도출된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2의 보수로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을 AND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하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모두 더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부;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부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를 포함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단계;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갖는 비트값의 개수만큼만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으므로, 비트맵을 처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판별하기 위하여 AND 연산자와 같이 기초적인 연산자만을 사용하므로, 단말기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다운링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기 위한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정보 도출단계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주소 검출단계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User Equipment, UE)(100)는 고정 혹은 이동될 수 있으며,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구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단말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eNodeB, eNB)은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션(Fixed Station)을 의미하고, Base Transceiver System(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 다른 용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각 기지국은 소정의 영역(셀)에 대하여 단말기(10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소정의 영역은 다수의 영역(섹터)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와 기지국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다중 접속 방식, 예를 들어 FDMA, CDMA, TDMA, OFDMA 등의 다중 접속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후술하는 도 2에서와 같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기(100)에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기(100)는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떤 네트워크 자원이 할당되었는 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지국에서의 통신 가능 범위에 해당하는 셀 내에는 복수의 단말기(100)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기(100)들은 언제, 어떻게 데이터를 수신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기지국은 각 단말기(100)들에게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네트워크의 자원을 각 단말기(100)에게 할당해주어야 하며, 상기의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100)에게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자원할당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다운링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5세대 이동통신의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다운링크는 기지국(eNB)에서 단말기(UE)(100)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3GPP LTE의 무선 프레임 등 자원할당 비트맵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 프레임 구조에도 적용가능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 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5세대 이동통신의 다운링크는 OFDMA를 사용하므로 각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OFDM 심볼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s)를 포함한다. 도 2에서 하나의 슬롯은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자원블록에 포함되는 OFDM 심볼 및 서브캐리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엘리먼트(element)를 자원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12 * 7개의 자원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5세대 이동통신에서의 서브캐리어는 3,300 개를 사용하므로, 자원블록은 7 개의 OFDM 심볼에 걸쳐 총 275 개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각 자원블록들은 셀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단말기(100)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말기(100)에 인접한 복수의 자원블록들을 할당하는 지역 할당 방식(Localized Allocation Scheme)을 통해 각각의 자원블록을 할당하거나, 혹은 각 단말기(100)에 상호 떨어져 있는 복수의 자원블록들을 할당하는 분산 할당 방식(Distributed Allocation Scheme)을 통해 각각의 자원블록들을 할당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단말기(100)에게 할당되는 자원블록에 대한 정보는 각 단말기(100)가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각 단말기(100)가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함으로써, 자신에게 어떤 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의 타입 정보 및 자원할당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입 정보는 자원블록 단위로 할당한 것인지, 혹은 복수의 자원블록을 그룹화한 그룹자원블록 단위로 할당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1 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자원할당 비트맵은 각 자원블록 혹은 그룹자원블록의 개수를 크기로 하는 비트열로써 단말기(100)는 각 자원블록에 매핑된 특정 비트의 값에 따라 자원블록 혹은 그룹자원블록이 자신에게 할당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의 값이 0인 경우에 해당 비트 값에 매핑된 특정 자원블록 혹은 그룹자원블록은 할당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비트의 값이 1인 경우에 해당 비트 값에 매핑된 특정 자원블록 혹은 그룹자원블록이 할당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와 자원블록 간의 매핑정보는 상기 자원할당 정보에 더 포함되거나 혹은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자원할당 정보에 포함된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특정 자원블록 혹은 그룹자원블록이 할당된 것을 의미하는 제1값을 갖는 비트(예를 들어, 1의 값을 갖는 비트)의 위치를 찾는, 즉 자원할당 비트맵을 디코딩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부(110),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120), 검출정보 도출부(130), 비트주소 검출부(140),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150) 및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요소들은 단말기(100)에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부(110)는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안테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120), 검출정보 도출부(130), 비트주소 검출부(140),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150) 및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모뎀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부(110)는 해당 단말기(100)가 위치한 셀에 상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자원할당 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입 정보 및 자원할당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120)는 수신한 자원할당 정보에 포함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소정의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과 연산하기 위한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검출정보 도출부(13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소정의 방식으로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비트주소 검출부(140)는 도출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서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15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검출된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의 값을 제1값에서 제2값으로 치환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16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150)에 의해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며,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는 경우에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대상으로 하여 상술한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120), 검출정보 도출부(130), 비트주소 검출부(140),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150) 및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160)에서 수행하는 과정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160)에서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할 뿐, 상기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외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기 위한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100)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S10);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단계(S30);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단계(S40);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S1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S10)는 물리계층(Physical Layer)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에 포함된 안테나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S10)에서는 자원할당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자원할당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비트맵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는, 자원할당 정보에 포함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한다.