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799B1 - A bulletin stand of placard - Google Patents

A bulletin stand of pla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799B1
KR102648799B1 KR1020230152087A KR20230152087A KR102648799B1 KR 102648799 B1 KR102648799 B1 KR 102648799B1 KR 1020230152087 A KR1020230152087 A KR 1020230152087A KR 20230152087 A KR20230152087 A KR 20230152087A KR 102648799 B1 KR102648799 B1 KR 102648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display device
banners
support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2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숭
Original Assignee
전정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숭 filed Critical 전정숭
Priority to KR102023015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7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시장치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복수의 현수막을 효율적으로 게시하면서 게시된 현수막의 장력을 장기간 유지 및 보수 가능하고, 더불어 게시장치의 상부구조를 개선하여 설정의 간판을 임의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 게시를 위한 가동 메커니즘의 간소화로 조작성이 향상됨에 따라 현수막의 게첩을 위한 작업 능률이 적극 향상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100);과,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열되며 도르레 방식으로 작동하는 케이블(2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 내지 인출하는 제어유닛(300);과, 프레임 상에 층별로 복수 배치되어 현수막의 게시를 허용하고, 케이블의 권취와 인출 여부에 따라 연쇄적으로 중첩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게시유닛(40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improv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o efficiently display multiple banners while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tension of the posted banner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super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s improved to arbitrarily install and replace the signs in the setting. Not only that, but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simplifying the movable mechanism for posting banners, and the work efficiency for placing banners is actively improved.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comes from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It relates to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which maximizes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and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ames (100) vertically erected from the ground; and arranged along the inside of the frame. A cable 200 that operates in a pulley manner; and a control unit 300 that winds or withdraws the cabl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layers are arranged on the frame to allow the posting of a banner, and a winding of the cable It is composed of a posting unit 400 that sequentially overlaps and moves up and dow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withdrawn.

Description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A bulletin stand of placard}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osting signs and banners {A bulletin stand of placard}

본 발명은 복수의 현수막을 간편하게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시장치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복수의 현수막을 효율적으로 게시하면서 게시된 현수막의 장력을 장기간 유지 및 보수 가능하고, 더불어 게시장치의 상부구조를 개선하여 설정의 간판을 임의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 게시를 위한 가동 메커니즘의 간소화로 조작성이 향상됨에 따라 현수막의 게첩을 위한 작업 능률이 적극 향상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technical ideas related to a banner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display multiple banners. More specificall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s actively improved to effectively display multiple banners and increase the tension of the posted banner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repair for a long time, and by improving the super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not only can the signboard of the setting be installed and replaced at will, but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simplifying the operation mechanism for posting banners, so the work for posting banners is possible.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device that allows simultaneous posting of signs and banners, maximizing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due to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resulting from a differentiated structure from the existing structure, including actively improving efficiency. It's about.

통상적으로 현수막은 행사나 정당, 시민단체, 학원, 음식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홍보를 목적으로 게첩(揭帖)하는 천 소재의 장막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양단에 각목을 붙여 노끈으로 묶은 후 원하는 장소의 가로등이나 가로수 등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게시하였으나, 주변 경관을 해치고 시야를 가려 각종 인명 피해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정된 장소에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가 시설되었다.Typically, a banner refers to a cloth curtain hung for promotional purposes in various fields such as events, political parties, civic groups, academies, and restaurants. In general, banners were posted by attaching wooden blocks to both ends, tying them with twine, and then fixing them to streetlights or street trees at the desired location. However, problems such as damaging the surrounding scenery and blocking the view, causing various casualties, occurred, so they were posted in designated locations. A banner display stand has been installed.

예컨대 현수막 게시대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83179호 "현수막 게시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도로시설물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와, 지주 상에 설치되며 현수막의 게시를 유도하는 이동슬라이더;와, 이동슬라이더 상에 설치된 현수막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으로 구성된다.For example, as one of the technologies related to banner display stands,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83179, "Banner display device," is published, and the technology is a pair of poles install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road facilities; and, installed on the poles, a banner It consists of a moving slider that induces the posting of a message, and a tension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tension of the banner installed on the moving slider.

