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570B1 -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570B1
KR102420570B1 KR1020210144224A KR20210144224A KR102420570B1 KR 102420570 B1 KR102420570 B1 KR 102420570B1 KR 1020210144224 A KR1020210144224 A KR 1020210144224A KR 20210144224 A KR20210144224 A KR 20210144224A KR 102420570 B1 KR102420570 B1 KR 10242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ng
heat
frame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형
Original Assignee
김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형 filed Critical 김수형
Priority to KR102021014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using fluids, e.g. gas str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프레셔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용하여 동절기 실내 보온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컴프레셔로부터 열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수직 덕트;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외로 유도하는 제1 분기관; 및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열기가 필요한 실내로 유도하는 제2 분기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Compressor-Generated Thermal Cir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프레셔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용하여 동절기 실내 보온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의작업장,창고,실험실등,다양한분야및다양한장소는옥내환경을그중에서도옥내공기의온도, 습도 및 청정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캡 도색장치는 일반 공조시스템과 달리 도료의 분사 과정에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고자 컴프레셔를 구비하고 있는데, 압축 공기의 생성을 위한 흡기부를 구비하고, 흡기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컴프레셔를 통해 압축한 다음 분사하여 도료가 일정 방향으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강제함으로써 도료의 비산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캡 도색장치의 공조시스템에서, 압축 공기의 온도가 실온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또는 동절기와 같이 실온이 낮은 경우 등과 같이, 공조시스템이 압축 공기의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해 압축 공기를 가열하여 압축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공조시스템은 적절한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에너지원(전기 또는 석탄, 석유 등의 연료 등)을 연소함으로써 압축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종래의 공조시스템의 경우 가열을 위해 에너지원을 소모하는 것은 그 자체로 에너지 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열기 공급을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469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컴프레셔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용하여 동절기 실내 보온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컴프레셔로부터 열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수직 덕트;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외로 유도하는 제1 분기관; 및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열기가 필요한 실내로 유도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은, 상기 제1 분기관에 설치되어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분기관에 설치되어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기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회전형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형 개폐부는, 직립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통과 날개; 상기 제1 통과 날개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2 통과 날개; 상기 제1 통과 날개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키는 제1 차단 날개; 및 상기 제1 차단 날개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 차단 날개와 함께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키는 제2 차단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형 개폐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 통과 날개, 상기 제2 통과 날개, 상기 제1 차단 날개 및 상기 제2 차단 날개로 이루어지며, 제1 차단 날개와 상기 제2 차단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입구와 후단 출구에 각각 배치되고 제1 통과 날개와 상기 제2 통과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여 제1 차단 날개와 상기 제2 차단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과 날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측면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날개 프레임; 상기 날개 프레임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날개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집진 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날개 프레임을 회전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의 전단 및 후단에 상기 날개 프레임의 더 이동을 막기 위한 전단 방지턱 및 후단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과 날개는, 상기 날개 프레임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 필터를 진동시켜 상기 집진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제거부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 후단이 상기 날개 프레임의 일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슬라이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후단이 상기 날개 프레임의 타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슬라이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집진 필터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슬라이딩 바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 필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세로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 필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세로 프레임;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일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제1 세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타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제2 타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타격부는,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일측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하우징;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면 상기 후단 하우징으로 수납되고,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 세로 프레임을 타격하여 상기 제1 세로 프레임을 진동시켜 주는 타원형 헤드; 및 상기 타원형 헤드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타원형 헤드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헤드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컴프레셔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용하여 동절기 실내 보온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통과 날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하우징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제1 통과 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타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10)은, 수직 덕트(100), 제1 분기관(200) 및 제2 분기관(300)을 포함한다.
수직 덕트(10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컴프레셔(P)로부터 열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어 컴프레셔(P)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제1 분기관(200) 및 제2 분기관(300)이 설치되는 상측 방향으로 유도한다.
제1 분기관(200)은, 수직 덕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직 덕트(10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외로 유도한다.
제2 분기관(300)은, 수직 덕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직 덕트(100)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열기가 필요한 실내로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10)은, 컴프레셔의 구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용하여 동절기 실내 보온에 활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20)은, 수직 덕트(100), 제1 분기관(200), 제2 분기관(300), 제1 개폐부(400) 및 제2 개폐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덕트(100), 제1 분기관(200) 및 제2 분기관(3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개폐부(400)는, 제1 분기관(200)에 설치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열기의 흐름을 개폐한다.
제2 개폐부(500)는, 제2 분기관(300)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열기의 흐름을 개폐한다.
