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746B1 - 수전 - Google Patents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746B1
KR102420746B1 KR1020210159397A KR20210159397A KR102420746B1 KR 102420746 B1 KR102420746 B1 KR 102420746B1 KR 1020210159397 A KR1020210159397 A KR 1020210159397A KR 20210159397 A KR20210159397 A KR 20210159397A KR 102420746 B1 KR102420746 B1 KR 10242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fixing part
lower cap
cap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선
Original Assignee
박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선 filed Critical 박장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핸들의 조작으로 카트리지모듈에서 냉온수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설치되는 내관에 외관 및 캡을 결합하여 설치면에 설치시, 외관 및 하부캡이 내관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삽입 후 수형이동하여 걸림결합되도록 내관의 하부 외주면에 외관고정부 및 하부캡고정부를 설치하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Faucet}
본 발명은 수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핸들의 조작으로 카트리지모듈에서 냉온수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설치되는 내관에 외관 및 캡을 결합하여 설치면에 설치시, 외관 및 하부캡이 내관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삽입 후 수평이동하여 걸림결합되도록 내관의 하부 외주면에 외관고정부 및 하부캡고정부를 설치하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에는 핸들의 조작만으로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수전이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수전은 설치면(7)에 고정설치되는 공급관으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아, 핸들(6)의 조작으로 외관(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관(10)에 설치되는 카트리지모듈(50)에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어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면에 설치되는 상기 수전을 구성하는 내관(10), 외관(20) 및 캡(30, 40)은 서로 다양한 결합구성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수전의 결합구성에 대해서는 공개특허 제10-2016-0142205호(2016.12.12.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474992호(2014.10.22.등록), 등록특허 제10-1286410호(2013.07.09.등록), 공개특허 제10-2016-0121838호(2016.10.21.공개) 에서 다양하게 소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142205호(2016.12.12.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474992호(2014.10.22.등록) 등록특허 제10-1286410호(2013.07.09.등록) 공개특허 제10-2016-0121838호(2016.10.21.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간결하고 단순한 구성을 통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성을 제공하여 기술적 풍부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돌기와 홈의 단순한 구성을 통해 결합될지라도, 결합을 목적으로 하는 구성 간끼리 돌기와 홈의 크기 및/또는 높낮이를 달리 적용하여, 하나의 결합구성과 다른 하나의 결합구성 간에는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숙련도와는 무관하게 어느 누구라도 결합구성이 용이한 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전은 내부에 냉온수를 조절하는 카트리지모듈이 구비되는 내관과, 상기 카트리지모듈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관의 외형을 구성하는 외관을 포함하는 수전에 있어서, 상기 내관은 하부의 외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출입홈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이동홈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외관고정부 및 하부캡고정부가 양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관은 하부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외관돌기가 상기 외관고정부의 수직출입홈으로 진입하여 상기 수평이동홈으로 회전이동하여 걸림결합되며; 상기 하부캡고정부에는 하부캡돌기를 내주면에 구비한 하부캡이 상기 수직출입홈으로 진입하여 상기 수평이동홈에 회전이동하여 걸림결합되며; 상기 내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륜나선에는 상부캡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관고정부의 수직출입홈의 수평방향 길이인 관출입홈폭 및 상기 하부캡고정부의 수직출입홈의 수평방향 길이인 캡출입홈폭은 서로 그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출입홈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외관돌기는 그 수평방향 길이인 외돌기폭이 상기 캡출입홈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고정부의 수직출입홈에 진입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단의 상측으로 상기 하부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관고정부의 수직출입홈은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인 관출입홈높이가, 상기 지지단에서 상기 하부캡돌기의 하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인 캡단높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이 상기 외관고정부에 결합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고정부는 외관고정부를 구성하는 상기 수평이동홈의 수직방향 길이인 관이동홈높이가 상기 외관돌기의 수직방향 길이인 외돌기높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관이 상기 내관에 대해 상기 관이동홈높이와 상기 외돌기높이의 차이인 승강공간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관에 결합되는 외관 및 하부캡을 삽입 후 회전이동하여 걸림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누구라도 용이하게 조립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관에 결합되는 외관의 결합구성과, 내관에 결합되는 하부캡의 결합 구성을, 동일한 돌기와 홈의 결합구성으로 적용하되, 돌기와 홈의 크기 및/또는 높낮이를 달리하여 서로 교차결합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의 설치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내관의 평면/정면/측면/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수전의 하부캡 결합설치 개념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상부캡의 압박고정에 따른 수전에 결합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 수전은 결합관(8)에 내장되는 공급관(미도시)으로부터 냉수 및/또는 온수를 공급받은 유체인 물을 핸들(60)의 조작으로 카트리지모듈(50)에서 냉온수를 조절하여 배출하는 구성이 설치되는 내관(10)에 외관(20) 및 하부캡(30)이 결합되어 설치면(7)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내관의 상부에는 상부캡(40)이 결합설치된다.
