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907B1 - tablet printing device - Google Patents

tablet pri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907B1
KR102420907B1 KR1020217011051A KR20217011051A KR102420907B1 KR 102420907 B1 KR102420907 B1 KR 102420907B1 KR 1020217011051 A KR1020217011051 A KR 1020217011051A KR 20217011051 A KR20217011051 A KR 20217011051A KR 102420907 B1 KR102420907 B1 KR 10242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hutter
tablet
prin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0544A (en
Inventor
나오미치 이토
노부유키 나카노
다카유키 니시카와
유야 다카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06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475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characterised by nozzle shapes or number of orifices per chamber

Abstract

이 잉크젯 방식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하면에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갖는 헤드 (21) 와, 정제의 반송 기구 (10) 와, 반송 기구 (10) 가 배치되는 인쇄 공간 (A1) 퇴피 공간 (A2) 을 나누는 격벽 (60) 과, 격벽 (60) 에 구비되는 셔터 (72) 와, 헤드 (21) 를 인쇄 위치 (P1) 와 퇴피 위치 (P2)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 (22) 와, 퇴피 위치 (P2) 에 있어서 잉크 노즐 (211) 을 덮는 캡 (23) 을 갖는다. 셔터 (72) 는, 헤드 (21) 가 배치되는 관통공 (720) 을 갖는다. 인쇄 위치 (P1) 에 있어서, 헤드 (21) 의 일단면 및 잉크 노즐 (211) 이 인쇄 공간 (A1) 에 배치되고, 또한, 헤드 (21) 의 타단면은 퇴피 공간 (A2) 에 배치된다. 퇴피 위치 (P2) 에 있어서, 헤드 (21) 의 일단면은 인쇄 공간 (A1) 에 배치되고, 또한, 헤드 (21) 의 타단면 및 잉크 노즐 (211) 은 퇴피 공간 (A2) 에 배치된다. 이로써, 정제의 미세 분말이 인쇄 에어리어로부터 인접 에어리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is inkjet tablet printing apparatus 1 has a print space A1 in which a head 21 having a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n its lower surface, a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 and a conveying mechanism 10 are arranged. ) a partition wall 60 dividing the evacuation space A2, a shutter 72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60, an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head 21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P1 and the evacuation position P2 ( 22) and a cap 23 that covers the ink nozzle 211 in the retracted position P2. The shutter 72 has a through hole 720 in which the head 21 is disposed. In the printing position P1, one end surface of the head 21 and the ink nozzle 211 are arranged in the print space A1, and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ead 21 is arranged in the retract space A2. In the retracted position P2, one end face of the head 21 is disposed in the print space A1, and the other end face of the head 21 and the ink nozzle 211 are disposed in the retracted space A2. Thereby, it can suppress that the fine powder of a tablet penetrate|invades from a printing area into an adjacent area.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tablet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on the surface of a tablet.

의약품의 일 형태인 정제의 표면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자된다. 이와 같은 문자나 코드는, 각인에 의해 인자되는 경우도 있지만, 각인에서는 시인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후발 의약품의 보급에 의해 정제의 종류가 다양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제를 식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정제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선명한 인자를 실시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A character or code for identifying a product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a tablet, which is one type of pharmaceutical product. Such characters and codes may be printed by engravin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visibility is low in engraving.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types of tablets are diversifying due to the spread of generic drug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a tablet, a technique for applying clear printing to the surface of the tablet by an inkjet method is attracting attention.

특허문헌 1 에는, 잉크젯 방식으로 정제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종래의 장치의 예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escribe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pparatus that prints on the surface of a tablet by an inkjet metho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205384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7-205384

잉크젯 방식의 정제 인쇄 장치에서는, 정제를 반송하면서, 헤드의 토출면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정제를 향하여, 잉크의 액적 (이하, 간단히 「잉크 방울」 이라고 칭한다) 을 토출한다. 이와 같은 잉크젯 방식의 인쇄 장치에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의 비토출시에 노즐을 덮는 캡이나, 캡에 형성된 노즐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In an inkjet tablet printing apparatus, ink droplet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nk drops") are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nozzles formed on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head toward the tablet while conveying the tablet. In such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cap for covering a nozzle during non-discharge of ink, and a mechanism for maintaining a nozzle formed in the cap are provided.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록 장치에서는, 잉크의 토출시에는, 헤드가 반송 경로를 포함하는 인쇄 에어리어에 배치된다. 한편, 잉크의 비토출시에는, 헤드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쇄 에어리어와 격벽에 의해 나뉜 인접 에어리어 (세정 에어리어) 로 이동한다. 그리고, 당해 에어리어에 있어서, 노즐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이 캡으로 덮인다.In the record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ink is discharged, the head is disposed in a printing area including a conveyance path.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non-ejection of ink, a hea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moves to the adjacent area (cleaning area) divided by the printing area and the partition. And in the said area, in order to prevent drying of a nozzle, a nozzle is covered with a cap.

그러나, 정제의 반송시에는, 반송 경로의 주위에 정제의 미세 분말이 비산한다. 헤드가 인쇄 에어리어와 인접 에어리어를 왕래하기 때문에, 적어도 헤드의 이동시에는, 인쇄 에어리어와 인접 에어리어가 연통한다. 이 때에, 정제의 미세 분말이 인접 에어리어로 침입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접 에어리어 내의 미세 분말을 제거하는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필요가 생긴다.However, when the tablet is conveyed, fine powder of the tablet is scattered around the conveying path. Since the head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print area and the adjacent area, the print area and the adjacent are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least when the head is moved. At this time, since the fine powder of a tablet may intrude into an adjacent area, it is necessary to perform maintenance which removes the fine powder in an adjacent are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제의 미세 분말이 인쇄 에어리어로부터 인접 에어리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intrusion of fine powder of tablets from a printing area to an adjacent area.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제 1 발명은, 잉크젯 방식의 정제 인쇄 장치로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복수의 잉크 노즐이 배열된 하면을 갖는 헤드와, 인쇄 대상물인 정제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가 배치되는 인쇄 공간과, 퇴피 공간을 나누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 배치되는 관통공을 갖는 셔터와, 상기 헤드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 있어서, 적어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기 잉크 노즐을 덮는 캡을 갖고,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 및 상기 잉크 노즐이 상기 인쇄 공간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헤드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이 상기 퇴피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이 상기 인쇄 공간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헤드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 및 상기 잉크 노즐이 상기 퇴피 공간에 배치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inkjet table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d having a lower surface in which a plurality of ink nozzles for discharging ink droplets are arranged; and a tablet to be printed in a conveying direction A conveying mechanism, a partition dividing a printing space in which the conveying mechanism is disposed, and a retracting space; a shutter provided in the parti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which the head is disposed; and the head between a printing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at leas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ap covering the ink nozzle of the head in the retracted position, wherein, in the printing position, an end surface of the hea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k nozzle are the printing positions a cross section of the hea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retracted space, and an end face on th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is disposed in the print space in the retracted position, and the head of The cross-sec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ink nozzle are arranged in the evacuation space.