여기서, 제1 개폐부(400) 및 제2 개폐부(500)는, 제1 분기관(200) 및 제2 분기관(300)의 공기 이동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면 자동식 또는 수동식, 개폐 날개 구조 등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20)은, 실외 또는 실내로 공급되는 열기를 효과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동절기 불필요하게 열기가 실외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절기 열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가 과도하게 더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제1 개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400a)는, 하우징(410) 및 회전형 개폐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분기관(300)은,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400a)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400a)의 하우징(410) 및 회전형 개폐부(42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410)은,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분기관(200)에 설치되며, 내측에 회전형 개폐부(420)가 연결 설치된다.
회전형 개폐부(420)는, 하우징(410)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징(410)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개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형 개폐부(420)는, 회전축(421), 제1 통과 날개(422), 제2 통과 날개(423), 제1 차단 날개(424) 및 제2 차단 날개(4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21)은, 직립되어 하우징(4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제1 통과 날개(422), 제2 통과 날개(423), 제1 차단 날개(424) 및 제2 차단 날개(425)가 "+" 형태로 서로 직각되도록 설치된다.
제1 통과 날개(422)는, 제2 통과 날개(423)와 직선을 이루면서 회전축(421)의 일측에 설치되며, 하우징(410)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킨다.
제2 통과 날개(423)는, 제1 통과 날개(422)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축(421)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하우징(410)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킨다.
제1 차단 날개(424)는, 제1 통과 날개(422)와 직각을 이루는 동시에 제2 차단 날개(425)와 직선을 이루면서 회전축(421)의 측면에 설치되어 회전축(42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하우징(410)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킨다.
제2 차단 날개(425)는, 제1 차단 날개(424)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축(42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회전축(42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제1 차단 날개(424)와 함께 하우징(410)을 밀폐시켜 하우징(410)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형 개폐부(420)는,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통과 날개(422), 제2 통과 날개(423), 제1 차단 날개(424) 및 제2 차단 날개(425)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 날개(424)와 제2 차단 날개(425)가 하우징(410)의 전단 입구와 후단 출구에 각각 배치되고 제1 통과 날개(422)와 제2 통과 날개(423)가 하우징(410)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기를 통과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21)이 회전하여 제1 차단 날개(424)와 제2 차단 날개(425)가 하우징(410)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 차단 날개(424) 및 제2 차단 날개(425)에 의해 열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1 통과 날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과 날개(600)는, 날개 프레임(610), 집진 필터(620) 및 프레임 구동 기어(630)를 포함한다.
날개 프레임(610)은, 회전축(421)과 하우징(410)의 일측 내측면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회전축(421)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집진 필터(620)가 설치되고, 하우징(410)의 일측 내측면과 대향하는 단부에 프레임 구동 기어(630)가 설치된다.
집진 필터(620)는, 날개 프레임(610)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날개 프레임(610)의 내측에 설치된다.
프레임 구동 기어(630)는, 하우징(410)의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R)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날개 프레임(610)의 단부에 설치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동절기 아침 8시부터 1시간 등)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하우징(410)의 일측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날개 프레임(610)을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410)은,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의 전단 및 후단에 날개 프레임(610)의 더 이동을 막기 위한 전단 방지턱(B1) 및 후단 방지턱(B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과 날개(600)는, 콤프레셔(P)로부터 공급되는 열기는 안정적으로 통과시켜 주는 동시에, 콤프레셔(P)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 등의 먼지를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공기가 실내 또는 실외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제1 통과 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과 날개(600a)는, 날개 프레임(610), 집진 필터(620), 프레임 구동 기어(630) 및 먼지 제거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날개 프레임(610), 집진 필터(620) 및 프레임 구동 기어(63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지 제거부(700)는, 날개 프레임(610)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집진 필터(620)를 진동시켜 집진 필터(62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먼지 제거부(700)는, 슬라이딩 바아(710), 제1 세로 프레임(720), 제2 세로 프레임(730), 제1 타격부(740) 및 제2 타격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아(71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 후단이 날개 프레임(610)의 일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슬라이딩홈(S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후단이 날개 프레임(610)의 타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슬라이딩홈(S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집진 필터(620)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제1 세로 프레임(720)은,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철판 등으로 제작되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집진 필터(6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2 세로 프레임(730)은,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철판 등으로 제작되며,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집진 필터(620)의 타측에 설치된다.
제1 타격부(740)는, 제1 세로 프레임(720)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바아(710)의 일측 후단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바아(710)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제1 세로 프레임(720)을 반복적으로 타격한다.
제2 타격부(750)는, 제2 세로 프레임(730)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바아(710)의 타측 후단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바아(710)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제2 세로 프레임(730)을 반복적으로 타격한다.
즉, 제1 세로 프레임(720)과 제2 세로 프레임(730)은, 제1 타격부(740)와 제2 타격부(750)에 의해 반복적으로 타격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집진 필터(620)로 전달함으로써, 집진 필터(62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이 해당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여 집진 필터(620)의 집진 성능이 보다 오래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1 타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타격부(740)는, 후단 하우징(741), 타원형 헤드(742) 및 헤드 회전 모터(743)을 포함한다.
