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97B1 - Banner instal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Banner install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97B1
KR102419997B1 KR1020210140915A KR20210140915A KR102419997B1 KR 102419997 B1 KR102419997 B1 KR 102419997B1 KR 1020210140915 A KR1020210140915 A KR 1020210140915A KR 20210140915 A KR20210140915 A KR 20210140915A KR 102419997 B1 KR102419997 B1 KR 102419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rotating shaft
wire
rotatio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호영
Original Assignee
신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영 filed Critical 신호영
Priority to KR1020210140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which comprises: a support (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stalled vertically on the ground; an upper frame (20)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10); a lower frame (3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a lower side of the support (10); a lifting body (40)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lifting by a wire (70); a winding part (5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501) to which a low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winding the banner around the rotating shaft (501) alo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01) or unwinding the banner 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a drive means (6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to forwardly/reversely rotate the rotating shaft (501) of the winding part (50); and a plurality of wires (70) having one end fixed to a winding bobbin (503)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ifting body (40), and installed to change a direction of a force while passing the upper frame (20) to lift the lifting body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and convenience in installing, removing, posting, and storing the banner are improved by having the winding part (50)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10) and having the lifting body (40) capable of lifting by interlocking with the winding part (50) through the drive means (60).

Description

현수막 설치장치{Banner installation device}Banner installation device

본 발명은 현수막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하측에 권취부를 구비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부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승강체를 구비함으로써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일기 변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해 현수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현수막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anner,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winding part on the lower side of a post, and a lifting body that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winding part by a driving means, so that installation, removal, posting, and storage of the banner is quick. It relates to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convenience while preventing the banner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weather changes.

일반적으로 각종 광고 또는 홍보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현수막(게시물)이 도로의 가장자리 등에 설치되는데, 설치 위치에 따라 현수막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기도 하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기도 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banners (posts)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a road for various advertising or publicity purposes.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현수막은 주로 도로가의 가로등 등에 매달아 설치하거나, 별도의 설치장치를 이용해 설치하게 되는데, 가로등이 없는 자동차 전용도로나 고속도로 가에는 현수막 설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Banner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mainly installed by hanging from street lights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stalled using a separate installation device.

종래의 일반적인 현수막 설치장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하단에 평행하게 형성된 상, 하부 가로대로 구성되어 상, 하부 가로대 간에 직물 소재의 현수막을 걸어 설치함으로써 현수막에 표시된 내용을 통해 목적한 광고 또는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general banner installation device is composed of a pos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upper and lower crossbars formed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ost. It is configured to achieve advertising or promotional effects.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상부 가로대의 위치가 높기 때문에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제거) 시 상부 가로대에 현수막의 상단부를 탈, 부착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별도의 리프트 차량 등이 필요함에 따라 현수막의 설치 및 철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현수막을 설치 및 철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큰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nner installation device as above, since the upper crossbar is high, a ladder or a separate lift vehicle is required to remove and attach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to the upper crossbar when installing and removing (removing) the banner. In addition to cumbersom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work, there is a great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ll of a worke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banner.

또한, 종래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상, 하부 가로대에 현수막의 상, 하단부를 설치하여 고정한 후에는 그 고정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불 때 현수막이 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anner installation device, after installing and fix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ner on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the fixed state continues. .

등록실용신안 제20-0250317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0317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의 하측에 권취부를 구비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부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승강체를 구비하여 권취부와 승강체 간에 현수막이 설치되는 현수막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unit on the lower side of a post, and an elevating body that elevates and lowers in conjunction with the winding unit by a driving mea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일기 변화에 따라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 및 권취되게 한 현수막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in which a banner is automatically posted and wound up according to a change in weather.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를 구비하여 권취된 현수막의 케이스 내 보관이 가능케 한 현수막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having a case and enabling storage of the wound banner in the ca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주(10);Post (10) of a predetermined heigh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지주(1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an upper frame 2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ost 10;

상기 지주(10)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프레임(30);a lower frame (3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ost (10);

현수막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와이어(70)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40);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the elevating body 40 is lifted by the wire 70;

상기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되, 현수막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축(501)을 구비하여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수막을 회전축(501)에 권취하거나, 회전축(501)에 권취된 현수막을 풀어내는 권취부(50);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the banne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50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the banner is wound on the rotation shaft 50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501, or the banner wound on the rotation shaft 501 Winding unit 50 to unwind;

상기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어 권취부(50)의 회전축(501)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a driving means 6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forward/reverse;