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 전체에 대하여 2의 보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S3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과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의 동일한 인덱스에 해당하는 비트값들을 AND 연산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의 비트열에서 소정의 값을 뺀 값의 각각의 비트 값들을 모두 더하는 것으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를 통해 검출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를 제1값에서 제2값으로 치환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의 비트열을 빼는 것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를 제2값으로 치환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를 통해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는지 판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는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과 동일한 크기를 갖고, 각 비트 모두가 제1값을 갖는 비트열을 각 비트별로 AND 연산하고, 그 결과 값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대상으로 상술한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 내지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는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이 제2값을 갖는 비트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한 디코딩 결과를 해당 단말기(100)의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한 디코딩 결과는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에 매핑된 자원정보와 같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구성하는 비트열의 크기 즉, 비트열을 구성하는 비트의 개수만큼 반복하여 제1값을 갖는 비트를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제1값을 갖는 비트의 개수만큼만 해당 과정을 반복하므로, 단말기(100)에서 자원할당 비트맵을 디코딩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는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값 모두가 제2값('0')에 해당하지 않는 지를 판단하고, 비트값 모두가 제2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대상으로 상술한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 내지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는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에 해당하는 '1'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혹은 제2값에 해당하는 '0'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8 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기준으로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과정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S10)를 통해 최초로 수신한 자원할당 비트맵(X0)이 도시되어 있다. 최초 자원할당 비트맵(X0)은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에서부터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까지 순서대로 '11100100'의 값을 갖고, 각각의 비트들은 순서대로 7번째부터 0번째 까지의 인덱스 혹은 주소를 갖는다.
한편,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에서 도출된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2의 보수로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대해 2의 보수를 연산함으로써, 연산값을 비트열로 하는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는 최초 자원할당 비트맵(X0) '11100100'에 대하여 2의 보수를 취하여 연산된 '00011100'을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X0-1))의 값으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2의 보수를 취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00000001'의 값을 뺀 결과값에 대하여 인버스 연산을 함으로써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한 2의 보수를 연산하거나, 혹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각 비트들에 대하여 인버스 연산을 한 결과값에 대하여 '00000001'의 값을 더함으로써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한 2의 보수를 연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를 통해 도출된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X0-1))은 최초 자원할당 비트맵(X0)에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정보 도출단계(S30)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S3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을 AND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하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과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X0-1))은 동일한 크기의 비트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S3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의 각각의 비트 및 이에 상응하는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X0-1))에 각각의 비트를 비트 단위로 AND 연산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를 도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의 값인 '11100100'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X0-1))의 값인 '00011100'을 비트 단위로 AND 연산하여 '00000100'의 값을 갖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가 도출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S30)를 통해 도출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에는 제1값 즉, 1의 값을 갖는 비트는 1 개만 존재하고, 해당 비트의 위치(주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의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위치(주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에 포함된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디코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주소 검출단계(S40)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에 포함된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디코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에 포함된 제1값을 갖는 비트의 주소를 연산하기 위하여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를 전처리하는 과정에 해당하고, 도 7의 (B)는 상기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를 연산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의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의 비트값에서 1을 빼는 것으로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1)이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의 비트값인 '00000100'에서 '00000001'을 뺀 값에 해당하는 '00000011'이 상기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1)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모두 더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S40)는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1)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값을 모두 더하고, 모두 더한 값이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1)의 값 '00000011'에 포함된 각 비트들을 모두 더하면 이진수 '010'의 값이 산출되고, 이진수 '010'은 십진수로 변환하는 경우 '2'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주소 값 '2'는 도 5에 도시된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제1값 즉, 1의 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2nd)의 값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는 상술한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자원할당 비트맵(X0)에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상위 비트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검출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값을 제2값으로 치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에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를 빼는 것으로써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의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값을 제2값 즉, 