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214B1 -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214B1
KR102420214B1 KR1020200184464A KR20200184464A KR102420214B1 KR 102420214 B1 KR102420214 B1 KR 102420214B1 KR 1020200184464 A KR1020200184464 A KR 1020200184464A KR 20200184464 A KR20200184464 A KR 20200184464A KR 102420214 B1 KR102420214 B1 KR 102420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s
cond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95A (ko
Inventor
김언숙
Original Assignee
김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언숙 filed Critical 김언숙
Priority to KR102020018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은 판매 대상 상품의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보여지도록,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Commodity transaction brokerage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특정한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동화 기기 등)의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전자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의 대중화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발전을 촉진시켰으며, 이를 통해, 종래 오프라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소비패턴은, 점차적으로 온라인(on-line)으로 옮겨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트렌드의 변화에 맞추어, 요식업과 같은 서비스의 특성상 오프라인(off-line)에 기반을 둔 산업 분야 역시,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마케팅을 통하여 고객을 유치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음식 배달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 또한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음식 등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상품 및 가격을 정하고, 이를 판매점의 메뉴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게시한다. 소비자는 메뉴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게시된 상품 및 가격을 보고 상품을 주문한다. 예를 들어 요식업의 경우, 음식점 주인은 판매 음식 및 가격을 정하고, 이를 음식점의 메뉴판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게시한다. 소비자는 메뉴판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보고 음식을 주문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2-0017270호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배달 구매 예약시스템 및 그 구매 예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역시, 판매자가 정한 상품 및 가격이 애플리케이션에 게시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상품 거래 방법은, 판매자가 소비자의 수요를 미리 예측하기 어려워, 판매자는 보다 많은 상품 및 재료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판매자는 상품에 대한 손실 비용(loss cost) 및 증가되는 노동 시간에 대한 문제를 떠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적인 상품 거래 방법은, 판매자가 소비 타겟층을 파악하기 어려워, 광범위한 홍보를 감행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판매자는, 높은 홍보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또한, 잘못된 홍보 방법을 수행하면, 판매자의 매출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판매자가 판매 수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을 소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특정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판매자 및 소비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은, 판매 대상 상품의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보여지도록,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 생성 요청은, 희망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는, 서로 다른 상기 판매자 단말기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희망 조건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판매 조건 정보는,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가격, 종류, 지역 및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후보 판매자 단말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와,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수신된 것이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소비자 단말기로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구매를 권유하는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보여지는 경우,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은, 상기 판매 조건 정보가, 상기 “일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시”가 종료되는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은, 판매 대상 상품의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보여지도록,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이 소비자 단말기에 노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할 수 있어, 상품에 대한 손실 비용(loss cost) 및 노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특정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만이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 되도록 구혐됨으로써, 소비자에게 신뢰도를 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품 거래의 중개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의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판매자 단말기 측에서 판매 대상 상품 정보의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 측에서 상품에 대한 구매 예약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 측에서 예약권에 대한 교환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 측에 제공되는 구매 이력 확인 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중개 시스템”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상품 카테고리(410)하에서, 판매 대상 상품(511)에 대한 판매자(2) 및 소비자(1)의 구매를 중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매자(2)”는 상품을 제공하는 자를 의미하고, “판매자 단말기(20)”는 판매자(2)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매자(2)”와 “판매자 단말기(20)”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소비자(1)”는 상품을 제공 받는 자를 의미하고, “소비자 단말기(10)”는 소비자(1)가 소지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비자(1)”, “소비자 단말기(10) ”, “구매자” 또는 “고객”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 단말기이거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일 예 로서 도 1에서는 전자기기가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서 전자 기기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판매자(2)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은 판매자(2)가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여, 소비자(1)에게 제공하는 물질 또는 노동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품”은, 판매자(2)가 영위하는 사업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을 운영하는 판매자(2)라면, 상품의 종류는, “음식”과 관련될 수 있고, “교습소”를 운영하는 판매자(2)라면, 상품의 종류는, “학문, 예술 등을 가르치는 행위”와 관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판매 대상이 되는 “상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판매자(2)가 상품을 제공하는 곳을 “매장”이라고 통칭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판매자(2)가 상품을 i)소비자(1)에게 매장에서 제공하거나, ii)소비자(1)의 주소지로 배송하거나, iii)인터넷에 연결된 전자기기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판매 조건 정보(310)” 는 상품의 거래를 결정하기에 앞서 갖추어야 하는 상태나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매 조건 정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판매 조건 정보(310)”는 상품의 종류, 가격, 수량, 판매 지역, 판매 일시, 품질, 구매 시 부여되는 혜택, 인도 예정일 등 상품 거래와 관련되는 제반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판매자(2) 및 소비자(1)가 상품 거래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페이지와 같은 개념일 수 있다.