상기 기술은 장력조절유닛으로 하여금 다양한 길이로 제공되는 현수막을 팽팽한 상태로 게시할 수 있고, 또한 눈이나 비, 각종 오염물로 인해 하중이 가중되어 현수막이 쳐질 경우에도 장력조절유닛을 조작하여 현수막의 장력을 쉽고 편리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The above technology allows the tension control unit to display banners of various lengths in a taut state. Additionally, even when the banner sags due to increased load due to snow, rain, or various contaminants, the tension control unit can be operat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banner. can be recovered easily and conveniently.

한편, 현수막 게시대와 관련된 다른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69689호 "현수막 게시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다수의 가이드레일이 두 개의 지주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현수막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1현수막설치구가 두 개의 지주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현수막의 다른쪽 단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제2현수막설치구가 두 개의 지주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다수의 제1,제2현수막설치구 중에 가장 앞쪽에 위치한 제1,제2현수막설치구가 지주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기술은 다수의 제1현수막설치구에 각각 구비된 제1지지봉 사이마다 스페이서가 각 설치되고, 다수의 제2현수막설치구마다 구비된 제2지지봉 사이에 스페이서가 차례로 설치되며, 스페이서가 지지봉의 양단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페이서의 한쪽이 상승하는 지지봉의 하단부에 걸림과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의 다른쪽이 상승하는 지지봉과 인접한 다른 지지봉의 상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의 현수막설치구가 연쇄적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다.Meanwhile, as another technology related to the banner display st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69689, “Banner Display Device,” is published. In this technology, a plurality of guide rails are formed parallel to the two supports, and one end of the banner is A plurality of first banner installations supporting each other are movably installed on a plurality of guide rails formed on one of the two struts, and a plurality of second banner installations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banner are installed on one of the two struts. Each is movably installed on a plurality of guide rails formed on the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banner installations located at the fron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banner installations are operated manually or by power. It is based on a structure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 In the above technology, spac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rod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anner installation holes, spacers are sequential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rod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nner installation holes, and the spacers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rods.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between both ends, and one side of the spacer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rising support bar, and the other side of the spacer is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support bar adjacent to the rising support bar, so that a plurality of banner installation devices are chained. It has a structure that elevates and lowers.

상기와 같이 기존의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의 장력을 유지되게 하여 내용 전달에 충실하거나 또는 현수막 설치구를 단체로 승강되게 하여 게첩 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도모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banner display stand is being continuously developed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banner to faithfully convey the content, or to promote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posting work by allowing the banner installation tool to be raised and lowered as a group.

하지만, 실질적으로 게시장치에 게첩된 현수막을 승강 내지 하강시키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개선은 다소 미비하다. 예컨대 일반적인 게시장치는 와이어와 제어장치가 대부분 외부 노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는 엄연히 미관상 심미성을 저하시키고 외부 오염물이 지속적으로 달라붙어 작동과 수명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However, improvements regarding the wire that raises or lowers the banner hung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that winds the wire are somewhat insufficient. For example, since most of the wires and control devices of a typical display devic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is clearly deteriorates the aesthetics and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external contaminants continuously sticking to the device, adversely affecting its operation and lifespan.

따라서, 게시구조의 간편화를 통해 현수막 게시작업의 효율을 강화하고,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를 통해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며, 작동유닛들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심미성 향상과 수명 연장에 적극 기여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Therefore, the efficiency of banner posting work is strengthened by simplifying the posting structure, the advertising effect is maximized through simultaneous posting of signs and banners, and the external exposure of operating units is minimized, which can ac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aesthetics and extending the lifespan of banners. The development of posting devices is urgently needed.