0으로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X0)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값 및 이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값을 비트 단위의 XOR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자원할당 비트맵(X0)의 값 '11100100' 및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Y0)의 값 '00000100'을 비트 단위로 XOR 연산하여 도출된 '11100000'이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의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S50)를 통해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에 대하여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을 대상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S20)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를 반복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S60)에서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X1)에 제1값을 갖는 비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카운터 등의 방식으로 자원할당 비트맵을 구성하는 비트의 개수만큼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과 비교하여 자원할당 비트맵에 제1값을 갖는 비트의 개수만큼만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므로, 단말기(100)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 또한 덧셈, 뺄셈, AND 연산과 같이 기초적인 연산자만을 사용하여 자원할당 비트맵을 디코딩하므로, 단말기(100)의 리소스를 더욱더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갖는 비트값의 개수만큼만 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으므로, 비트맵을 처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는 비트맵에 포함된 1의 값을 판별하기 위하여 AND 연산자와 같이 기초적인 비트 연산자만을 사용하므로, 단말기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 상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단계;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서 제1값을 빼는 것으로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모두 더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빼는 것으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에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수행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에서 도출된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2의 보수로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정보 도출단계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을 AND 연산한 연산값을 포함하는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5. 삭제
  6.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장치로서,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 상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부;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부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주소 검출부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서 제1값을 빼는 것으로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모두 더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부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빼는 것으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장치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에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부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부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장치.
  7.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장치에서 수행되는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해당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 상응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열을 포함하는 자원할당 비트맵을 수신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수신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 기초하여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및 상기 변환 자원할당 비트맵을 연산하여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는 검출정보 도출단계;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는 비트주소 검출단계;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비트의 주소에 상응하는 비트값을 제2값으로 치환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 및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주소 검출단계는,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서 제1값을 빼는 것으로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전처리된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에 포함된 비트열의 비트값들을 모두 더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의 비트열에서 제1값을 갖는 최하위 비트의 주소를 검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치환단계는,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에서 상기 비트맵 주소 검출정보를 빼는 것으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을 도출하고,
    상기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에서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포함된 비트열에 제1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에, 상기 치환된 자원할당 비트맵에 대하여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변환단계 내지 상기 자원할당 비트맵 판별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200144017A 2020-11-02 2020-11-02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42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17A KR102421247B1 (ko) 2020-11-02 2020-11-02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17A KR102421247B1 (ko) 2020-11-02 2020-11-02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983A KR20220058983A (ko) 2022-05-10
KR102421247B1 true KR102421247B1 (ko) 2022-07-15

Family

ID=8159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17A KR102421247B1 (ko) 2020-11-02 2020-11-02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701B1 (ko) * 2017-08-10 2023-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OG(20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983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949B1 (ko) Harq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 ue, 기지국과 시스템
WO2017195702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4030669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WO2017195653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9891986B (zh) 用户装置及上行信号发送方法
US11356207B2 (en) HARQ-ACK feedback method, a HARQ-ACK extraction method, a base station, and a user equipment
US11139854B2 (en) Method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00295909A1 (en) Methods for determining activation of sps and user equipment
US20200028718A1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channel measurement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20190342043A1 (en) Data receiving method, data sending method, receiving device, and sending device
WO2019001065A1 (zh) 数据发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TW201943310A (zh) 基地台、使用者設備與提早資料傳輸方法
JP6891168B2 (ja) 送信機及び受信機
KR102421247B1 (ko)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할당 정보를 디코딩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200022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1805633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20173949A1 (en) Terminal and transmission method
US110571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te matching interleaving for polar codes
CN113518428A (zh) 资源确定方法和设备
JP7107671B2 (ja) リソース割当装置
JP2020017776A (ja) 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CN107708210B (zh) 用于多用户叠加传输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757580B2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for modify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sequences
US1121197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WO201916311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