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으로서, 상이한 판매 조건 정보(310)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어 상품 판매 페이지(510)도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따라 생성되고, 소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조건 정보(310)가 “일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지정된 “일시” 이전, 또는 지정된 “일시” 당일에 생성되고, 지정된 “일시” 이후에 소멸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판매자(2) 및 소비자(1)가 소지하는 단말기에 노출되는 페이지로서, 상품 판매 페이지(510)별로 생성될 수 있다.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판매 대상 상품(511)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매 조건 정보(310)가 “마곡동에서 판매되는 1인용 음식”인 경우, “마곡동에서 판매되는 1인용 음식 판매 페이지”의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는 마곡동에서 판매되는 국밥, 초밥, 햄버거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매 대상 상품(511)”은, 판매자(2)가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으로서, 판매 조건 정보(310)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판매 대상 상품(511)”은 “상품”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구매” 상품을 사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매 예약”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구매” 는 상품의 구매 계약을 체결할 것을 약속하는 예비적인 계약을 의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예약권(611)”은 소비자(1)가 상품의 구매 계약 체결 의사를 표시한 것에 대응하여 수령하는 것이다. 소비자(1)는 예약권(611)을 판매자(2)에게 제시하고, 예약권(611)을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예약권(611)은 QR코드(Quick Response Code) 이미지, 코드 이미지는 또는 바코드(barcode)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에서 판매자 단말기(20)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는 판매자(2)의 상품 거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는 판매자 단말기에서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방식을 통해 출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방식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팝업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는 시스템에서 소비자(1)에게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소비자(1)의 상품 거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구매 예약 권유 메시지는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방식을 통해 출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방식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팝업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을 이용한 상품 거래 중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매개체로 하여, 판매자(2) 및 소비자(1) 간의 상품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판매자(2) 및 소비자(1)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에 기 등록된 계정을 기반으로, 위의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과 연계된 페이지를 통해, 상품에 대한 거래와 관련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 또는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결제부(130) 및 제어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의 통신은, 소비자(1) 계정이 등록된(또는 로그인 된)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2) 계정이 등록된(또는 로그인 된) 판매자 단말기(20)와의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상품 거래 중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부(120)는,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 및 판매 조건 정보(310)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특정 매장의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 특정 매장에 대한 판매자 계정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따른 상품을 주문한 소비자 계정에 대한 정보가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매 정보는, 상기 특정 상품의 수량 정보, 가격 정보, 구매 예약일시, 서비스 제공 유형 정보,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20)는 구매 정보 뿐만 아니라, 소비자 계정과 연계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소비자 단말기(10)와 연계된 소비자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비자 히스토리 정보는,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주문된 상품에 대한 정보, 구매 일자에 대한 정보,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작성된 후기 정보 등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 에 대한 이용에 따라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20)에는, 판매자 단말기(20)와 관련된 판매자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매자 히스토리 정보는, 판매자 단말기(20)와 연계하여 판매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20)에는,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결제부(130)는,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예약된 상품에 대한 전자 결제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전자 결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재화에 대한 지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페이지 상에서,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 에 의해 제공되는 결제 프로세스에 의하여, 서비스에 대한 대가 지불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부(13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대금을 사전에 이전 받고, 상품 거래가 완료된 후 구매자 단말기(20)로 대금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전자 결제를 수행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에서,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결제부(130)는 제어부(140)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본 명세서에서 결제부(130)는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제부(130)의 구성을 구분하지 않고, 제어부(140)로 통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하고, 상품 판매 페이지(510)가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와 관련된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를 추출하고,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로 상품 거래의 참여를 유도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결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 및 판매자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비자(1) 및 판매자(2) 간의 상품 거래를 중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은 특정한 판매 조건 정보(310)에 따른 상품 판매 페이지(510) 내에서 판매자(2) 및 소비자(1)가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도 2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위의 설명을 참조하여, 도2 및 그 외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할 수 있다(S210).