일단부가 회전축(501) 일측의 권취보빈(5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승강체(40)에 고정되되, 상부프레임(20)을 지나면서 힘의 방향이 바뀌게 설치되어 승강체(40)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와이어(70); 를 포함한다.One end is fixed to the winding bobbin 503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levating body 40,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changed as it passes through the upper frame 20 to move the elevating body 40. a plurality of wires 70 for elevating;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프레임(20)은,In one embodiment, the upper frame 20,

가운데 부분이 지주(10)의 상측에 고정되되, 양측에는 와이어(7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iddle par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ost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provided with guide rollers 201 for guiding the wire 70.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작업자가 지상에서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이 용이하도록 지면에서 80 내지 130㎝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frame 30 is preferably formed at a height of 80 to 130 cm from the gr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install, remove, post, and store the banner on the grou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체(40)는,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body 40,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401);an upper fixing part 401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상기 상부고정부(401)의 전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각 와이어(7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공(402);a fixing hole 40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and fixing the other end of each wire 70;

상기 상부고정부(401)의 후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승강체(40)의 승강 시 각 와이어(70)를 안내하는 안내공(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hole 403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to guide each wire 70 when the elevating body 40 is lif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고정부(401)는,In one embodiment, the upper fixing part 401,

현수막 상단부의 가로길이보다 긴 봉체로 형성된 고정봉(401a);Fixed rod (401a) formed of a rod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상기 고정봉(401a)의 일측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 상부 개폐봉;an upper opening/closing rod hinged to one side of the fixed rod (401a) so that one end is rotatable;

상기 상부개폐봉(401b)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고정봉(401a)의 일측에 설치된 상부클램프수단(401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upper clamping means (401c)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rod (401a) to selectively clamp the other end of the upper opening/closing rod (401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권취부(50)는,In one embodiment, the winding unit 50,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501);a rotation shaft 501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상기 현수막의 하단부를 고정하도록 회전축(501) 일측에 설치된 하부고정부(502);a lower fixing part 50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to fix the lower end of the banner;

상기 회전축(501)의 양단부에 설치되되, 각 와이어(7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권취보빈(5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nding bobbin (503)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01), one end of each wire (70)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수단(60)은,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60,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출력축(601a)이 권취부(50)의 회전축(501)과 연결되는 기어모듈(601);a gear module 60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0 and having an output shaft 601a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상기 기어모듈(601)의 입력축(601b)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어 기어모듈(601)을 수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핸들(6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andle 602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601b of the gear module 601 to manually rotate the gear module 601 forward and rever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수단(60)은.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60 is.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출력축(601a)이 권취부(50)의 회전축(501)과 연결되는 기어모듈(601);a gear module 60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0 and having an output shaft 601a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기어모듈(601)의 입력축(601b)과 연결되어 기어모듈(601)을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604);a motor 604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and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601b of the gear module 601 to automatically rotate the gear module 601 forward and reverse;

상기 모터(60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unit 60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605)는,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5,

관제서버(606)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munication means for exchanging data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606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606)는,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606,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서버(607)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607 that provides weather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회전감지수단(501a);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상기 와이어(70)의 장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장력감지수단(81); 을 더 구비하고,Tension sensing means (81) for sensing the tension of the wire (70) and providing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provide more,

상기 제어부(605)는,The control unit 605,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the status of the banner is analyzed,

상기 장력감지수단(81)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y comparing the sensed value provided by the tension detecting means 81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in real time, when the time for which the sens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cause the banner to rotate on the rotating shaft ( 501),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motor 604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when the time for which the detection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회전감지수단(501a);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상기 지주(10) 주변의 풍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풍속감지수단(82); 을 더 구비하고,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for detecting the wind speed around the post (10) and providing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ler (605); provide more,

상기 제어부(605)는,The control unit 605,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the status of the banner is analyzed,

상기 풍속감지수단(82)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y comparing the sensed value provided by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in real time, when the time for which the sens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banner rotates the axis ( 501),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motor 604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when the time for which the detection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회전감지수단(501a);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상기 지주(10) 주변의 풍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풍압감지수단(83); 을 더 구비하고,Wind pressure sensing means (83) for detecting the wind pressure around the post (10) and providing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provide more,

상기 제어부(605)는,The control unit 605,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the status of the banner is analyzed,

상기 풍압감지수단(83)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y comparing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wind pressure sensing means 83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in real time, when the time for which the detect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rotate the banner ( 501),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motor 604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when the time for which the detection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력감지수단(81), 풍속감지수단(82), 풍압감지수단(83)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동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nsion detecting means 81,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and the wind pressure detecting means 83 a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권취부(50)에 권취된 현수막이 보관되는 케이스(90);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se 90 in which the banner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is sto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90)는,In one embodiment, the case 90,

