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124B1 - 수소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124B1
KR102420124B1 KR1020160047325A KR20160047325A KR102420124B1 KR 102420124 B1 KR102420124 B1 KR 102420124B1 KR 1020160047325 A KR1020160047325 A KR 1020160047325A KR 20160047325 A KR20160047325 A KR 20160047325A KR 102420124 B1 KR102420124 B1 KR 10242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heat
transfer unit
storage device
sol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124B9 (ko
KR20170119383A (ko
Inventor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2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24B1/ko
Publication of KR10242012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2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17C11/005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for 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연료전지 차량에서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 수소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 상기 고압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압 탱크 내에서 수소를 흡장/흡착 또는 탈장/탈착 시 발생되는 반응열과 열교환 하는 열교환기; 및, 관 형태로, 상기 고압 용기의 입구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된 수소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 저장 장치{Hydrogen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수소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수소연료전지 차량에서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 수소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자동차로 EV/HEV/PHEV 등 하이브라이드 차에 이어 최근 들어 수소연료전지 차량(FCEV)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수소연료전지 차량에서는 차량의 주행 거리 증대를 위하여 제한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소를 수용해아 하므로, 수소 가스를 압축하여 저장한다. 이때, 수소 저장 방식으로 기체상태의 수소를 압축하여 고압 탱크에 저장하는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예로, 기체 수소를 5.6kg 저장하기 위해서는 700bar 기체 144L가 필요하다. 이때, 고체화합물에 수소를 흡장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수소 5.6kg을 36L의 부피에 저장을 할 수가 있다. 즉, 같은 수소 용량을 저압 조건 및 작은 부피에 저장을 할 수 있어, 고체화합물에 수소를 흡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수소의 고체 저장 방식(Metal hydride)에서 사용되는 고체화합물로는 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 NaAlH4(Sodium aluminum hydride), Mg(NH2)2 (Magnesium amide)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고체화합물에 수소를 흡장할 때에는 반응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응열은 발열 반응이며, 주위의 고체화합물 구조에 영향을 주어 수소가 고체화합물에 흡장하는 반응 속도가 느려지게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실제, 수소연료 차량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차량에 수소 가스를 충진하는데 드는 소요 시간이 약 3~5분 이내가 되도록 해야 하지만, 이러한 반응열이 문제가 되어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수소를 흡장하여 저장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반면, 수소연료 차량이 주행하여 수소가 탈장될 때는 주의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에는 고체화합물의 반응 온도까지 열이 추가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나, 차량용 폐열을 활용한 경우 반응 온도까지 열 공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열을 제거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열교환기가 필요하다.
한편, 고체화합물은 파우더(powder), 펠릿(pellet)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고압 탱크 내에 충진할 수 있다. 이때, 최대한 많은 수소 저장을 위해서는 내부 고압용기에 많은 고체화합물을 충진해야 하므로, 내부 기공이 많아 부피가 큰 파우더 형태보다는 파우더 또는 펠릿을 압축하여 벌크 형상으로 만든 다음, 용기에 넣는다.
관련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4-162885(공개일 2004.06.10, 명칭 : 고체 충전 탱크)에는 탱크 내에 유체 유로로 사용되는 관(11)과, 핀(12)이 교대로 적층되도록 형성된 열교환기와, 그 사이 사이에 파우더 형태의 고체화합물(13)이 배치되도록 한 고체 충전 탱크가 개시된 바 있다.(도 1 참조)
이 외에도, 미국등록특허 제6,478,077호(등록일 2002.11.12, 명칭 : Self supporting heat transfer element)에서는 고압 탱크(21) 내에 관형 열교환관(22)을 넣고, 열전달을 위해 판형 핀(flat fin, 23)과 고체화합물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된 예가 개시되었다. (도 2 참조)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대부분 고압 탱크 내에, 발생된 반응열을 탱크 내 제한된 공간에 형성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열교환기와 고체화합물이 내부에 적절히 배치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의 고압 탱크는 수소 충전 시, 입구에서부터 용기의 하부에 위치한 고체화합물까지 모두 충전이 되어야 하는데, 핀과 같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부재들로 인해 수소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열교환부재에 다수개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수소 이동로를 형성한 고압탱크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도 3의 고압 탱크(20)는 열교환부재(10)의 수소 이동로(11)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열교환면적이 감소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소 이동로가 없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보단 수소 이동(충전) 속도가 빠르지만, 여전히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 수소가 침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162885(공개일 2004.06.10, 명칭 : 고체 충전 탱크) 미국등록특허 제6,478,077호(등록일 2002.11.12, 명칭 : Self supporting heat transfer el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화합물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 내에, 높이방향으로 하측까지 연장된 수소이송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 수소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는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400)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100); 상기 고압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압 탱크 내에서 수소를 흡장/흡착 또는 탈장/탈착 시 발생되는 반응열과 열교환 하는 열교환기(200); 및 관 형태로, 상기 고압 용기(100)의 입구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된 수소이송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수소유동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고압 용기(100)의 중심에 한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고압 용기(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열교환기(200) 또는 고체화합물(40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교환기(200)는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 판형태의 열전달부(210); 및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기 열전달부(210)에 형성된 유동관삽입홀(230)에 삽입되는 열매체유동관(220);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달부(210)는 상기 수소이송부(300)가 삽입되도록 일정 영역이 관통된 관통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달부(210)는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가 결합된 플레이트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상기 열전달부(210)에 결합되는 외주면 일정 영역이 관통 형성된 유동홀(22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221)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일정 영역이 절곡되어 리턴 되는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면에 배치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51) 및 배출되는 배출구(252)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소 저장 장치(1)는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 공간에 고체화합물(4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파우더(powder), 펠릿(pellet), 