판매 조건 정보(310)는, 상품의 거래를 결정하기에 앞서 갖추어야 하는 상태나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어부(14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ⅰ)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하거나, ⅱ)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하거나, ⅲ)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40)가,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은, 판매자(2)가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와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개설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해, 판매자(2)의 상품 판매 희망 의사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희망 조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희망 조건 정보는,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관련된 모든 조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2)가 판매하는 상품, 판매 지역, 판매 가격, 판매자가 제공하는 할인 혜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기 설정된 조건은,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동일하게 포함된 희망 조건 정보를 판매 조건 정보(310)로 특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개의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특정 판매 지역이 동일하게 포함되는 경우, 해당 특정 판매 지역을 판매 조건 정보(310)로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통신부(11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은, 소비자(1)가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와 대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개설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해, 소비자(1)의 상품 구매 희망 의사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희망 조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희망 조건 정보는, 소비자(1)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과 관련된 모든 조건 정보이다. 예를 들어, 소비자(1)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 소비자(1)의 거주 지역, 소비자(1)의 취향, 소비자(1)의 구매 패턴, 소비자(1)의 지출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기 설정된 조건은, 복수의 소비자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생성 요청에 동일하게 포함된 희망 조건 정보를 판매 조건 정보(310)로 특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0개의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특정 상품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상품을 판매 조건 정보(310)로 특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판매 페이지 생성 요청 및 희망 조건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들 근거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해 판매 조건 정보(310)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조건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하는 판매 대상 상품(511)의 과거 판매 수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익선동에서 과거에 판매된 커피머신이 200개 이상인 경우, 익선동 및 커피머신을 판매 조건 정보로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특정한 판매 조건 정보(310)는 도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상품의 가격(311), 종류(312), 거래 희망 지역(313), 거래 희망 일시(날짜(314) 및 시간(3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의 판매 조건 정보(310)는 특정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제어부(140)에 의해 특정되는 것으로서, 모든 판매 조건 정보(31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계속 해서 도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상품 판매 페이지(510)는, 판매자(2) 및 소비자(1)가 상품 거래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페이지와 같은 개념으로, 구매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가 업로드 되고, 소비자 단말기(10)측에서 접속되는 인터넷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포함된 판매 조건 인자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일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일시”의 시작일로부터 일정 기간 전에 또는 “일시”를 포함하는 당일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포함된 판매 조건 인자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소멸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일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일시”가 종료되는 때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후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을 소멸 시킬 수 있다.
도3 (b)를 참조하면, 판매 조건 인자(310)에 날짜(2020년 12월 8일)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2020년 12월 8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7일) 전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할 수 있으며, 2020년 12월 8일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일) 후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소멸시킬 수 있다.
도3 (c)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2020년 12월 01부터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7일) 전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생성할 수 있으며, 2020년 12월 31부터 기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일) 후에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소멸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소멸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상품 판매 페이(510)에 거래를 중개할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품 판매 페이지(510)를 소멸시킬 수 있다.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를 전송하는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가 생성되면, 판매 대상 상품(511)이 보다 많이 등록되도록,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와 관련 있는 판매자 단말기(20)를 모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후보 판매자 단말기를 추출하고,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후보 판매자 단말기는,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전송할 가능성이 높은 판매자 단말기(20)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데이터는, 판매자 단말기(20)의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 특정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과거 판매 데이터 및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품 판매 희망 의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후보 판매자 단말기를,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전송할 가능성이 높은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렬된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통신부(110)가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거래 중개에 필요한 충분한 상품을 확보하면, 판매자(1) 모집을 중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은,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방식을 통해 출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방식의 경우, 도 4(b)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팝업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를 수신한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를 생성할 수 있다. 상품 등록 페이지 페이지(430)는, 판매자 단말기(20) 측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페이지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는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 및 상품 정보 등록 연동 페이지(410)에 포함된 하이퍼링크(411)를 통해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에 접속될 수 있다.
상품 정보 등록 연동 페이지(410)는,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로 연동되는 하이퍼링크(411)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하이퍼링크(411)는, 판매 조건 정보(310)와 매칭되어, 판매 조건 정보(310) 마다 존재할 수 있다. 상품 정보 등록 연동 페이지(410)는 도 4(a) 에 도시된 것과 같다.