본원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셔터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인쇄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헤드를 상기 인쇄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안에 있어서도, 상기 헤드는, 상기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한다.A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tabl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shutter has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an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head includes the Also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and while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head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the head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시일 부재는, 적어도, 장방형의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의 상부 및 측부에 배치된다.A thir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of the second invention,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at least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ectangular through-hole edge portion.

본원의 제 4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의 어느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헤드를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격벽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A four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inventions, wherein the moving mechanism is capable of moving the head in a width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and the shutter is configur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can be moved to

본원의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격벽은, 상기 셔터의 양측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셔터의 측단부가 수용되는 홈을 구비하는 셔터 가이드를 추가로 갖는다.A fif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of the fourth invention, wherein the partition walls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hutter and further include a shutter guide having a groove in which the side end of the shutter is accommodated. have

본원의 제 6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의 어느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헤드는, 상기 하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갖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 노즐이 노출되는 구멍부를 갖는다.A six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inventions, wherein the head has a cov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cover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ink nozzle is exposed.

본원의 제 7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의 어느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잉크 노즐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된다.A sev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inven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are disposed inside a reces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본원의 제 1 발명 ∼ 제 7 발명에 의하면, 헤드가, 셔터의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함으로써, 인쇄 공간과 퇴피 공간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미세 분말이 퇴피 공간 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퇴피 공간 내에 있어서 미세 분말이 헤드의 노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to seventh inven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ap between the print space and the retracted space can be minimized by moving the hea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me off the through hole of the shutter. 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trusion of the fine powder into the evacuation sp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ne powder from adhering to the nozzle of the head in the evacuation space.

특히, 본원의 제 2 발명에 의하면, 헤드가 시일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헤드와 셔터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미세 분말이 퇴피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head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trusion of fine powder into the evacuation space from the gap between the head and the shutter.

도 1 은,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정제 반송 기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은, 헤드의 하면도이다.
도 4 는, 제어부와 정제 인쇄 장치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는, 인쇄부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헤드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 은, 셔터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격벽, 셔터 기구 및 헤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셔터 기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10 은, 셔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 printing apparatus.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ablet conveying mechanism.
3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each unit in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5 : is a side view of a printing part.
6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mode that a head moves.
7 is a plan view of the shutter mechanism.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tion wall, a shutter mechanism, and a hea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utter mechanism.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정제가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 이라고 칭하고,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그리고 수평인 방향을 「폭 방향」 이라고 칭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a some tablet is conveyed is called a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with respect to a conveyance direction is called a "width direction."

<1. 정제 인쇄 장치의 전체 구성><1. Overall configuration of tablet print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정제 인쇄 장치 (1) 는, 의약품인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 (9) 의 표면에, 제품명, 제품 코드, 회사명, 로고 마크 등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제 인쇄 장치 (1) 는, 정제 반송 기구 (10), 인쇄부 (20), 건조 기구 (30), 및 제어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 prin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tablet printing apparatus 1 is an apparatus for printing images such as a product name, product code, company name, and logo mark on the surface of each tablet 9 while conveying a plurality of tablets 9 serving as pharmaceuticals. As shown in FIG. 1 ,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 a printing unit 20 , a drying mechanism 30 , and a control unit 40 .

정제 반송 기구 (10) 는, 인쇄 대상물인 복수의 정제 (9) 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기구이다. 정제 반송 기구 (10) 는, 1 쌍의 풀리 (11) 와, 1 쌍의 풀리 (11) 사이에 건너지르는 환상의 반송 벨트 (12) 를 갖는다. 정제 인쇄 장치 (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는, 진동 피더나 반송 드럼 등에 의해 구성되는 반입 기구 (51) 에 의해, 등간격으로 정렬됨과 함께, 반송 벨트 (12) 의 외주면에 공급된다. 1 쌍의 풀리 (11) 의 일방은, 반송용 모터 (13) 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로써, 반송 벨트 (12) 가, 도 1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1 쌍의 풀리 (11) 의 타방은, 반송 벨트 (12) 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The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is a mechanism for conveying while holding a plurality of tablets 9 which are printing objects. The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includes a pair of pulleys 11 and an annular conveying belt 12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pulleys 11 . The plurality of tablets 9 put into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y a loading mechanism 51 constituted by a vibrating feeder, a conveying drum, or the like, and are su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veying belt 12 . . One of the pair of pulleys 11 rotates by the motive power obtained from the motor 13 for conveyance. Thereby, the conveyance belt 12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pulleys 11 follows and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12 .

도 2 는, 정제 반송 기구 (10) 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 (12) 에는, 복수의 흡착공 (14)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공 (14) 은,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반송 기구 (10) 는, 반송 벨트 (12) 의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기체를 빨아내는 흡인 기구 (15) 를 갖는다. 흡인 기구 (15) 를 동작시키면, 반송 벨트 (12) 의 내측의 공간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負壓) 이 된다. 복수의 정제 (9) 는, 당해 부압에 의해, 흡착공 (14) 에 흡착 유지된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 As shown in FIG. 2 , the conveyance belt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4 . The plurality of adsorption holes 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tablet transport mechanism 10 includes a suction mechanism 15 that sucks gas from the space inside the transport belt 12 . When the suction mechanism 15 is operated, the space inside the conveyance belt 12 becomes a negative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plurality of tablets 9 are adsorbed and held by the adsorption holes 14 by the negative pressure.