상기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된 권취부(50)와 구동수단(60)의 기어모듈(601)이 투입 가능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함체(901);The winding unit 50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0 and the gear module 601 of the driving means 60 are formed with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input is possible, the housing 90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상기 함체(901) 상측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케 함체(901)에 힌지 결합된 커버(902);a cover 902 hinged to the housing 901 so a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of the housing 901;

상기 함체(901)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902)를 자동 개폐하는 개폐수단(9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pening/closing means (903)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901)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cover (90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의 하측에 권취부를 구비하고,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부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승강체를 구비함으로써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의 신속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removal, posting, and storage of the banner by providing a winding part on the lower side of the post and a lifting body that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winding part by a driving means.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여 구동수단의 동작 제어를 통해 와이어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막이 늘어짐 없이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현수막의 식별이 용이해짐에 따라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 또는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tension of the wire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is kept constant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riving means, so that the taut unfold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the sagging of the placard, making it easy to identify the placar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advertising or publicity using the banner.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승강하는 승강체와 연결되어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의 장력이 풍속, 풍압 등 일기 변화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감지하여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일기 변화에 따라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 및 권취됨에 따라 현수막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기 변화로 인한 현수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body, so that the tension of the wire for elevating the elevating body is changed by weather changes such as wind speed and wind pressur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weather change. As the banner is automatically posted and wound, it is possible to use the banner efficiently and reliably, as well as to prevent damage to the banner due to weather changes.

또한, 본 발명은 권취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권취된 현수막의 안전한 보관을 통해 현수막의 오염이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r damage of the banner through safe storage of the wound banner by providing a case surrounding the wind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권취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력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풍속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풍압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front view of a banner post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banner wind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nsion sens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 speed detect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 pressure sensing me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All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will only refer to distinguishing elements from each other,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도 1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게시 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현수막 권취 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banner post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banner winding st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의 신속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일기 변화 등 외부 요인에 의해 현수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주(10), 상부프레임(20), 하부프레임(30), 승강체(40), 권취부(50), 구동수단(60), 와이어(70)를 포함한다.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removal, posting, and storage of the banner,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banner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weather changes. It includes a lower frame 30 , a lifting body 40 , a winding unit 50 , a driving means 60 , and a wire 70 .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단부에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된다.The post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fixing plate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ground, and is fixedly installed with an anchor bolt on the ground or a base block installed on the groun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평면상 사각형 또는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다. 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circular or polygonal shape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order to be fixedly installed with an anchor bolt.

상기 설치공은 장공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 체결 시 베이스플레이트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By forming the installation hole in a long hole or arc shape,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base plate while rotating the base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fastening the anchor bol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fastening operation.

상기 상부프레임(20)은 가운데 부분이 지주(10)의 상측에 고정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측에는 와이어(7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01)가 설치된다.The upper frame 20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middle par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post 10 , and guide rollers 201 for guiding the wire 7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상기 하부프레임(30)은 가운데 부분이 지주(10)의 하측에 고정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작업자가 지상에서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이 용이하도록 지면에서 80 내지 130㎝의 높이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frame 30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middle part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st 10, and at a height of 80 to 130 cm from the gr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install, remove, post, and store the banner on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in the right position.

상기 승강체(40)는 현수막의 상단부가 고정되되, 와이어(70)에 의해 승강하도록 상부고정부(401), 고정공(402), 안내공(403)을 포함한다.The elevating body 40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401 , a fixing hole 402 , and a guide hole 40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is raised and lowered by a wire 70 .

상기 상부고정부(401)는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현수막 상단부의 가로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되, 고정봉(401a), 상부개폐봉(401b), 상부클램프수단(401c)을 포함한다.The upper fixing part 401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to fix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and includes a fixing rod 401a, an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b, and an upper clamping means 401c.

상기 고정봉(401a)은 현수막 상단부의 가로길이보다 긴 봉체로 형성된다.The fixing rod 401a is formed of a rod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end of the banner.

상기 상부개폐봉(401b)은 고정봉(401a)과 평행하게 설치되되, 일단부가 고정봉(401a)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다.The upper opening/closing rod 401b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ixing rod 401a, and one end is hinge-coupled to one side of the fixing rod 401a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상부클램프수단(401c)은 상부개폐봉(401b)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고정봉(401a)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upper clamping means 401c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rod 401a to selectively clamp the other end of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b.