판매 정보 요청 메시지(420)도, 도 4(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로 연동되는 하이퍼링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특정 판매 조건 정보(310)와 매칭된 하이퍼링크에 대한 클릭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판매자 단말기(20)로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를 제공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판매자(2)는 판매자 단말기(20)에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가 노출되는 경우,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2)는, 도4(c)와 같이,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에 상호, 주소, 상품명 및 사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기(20)는 판매자(2)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을 입력 받아,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신부(110)는, 판매자 단말기(20)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수신하고(S230),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와 상품 판매 페이지(510)의 대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와, 판매 조건 정보(310)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와, 판매 조건 정보(310)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비교 결과에 따라,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가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별 코드가 판매 조건 정보(310)의 분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가 피자인 경우, 피자에 대응되는 식별코드(예를 들어, F10)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별 코드가 판매 조건 정보(310)의 분류 범위(예를 들어, 액세서리, A)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는,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지 않는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에 근거하여 수신된 것이면,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기(20)는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 추출되어,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를 수신한 경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420)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미도시)를 클릭하여,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로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소비자(1)는 상품 정보 등록 페이지(430)에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입력할 확률이 굉장히 큰 것에 근거하여, 제어부(140)는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처리하고,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31)를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되면, 업로드 된 판매 대상 상품(511)이 보다 많이 판매 되도록,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와 관련 있는 판매자 단말기(20)를 모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고, 후보 소비자 단말기로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후보 소비자 단말기는, 특정된 판매 조건 정보(310)에 대응되는 판매 대상 상품(511)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소비자 단말기(10)를 의미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데이터는, 소비자 단말기(10)의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 특정된 판매 대상 정보(310)와 관련된 과거 판매 데이터 및 소비자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상품 구매 희망 의사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과거 구매 건수가 동일한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동일한 후보 소비자 그룹으로 매칭시키고, 과거 구매 건수가 높은 순으로 후보 소비자 그룹을 정렬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과거 구매 건수가 높은 후보 소비자 그룹에 포함된 후보 소비자 단말기로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구매율이 높은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우선순위로 타겟팅 하여, 상품의 구매를 권유할 수 있다. 이는 거래 중개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1)들의 경쟁심을 유도하여, 소비자(1)들이 상품을 적극적으로 구매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된 모든 판매 대상 상품(511)에 대해 모두 구매 요청을 수신한 경우, 통신부(110)가 후보 소비자 단말기로, 상품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는,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방식을 통해 출력 될 수 있다. 시각적 방식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팝업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계속 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40)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된,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소비자 단말기(10)에 노출할 수 있다(S24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판매 조건 정보(310)에 근거하여,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업로드 하고, 소비자 단말기(10)측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소비자(1)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접속하여,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가, 후보 소비자 단말기에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판매 대상 상품(511)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타겟팅 하여,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노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특정 소비자 단말기(10)에, 특정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가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설정된 시간 만큼 노출된 경우, 해당 소비자 단말기(10)에, 해당 특정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소비자(1)의 구매 가능성이 낮은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의 노출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 소비자 단말기(10)측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검색 페이지(520)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검색 페이지(520)는, 소비자 단말기(10)의 위치에 근거하여, 가까운 매장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페이지로서, 소비자 단말기(10) 주변에 위치하는 매장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1)는 5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자 단말기(20)를 통해, 위치 검색 페이지(520)에 접속하고, 소비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소비자 단말기(10)는 소비자 단말기(10)에 내장된 GPS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입력하거나, 주소 검색을 통해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구매 결정 페이지(530)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 결정 페이지(530)는, 통신부(110)가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511)의 구매 및 예약 요청을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제어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페이지이다.
제어부(140)는, 상품 판매 페이지(510)에 노출된 특정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에 대한 클릭 이벤트를 수신하면, 해당 판매 대상 상품(511)의 구매 결정 페이지(530)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소비자(1)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판매 대상 상품(511)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413)를 클릭하여, 도 5(c)에 도시된 구매 결정 페이지(530)에 접속할 수 있다. 소비자(1)는 구매 결정 페이지(530)에서, 판매 대상 상품(511)에 대한 구매 및 예약을 결정할 수 있다. 소비자(1)는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판매 대상 상품(511)에 대한 구매 및 예약 의사를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511)에 대한 예약 결정을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 단말기(10)로 예약권(611)이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소비자(1)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자 단말기(20)를 통해 예약권 페이지(610)에 접속하여, 예약권(611)을 확인할 수 있다.