후단 하우징(741)은, 타원형 헤드(742)가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세로 프레임(720)과 대향하는 슬라이딩 바아(710)의 일측 후단에 형성된다.
타원형 헤드(742)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후단 하우징(7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세로 프레임(720)과 수평을 이루면 후단 하우징(741)으로 수납되고, 제1 세로 프레임(720)과 직각을 이루면서 제1 세로 프레임(720)을 타격하여 제1 세로 프레임(720)을 진동시켜 준다.
헤드 회전 모터(743)는, 타원형 헤드(742)에 연결 설치되어 타원형 헤드(742)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20: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100: 수직 덕트
200: 제1 분기관
300: 제2 분기관
400: 제1 개폐부
500: 제2 개폐부

Claims (3)

  1.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컴프레셔로부터 열이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상측 방향으로 유도하는 수직 덕트;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실외로 유도하는 제1 분기관;
    상기 수직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열기를 열기가 필요한 실내로 유도하는 제2 분기관;
    상기 제1 분기관에 설치되어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분기관에 설치되어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전후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기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회전형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개폐부는,
    직립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통과 날개;
    상기 제1 통과 날개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2 통과 날개;
    상기 제1 통과 날개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키는 제1 차단 날개; 및
    상기 제1 차단 날개와 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 차단 날개와 함께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켜 상기 하우징을 경유하고 이동하는 열기를 차단시키는 제2 차단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개폐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1 통과 날개, 상기 제2 통과 날개, 상기 제1 차단 날개 및 상기 제2 차단 날개로 이루어지며, 제1 차단 날개와 상기 제2 차단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입구와 후단 출구에 각각 배치되고 제1 통과 날개와 상기 제2 통과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여 제1 차단 날개와 상기 제2 차단 날개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체와 타측 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기를 차단시키며,
    상기 제1 통과 날개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측면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ㅁ" 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날개 프레임;
    상기 날개 프레임의 내측을 통과하는 열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날개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집진 필터;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날개 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날개 프레임을 회전시켜 주는 프레임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측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의 전단 및 후단에 상기 날개 프레임의 더 이동을 막기 위한 전단 방지턱 및 후단 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과 날개는,
    상기 날개 프레임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 필터를 진동시켜 상기 집진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 제거부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 후단이 상기 날개 프레임의 일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슬라이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타측 후단이 상기 날개 프레임의 타측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슬라이딩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집진 필터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슬라이딩 바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 필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세로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집진 필터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세로 프레임;
    상기 제1 세로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일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제1 세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제1 타격부; 및
    상기 제2 세로 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타측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아가 상하 구동됨에 따라 함께 구동되어 상기 제2 세로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제2 타격부;를 포함하는,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44224A 2021-10-27 2021-10-27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KR10242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24A KR102420570B1 (ko) 2021-10-27 2021-10-27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24A KR102420570B1 (ko) 2021-10-27 2021-10-27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570B1 true KR102420570B1 (ko) 2022-07-13

Family

ID=8240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224A KR102420570B1 (ko) 2021-10-27 2021-10-27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5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99B1 (ko) 2009-03-18 2011-03-25 청아공조(주) 공조 시스템
JP6808823B2 (ja) * 2017-04-24 2021-01-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圧縮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99B1 (ko) 2009-03-18 2011-03-25 청아공조(주) 공조 시스템
JP6808823B2 (ja) * 2017-04-24 2021-01-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圧縮機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6343B2 (en) Air conditioner
KR101123316B1 (ko) 공기조화기
KR101295170B1 (ko) 좁은 슬릿 노즐 조립체에 의한 송풍장치
CN203385090U (zh) 新风空调pm2.5净化自动清洗装置
CN102460031B (zh) 空调机
KR101939616B1 (ko)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KR102420570B1 (ko) 컴프레셔 발생 열 순환 시스템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TWI263022B (en) Air circulation device
CN208874426U (zh) 钻机用大功率电机的风冷系统
CN106196283A (zh) 一种厨房用分体式空调器
CN207230745U (zh) 空调室内机及空调机组
CN1304791C (zh) 空调机
KR100788811B1 (ko) 공기조화기
CN207122956U (zh) 一种便于快速清理除尘网的取暖器
KR20060109161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 장치
KR20200064276A (ko) 양면 선풍기
CN214660991U (zh) 一种适用于无尘车间空气净化器的风机
CN211903772U (zh) 一种多重加热的窑炉用预热装置
CN215637617U (zh) 空调器
CN2422565Y (zh) 无油脂积垢排风扇
CN206866847U (zh) 吹风机及其吹嘴组件
KR100577370B1 (ko) 공조기능을 갖춘 김치저장고
KR10116216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