컴팩션(compaction) 중 어느 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컴팩션 형태인 경우, 상기 수소이송부(300) 또는 열매체유동관(220)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리튬아미드(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 NaAlH4, Mg(NH2)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압 용기(100)는 실린더 형태로, 상기 열전달부(210)와 직경이 같거나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는 고체화합물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 내에, 높이방향으로 하측까지 연장된 수소이송부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 수소를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압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면적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고압 용기 하부까지 수소가 직선으로 이송될 수 있는 이송로를 형성함으로써, 고압 용기의 하부에 있는 고체화합물까지도 수소가 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소를 이송시키는 관 형태의 수소이송부 외주면에 수소유동홀이 형성됨으로써, 고압 용기의 상측에 위치한 고체화합물과 하측에 위치한 고체화합물에 수소가 동시에 저장될 수 있어 수소 저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수소 저장 장치 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소 충전 시간을 단축시켜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수소 저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에서 열전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에서 고체화합물이 배치된 열교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열교환기에서 열매체유동관 및 열전달부와, 수소이송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에서 고체화합물이 배치된 열교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열교환기에서 열매체유동관 및 열전달부와, 수소이송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열교환기에서 열전달부의 평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저장 장치(1)는 크게 고압 용기(100), 열교환기(200) 및 수소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 용기(100)는 내부에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400)이 저장되는 것으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상기 고압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 탱크 내에서 수소를 흡장/흡착 또는 탈장/탈착 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수소 저장 장치(1)는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채워진 고체화합물(400)에 골고루 수소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수소이송부(300)에 의해 상기 고압 용기(100)의 입구 측에 위치한 고체화합물(400)뿐만 아니라, 하부에 위치한 고체화합물(400)에도 수소가 충분히 저장될 수 있어 수소 저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길게 형성된 관 형태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수소유동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골고루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고압용기의 입구가 위치한 높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골고루 수소가 유동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고압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연장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열교환기(200) 또는 고체화합물(40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도 4 및 도 5(a)와 같이, 고압 용기(100)의 중심에 단일 개수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5(b) 및 도 5(c)와 같이 고압 용기(100)의 중심과, 이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고압 용기(100)의 중심에 수소이송부(300)가 배치되는 수소 저장 장치(1)는 상기 수소이송부(300)로 이송되는 수소가 상기 수소유동홀(310)을 통해 방사방향으로 동등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00)의 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열교환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여러 개의 수소이송부(30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수소 이송 속도가 더욱 빨라져, 충전 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반면, 열교환기(200)의 면적이 다소 감소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기(200)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상기 열교환기(200)는 크게 열전달부(210)와, 열매체유동관(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튜브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달부(210)는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 판 형태로,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이 삽입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유동관삽입홀(230)을 포함하며, 상기 열매체유동관(220) 내부에 유동되는 열교환매체의 열이 전도되도록 하여 열전달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전달부(210)는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200)일 경우, 편평한 판 형태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 타입의 열교환기(200)인 경우,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210)는 도 5와 같이 상기 수소이송부(300)가 지나가는 영역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240)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240)은 상기 수소이송부(30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수소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되는 수소가 외부로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수소이송부(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상기 고압용기의 높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기 열전달부(210)의 유동관삽입홀(230)에 삽입된 다음, 브레이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200)에 구비되는 경우, 내부에 유동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열전달부(210) 내부에도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열전달부(210)에 결합되는 외주면 일정 영역이 관통 형성된 유동홀(22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221)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에는 열교환 효율 및 내압 향상을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21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도 4와 같이 일정 영역이 절곡되어 리턴 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51)가 위치한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에 양측 단부가 모두 위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상기 고압 용기(1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51) 및 배출되는 배출구(252)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리턴 되는 영역이 상기 고압 용기(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절곡되는 횟수 또한 1회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 저장 장치(1)는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 공간에 고체화합물(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파우더(powder), 펠릿(pellet), 컴팩션(compaction) 중 어느 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컴팩션 형태인 경우, 상기 수소이송부(300) 또는 열매체유동관(220)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에 각각 개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열매체유동관(220) 또는 수소이송부(300)에 의해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에 통째로 개재될 수 없으므로, 대략 2등분 또는 4등분되고, 상기 열매체유동관(220) 또는 수소이송부(300)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금속착수소화물인 리튬아미드(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 NaAlH4, Mg(NH2)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소의 고체 저장 방식에서 사용되는 고체화합물(400)로는 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 NaAlH4(Sodium aluminum hydride), Mg(NH2)2 (Magnesium amide)가 있는데, LaNi5H6의 경우 저장 밀도가 낮고 가격이 비싸며, Lithium amide 계열은 연구 진행 중으로, 실제 수소 저장 장치(1)를 구성하는데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하다.