이와 같이, 정제 반송 기구 (10) 는, 복수의 정제 (9) 를, 복수의 흡착공 (14) 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반송 벨트 (12) 의 회동에 의해,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한다. 후술하는 4 개의 헤드 (21) 의 하방에서는, 복수의 정제 (9) 는,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다.In this way, the tablet conveying mechanism 10 moves the plurality of tablets 9 by rotation of the conveying belt 12 while holding the plurality of tablets 9 in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14 at regular intervals. return it Below the four heads 21 mentioned later, the some tablet 9 is conveyed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반송 기구 (10) 는, 반송 벨트 (12) 의 내측에, 블로우 기구 (16) 를 갖는다. 블로우 기구 (16) 를 동작시키면, 반송 벨트 (12) 의 복수의 흡착공 (14) 중, 반출 기구 (52) 에 대향하는 흡착공 (14) 만이,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이 된다. 이로써, 당해 흡착공 (14)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되어, 반송 벨트 (12) 로부터 반출 기구 (52) 로, 정제 (9) 가 전달된다. 반출 기구 (52) 는, 반송 벨트 (12) 로부터 전달된 정제 (9) 를, 예를 들어 다른 반송 벨트에 의해, 정제 인쇄 장치 (1) 의 외부로 반출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tablet transport mechanism 10 includes a blow mechanism 16 inside the transport belt 12 . When the blow mechanism 16 is operated, among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14 of the conveyance belt 12 , only the suction holes 14 facing the carrying mechanism 52 become a positive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reby, the adsorption|suction of the tablet 9 in the said adsorption hole 14 is cancelled|released, and the tablet 9 is delivered from the conveyance belt 12 to the discharging mechanism 52 . The discharging mechanism 52 unloads the tablets 9 delivered from the conveyance belt 12 to the outside of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by, for example, another conveyance belt.

인쇄부 (20) 는, 반송 벨트 (1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기록하는 부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부 (20) 는, 4 개의 헤드 (21) 를 갖는다. 4 개의 헤드 (21) 는, 반송 벨트 (1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4 개의 헤드 (21) 는, 정제 (9) 의 표면을 향하여, 서로 상이한 색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각 색)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그러면, 이들 각 색에 의해 형성되는 단색 화상의 중합에 의해, 정제 (9) 의 표면에, 다색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각 헤드 (21)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는, 일본 약국방, 식품 위생법 등에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 잉크가 사용된다.The printing part 20 is a site|part which records an image on the surface of the tablet 9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12 by an inkjet method. As shown in FIG. 1 , the printing uni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four heads 21 . The four heads 21 are located above the conveyance belt 12, and are arrange|positioned in a line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ablet 9. As shown in FIG. The four heads 21 discharge ink droplets of different color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each color of 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toward the surface of the tablet 9 . Then, a polychromatic image is recorded on the surface of the tablet 9 by superposition|polymerization of the monochromatic image formed by each of these colors. In addition, as the ink discharged from each head 21, edible ink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approved by the Japanese Pharmacopoeia, the Food Sanitation Act, etc. is used.

도 3 은, 1 개의 헤드 (21) 의 하면도이다. 도 3 에는, 반송 벨트 (12) 와, 반송 벨트 (12)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3 중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21) 의 하면에는, 잉크 방울을 토출 가능한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21) 의 하면에,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잉크 노즐 (211) 은,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이차원적으로 배치하면, 각 잉크 노즐 (211)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단,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은,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3 is a bottom view of one head 21 . In FIG. 3, the conveyance belt 12 and the some tablet 9 hold|maintained by the conveyance belt 12 are shown by the double-dotted line. 3 , a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capable of discharging ink droplet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Each of the ink nozzles 211 is arranged with a position shif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way, when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ink nozzles 211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made close to each other. However,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잉크 노즐 (211) 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에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인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잉크 노즐 (211)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이른바 피에조 방식이 사용된다. 단, 잉크 방울의 토출 방식은, 히터에 통전하여 잉크 노즐 (211) 내의 잉크를 가열 팽창시킴으로써 토출하는, 이른바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The so-called piezo system in which ink in the ink nozzle 211 is pressurized and discharged by applying a voltage to a piezoelectric element which is a piezoelectric element and deforming it is used for the ejection method of the ink drop from the ink nozzle 211, for example. However, the discharge method of the ink droplets may be a so-called thermal method in which electricity is supplied to a heater and the ink in the ink nozzle 211 is heated and expanded to discharge.

건조 기구 (30) 는, 정제 (9) 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기구이다. 건조 기구 (30) 는, 인쇄부 (20) 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반송 벨트 (12)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건조 기구 (30) 에는, 예를 들어, 반송 벨트 (1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를 향하여, 가열된 기체 (열풍) 를 내뿜는, 열풍 공급 기구가 사용된다. 정제 (9) 의 표면에 부착된 잉크는,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정제 (9) 의 표면에 정착한다.The drying mechanism 30 is a mechanism for drying the ink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tablet 9 . The drying mechanism 30 is provided around the conveyance belt 12 in a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from the printing part 20. As shown in FIG. For the drying mechanism 30 , for example, a hot air supply mechanism that blows a heated gas (hot air) toward the tablet 9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 12 is used. The ink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tablet 9 is dried by hot air and fixed on the surface of the tablet 9 .

제어부 (40) 는,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도 4 는, 제어부 (40) 와, 정제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40) 는, CPU 등의 프로세서 (41), RAM 등의 메모리 (4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 (43) 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 (43) 내에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 이, 인스톨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40 controls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40 and each unit in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 As conceptually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40 is constituted by a computer having a processor 41 such as a CPU, a memory 42 such as a RAM, and a storage unit 43 such as a hard disk drive. In the storage unit 43, a computer program P for executing print processing is installed.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40) 는, 상기 서술한 반송용 모터 (13), 흡인 기구 (15), 블로우 기구 (16), 4 개의 헤드 (21), 건조 기구 (30), 반입 기구 (51), 및 반출 기구 (52) 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 (40) 는, 후술하는 상하 이동 기구 (222) 및 수평 이동 기구 (224) 와도,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40) 는, 기억부 (43)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P) 이나 데이터를 메모리 (42) 에 일시적으로 판독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P) 에 기초하여, 프로세서 (41) 가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로써, 복수의 정제 (9) 에 대한 인쇄 처리나, 헤드 (21) 의 세정 처리가 진행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part 40 includes the above-mentioned conveyance motor 13, the suction mechanism 15, the blow mechanism 16, the four heads 21, the drying mechanism 30, It is connected with the carrying-in mechanism 51 and the carrying-out mechanism 52 so that communication is possible, respectively. Moreover, the control part 40 is also connected with the up-down movement mechanism 22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224 mentioned later so that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control unit 40 temporarily reads the computer program P o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 into the memory 42, and based on the computer program P, the processor 41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By carrying out the operation control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parts. Thereby, the print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some tablet 9 and the washing process of the head 21 advance.