따라서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할 때에는 상부클램프수단(401c)을 열고 상부개폐봉(401b)을 회전시켜 고정봉(401a)과 상부개폐봉(401b) 사이를 벌린 후, 현수막의 상단부에 일체로 된 가로대를 고정봉(401a)과 상부개폐봉(401b) 사이로 투입하고, 상부개폐봉(401b)을 반대로 회전시켜 상부클램프수단(401c)으로 클램핑하면, 고정봉(401a)과 상부개폐봉(401b) 사이에 현수막의 가로대가 거치되면서 현수막의 상단부가 상부고정부(401)에 고정된다.Therefore, when fixing the upper end of the banner, open the upper clamp means 401c, rotate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b to spread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rod 401a and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b, and then, a crossbar integra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inserted between the fixed rod 401a and the upper opening/closing rod 401b, and the upper opening/closing rod 401b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lamped by the upper clamping means 401c, between the fixed rod 401a and the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b.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401 as the crossbar of the banner is mounted on the .

상기 고정공(402)은 상부고정부(401)의 전면 양단부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각 와이어(70)의 타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The fixing hole 402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and the other end of each wire 70 is fixed, respectively.

상기 안내공(403)은 상부고정부(401)의 후면 양단부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승강체(40)의 승강 시 각 와이어(70)가 안내공(403)을 통해 안내된다. The guide hole 403 is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so that each wire 70 is guided through the guide hole 403 when the elevator 40 is lifted.

상기 권취부(50)는,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되, 현수막을 권취하거나, 권취된 현수막을 풀어내도록 회전축(501), 하부고정부(502), 권취보빈(503)을 포함한다.The winding unit 50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501, a lower fixing unit 502, and a winding bobbin 503 to wind up a banner or unwind the wound banner.

상기 회전축(501)은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rotation shaft 50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

상기 하부고정부(502)는 현수막의 하단부를 고정하도록 현수막 하단부의 가로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되, 하부개폐봉(502a), 하부클램프수단(502a)을 포함한다.The lower fixing part 502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lower end of the banner to fix the lower end of the banner, and includes a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and a lower clamping means 502a.

상기 하부개폐봉(502a)은 회전축(501)과 평행하게 설치되되, 일단부가 회전축(501)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된다.The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rotation shaft 501 , and one end is hinge-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501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하부클램프수단(502a)은 하부개폐봉(502a)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회전축(501)의 일측에 설치된다.The lower clamping means 502a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501 to selectively clamp the other end of the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따라서 현수막의 하단부를 고정할 때에는 하부클램프수단(502a)을 열고 하부개폐봉(502a)을 회전시켜 회전축(501)과 하부개폐봉(502a) 사이를 벌린 후, 현수막의 하단부에 일체로 된 가로대를 회전축(501)과 하부개폐봉(502a) 사이로 투입하고, 하부개폐봉(502a)을 반대로 회전시켜 하부클램프수단(502a)으로 클램핑하면, 회전축(501)과 하부개폐봉(502a) 사이에 현수막의 가로대가 거치되면서 현수막의 하단부가 하부고정부(502)에 고정된다.Therefore, when fixing the lower end of the banner, open the lower clamp means 502a and rotate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rod 502a to spread the rotation shaft 501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rod 502a apart. When it is insert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and the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lamped by the lower clamping means 502a, the banner between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lower opening/closing rod 502a. As the crossbar is mounted, the low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to the lower fixing part 502 .

상기 권취보빈(503)은 회전축(501)의 양단부에 설치되되, 각 와이어(7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70)가 권취보빈(503)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The winding bobbin 503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01, and one end of each wire 70 is fixed so that the wire 70 is wound or unwound on the winding bobbin 503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01. do.

따라서 권취부(50)의 회전축(501)이 회전하면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권취되거나, 회전축(501)에 권취된 현수막이 풀리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rotates, the banner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501 or the banner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501 is unwound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01 .

상기 구동수단(60)은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어 권취부(50)의 회전축(501)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기어모듈(601), 핸들(602)을 포함한다.The driving means 60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and includes a gear module 601 and a handle 602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forward/reverse.

상기 기어모듈(601)은 하부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출력축(601a)이 권취부(50)의 회전축(501)과 연결된다. The gear module 60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0 , and the output shaft 601a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

상기 핸들(602)은 기어모듈(601)의 입력축(601b)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어 기어모듈(601)을 수동으로 정, 역회전시킴으로써 기어모듈(601)의 출력축(601a)이 정, 역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회전축(50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The handle 602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input shaft 601b of the gear module 601 so that the output shaft 601a of the gear module 601 rotates forward and reverse by manually rotating the gear module 601 forward and reverse. As a result, the banner is wound or un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while the rotating shaft 501 rotates forward or reversely.