등록특허공보 제10-1683179호 "현수막 게시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83179 “Banner display device” 등록특허공보 제10-0869689호 "현수막 게시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69689 “Banne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단일의 게시장치에 설정의 간판과 복수의 현수막을 모두 게첩할 수 있는 구조의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more active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main problem is to provide a banner display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can display both a set sign and multiple banners in a singl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를 위한 구조와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 설치, 조작,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문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간편한 조작성으로 게첩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osts of manufacturing, instal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by minimizing the structur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mechanism for posting banners, and maximizes the efficiency of posting work through simple operation that does not require specialized skill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s providing a banner display device that can do so.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및 와이어를 권취하는 제어장치가 게시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심미성 향상은 물론 게시장치의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ner display device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esthetics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display device by minimizing exposure of the wire and the control device for winding the wir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게시된 현수막과 간판의 장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오랜기간 게시되어 장력이 손실될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장력을 복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the tension of posted banners and sign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restore the tens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en the tension is lost due to being po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display of signs and banner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1)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100);과,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열되며 도르레 방식으로 작동하는 케이블(2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 내지 인출하는 제어유닛(300);과, 프레임 상에 층별로 복수 배치되어 현수막의 게시를 허용하고, 케이블의 권취와 인출 여부에 따라 연쇄적으로 중첩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게시유닛(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nner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ames (100) that stan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d a cable (200) arranged along the inside of the frame and operating in a pulley manner; a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cable A control unit (300) for winding or withdrawing; and a posting unit (400) arranged in multiple layers for each layer on the frame to allow posting of banners and sequentially overlapping and raising and lowering depending on whether the cable is wound or withdrawn.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으로부터 좌우 입설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 상단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판(120);과, 지지대 측부에 결합되어 제어유닛(300)을 수용하는 기어박스부(1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ame 100 includes a support 110 that stands left and right from the ground; a guide plate 120 replace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and a gear box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to accommodate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unit 130;

또한, 상기 기어박스부(130)는 지지대(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제어유닛(300)을 보호하는 박스부(131);와, 박스부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ear box unit 130 includes a box unit 131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10 to protect the control unit 300; and a cover unit 132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x unit to be openable and closed; Includes.

여기에서 상기 덮개부(132)는 일면에 제어유닛(300) 조작용 레버(A)가 보관되는 수용공간(132a)이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Here, the cover portion 132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space 132a formed on one side where the lever A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300 is stored.

또한, 상기 안내판(120)은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간판(121);과, 간판의 후면에 설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보강대(122);와, 간판 후방에 수평 배치되며, 케이블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는 보호관체(123);와, 보호관체를 보강대에 결합시키는 어뎁터(12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board 120 includes a sign 12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 reinforcement bar 122 installed at set intervals on the rear of the sign; and a horizontal arrangement at the rear of the sign, allowing cables to enter the interior. It includes a protective pipe body (123); and an adapter (124) that couples the protective pipe body to the reinforcement bar.

또한, 상기 어뎁터(124)는 보강대(122)와 볼팅 체결되는 설정 길이의 연결대(124-1);와, 연결대의 일측에서 수평 연장되는 거치대(124-2);와, 보호관체(123)를 포박한 상태로 양단이 거치대에 결부되는 구속부재(124-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dapter 124 includes a connecting rod 124-1 of a set length that is bolted to the reinforcing rod 122; a holder 124-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protective pipe 123. It includes a restraining member (124-3)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holder in a confined state.

또한, 상기 케이블(200)은 프레임(100)이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210);와, 프레임의 각 지지대(110)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마찰 저항에 기여하는 롤러부재(2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ble 200 includes a wire 210 disposed along the internal space provided by the frame 100; and a roller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support 110 of the frame to contribute to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and friction resistance. Includes member 220;

또한, 상기 롤러부재(220)는 지지대(110)에 볼팅 결합되는 연결편(221);과, 연결편로부터 직각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편(222);과, 연장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23);와, 연장편에서 롤러와 인접하게 가로 배치되어 와이어(210)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대(22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oller member 220 includes a connection piece 221 bolted to the support 110; a pair of extension pieces 222 extending at right angles from the connection piece; and a roller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 223); and, a separation prevention zone 224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roller in the extension piece to block the wire 210 from being separated.

또한, 상기 제어유닛(300)은 프레임(100)의 기어박스부(130)를 기준으로 지지대(110)를 수평 관통하는 기어축(310);과, 기어축에 결합되는 메인기어(320);와, 기어축 상단에 평행 배치되며 와이어(210)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와이어의 권취 및 인출을 유도하는 보빈(330);과, 보빈의 일단에 연장 설치되어 메인기어와 치합됨에 따라 기어축의 회전력을 보빈으로 전달하는 보조기어(3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gear shaft 310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upport 110 with respect to the gear box portion 130 of the frame 100; and a main gear 320 coupled to the gear shaft; and a bobbin 330 arranged in parallel at the top of the gear shaf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210 to induce winding and withdrawal of the wire depending on whether it rotates; and a bobbin 330 that is extended to one end of the bobbin and engages with the main gear. Includes an auxiliary gear 34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shaft to the bobbin.