그런데, NaAlH4 및 Mg(NH2)2는 수소저장합금 대비 높은 무게 밀도를 가지며, 주성분이 알칼리 금속으로 가격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NaAlH4의 경우 33℃에서 1단 반응이 일어나고, 110℃에서 2단 반응이 일어나면서 수소를 방출하며, Mg(NH2)2는 반응 온도가 120℃이하로, 마그네슘수소화물 대비 낮은 반응 온도를 가지게 되어 열교환기(200)(300)를 통해 공급해야할 온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고체화합물(400)로는 NaAlH4 및 Mg(NH2)2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튬아미드(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도 가능하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고압 용기(100)의 상측에 형성된 수소유입부를 통해 상기 수소이송부(300)로 수소가 이송된다.
수소는 상기 수소이송부(300)를 따라 상기 고압 용기(100)의 하부까지 빠르게 이송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수소이송부(300)의 수소유동홀(310)을 통해 방사방향으로 골고루 수소가 이송되어 각 위치에 배치되는 고체화합물(4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고압 용기(100) 내부에서는 수소가 고체화합물(400)에 흡장 또는 흡착 되면서 발열 반응이 발생되며,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을 통해 유입된 열교환매체와 열교환 되어 반응열이 제거된다.
상기 열교환매체는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을 따라 유동되며, 상기 열전달부(210)에 의해 상기 고압 용기(100) 전 영역에 배치된 고체화합물(400)로부터 발생된 반응열과 골고루 열교환 하여, 고압 용기(100)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매체는 냉각 오일, 냉매 또는 냉각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 수소 저장 장치(1) 내 열교환기(200)의 열교환 효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소 충전 시간을 단축시켜 수소연료전지 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수소 저장 장치
100: 고압 용기
200: 열교환기
210: 열전달부
211: 상부 플레이트 212: 하부 플레이트
213: 돌기
220: 열매체유동관 221: 유동홀
230: 유동관삽입홀
240: 관통홀
251: 유입구 252: 배출구
300: 수소이송부
301: 수소유입구
310: 수소유동홀
400: 고체화합물

Claims (15)

  1. 수소 가스를 흡장 또는 흡착하는 고체화합물(400)이 저장되는 고압 용기(100);
    상기 고압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압 용기(100) 내에서 수소를 흡장/흡착 또는 탈장/탈착 시 발생되는 반응열과 열교환 하는 열교환기(200); 및
    관 형태로, 상기 고압 용기(100)의 입구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장된 수소이송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수소유동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200) 또는 고체화합물(400)을 관통하며,
    상기 열교환기(200)는,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된 판형태의 열전달부(210); 및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기 열전달부(210)에 형성된 유동관삽입홀(230)에 삽입되는 열매체유동관(220); 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달부(210)는, 상기 수소이송부(300)가 삽입되도록 일정 영역이 관통된 관통홀(240)을 포함하고,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가 결합된 플레이트 타입이며,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상기 열전달부(210)에 결합되는 외주면 일정 영역이 관통 형성된 유동홀(221)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홀(221)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211) 및 하부 플레이트(212)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고압 용기(100)의 중심에 한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이송부(300)는
    상기 고압 용기(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동관(220)은
    일정 영역이 절곡되어 리턴 되는 형태를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고압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일측면에 배치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51) 및 배출되는 배출구(252)와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저장 장치(1)는
    상기 열전달부(210) 사이 공간에 고체화합물(4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파우더(powder), 펠릿(pellet), 컴팩션(compaction) 중 어느 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컴팩션 형태인 경우, 상기 수소이송부(300) 또는 열매체유동관(220)을 중심으로 대칭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화합물(400)은
    리튬아미드(Lithium amide) 계열과, LaNi5H6, NaAlH4, Mg(NH2)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용기(100)는
    실린더 형태로, 상기 열전달부(210)와 직경이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 장치.