<2. 헤드 이동 기구 및 셔터 기구에 대하여><2. About head moving mechanism and shutter mechanism>

도 5 는, 도 1 중의 흰색 화살표 (V) 의 위치로부터 본 인쇄부 (20) 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헤드 (21) 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정제 인쇄 장치 (1) 의 내부 공간은, 인쇄 에어리어 (A1) 와 퇴피 에어리어 (A2) 로 나뉘어 있다. 인쇄 에어리어 (A1) 는, 상기 서술한 정제 반송 기구 (10) 에 의해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정제 (9) 에 대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공간이다. 퇴피 에어리어 (A2) 는, 인쇄 전 또는 인쇄 후에 헤드 (21) 를 퇴피 및 대기시킴과 함께, 정제 (9) 와 동일한 공간에 있을 필요가 없는 기기가 수용되는 퇴피 공간이다.5 : is a side view of the printing part 20 seen from the position of the white arrow V in FIG. 6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mode that the head 21 moves. As shown in FIG. 5 , the internal space of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is divided into a print area A1 and a evacuation area A2 . The print area A1 is a printing space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tablet 9 while the tablet 9 is transported by the tablet transport mechanism 10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area A2 is a evacuation space in which the device which does not need to be in the same space as the tablet 9 is accommodated while evacuating and waiting the head 21 before or after printing.

인쇄 에어리어 (A1) 와 퇴피 에어리어 (A2) 사이에는, 양에어리어를 나누는 격벽 (60) 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 (60) 은, 정제 (9) 의 반송 방향과 평행이며, 또한,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로써, 정제 인쇄 장치 (1) 의 내부 공간은, 인쇄 에어리어 (A1) 와 퇴피 에어리어 (A2) 로, 폭 방향으로 나누어진다. 이하에서는, 격벽 (60) 에 대하여 인쇄 에어리어 (A1) 측을 폭 방향 일방측, 격벽 (60) 에 대하여 퇴피 에어리어 (A2) 측을 폭 방향 타방측이라고 칭한다.Between the printing area A1 and the evacuation area A2, the partition 60 which divides both areas is formed. The partition wall 60 is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ablet 9, and is extended perpendicularly|vertically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Thereby, the internal space of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is divided into the printing area A1 and the evacuation area A2 in the width direction. Below, the printing area A1 side is called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60, and the evacuation area A2 side is called the width direction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60.

격벽 (60) 은, 헤드 (21) 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 (61) 를 갖는다. 또한, 격벽 (60) 은, 개구 (61) 에 장착되는 셔터 기구 (62) 를 구비한다. 셔터 기구 (62)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partition wall 60 has an opening 61 through which the head 21 passes. Further, the partition wall 60 includes a shutter mechanism 62 attached to the opening 61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hutter mechanism 62 is mentioned later.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쇄부 (20) 는, 4 개의 헤드 (21) 를 갖는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부 (20) 는, 헤드 (21) 별로, 헤드 이동 기구 (22) 와, 캡 (23) 을 갖는다. 즉, 본 실시형태의 인쇄부 (20) 는, 4 개의 헤드 (21) 와, 각 헤드 (21) 에 대응하는 4 개의 헤드 이동 기구 (22) 와, 각 헤드 (21) 에 대응하는 4 개의 캡 (23) 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unit 20 has four heads 21 . 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printing part 20 has the head movement mechanism 22 and the cap 23 for each head 2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rinting uni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four heads 21 , four head moving mechanisms 22 corresponding to each head 21 , and four caps corresponding to each head 21 . (23) has

헤드 이동 기구 (22) 는, 인쇄 위치 (P1) 와 퇴피 위치 (P2) 사이에서, 헤드 (21) 를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 이동 기구 (22) 는, 아암 (221), 상하 이동 기구 (222), 이동 스테이지 (223), 및 수평 이동 기구 (224) 를 갖는다.The head moving mechanism 22 is a mechanism for moving the head 21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P1 and the retracted position P2 . The head movement mechanism 22 of this embodiment has an arm 221 , a vertical movement mechanism 222 , a movement stage 223 , and a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224 .

아암 (221) 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헤드 (21) 는, 아암 (221) 의 폭 방향 일방측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하 이동 기구 (222) 는, 제어부 (40) 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아암 (221) 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아암 (221) 및 헤드 (21) 가, 일체로서 상하로 이동한다.The arm 221 is a membe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head 21 is being fixed to the front-end|tip of the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rm 221. The up-down movement mechanism 222 moves the arm 221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mmand from the control part 4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arm 221 and the head 21 move vertically as one body.

상하 이동 기구 (222) 는, 이동 스테이지 (223)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수평 이동 기구 (224) 는, 이동 스테이지 (223) 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이동 스테이지 (223), 상하 이동 기구 (222), 아암 (221), 및 헤드 (21) 가, 일체로서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222 is supported by a movement stage 223 .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224 moves the movement stage 223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by, the moving stage 223, 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222, the arm 221, and the head 21 move in the width direction integrally.

수평 이동 기구 (224) 및 상하 이동 기구 (222) 에는,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 운동을, 볼 나사를 통하여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가 사용된다. 단, 수평 이동 기구 (224) 및 상하 이동 기구 (222) 는, 리니어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의 다른 기구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어도 된다.For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224 and 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222 , for example, a mechanism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of a motor into a linear motion via a ball screw is used. However,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224 and 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222 may be implemented by other mechanisms, such as a linear motor and an air cylinder.

헤드 이동 기구 (22)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21) 를, 인쇄 위치 (P1) 와 퇴피 위치 (P2)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헤드 (21) 는, 인쇄 위치 (P1) 에 있어서, 정제 (9) 에 대한 인쇄를 실시한다. 퇴피 위치 (P2) 에 있어서, 헤드 (21) 의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은, 캡 (23) 으로 덮인다. 제 1 중간 위치 (P3) 는, 인쇄 위치 (P1) 의 상방의 위치이다. 제 2 중간 위치 (P4) 는, 퇴피 위치 (P2) 의 상방의 위치이다.The head moving mechanism 22 moves the head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P1 and the retracted position P2, as shown in FIG.5 and FIG.6. The head 21 prints with respect to the tablet 9 in the printing position P1. In the retracted position P2 ,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f the head 21 are covered with a cap 23 .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P3 is a position above the printing position P1. The second intermediate position P4 is a position above the retracted position P2.