또한, 상기 게시유닛(400)은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현수막의 거치 및 거치된 현수막을 일방향 권취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용게시대(410);와, 다른 하나의 지지대에 설치되며, 현수막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용게시대(4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00 is installed on one support 110, and an adjustment display 410 that adjusts the tension by mounting the banner and winding the mounted banner in one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upport. , a fixed display stand (420) for mounting and fixing the banner.

또한,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지지대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1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1가이드롤러(412);와, 제1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1메인봉체(413);와,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을 이음하며 메인봉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유닛(414);과, 제1메인봉체와 나란히 배치되고 제1메인봉체의 하단부로부터 틸팅됨에 따라 현수막의 개재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1보조봉체(415);와, 제1메인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메인봉체에 밀착된 제1보조봉체를 임의 구속하는 구속편(41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tand 410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and has a first main pipe body 411 to which wires 210 are each coupled; and a bolted connection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pipe body and a self-equipped wheel. Due to this, the first guide roller 412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and the first main rod body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t distance from the first main pipe body. (413); and, an operating unit 414 that connects the main tube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rod body and enables rotation of the main rod body;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and til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A first auxiliary rod body 415 that controls the interposition and tension of the banner; and a restraining piece 416 that is hinged to the top of the first main rod body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first auxiliary rod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Includes.

또한,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제1메인봉체(413)의 정면에 돌출되어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1고정핀(417)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tand 410 further includes a first fixing pin 417 that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banner.

또한, 상기 작동유닛(414)은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봉체(413) 상단에 횡단 배치되는 케이스(414-1);와, 케이스를 수직 관통하여 메인봉체의 상단 인입을 허용하는 수용홈(414-2);과, 수용홈을 통해 인입된 메인봉체와 결부되는 기어체(414-3);와, 기어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양방향 위치 가변을 통해 기어체와의 치합과 이탈이 설정됨에 따라 메인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레버(414-4);와, 케이스와 조작레버를 연결하며 인장력에 기인하여 조작레버의 가변된 위치를 임시 고정하는 스프링(414-5);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414 includes a case 414-1 disposed transversely on the top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allows the upper end of the main rod body to be inserted through the case vertically. a receiving groove (414-2); and a gear body (414-3)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introduc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gear body and meshing with the gear body through two-way position variation. An operating lever (414-4) that determines the flow direction of the main rod body as the separation is set; and a spring (414-5) that connects the case and the operating lever and temporarily fixes the changed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due to tensile force. Includes ;

또한, 상기 조작레버(414-4)는 메인봉체(413)와 결부되는 결합면(414-4a);과,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14-3)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414-4b);와,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414-4c);와,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414-4d);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414-4 has a coupling surface 414-4a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413; and a gear body 414-3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and rotates to the right of the coupling surface. ) a first engaging portion (414-4b) engaged with;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414-4c)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left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and engages with the gear body when the engaging surface turns to the left; and, engaging surface It includes a manipulation unit (414-4d)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and allows the user to hold it.

또한, 상기 고정용게시대(420)는 지지대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2메인관체(421);와, 제2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2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2가이드롤러(422);와, 제2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2메인봉체(423);와,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 이음하는 이음편(42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stand 420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and has a second main pipe body 421 to which wire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l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and connected to the wheel itself. As a result, a second guide roller 422 that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and a second main rod body disposed side by side at a set interval from the second main pipe body ( 423); and a joint piece 424 that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pipe body and the main rod body.

또한, 상기 고정용게시대(420)는 제2메인관체(421)의 정면 상에 돌출되어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2고정핀(425)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stand 42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pin 425 that protrudes on the front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banner.

또한, 상기 게시유닛(400)은 프레임(100) 내 상부에 위치한 게시유닛과 하부에 위치한 게시유닛이 승강 시 서로 중첩되어 연속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각 상단과 하단에 중첩블록(4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sting unit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overlapping blocks 440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post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the post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part overlap each other when being lifted and lowered to enable continuous lifting. It includes becoming.