상기 카트리지모듈(50)에서 혼합된 혼합수는 배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배출수단은 샤워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내관(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관고정부(11)에 상기 외관(20)의 외관돌기(21)가 걸림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관(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부캡고정부(12)에 상기 하부캡(30)의 하부캡돌기(31)가 걸립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10)의 일측면에는 측개방구(15)가 형성되어 혼합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내관(1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모듈안착공(14)에 상기 카트리지모듈(50)이 안착되면, 카트리지캡(52)이 나사결합되어 카트리지모듈(50)을 내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모듈안착공(14)은 도 2 및 도 3(A)처럼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모듈(50)의 하부에는 상기 모듈안착공(14)에 삽입결합되는 모듈결합부(5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관(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륜나선(13)이 형성되며, 상기 외륜나선(13)에 상부캡(40)이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캡(40)이 상기 내관(10)의 외륜나선(13)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내관(10)을 감싸고 있는 상기 외관(20)의 상단이 상기 상부캡(40)의 하단에 압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내관(10)은 하부 내주면에 구비된 내륜나선(16)이 설치면(7)에 설치되는 결합관(8)에 나사결합하는 관체형태이다. 이러한 내관(10)의 하부 외주면 상에는 외관고정부(11) 및 하부캡고정부(12)가 각기 방향을 달리하여 홈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방향을 달리하여 설치된다는 것은, 상기 외관고정부(11)와 상기 하부캡고정부(12)가 서로 중첩됨이 없이 상기 내관(10)의 외주면 하단부에 개별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기에 외관고정부(11)와 하부캡고정부(12)는 후술할 각 구성이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또는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처럼 외관고정부(11)의 반대쪽에 하부캡고정부(12)가 설치된다.
도 3(D)와 같이, 상기 외관고정부(11)는 상기 내관(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직출입홈(111) 및 수평이동홈(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출입홈(111)은 상기 내관(10)의 하단면 중 외부테두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내관(10)의 외주면 벽에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수직출입홈(11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상기 수평이동홈(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홈(112)은 상기 수직출입홈(11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은 관형태인 상기 내관(10)의 하단면 중 바깥테두리의 일부에 수평방향의 폭으로 형성되는 홈이, 하단면과 수직한 내관(10)의 외주면 벽에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관출입홈폭(111w)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내관(10)의 높이방향인 외주면 벽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관출입홈폭(111w)의 전체길이가 수직출입홈(111)의 높이인 관출입홈높이(111h)가 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평이동홈(112)은 수직방향의 길이인 관이동홈높이(112h)를 갖는다.
도 3(B)와 같이, 상기 하부캡고정부(12) 또한 상기 외관고정부(11)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관(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직출입홈(121) 및 수평이동홈(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출입홈(121)은 상기 내관(10)의 하단면 외부테두리에서 시작하여 내관(10)의 외주면 벽에 수직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때, 당연하게도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과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상기 수평이동홈(122)이 수직출입홈(121)의 일측 또는 양측을 향해 일체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은 관형태인 상기 내관(10)의 하단면 중 바깥테두리의 일부에 수평방향의 폭으로 형성되는 홈이, 하단면과 수직한 내관(10)의 외주면 벽에 일정한 폭을 유지하여 캡출입홈폭(121w)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내관(10)의 높이방향인 외주면 벽에 연장형성되는 상기 캡출입홈폭(121w)의 전체길이가 수직출입홈(121)의 높이인 캡출입홈높이(121h)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외관고정부(11)와 상기 하부캡고정부(12)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상기 외관고정부(11)에 상기 외관(20)이 결합되었을 때, 외관(20)의 하단으로 상기 하부캡고정부(12)가 노출된다는 것이다. 