한편, 상기 핸들(602)을 대신하여 전동드릴을 입력축(601b)에 연결함으로써 회전축(501)의 정, 역회전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connecting an electric drill to the input shaft 601b instead of the handle 602,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501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상기 와이어(70)는 일단부가 회전축(501) 일측의 권취보빈(5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승강체(40)에 고정되되, 상부프레임(20)을 지나면서 힘의 방향이 바뀌게 설치되어 승강체(40)를 승강시킨다.One end of the wire 70 is fixed to the winding bobbin 503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levating body 40,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changed as it passes through the upper frame 20. The lifting body 40 is raised and lowered.

즉, 복수의 와이어(70)가 현수막의 양측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각 와이어(70)의 일단부는 회전축(501) 일측의 권취보빈(5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승강체(40)의 고정공(402)에 고정되되, 상부프레임(20)의 안내롤러(201)를 통과하게 설치된다.That is, a plurality of wires 70 are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anner, and one end of each wire 70 is fixed to the winding bobbin 503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body 40 It is fixed to the fixing hole 402, it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guide roller 201 of the upper frame (20).

따라서, 회전축(501)이 구동수단(60)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70)의 일단부가 권취보빈(503)에 권취되고, 안내롤러(201)에 의해 방향이 바뀐 와이어(70)의 타단부가 고정된 승강체(40)는 상승하면서 현수막이 게시된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50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60 , one end of the wire 70 is wound on the winding bobbin 503 , and the direction of the wire 70 is changed by the guide roller 201 . A banner is posted while the elevator 40 having the other end fixed rises.

반면, 회전축(501)이 구동수단(6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70)의 일단부가 권취보빈(503)에서 풀리면서 승강체(4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현수막이 하강하면서 회전축(501)에 권취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ng shaft 50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60, one end of the wire 70 is unwound from the winding bobbin 503 and as the elevating body 40 descends by its own weight, the banner descends while It is 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지주(10)의 하측에 권취부(50)를 구비하고, 구동수단(60)에 의해 권취부(50)와 연동하여 승강하는 승강체(40)를 구비함으로써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의 신속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nding unit 50 on the lower side of the post 10, and a lifting body 40 for elevating and lowering by interlocking with the winding unit 50 by a driving means 60. This improves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installation, removal, posting, and storage of banners.

특히, 작업자가 지상에서 현수막의 설치, 철거 및 게시, 보관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다리나 별도의 리프트카 없이도 모든 작업의 신속하고 안전한 수행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operator can perform all of the installation, dismantling, posting, and storage of the banner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afely perform all tasks without a ladder or a separate lift car.

도 4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수단(60)은 회전축(501)을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도록 기어모듈(601), 모터(604), 제어부(605)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60 includes a gear module 601 , a motor 604 , and a control unit 605 to automatically rotate the rotation shaft 501 forward and backward.

상기 기어모듈(601)은 하부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출력축(601a)이 권취부(50)의 회전축(501)과 연결된다. The gear module 60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0 , and the output shaft 601a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기어모듈(601)의 입력축(601b)과 연결되어 기어모듈(601)을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킨다.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30, and the drive shaft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601b of the gear module 601 to automatically rotate the gear module 601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어부(605)는 모터(604)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60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

이때 제어부(605)는 모터(604)의 동작 제어값을 입력하는 제어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5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ntrol value of the motor 604 .

또한, 제어부(605)는 관제서버(606)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5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eans for exchanging data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606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신망은 무선단말기, 셋탑박스, 컨텐츠서버 및 웹서버간의 데이터전송, 정보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IP망일 수 있다. IP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이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또한, IP망은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망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mean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wireless terminal, a set-top box, a content server, and a web server, and may be an IP network. The IP network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for example,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IP network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network for providing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based on ALL IP (Internet Protocol).

또한,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mbodiment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 may be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nd an asynchronous MSC.

한편, WCDMA망을 일예로 들었지만, 3G, LTE, 4G, 5G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taken as an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changed to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LTE, 4G, and 5G.