인쇄 위치 (P1) 에 있어서, 헤드 (21) 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과,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은, 인쇄 에어리어 (A1) 에 배치된다. 또한, 인쇄 위치 (P1) 에 있어서, 헤드 (21) 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은, 퇴피 에어리어 (A2) 에 배치된다. 즉, 헤드 (21) 는, 그 일부가, 격벽 (60) 에 형성된 개구 (61) 내에 배치된다. 헤드 (21) 가 인쇄 위치 (P1) 에 배치되면,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이 반송 벨트 (12) 에 유지된 정제 (9) 와 대향한다.In the printing position P1, the cross-section of the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21, and the some ink nozzle 211 are arrange|positioned in the printing area A1. In addition, in the printing position P1, the cross sec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2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evacuation area A2. That is, a part of the head 2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opening 61 formed in the partition 60. As shown in FIG. When the head 21 is disposed at the printing position P1 , a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ppose the tablets 9 held on the conveyance belt 12 .

퇴피 위치 (P2) 에 있어서, 헤드 (21) 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은, 인쇄 에어리어 (A1) 에 배치된다. 또한, 퇴피 위치 (P2) 에 있어서, 헤드 (21) 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과,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은, 퇴피 에어리어 (A2) 에 배치된다. 즉, 헤드 (21) 는, 그 일부가, 격벽 (60) 에 형성된 개구 (61) 내에 배치된다.In the retracted position P2, the cross section of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2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print area A1. In addition, in the retraction position P2, the cross sec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21 and the some ink nozzle 211 are arrange|positioned in the retraction area A2. That is, a part of the head 21 is arrange|positioned in the opening 61 formed in the partition 60. As shown in FIG.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21) 를 인쇄 위치 (P1) 로부터 퇴피 위치 (P2) 로 이동시키는 경우, 헤드 이동 기구 (22) 는, 헤드 (21) 를 인쇄 위치 (P1) 로부터 제 1 중간 위치 (P3) 로 상승시켜, 제 1 중간 위치 (P3) 로부터 제 2 중간 위치 (P4) 로 폭 방향 타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중간 위치 (P4) 로부터 퇴피 위치 (P2) 로 하강시킨다.As shown in FIG. 6 , when moving the head 21 from the printing position P1 to the retracted position P2 , the head moving mechanism 22 moves the head 21 from the printing position P1 to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It is raised to the position P3, it is moved to the other width direction side from the 1st intermediate position P3 to the 2nd intermediate position P4, and it is made to descend|fall from the 2nd intermediate position P4 to the retracted position P2.

헤드 (21) 를 퇴피 위치 (P2) 로부터 인쇄 위치 (P1) 로 이동시키는 경우, 헤드 이동 기구 (22) 는, 헤드 (21) 를 퇴피 위치 (P2) 로부터 제 2 중간 위치 (P4) 로 상승시켜, 제 2 중간 위치 (P4) 로부터 제 1 중간 위치 (P3) 로 폭 방향 일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제 1 중간 위치 (P3) 로부터 인쇄 위치 (P1) 로 하강시킨다.When moving the head 21 from the retracted position P2 to the printing position P1, the head moving mechanism 22 raises the head 21 from the retracted position P2 to the second intermediate position P4, , is moved to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position P4 to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P3, and is lowered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P3 to the printing position P1.

캡 (23) 은, 상면이 개방된 대략 직방체상의 케이싱이다. 캡 (23) 은, 퇴피 에어리어 (A2)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캡 (23) 은, 퇴피 에어리어 (A2) 에 있어서, 퇴피 위치 (P2) 에 배치된 헤드 (21) 의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덮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21) 가 퇴피 위치 (P2) 에 배치되면, 헤드 (21) 의 하면 중, 복수의 잉크 노즐 (211)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주연부가, 캡 (23) 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그 결과,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이 캡 (23) 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로써, 헤드 (21) 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잉크 노즐 (211) 을 캡 (23) 에 의해 덮음으로써, 잉크 노즐 (211) 내의 잉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p 23 is a casing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cap 23 is being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evacuation area A2. The cap 23 covers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f the head 21 disposed at the retraction position P2 in the retraction area A2. More specifically, when the head 21 is disposed at the retracted position P2 ,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that is located outside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is at the upper edge of the cap 23 . contact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are accommodated inside the cap 23 . Thereby, the ink in the ink nozzle 211 can be prevented from drying by covering the ink nozzle 211 with the cap 23 while the head 21 is not in use.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 (23) 에는, 세정 유닛 (24) 이 구비되어 있다. 세정 유닛 (24) 은, 헤드 (21) 의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세정하기 위한 유닛이다. 세정 유닛 (24) 은, 캡 (23) 의 내부에 있어서, 세정 노즐 (도시 생략) 로부터 헤드 (21) 의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향하여 세정액을 토출한다. 세정 유닛 (24) 에 의해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을 세정함으로써, 인쇄 에어리어 (A1) 에 있어서 잉크 노즐 (211) 에 부착된 미세 분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캡 (23) 에는, 세정 유닛 (24) 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 23 is provided with a cleaning unit 24 . The cleaning unit 24 is a unit for cleaning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f the head 21 . The cleaning unit 24 discharges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leaning nozzle (not shown) toward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f the head 21 inside the cap 23 . By cleaning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by the cleaning unit 24 , the fine powder adhering to the ink nozzles 211 in the print area A1 can be removed. In addition, the cap 23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cleaning unit 24 .

계속해서, 셔터 기구 (62) 의 구조에 대하여, 도 7 ∼ 도 10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 은, 퇴피 에어리어 (A2) 측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본 셔터 기구 (62) 의 평면도이다. 도 7 중, 격벽 (60) 의 개구 (61) 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8 은, 격벽 (60), 셔터 기구 (62) 및 헤드 (21)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셔터 기구 (62) 의 횡단면도이다. 도 10 은, 셔터 (72) 의 분해 사시도이다.Then, the structure of the shutter mechanism 62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7-10. 7 : is a top view of the shutter mechanism 62 seen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vacuation area A2 side. In FIG. 7, the opening 61 of the partition 60 is shown by the double-dotted lin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tion wall 60 , the shutter mechanism 62 , and the head 21 .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utter mechanism 62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72 .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기구 (62) 는, 격벽 (60) 의 폭 방향 타방측에 고정되고, 개구 (61) 를 덮도록 장착된다. 셔터 기구 (62) 는, 5 개의 셔터 가이드 (71) 와, 4 개의 셔터 (72) 를 갖는다.7 and 8 , the shutter mechanism 62 is fixed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60 , and is attach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61 . The shutter mechanism 62 has five shutter guides 71 and four shutters 72 .