특히, 상기 중첩블록(440)은 제1메인관체(411)와 제2메인관체(421)의 각 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치블록(441);과, 제1,2메인관체의 각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안착블록(442);과, 거치블록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안착블록을 관통함에 따라 거치블록과 안착블록을 고정시키는 돌기(443);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overlapping block 440 is a mounting block 441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bottom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pipe bodies 411 and 421; and from each upp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pipe bodies. It includes a seating block 442 that protrudes rearward; and a protrusion 443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mounting block and passes through the seating block to secure the mounting block and the seating block.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현수막을 극히 쉽고 간편하게 게첩할 수 있고, 동시에 설정의 간판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 게시가 가능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banners can be placed extremely easily and conveniently, and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s can be posted, such as installing additional signboards at the same time, thereby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재에 마련된 이탈방지바가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고, 더불어 롤러와 연장편 사이에 끼임되는 등의 문제가 완벽하게 해소됨에 따라 현수막 게시를 위한 승강과 하강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매우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erailment of the wire by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detached by the escape prevention bar provided on the roller member, and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being caught between the roller and the extension piece are completely solved, so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for posting the banner is completely solved. It operates smoothly and is very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끈으로 묶어 고정하던 단순한 게첩 방식이 아닌, 다수의 봉체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정밀한 회전력이 부여됨에 따라 현수막의 장력 조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능률과 효율이 극대화 유도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imple method of fastening with string as in the past, but a plurality of rods are mechanically operated to provide precise rotational force, allowing precise control of the tension of the banner, further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efficiency.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과 제어유닛이 프레임 내부에 적극 내장되어 외부 노출이 최소화됨에 따라 미관상 심미성이 적극 향상될 뿐 아니라, 특히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원활한 구동이 장기간 유지되고 이로부터 게시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ctively improves aesthetics by minimizing external exposure by actively embedding cables and control units inside the frame, but is also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minants, thereby maintaining smooth oper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ensuring that the display devic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omes from its differentiated structure from existing products, including an extended lifespa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게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롤러부재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용게시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용게시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작동유닛의 예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박스부의 예시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내판의 예시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유닛의 연쇄적 승강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ost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roller memb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ionary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operation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4 and 15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gearbox par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 and 17 are examples of information board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8 and 19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serial lifting and lowering structure of the post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s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현수막을 간편하게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regarding the technical idea of a banner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display a plurality of banners.

무엇보다 본 발명은 게시장치의 제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복수의 현수막을 효율적으로 게시하면서 게시된 현수막의 장력을 장기간 유지 및 보수 가능하고, 더불어 게시장치의 상부구조를 개선하여 설정의 간판을 임의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수막 게시를 위한 가동 메커니즘의 간소화로 조작성이 향상됨에 따라 현수막의 게첩을 위한 작업 능률이 적극 향상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improv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enabling efficient display of multiple banners while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tension of the posted banners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super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s improved to arbitrarily install the desired signboard. Not only is it possible to replace and replace the banner, but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simplifying the operating mechanism for posting banners, and the work efficiency for placing banners is actively improved.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s resulting from a structu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are possible. Please note that this is related to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which maximizes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due to eas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게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유닛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롤러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조절용게시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용게시대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내지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작동유닛의 예시도이며,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박스부의 예시도이고,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내판의 예시도이며,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게시유닛의 연쇄적 승강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construc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roller memb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tool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7 and 8 show the fixed ser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s 9 to 13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operat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4 and 15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gear box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16 and 17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operating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proposed information board, and Figures 18 and 19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serial lifting and lowering structure of the notice uni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100);과,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열되며 도르레 방식으로 작동하는 케이블(2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 내지 인출하는 제어유닛(300);과, 프레임 상에 층별로 복수 배치되어 현수막의 게시를 허용하고, 케이블의 권취와 인출 여부에 따라 연쇄적으로 중첩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게시유닛(400);으로 구성된다.The banner display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ames 100 that stan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 cable 200 arranged along the inside of the frame and operated in a pulley manner; and a cable that mov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 control unit 300 for winding or withdrawing; and a posting unit 400 that is arranged in multiple layers for each layer on the frame to allow posting of banners and is raised and lowered while sequentially overlapping depending on whether the cable is wound or withdrawn. It is composed of ;.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으로부터 좌우 입설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 상단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판(120);과, 지지대 측부에 결합되어 제어유닛(300)을 수용하는 기어박스부(130);로 구성된다.The frame 100 includes a support 110 that stands upright from the ground to the left and right; a guide plate 120 replace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and a gear box portion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to accommodate the control unit 300 ( 130);