예약권(611)은 소비자(1)가 상품의 구매 계약 체결 의사를 표시한 것에 대응하여 수령하는 것이다. 소비자(1)는 예약권(611)을 판매자(2)에게 제시하고, 예약권(611)을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약권(611)은 QR코드(Quick Response Code) 이미지, 코드 이미지는 또는 바코드(barcode)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예약권(611) 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타 상품 판매 페이지가 노출되는 예약권 교환 페이지(620)를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약권 교환 페이지(620)는, 예약권 요청을 받은 상품 판매 페이지(410)와 판매 조건 정보(310)가 다른 타 상품 판매 페이지가 제공되는 페이지로서,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타 상품 판매 페이지의 선택을 받는 경우, 교환 요청을 받은 예약권(611)을, 타 상품 판매 페이지의 예약권으로 교환하고, 교환된 예약권(611)이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구매 이력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소비자 단말기(10)로 구매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이 소비자 단말기에 노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할 수 있어, 상품에 대한 손실 비용(loss cost) 및 노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특정 판매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상품만이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로드 되도록 구혐됨으로써, 소비자에게 신뢰도를 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여,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품 거래의 중개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상품 거래 중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판매 대상 상품의 거래 수량 및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에 동일하게 포함된 희망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판매 수량을 포함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보여지도록,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후보 소비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구매를 권유하는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판매 수량이 상기 거래 수량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르도 된 상기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해 모두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며,
    상기 희망 조건 정보는, 상품 판매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품 판매 페이지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 생성 요청은,
    상기 희망 조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는,
    서로 다른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 또는 서로 다른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희망 조건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조건 정보는,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가격, 종류, 상기 상품 판매 지역 및 일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와, 상기 판매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수신된 것이면,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횟수 만큼 보여지는 경우,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조건 정보가, “일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시”가 종료되는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를 소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방법
  10.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판매 대상 상품의 거래 수량 및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에 동일하게 포함된 희망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판매 조건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의 생성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업로드가 가능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등록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판매 수량을 포함한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상기 판매 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것에 근거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가 보여지도록, 상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노출하고,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복수의 후보 소비자 단말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후보 소비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판매 대상 상품의 구매를 권유하는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판매 조건 정보와 관련된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판매 수량이 상기 거래 수량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상품 정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업르도 된 상기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해 모두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상품 구매 권유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며,
    상기 희망 조건 정보는, 상품 판매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0200184464A 2020-12-28 2020-12-28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242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64A KR102420214B1 (ko) 2020-12-28 2020-12-28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64A KR102420214B1 (ko) 2020-12-28 2020-12-28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95A KR20220093595A (ko) 2022-07-05
KR102420214B1 true KR102420214B1 (ko) 2022-07-12

Family

ID=8240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64A KR102420214B1 (ko) 2020-12-28 2020-12-28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489B1 (ko) 2022-07-19 2023-01-09 주식회사 링크빈 선불식 장기상품의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954B1 (ko) * 2010-11-17 2016-04-25 네이버 주식회사 광고의 노출 빈도와 노출 간격을 제어하여 인벤토리를 관리하는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575A (ko) * 2010-12-03 2012-07-09 장부중 구매중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86722A (ko) * 2015-01-12 2016-07-20 (주) 아시아커뮤니케이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4693A (ko) * 2016-01-12 2017-07-20 (주) 올윈웨어 수량 정보에 기반한 아이템의 판매 조건 결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489B1 (ko) 2022-07-19 2023-01-09 주식회사 링크빈 선불식 장기상품의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95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services and their role in B2C e‐commerce
US8655771B2 (en) Transaction arbiter system and method
US8595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of a product 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ite
US20020116281A1 (en) Internet-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locating and selling used industrial equipment and machinery
KR102271733B1 (ko)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140236751A1 (en) Methods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Facility Client-Based Presentation Offer Management
KR102064615B1 (ko) 빅데이터 기반 쇼핑몰 플랫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287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 Driven Transaction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102420214B1 (ko)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70238A1 (en) Computerized retail exchange system and method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JP201951283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選択機能を搭載した購入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230143343A (ko) 상품 거래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1864538B1 (ko)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KR101979442B1 (ko) 기업 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 구축방법
KR20110123492A (ko) 중고 도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KR102461944B1 (ko) 감정 이력에 따른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매물 감정 거래 시스템
Patel et al. E-commerce business model
KR102601521B1 (ko) 셀러 매칭 기반 산지 직송을 위한 농수산물 주문 중개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030064571A (ko) 제품펀드 시스템 및 제품펀드 방법
KR101680892B1 (ko) 개인형 홈페이지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Singhal et al. A effective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vide A beneficial deals
KR20180000160A (ko) 모듈화된 개별 제품에 대한 콘텐츠 기반의 제품 판매 편의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3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217

Effective date: 2022060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