셔터 가이드 (71) 는, 각 셔터 (72) 의 양측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 개의 셔터 가이드 (71) 는, 반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가이드 (71) 는, 그 측면에, 셔터 (72) 의 측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한다. 이로써, 셔터 가이드 (71) 는, 셔터 (72) 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한다. 즉, 셔터 (72) 는, 격벽 (60)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shutter guides 71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each shutter 72 . As shown in FIG. 7, the five shutter guides 71 are spaced apart in a conveyance direction, and are arrange|positioned. As shown in FIG. 9, the shutter guide 71 is equipped with the groove|channel into which the side edge part of the shutter 72 is inserted in the side surface. Thereby, the shutter guide 71 holds the shutter 72 slidably in an up-down direction. That is, the shutter 72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60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셔터 가이드 (71) 에는, 그 하단부에, 셔터 (72) 가 하방으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711)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셔터 가이드 (71) 는, 스토퍼 (711) 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shutter guide 71 of this embodiment, the stopper 711 for preventing that the shutter 72 falls down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However, the shutter guide 71 does not need to have the stopper 711 .

셔터 (72) 는 각각, 헤드 (21) 가 통과 가능한 헤드용 관통공 (720) 을 갖는다. 헤드용 관통공 (720) 내에 헤드 (21) 가 삽입되면,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의 상측 가장자리부가 헤드 (21) 의 상면에 실린다. 이로써, 셔터 (72) 의 중량이 헤드 (21) 의 상면에 가해진다. 즉, 셔터 (72) 는, 헤드 (21) 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The shutters 72 each have a through hole 720 for a head through which the head 21 can pass. When the head 2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of the shutter 7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1 . Thereby, the weight of the shutter 72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1 . That is, the shutter 72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1 .

헤드 (21) 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셔터 (72) 는, 헤드 (21) 의 상면으로 밀려, 헤드 (21) 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헤드 (21) 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셔터 (72) 는, 중력에 의해 헤드 (21) 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헤드용 관통공 (720) 의 상측의 가장자리부는, 헤드 (21) 의 상면과 항상 접촉한다. 이와 같이, 셔터 (72) 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헤드 (21) 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변동된다.When the head 21 moves upward, the shutter 72 is pus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1 and moves upward along the head 21 . When the head 21 moves downward, the shutter 72 moves downward along the head 21 by gravity. For this reason,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always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1. As shown in FIG. In this wa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hutter 72 varies according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ead 21 .

여기서, 헤드 (21) 가 인쇄 위치 (P1) 및 퇴피 위치 (P2) 에 배치되었을 때의 셔터 (72) 의 위치를 하측 위치 (Q1), 헤드 (21) 가 제 1 중간 위치 (P3) 및 제 2 중간 위치 (P4) 에 배치되었을 때의 셔터 (72) 의 위치를 상측 위치 (Q2) 라고 칭한다. 셔터 (72) 는 하측 위치 (Q1) 와 상측 위치 (Q2)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72) 가 하측 위치 (Q1) 에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셔터 (72) 의 상단부는, 개구 (61) 의 상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셔터 (72) 가 상측 위치 (Q2) 에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셔터 (72) 의 하단부는, 개구 (61) 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셔터 (72) 가 하측 위치 (Q1) 에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셔터 (72) 가 상측 위치 (Q2) 에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셔터 가이드 (71) 및 셔터 (72) 에 의해, 격벽 (60) 의 개구 (61) 가 덮여 있다.Here, the position of the shutter 72 when the head 21 is disposed in the printing position P1 and the retracted position P2 is the lower position Q1, the head 21 is the first intermediate position P3 and the second position P2. 2 The position of the shutter 72 when it is arrange|position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P4 is called the upper position Q2. The shutter 7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lower position Q1 and the upper position Q2. As shown in FIG. 7 , even when the shutter 72 is disposed at the lower position Q1 , the upper end of the shutter 72 is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61 . Moreover, even when the shutter 72 is arrange|positioned at the upper position Q2, the lower end of the shutter 72 is arrange|position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61. FIG.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shutter 72 is arranged at the lower position Q1 or when the shutter 72 is arranged at the upper position Q2, the partition wall ( The opening 61 of 60 is covered.

이 정제 인쇄 장치 (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헤드 (21) 가,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인쇄 에어리어 (A1) 와 퇴피 에어리어 (A2) 의 연통 지점은,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과 헤드 (21) 사이의 간극만큼이 된다. 그 결과, 인쇄 에어리어 (A1) 와 퇴피 에어리어 (A2)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미세 분말이 퇴피 에어리어 (A2) 내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퇴피 에어리어 (A2) 내에 있어서 미세 분말이 헤드 (21) 의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tablet printing apparatus 1, as mentioned above, the head 21 moves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come off from the head through-hole 720 of the shutter 72.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point between the printing area A1 and the evacuation area A2 is only the gap between the head through hole 720 of the shutter 72 and the head 21 .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print area A1 and the evacuation area A2 can be minimized. Thereby, it can suppress that the fine powder penetrate|invades into the evacuation area A2. Fur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ne powder from adhering to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of the head 21 in the evacuation area A2.

본 실시형태의 셔터 (72)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81) 와, 제 2 부재 (82) 와, 시일 부재 (83) 에 의해 구성된다. 시일 부재 (83) 는, 탄성력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 (83) 는, 제 1 부재 (81) 와 제 2 부재 (8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제 1 부재 (81) 와 제 2 부재 (82)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제 1 부재 (81) 와 제 2 부재 (82) 는, 접착 고정되어도 되고,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The shutter 72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1st member 81, the 2nd member 82, and the sealing member 83, as shown in FIG.9 and FIG.10. The sealing member 83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an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 9 , the sealing member 83 is held between the first member 81 and the second member 82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member 81 and the second member 82 . . In addition, the 1st member 81 and the 2nd member 82 may be adhesively fixed, and may be fixed with a fixture.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81), 제 2 부재 (82) 및 시일 부재 (83) 는 각각, 제 1 관통공 (810), 제 2 관통공 (820) 및 제 3 관통공 (830) 을 갖는다. 제 1 관통공 (810) 및 제 2 관통공 (820) 이,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을 형성한다. 제 1 관통공 (810) 및 제 2 관통공 (820) 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제 3 관통공 (830) 은, 제 1 관통공 (810) 및 제 2 관통공 (820) 보다 약간 작다. 이 때문에, 시일 부재 (83) 의 내연부는,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보다 약간 내측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0, the 1st member 81, the 2nd member 82, and the sealing member 83 are respectively the 1st through-hole 810, the 2nd through-hole 820, and the 3rd through-hole ( 830). The first through hole 8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820 form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of the shutter 72 .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through hole 8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820 are the same. The third through hole 83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8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820 . For this reason, the inner edge part of the sealing member 83 is arrange|positioned slightly inside the edge part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of the shutter 72.