이 같은 특징으로 인해, 도 4 및 도 5에서 처럼 상기 내관(10)의 외관고정부(11)에 외관(20)이 걸림결합되더라도, 외관(2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하부캡고정부(12)에 상기 하부캡(30)을 걸림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내관(10)의 외관고정부(11)에 상기 외관돌기(21)를 이용해 외관(20)이 걸림결합된 후, 외관(2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내관(10)의 하부캡고정부(12)에 하부캡(30)이 원할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하부캡(30)의 하부캡돌기(31)가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으로 삽입된 후 이동하여 수평이동홈(122)을 향해 방향전환하여 걸림고정될 때,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작업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공간은 후술할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평이동홈(112) 내에 마련되는 승강공간(112s)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관고정부(11)의 관출입홈폭(111w)은,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캡출입홈폭(121w)과 서로 그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출입홈폭(111w)의 길이가 상기 캡출입홈폭(121w)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관고정부(11)의 관출입홈폭(111w)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외관돌기(21)는 그 수평방향 길이인 외돌기폭(21w)이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캡출입홈폭(121w)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관돌기(21)는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에는 진입할 수 없고, 오로지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으로만 진입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은 수전의 설치작업이 서툰 미숙련자나, 또는 수전의 하부 작업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작업환경에서도 누구나 쉽게 수전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처럼 상기 하부캡(30)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기 하부캡돌기(31)가 돌출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는 상기 내관(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3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도 3과 같이,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의 관출입높이는, 상기 하부캡(30)의 지지단(32) 상단에서 하부캡돌기(31)의 하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인 캡단높이(30h)를 초과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관출입높이가 상기 캡단높이(30h)를 초과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하부캡돌기(31)가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으로 진입하더라도, 외관고정부(11)의 수평이동홈(112)으로 진입될 수 없기 때문에 하부캡돌기(31)와 외관고정부(11) 간의 걸림결합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하부캡돌기(31)는 상기 하부캡고정부(12)에만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수전의 설치작업이 서툰 미숙련자나, 또는 수전의 하부 작업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작업환경에서도 누구나 쉽게 수전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내관(10)은 내주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륜나선(16)이 설치면(7)에 설치되는 결합관(8)에 고정결합된다. 그런데 상기 외관고정부(11) 및 상기 하부캡고정부(12)는 각 수직출입홈(121)이 내관(10)의 하단에서 홈형태로 시작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내관(10)에 결합되는 상기 외관(20)의 외관돌기(21)와 상기 하부캡(30)의 하부캡돌기(31)는 내관(1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진입하면서 결합된다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외관(20)에 내관(10)이 삽입되면서 외관돌기(21)와 외관고정부(11)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 하부캡고정부(12)에 하부캡(30)이 상향하면서 결합된다. 이때, 내관(10)의 내륜나선(16)에는 결합관(8)이 결합되어야 한다. 그런데 내관(10)과 결합관(8)이 먼저 결합되면, 내관(10)의 하부에서 상향 진입하여야 하는 외관(20)과 하부캡(30)은 내관(10)에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외관(20)과 하부캡(30)을 결합관(8)의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내관(10)에 결합관(8)을 먼저 결합한 후 내관(10)에, 외관(20)과 하부캡(30)을 걸림결합시켜야 한다. 이러한 결합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내관(10)의 하부에는 작업공간이 충분하게 마련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평이동홈(112)의 수직방향 길이인 관이동홈높이(112h)를, 상기 외관돌기(21)의 수직방향 길이인 외돌기높이(21h)를 초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이동홈높이(112h)는 상기 외돌기높이(21h)의 1.5배 ∼ 2.5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관이동홈높이(112h)가 외돌기높이(21h) 보다 1.5배 내지 2.5배 높게 형성됨에 따라, 도 3(D)에서 처럼 상기 외관돌기(21)가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평이동홈(112)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수평이동홈(112)에는 관이동홈높이(112h)와 외돌기높이(21h)의 차이만큼의 공간인 승강공간(112s)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공간(112s)은 상기 결합관(8)에 고정된 상기 내관(10)에 대해, 상기 외관(20)이 상하이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된다. 이러한 승강공간(112s)을 이용해 도 4와 같이, 외관(20)을 승강공간(112s)의 상단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캡고정부(12)에 상기 하부캡(30)을 걸림결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관(10)의 하부캡고정부(12)에 상기 하부캡(30)이 완전히 걸림결합되면, 내관(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외륜나선(13)에 상부캡(40)을 나사결합시킨다. 이렇게 상부캡(40)이 내관(10)의 외륜나선(13)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부캡(40)의 하단은 상기 외관(20)의 상단테두리를 압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관(20)이 하강하여 상기 외관돌기(21)는 상기 승강공간(112s)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외관(20)의 하단테두리가 상기 하부캡(30)의 상단과 접촉되면서 수전의 설치가 완료된다.