따라서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605)와 관제서버(606)가 연결됨에 따라 관제서버(606)에서 원격으로 제어부(605)에 모터(604)의 제어값을 전송함에 따라 모터(604)의 원격제어를 통해 현수막의 게시 및 권취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the control unit 605 and the control server 606 ar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server 606 remotely transmits the control value of the motor 604 to the control unit 605, so that the remote control of the motor 604 is performed. Posting and winding up of banners can be performed remotel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606)는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서버(607)와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606 may be connected to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607 providing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관제서버(606)는 기상청서버(607)에서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이용해 모터(604)의 제어값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제어값을 제어부(605)로 전송함으로써 일기 변화에 따라 모터(604)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 server 606 generates a control value of the motor 604 by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eather service server 607,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so that the motor 604 according to the weather change. )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도 5는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력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풍속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풍압감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nsion sens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ind speed sens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 pressure sensing me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to 7 ,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와이어(70)의 장력에 따라 모터(604)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회전감지수단(501a), 장력감지수단(81)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and a tension detecting means 81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wire 70. have.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rotation detection means 501a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

이때,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01, it is preferable to use an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장력감지수단(81)은 와이어(70)의 장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tension sensing means 81 senses the tension of the wire 70 and provides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

이때, 상기 장력감지수단(81)은 상부프레임(20)에 설치되어 와이어(70)를 안내하는 안내롤러(20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70)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tension sensing means 81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201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20 and guides the wire 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nsion of the wire 70 is not limited thereto. Make it clear in advance that any location is possible as long as it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한편, 상기 제어부(605)는,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 장력감지수단(81)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05 analyzes the posting state of the banner 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and the detected value provided from the tension detecting means 81 and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compare in real time, and when the time for which the detect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banner is automatically 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detected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time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또한, 제어부(605)는 현수막의 하중이나, 현수막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변화하는 와이어(70)의 장력 변화에 따라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와이어(70)의 장력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현수막이 느슨하게 되지 않고 항상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5 automatically controls the motor 604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nsion of the wire 70 that is changed by the load of the banner or the pressure acting on the banner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70 in a constant st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installed banner in a taut and deployed state without loosening it.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풍속에 따라 모터(604)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회전감지수단(501a), 장력감지수단(81)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and a tension detecting means 81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rotation detection means 501a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

이때,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01, it is preferable to use an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풍속감지수단(82)은 지주(10) 주변의 풍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detects the wind speed around the holding 10 and provides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ler 605 .

이때, 풍속감지수단(82)은 지주(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주(10) 주변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wind speed sensing means 82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ost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put

한편, 상기 제어부(605)는,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풍속감지수단(82)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05 analyzes the posting state of the banner 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from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and the detected value provided from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and the pre-stored value. When the reference value is compared in real time and the time that the detect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utomatically wind the banner on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detected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one hour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풍압에 따라 모터(604)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회전감지수단(501a), 풍압감지수단(83)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and a wind pressure detecting means 83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wind pressure.

상기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rotation detection means 501a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

이때, 회전감지수단(501a)은 회전축(50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01, it is preferable to use an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풍압감지수단(83)은 지주(10) 주변의 풍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한다. The wind pressure sensing means 83 senses the wind pressure around the post 10 and provides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

이때, 풍압감지수단(83)은 지주(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주(10) 주변의 풍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wind pressure sensing means 83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ost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put

한편, 상기 제어부(605)는,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풍압감지수단(83)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권취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자동으로 권취되게 하고, 감지값이 기준값에 미달한 시간이 사전 설정된 게시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모터(604)를 자동 제어하여 현수막이 자동으로 게시되게 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605 compares the detection value provided by the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to analyze the posted state of the banner, and the detected value provided by the wind pressure detecting means 83 and the pre-stored value. When the reference value is compared in real time and the time that the detected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ceeds the preset wind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utomatically wind the banner on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detected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one hour exceeds the preset posting reference time,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banner.

한편, 상기 장력감지수단(81), 풍속감지수단(82), 풍압감지수단(83)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이 동시에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tension detecting means 81,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82, and the wind pressure detecting means 83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현수막에 직접 작용하는 풍속이나 풍압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요에 따라 현수막이 게시되거나, 권취되도록 모터(604)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현수막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기 변화로 인한 현수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changes in wind speed or wind pressure directly acting on the banner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so that the banner is posted or wound as needed, so that the banner can be used efficiently and stab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anner due to weather changes.

도 8은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s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device for installing a ban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현수막 설치장치는, 권취부(50)에 권취된 현수막이 보관되는 케이스(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nn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90 in which the banner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is stored.

상기 케이스(90)는 권취부(50)에 권취된 현수막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체(901), 커버(902), 개폐수단(903)을 포함한다.The case 90 includes a housing 901 , a cover 902 , and an opening/closing means 903 to enable safe storage of the banner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50 .

상기 함체(901)는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된 권취부(50)와 구동수단(60)의 기어모듈(601)이 투입 가능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housing 901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winding unit 5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and the gear module 601 of the driving means 6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

이때 함체(901)의 측면에는 기어모듈(601)의 입력부가 노출되는 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put portion of the gear module 601 is exposed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901 .