시일 부재 (83) 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됨으로써, 헤드 (21) 가 헤드용 관통공 (720)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헤드 (21) 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극을 시일 부재 (83) 가 봉지한다. 이와 같이, 헤드 (21) 가 시일 부재 (83) 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21) 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의 간극을 통하여, 인쇄 에어리어 (A1) 로부터 퇴피 에어리어 (A2) 로 미세 분말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The sealing member 83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so that when the head 21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the head 21 and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The sealing member 83 seals the clearance gap between edge parts. In this way, when the head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83, the fine powder is passed from the print area A1 to the evacuation area A2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ead 21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720 for the head. This intrusion is suppressed.

셔터 (72) 의 폭 방향의 위치는 변하지 않다. 이 때문에, 헤드 (21) 가 폭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헤드 (21) 의 표면이 시일 부재 (83) 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헤드 (21) 의 이동시에 있어서도, 헤드 (21) 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의 간극을 시일 부재 (83) 가 봉지한다. 이 때문에, 헤드 (21) 의 이동시에, 당해 간극을 통하여, 인쇄 에어리어 (A1) 로부터 퇴피 에어리어 (A2) 로 미세 분말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utter 72 does not change. For this reason, when the head 21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it slides,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head 21 with the sealing member 83. As shown in FIG. Thereby, also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head 21, the sealing member 83 seals the clearance gap of the edge part of the head 21 and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For this reason, 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head 21, it is suppressed that the fine powder penetrates into the evacuation area A2 from the printing area A1 through the said clearance gap.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부재 (83) 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의 상부, 하부 및 측부를 포함하는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 (83) 와 헤드 (21) 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접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member 83 is arrange|positioned around the whole perimeter including the upper part, the lower part, and the side part of the edge part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And the sealing member 83 and the head 21 contact in the whole periphery of the edge part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21) 에는, 그 하면에 커버 (212) 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212) 는, 복수의 잉크 노즐 (211) 과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 (213) 를 갖는다. 이 때문에, 구멍부 (213) 에 있어서,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은 노출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3 and FIG. 8, the cover 21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As shown in FIG. The cover 212 has a hole 213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 For this reason, in the hole part 213, the some ink nozzle 211 is exposed.

커버 (212) 의 하면은, 잉크 노즐 (211) 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셔터 (72) 의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가 커버 (212) 의 하면에 접촉했을 경우에도, 잉크 노즐 (211) 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노즐 (211) 이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12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ink nozzle 211 .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720 for a head of the shutter 72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12, it does not contact the ink nozzle 211. Therefore, it is suppressed that the ink nozzle 211 is damaged by contact.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부재 (83) 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 부재 (83) 는, 헤드용 관통공 (720) 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헤드 (21) 가 커버 (212) 를 가지고 있지 않고, 헤드 (21) 의 하면과,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시일 부재 (83) 가 헤드용 관통공 (720)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ealing member 83 is arrange|positioned around the whol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sealing member 83 may be arrange|positioned only in a part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For example, the head 21 does not have the cover 212, and there may be a clearance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and the edge of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In that case, the sealing member 83 does not need to be arrange|positioned below the through-hole 720 for heads.

또한, 헤드 (21) 의 하면에 커버 (212) 가 장착되는 대신에, 복수의 잉크 노즐 (211) 이, 헤드 (21) 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노즐 (211) 의 하단부가 헤드 (21) 의 하면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헤드용 관통공 (720) 의 가장자리부가 헤드 (21) 의 하면에 접촉했을 경우에도, 잉크 노즐 (211) 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노즐 (211) 이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Further, instead of attaching the cover 21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 a plurality of ink nozzles 211 may be arranged inside a reces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 In this way, the lower end of the ink nozzle 211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edge of the through-hole 720 for a head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it does not contact the ink nozzle 211. Therefore, it is suppressed that the ink nozzle 211 is damaged by contact.

<3. 변형예><3. Modifications>

이상, 본 발명의 주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ma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캡 (23) 의 위치가 고정되고, 헤드 (21) 가 하강하는 것에 의해, 캡 (23) 의 상단 가장자리와 헤드 (21) 의 하면을 접촉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캡 (23) 에 상하 이동 기구를 설치하여, 캡 (23) 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캡 (23) 의 상단 가장자리와 헤드 (21) 의 하면을 접촉시켜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cap 23 is fixed, and when the head 21 is lowered, the upper edge of the cap 2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by providing a vertical movement mechanism to the cap 23 and raising the cap 23 , the upper edge of the cap 2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 (20) 에, 4 개의 헤드 (21) 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4 개의 헤드 (21) 의 각각에 대하여, 셔터 (72) 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쇄부 (20) 에 포함되는 헤드 (21) 의 수는, 1 ∼ 3 개여도 되고, 5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셔터 (72) 의 수도, 상기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제 인쇄 장치 (1) 는, 정제 (9) 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와, 정제 (9) 의 이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the four heads 21 were formed in the printing part 20. As shown in FIG. And the shutter 72 was form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our heads 21. As shown in FIG. However, 1-3 may be sufficient as the number of the heads 21 contained in the printing part 20, and 5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In addition, the number of shutters 72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either. Moreover,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may be equipped with the printing part which prints on the surface of the tablet 9, and the printing part which prints on the back surface of the tablet 9.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정제」 는, 예를 들어, 소정 (素錠), 구강 내 붕괴정 (OD 정), 필름 코팅정 (FC 정), 당의정, 할선정 등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의약품으로서의 정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는, 건강 식품으로서의 정제나, 라무네 등의 정과에 대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ablet" to be tr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tablets,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OD tablets), film-coated tablets (FC tablets), dragee tablets, secretion tablets, and the like. ,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ablets as pharmaceuticals.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int tablets as health food or tablets such as ramune.