10: 내관
11: 외관고정부 111: 수직출입홈
111h: 관출입홈높이 111w: 관출입홈폭
112: 수평이동홈 112h: 관이동홈높이
112s: 승강공간
12: 하부캡고정부 121: 수직출입홈
121h: 캡출입홈높이 121w: 캡출입홈폭
122: 수평이동홈
13: 외륜나선 14: 모듈안착공
15: 측개방구 16: 내륜나선
20: 외관 21: 외관돌기
21h: 외돌기높이 21w: 외돌기폭
30: 하부캡 31: 하부캡돌기
32: 지지단 30h: 캡단높이
40: 상부캡 50: 카트리지모듈
51: 모듈결합부 52: 카트리지캡
60: 핸들
7: 설치면 8: 결합관

Claims (4)

  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 설치되는 내관(10)의 외형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외관(20)을 포함하는 수전에 있어서,
    상기 내관(10)의 하부 외주면 양쪽에는 하단으로부터 수직한 수직출입홈(111,121)의 상단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연결되는 수평이동홈(112,122)이 구비되는 외관고정부(11) 및 하부캡고정부(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외관돌기(21)를 이용해 상기 외관고정부(11)에 걸림결합되는 상기 외관(2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하부캡고정부(12)에는 내주면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하부캡돌기(31)를 이용해 하부캡(30)이 걸림결합되되,
    상기 외관고정부(11)를 구성하는 상기 수평이동홈(112)의 수직방향 길이인 관이동홈높이(112h)가 상기 외관돌기(21)의 수직방향 길이인 외돌기높이(21h)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관(20)이 상기 내관(10)에 대해 상기 관이동홈높이(112h)와 상기 외돌기높이(21h)의 차이인 승강공간(112s)을 상하이동하여 상기 외관돌기(21)가 상기 수평이동홈(112)의 상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외관(20)의 하단으로 상기 하부캡고정부(12)가 노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의 수평방향 길이인 관출입홈폭(111w) 및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의 수평방향 길이인 캡출입홈폭(121w)은 서로 그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관출입홈폭(111w)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외관돌기(21)는 상기 하부캡고정부(12)의 수직출입홈(121)에 진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3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관(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32)이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단(32)의 상측으로 상기 하부캡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외관고정부(11)의 수직출입홈(111)은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인 관출입홈높이(111h)가, 상기 지지단(32)에서 상기 하부캡돌기(31)의 하단까지의 수직방향 길이인 캡단높이(30h)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30)이 상기 외관고정부(11)에 결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수전.
  4. 삭제
KR1020210159397A 2021-11-16 2021-11-18 수전 KR102420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7160 2021-11-16
KR1020210157160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746B1 true KR102420746B1 (ko) 2022-07-14

Family

ID=824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397A KR102420746B1 (ko) 2021-11-16 2021-11-18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4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459A1 (en) * 2003-03-19 2004-09-23 Clack Corporation Faucet
KR200403202Y1 (ko) * 2005-09-13 2005-12-09 송병규 수전용 외장커버의 설치구조
KR20100011548U (ko) * 2009-05-19 2010-11-29 박상태 조립성이 개선된 수도꼭지 어셈블리
KR20130003744A (ko) * 2011-07-01 2013-01-09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86410B1 (ko) 2011-07-28 2013-07-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KR200474992Y1 (ko) 2012-10-22 2014-11-03 김용문 온 냉수 혼합수전
KR2016012183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디아 시트 일체형 수전
KR20160142205A (ko) 2015-06-02 2016-12-12 홍기 원홀 핸드스프레이형 수도꼭지의 하부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2459A1 (en) * 2003-03-19 2004-09-23 Clack Corporation Faucet
KR200403202Y1 (ko) * 2005-09-13 2005-12-09 송병규 수전용 외장커버의 설치구조
KR20100011548U (ko) * 2009-05-19 2010-11-29 박상태 조립성이 개선된 수도꼭지 어셈블리
KR20130003744A (ko) * 2011-07-01 2013-01-09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KR101286410B1 (ko) 2011-07-28 2013-07-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KR200474992Y1 (ko) 2012-10-22 2014-11-03 김용문 온 냉수 혼합수전
KR20160121838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디아 시트 일체형 수전
KR20160142205A (ko) 2015-06-02 2016-12-12 홍기 원홀 핸드스프레이형 수도꼭지의 하부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8390B1 (en) A concealed flow regulator
US6659124B2 (en) Side spray mounting with collapsible insert
KR102420746B1 (ko) 수전
US6631525B2 (en) Washing platform
CN206448346U (zh) 一种集成卫浴防水底盘及其组合模具
JP2012219508A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AU2002342142A1 (en) Washing platform
CN210077494U (zh) 一种浴缸
EP2287410B1 (en) Siphon accessible to plumbing snake via feed opening
KR200432950Y1 (ko) 창의 외측 판면으로 세척액 분사가 가능한 창틀 및 이를채용한 유리창
KR200273237Y1 (ko) 배관 내장형 저장탱크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210156108A (ko) 물 토출량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수전용 절수장치
CN215483381U (zh) 一种免打孔蹲便器
CN214784577U (zh) 同层排水地漏
CN219773148U (zh) 一种安装方便的地漏
KR102210116B1 (ko) 세면기 수전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CN210871239U (zh) 一种用于热水器的花洒及淋浴屏
US11332949B2 (en) Pool drain suction outlet fitting
CN215112615U (zh) 分火器、燃烧器和燃气灶
CA3065017C (en) Double shower device
CN219491235U (zh) 一种地漏
CN211499124U (zh) 一种墙角型地漏
CN216616156U (zh) 一种明暗两用地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