상기 커버(902)는 함체(901) 상측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케 함체(901)에 힌지 결합된다.The cover 902 is hinged to the housing 901 so that the opening at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901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때, 커버(902)의 일측에는 와이어(70)가 통과하는 슬롯(902a)이 형성되되, 슬롯(902a)의 내측에는 수밀성을 확보되도록 연질 소재로 된 패킹(902b)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slot 902a through which the wire 70 passe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902, and a packing 902b made of a soft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lot 902a to ensure watertightness. .

상기 개폐수단(903)은 커버(902)의 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체(901) 내부에 설치된다.The opening/closing means 90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901 to en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902 .

일 실시 예에서, 개폐수단(903)은 제어부(605)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액추에이터를 함체(901) 내부에 설치하고, 피스톤로드의 단부를 커버(902)의 내측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의해 커버(902)의 자동 개폐가 가능케 된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means 903 installs an actuator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5 inside the housing 901, and hinges the end of the piston rod to the inside of the cover 902. Cover by the actuat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902 is enabled.

따라서, 현수막이 게시될 때는 커버(902)가 열리고, 현수막이 회전축(501)에 모두 권취되면 커버(902)가 닫힘에 따라 권취된 현수막의 케이스(90) 내 보관이 가능케 되어 현수막의 안전한 보관을 통해 현수막의 오염이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banner is posted, the cover 902 is opened, and when the banner is all 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as the cover 902 is closed, storage of the wound banner is possible in the case 90, so that the safe storage of the banner is possible. This will prevent contamination or damage to the bann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A: 현수막 10: 지주
20: 상부프레임 201: 안내롤러
30: 하부프레임 40: 승강체
401: 상부고정부 401a: 고정봉
401b: 상부개폐봉 401c: 상부클램프수단
402: 고정공 403: 안내공
50: 권취부 501: 회전축
501a: 회전감지수단 502: 하부고정부
502a: 하부개폐봉 502b: 하부클램프수단
503: 권취보빈 60: 구동수단
601: 기어모듈 601a: 출력축
601b: 입력축 602: 핸들
603: 전동공구 604: 모터
605: 제어부 606: 관제서버
607: 기상청서버 70: 와이어
81: 장력감지수단 82: 풍속감지수단
83: 풍압감지수단 90: 케이스
901: 함체 902: 커버
902a: 슬롯 902b: 패킹
903: 개폐수단
A: Banner 10: Shore
20: upper frame 201: guide roller
30: lower frame 40: elevating body
401: upper fixing portion 401a: fixing rod
401b: upper opening and closing rod 401c: upper clamp means
402: fixing hole 403: guide hole
50: winding unit 501: rotation shaft
501a: rotation detecting means 502: lower fixing part
502a: lower opening/closing rod 502b: lower clamping means
503: winding bobbin 60: driving means
601: gear module 601a: output shaft
601b: input shaft 602: handle
603: power tool 604: motor
605: control unit 606: control server
607: Meteorological Agency Server 70: Wire
81: tension detection means 82: wind speed detection means
83: wind pressure sensing means 90: case
901: enclosure 902: cover
902a: slot 902b: packing
903: opening and closing means