또한, 정제 인쇄 장치 (1) 의 세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과 상이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of the detail of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1, you may differ from each drawing of this application. In addition, you may combine each element which appeared in the said embodiment or a modified example suitab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generate|occur|produce a contradiction.

1 ; 정제 인쇄 장치
9 ; 정제
10 ; 정제 반송 기구
20 ; 인쇄부
21 ; 헤드
22 ; 헤드 이동 기구
23 ; 캡
60 ; 격벽
61 ; 개구
62 ; 셔터 기구
71 ; 셔터 가이드
72 ; 셔터
83 ; 시일 부재
211 ; 잉크 노즐
212 ; 커버
213 ; 구멍부
720 ; 헤드용 관통공
A1 ; 인쇄 에어리어
A2 ; 퇴피 에어리어
P1 ; 인쇄 위치
P2 ; 퇴피 위치
One ; tablet printing device
9 ; refine
10 ; Tablet conveying mechanism
20 ; printing department
21 ; head
22 ; head moving mechanism
23 ; cap
60 ; septum
61 ; opening
62 ; shutter mechanism
71; shutter guide
72 ; shutter
83 ; lack of seal
211 ; ink nozzle
212; cover
213; hole
720 ; through hole for head
A1 ; print area
A2 ; evacuation area
P1 ; print position
P2 ; evacuation location

Claims (7)

잉크젯 방식의 정제 인쇄 장치로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복수의 잉크 노즐이 배열된 하면을 갖는 헤드와,
인쇄 대상물인 정제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가 배치되는 인쇄 공간과, 퇴피 공간을 나누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 배치되는 관통공을 갖는 셔터와,
상기 헤드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 있어서, 적어도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기 잉크 노즐을 덮는 캡,
을 갖고,
상기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 및 상기 잉크 노즐이 상기 인쇄 공간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헤드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이 상기 퇴피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면이 상기 인쇄 공간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헤드의 폭 방향 타방측의 단면 및 상기 잉크 노즐이 상기 퇴피 공간에 배치되는, 정제 인쇄 장치.
An inkjet table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d having a lower surface in which a plurality of ink nozzles for discharging ink droplets are arranged;
a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tablet, which is an object to be printed, in a conveying direction;
a partition wall dividing a printing space in which the conveying mechanism is disposed and a evacuation space;
a shutter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d is dispose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head at least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a cap covering the ink nozzles of the head in the retracted position;
have,
In the printing position, an end fac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and the ink nozzle are arranged in the print space, and an end surface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is arranged in the retraction space,
In the retracted position, an end fac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is disposed in the print space, and an end face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ad and the ink nozzle are disposed in the retraction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를 갖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인쇄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헤드를 상기 인쇄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안에 있어서도, 상기 헤드는, 상기 시일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utter is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head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in the prin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wherein the head is in contact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member even while the moving mechanism moves the head between the print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적어도, 장방형의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부의 상부 및 측부에 배치되는, 정제 인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at least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ectangular through-hole edg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헤드를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격벽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정제 인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oving mechanism is capable of moving the hea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shutter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셔터의 양측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셔터의 측단부가 수용되는 홈을 구비하는 셔터 가이드를 추가로 갖는, 정제 인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rtition wall,
The tablet print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utter guid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hutter and having a groove in which a side end of the shutter is accommoda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하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갖고,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 노즐이 노출되는 구멍부를 갖는, 정제 인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d is
It has a cov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cover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ink nozzle is expos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잉크 노즐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제 인쇄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rality of ink nozzles are disposed inside the reces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KR1020217011051A 2018-10-31 2019-10-17 tablet printing device KR1024209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05442 2018-10-31
JP2018205442A JP7103918B2 (en) 2018-10-31 2018-10-31 Tablet printing equipment
PCT/JP2019/040866 WO2020090495A1 (en) 2018-10-31 2019-10-17 Tablet pri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44A KR20210060544A (en) 2021-05-26
KR102420907B1 true KR102420907B1 (en) 2022-07-13

Family

ID=7046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51A KR102420907B1 (en) 2018-10-31 2019-10-17 tablet print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3918B2 (en)
KR (1) KR102420907B1 (en)
CN (1) CN112955327B (en)
WO (1) WO2020090495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4050A1 (en) 2002-11-13 2004-05-20 Ackley Machine Corporation Laser unit, inspection unit, method for inspecting and accepting/removing specified pellet-shaped articles from a conveyer mechanism, and pharmaceutical article
JP2017164488A (en) 2016-03-09 2017-09-2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17205384A (en)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写真化学 Tablet pri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1885A1 (en) * 2015-03-26 2016-09-29 京セラ株式会社 Flow path member, liquid ejection hea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w path member
WO2016171119A1 (en) 2015-04-21 2016-10-27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18154062A (en) * 2017-03-21 2018-10-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Ink-jet printing device and ink-jet pr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4050A1 (en) 2002-11-13 2004-05-20 Ackley Machine Corporation Laser unit, inspection unit, method for inspecting and accepting/removing specified pellet-shaped articles from a conveyer mechanism, and pharmaceutical article
JP2017164488A (en) 2016-03-09 2017-09-2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17205384A (en)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写真化学 Tablet prin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44A (en) 2021-05-26
JP2020069106A (en) 2020-05-07
WO2020090495A1 (en) 2020-05-07
CN112955327A (en) 2021-06-11
JP7103918B2 (en) 2022-07-20
CN112955327B (en)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9601A1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KR102261256B1 (en) Convey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JP5271837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4479649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5141711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H0248958A (en) Ink jet recording device
WO2018096860A1 (en) Transport device, prin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JP2005103781A (en) Inkjet printer
KR102420907B1 (en) tablet printing device
JP2009119652A (en) Image forming device
JP5293540B2 (en) Liquid discharge head
JP4543682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11479043B2 (en)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by discharging ink to an upper surface of a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n elongated strip
JP6401967B2 (en) Liquid ejection device
KR102221693B1 (en) Droplet discharge measurement apparatus
JP5244767B2 (en) Waste liquid recovery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5585507B2 (en) Liquid ejection device
JP3125478U (en) Inkjet head cap device
JP7166967B2 (en) Maintenance unit and inkjet printer
JP7067199B2 (en) Image forming device
JP6541495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5787932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7074747A (en) Recording device
JP2021122558A (en) Tablet printer, maintenance method of tablet printer
JP2013151068A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