KR1020160047325A 2016-04-19 2016-04-19 수소 저장 장치 KR10242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25A KR102420124B1 (ko) 2016-04-19 2016-04-19 수소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325A KR102420124B1 (ko) 2016-04-19 2016-04-19 수소 저장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83A KR20170119383A (ko) 2017-10-27
KR102420124B1 true KR102420124B1 (ko) 2022-07-13
KR102420124B9 KR102420124B9 (ko) 2023-02-23

Family

ID=6030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325A KR102420124B1 (ko) 2016-04-19 2016-04-19 수소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122B1 (ko) * 2018-02-26 2022-07-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고체수소 저장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91657B1 (ko) * 2018-12-18 2023-10-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고체수소 저장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88B1 (ko) * 1998-02-23 2006-02-08 오미 다다히로 가스켓 및 파이프 연결 부재
JP2009092148A (ja) * 2007-10-10 2009-04-30 Taiheiyo Cement Corp 水素貯蔵装置および水素貯蔵材料の充填方法
KR101472335B1 (ko) * 2008-03-27 2014-12-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스저장탱크
KR101515841B1 (ko) * 2014-12-09 2015-04-29 디케이락 주식회사 부시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492A (ja) * 1994-04-06 1995-10-27 Nippon Steel Corp 水素吸蔵合金を用いた熱交換器
KR20030020168A (ko) * 2001-09-03 2003-03-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수소저장합금 반응기
JP4220762B2 (ja) 2002-11-15 2009-0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固体充填タンク
KR20110125231A (ko) * 2009-02-04 2011-11-18 퍼듀 리서치 파운데이션 금속 수소화물 저장 시스템용 핀 열교환기
JP2016094963A (ja) * 2014-11-12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管用継手構造
KR20180118507A (ko) * 2017-04-21 2018-10-3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 이음 유닛 및 관 이음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88B1 (ko) * 1998-02-23 2006-02-08 오미 다다히로 가스켓 및 파이프 연결 부재
JP2009092148A (ja) * 2007-10-10 2009-04-30 Taiheiyo Cement Corp 水素貯蔵装置および水素貯蔵材料の充填方法
KR101472335B1 (ko) * 2008-03-27 2014-12-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스저장탱크
KR101515841B1 (ko) * 2014-12-09 2015-04-29 디케이락 주식회사 부시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124B9 (ko) 2023-02-23
KR20170119383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19B2 (en) Hydrogen storage tank having metal hydrides
CN101459249B (zh) 用于燃料电池车的储氢系统
US8778063B2 (en) Coiled and microchannel heat exchangers for metal hydride storage systems
JP6109979B2 (ja) 金属水素化物を有する水素貯蔵タンク
US7947119B2 (en) Hydrogen reservoir and process for filling a hydrogen reservoir
US20030209147A1 (en) Honeycomb hydrogen storage structure
US8636836B2 (en) Finned heat exchangers for metal hydride storage systems
US20050211573A1 (en) Modular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system
US20050287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charging hydrogen
KR20120104182A (ko) 수소 및/또는 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탱크
US20030167923A1 (en) Tank for the reversible storage of hydrogen
US6708546B2 (en) Honeycomb hydrogen storage structure with restrictive neck
EP3208877A2 (en) Solid state hydrogen storage device
KR102420124B1 (ko) 수소 저장 장치
US20160201855A1 (en) Sorption store with improved heat transfer
JP2017538905A (ja) 複数の積層された階層を備える金属水素化物水素貯蔵タンク
JP6285867B2 (ja) 金属水素化物の形態で水素を貯蔵するタンク
KR102420122B1 (ko) 고체수소 저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098043B2 (ja) 水素吸蔵合金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20210021188A (ko) 수소 저장 시스템 기반의 열교환기에 사용 가능한 다공망 구조의 핀 장치
KR20210045683A (ko) 판상 유도 자기장 코일을 이용하는 자기 유도 열 제어 고체 수소 저장 시스템
JP2001241599A (ja) 水素回収・貯蔵容器
KR101128273B1 (ko) 수소 저장 장치
CN100503026C (zh) 利用氢气储存合金的反应机
CN116906806A (zh) 固态储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