Claims (5)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
상기 지주(10)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프레임(30);
현수막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와이어(70)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체(40);
상기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되, 현수막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축(501)을 구비하여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수막을 회전축(501)에 권취하거나, 회전축(501)에 권취된 현수막을 풀어내는 권취부(50);
상기 하부프레임(30)에 설치되어 권취부(50)의 회전축(501)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
일단부가 회전축(501) 일측의 권취보빈(50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승강체(40)에 고정되되, 상부프레임(20)을 지나면서 힘의 방향이 바뀌게 설치되어 승강체(40)를 승강시키는 복수의 와이어(70);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되, 출력축(601a)이 권취부(50)의 회전축(501)과 연결되는 기어모듈(601);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기어모듈(601)의 입력축(601b)과 연결되어 기어모듈(601)을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604);
상기 모터(60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5);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501)의 회전 방향과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회전감지수단(501a)을 더 구비하여, 제어부(605)가 회전감지수단(501a)에서 제공되는 검출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게시 상태를 분석하여 모터(604)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며,
상기 와이어(70)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605)에 제공하는 장력감지수단(81)을 더 구비하여, 제어부(605)가 장력감지수단(81)에서 제공되는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현수막의 하중이나, 현수막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변화하는 와이어(70)의 장력 변화에 따라 모터(604)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장치.
Post (10) of a predetermined heigh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 upper frame 2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ost 10;
a lower frame (30)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ost (10);
The upp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the elevating body 40 is lifted by the wire 7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the banner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50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banner is fixed,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501, the banner is wound on the rotating shaft 501, or the banner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501 Winding unit 50 to unwind;
a driving means 60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forward/reverse;
One end is fixed to the winding bobbin 503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levating body 40,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changed as it passes through the upper frame 20, so that the elevating body 4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wires 70 for elevating; includes
The driving means 60,
a gear module 60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0 and having an output shaft 601a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01 of the winding unit 50;
a motor 604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30 and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601b of the gear module 601 to automatically rotate the gear module 601 forward and reverse;
a control unit 60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detecting means (501a) fo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ation shaft (501) and providing the detected values to the control unit (605), the control unit 605 is provided from the rotation detection means (501a)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comparing the detected value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and analyzing the posting status of the banner,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sensing means 81 for sensing the tension of the wire 70 in real time and providing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 unit 605, so that the control unit 605 detects the value provided by the tension detection unit 81 and a pre-stored reference valu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604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nsion of the wire 70 that is changed by the load of the banner or the pressure acting on the b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40)는,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401);
상기 상부고정부(401)의 전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각 와이어(7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공(402);
상기 상부고정부(401)의 후면 양단부에 형성되어 승강체(40)의 승강 시 각 와이어(70)를 안내하는 안내공(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body (40),
an upper fixing part 401 for fixing the upper part of the banner;
a fixing hole 40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and fixing the other end of each wire 70;
a guide hole 403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401 to guide each wire 70 when the elevating body 40 is lifted;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50)는,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501);
상기 현수막의 하단부를 고정하도록 회전축(501) 일측에 설치된 하부고정부(502);
상기 회전축(501)의 양단부에 설치되되, 각 와이어(7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권취보빈(5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설치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ing unit (50),
a rotation shaft 501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0;
a lower fixing part 50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501 to fix the lower end of the banner;
a winding bobbin (503)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501), one end of each wire (70) fixed; A banner installation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40915A 2021-10-21 2021-10-21 Banner installation device KR102419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15A KR102419997B1 (en) 2021-10-21 2021-10-21 Banner instal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15A KR102419997B1 (en) 2021-10-21 2021-10-21 Banner install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997B1 true KR102419997B1 (en) 2022-07-12

Family

ID=824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915A KR102419997B1 (en) 2021-10-21 2021-10-21 Banner install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9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50Y1 (en) * 1996-05-21 1999-06-15 박남순 Apparatus of fix hanging placard
KR200250317Y1 (en) 2001-07-19 2001-11-17 최길윤 The Bulletin Device Of Plan Card With A Advertising Pillar Function
KR200331891Y1 (en) * 2003-07-23 2003-11-01 (주)케스코리아 Framework to atach billboard
KR101550645B1 (en) * 2015-04-30 2015-09-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파트너스 banners posted advertising tow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750Y1 (en) * 1996-05-21 1999-06-15 박남순 Apparatus of fix hanging placard
KR200250317Y1 (en) 2001-07-19 2001-11-17 최길윤 The Bulletin Device Of Plan Card With A Advertising Pillar Function
KR200331891Y1 (en) * 2003-07-23 2003-11-01 (주)케스코리아 Framework to atach billboard
KR101550645B1 (en) * 2015-04-30 2015-09-09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파트너스 banners posted advertising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443B1 (en) Automatic Banner Hanger adjusting wind pressure
KR102419997B1 (en) Banner installation device
JP3967750B2 (en) Cable fall prevention device
KR101128503B1 (en) Fold type awning structure
CN113501451A (en) Guardrail plate hoisting device
CN215711581U (en) Lifting frame for installation and debugging of monitoring equipment
KR100997257B1 (en) Variable signboard device
CN212716134U (en) Telescopic fence bracket fixed on operation site
JP6658581B2 (en) Switchgear with lifting function
KR200231522Y1 (en) Hanging banner of notice board
KR101805045B1 (en) Apparatus of putting up a vertical placard on the wall of building
CN208234429U (en) A kind of lifting device
CN215798112U (en) Guardrail plate hoisting device
KR101587184B1 (en) elevating type lighing-tower
KR102439742B1 (en) Installing Apparatus of a bridge lamp
CN213134548U (en) Wire processing is with receiving and releasing frame
KR102648799B1 (en)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1608462B1 (en) Droop preventing apparatus of canvas door
CN217025058U (en) Laying device
CN213037251U (en) Pipeline construction lifting device
CN212479033U (en) Controllable sun-shading blind
CN213770739U (en) Material belt buffer memory device
CN219887522U (en) Scaffold green net equipment
CN219363186U (en) Auxiliary device for high-altitude power operation
JPH021597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