상기 지지대(110)는 지면에서 수직으로 입설 설치되는 지지대(좌);와, 제1지지대로부터 설정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으로 입설 설치되는 지지대(우);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0)는 지면에 고정 지지되는 설정 두께의 지지평판(111);과, 지지평판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며 케이블(200)과 제어유닛(300)이 내장 설치되는 입설대(112);와, 입설대 내에 삽입되어 중첩 설치되며 게시유닛(400)의 안착 및 게시유닛의 승·하강시 수직 경로를 안내하는 승강레일(113);로 구성된다.The support 110 is composed of a support (left) installed vertically on the ground and a support (right) installed verticall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The support 110 includes a support plate 111 of a set thickness that is fix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n upright stand 112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support plate and has a built-in cable 200 and a control unit 300. , It is inserted into the standing stand and installed overlapping, and is composed of a lifting rail (113) that guides the vertical path when the posting unit (400) is seated and the posting unit is raised and lowered.

상기 지지대(110)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의 잔넬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시킨 것으로, 규격에 의해 제작된 현수막의 가로 길이와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0)는 잔넬의 개구된 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개구된 영역으로 게시유닛(400)의 내장 설치를 허용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게시유닛을 보호하고, 승·하강 동작에 대한 정확한 수직 경로를 안내한다.The support 110 is a 'ㄷ' shaped channel with an opening on one side rais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d can be install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an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support 110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the open areas of the channel facing each other, and allows the display unit 400 to be installed into the open area, thereby protecting the display unit from the outside and performing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s. Guides the correct vertical path to .

상기 안내판(120)은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간판(121);과, 간판의 후면에 설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보강대(122);와, 간판 후방에 수평 배치되며, 케이블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는 보호관체(123);와, 보호관체를 보강대에 결합시키는 어뎁터(124);로 구분 구성된다.The information board 120 includes a signboard 12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 reinforcement bar 122 installed at set intervals on the rear of the signboard; and a protection bar that is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rear of the signboard and allows cables to enter the interior. It consists of a pipe body (123) and an adapter (124) that couples the protective pipe body to the reinforcement bar.

상기 간판(121)과 보강대(122)는 서로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며, 통상의 간판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The signboard 121 and the reinforcement bar 122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and represent a normal signboard. However, it is natural that the length must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ame 100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banne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호관체(123)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수평 배치된다. 상기 보호관체(123)는 프레임(100) 상단에 배정된 와이어(21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관체(123)는 간판(121) 또는 프레임(100)의 양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에 별도의 결합면(도면 미도시)이 구비되어 지지대(110) 또는 간판 등에 결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pipe 123 is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top of the frame 100. The protective tube body 123 serves as a cover body to protect the wire 210 assigned to the top of the frame 100, and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tube body for this purpose. The protective pipe 123 may be made of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ign 121 or the frame 100, and is provided with separate coupling surfaces (not shown) at both ends to be attached to the support 110 or the sign, etc. You can.

상기 어뎁터(124)는 보호관체(123)를 간판(1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어뎁터(124)는 보강대(122)와 볼팅 체결되는 설정 길이의 연결대(124-1);와, 연결대의 일측에서 수평 연장되는 거치대(124-2);와, 보호관체(123)를 포박한 상태로 양단이 거치대에 결부되는 구속부재(124-3);로 구분 구성된다.The adapter 124 serves to secure the protective tube 123 to the sign 121. For this purpose, the adapter 124 includes a connecting rod 124-1 of a set length that is bolted to the reinforcing rod 122; a holder 124-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protective pipe 123. It is composed of a restraining member (124-3)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holder in a confined state.

상기 연결대(124-1)는 일측 단부를 간판(121)의 후면에 형성된 보강대(122) 측면에 중첩시킨 후 볼트를 관통시켜 연결하고, 관통된 볼트에 너트를 채워 견고히 고정한다. 이후 구속부재(124-3)로 보호관체(123)를 포위한 후 구속부재의 양단부를 각각 거치대(124-2)의 양측 가장자리에 끼워넣어 너트로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보호관체를 간판에 구속시킨다.The connecting bar 124-1 is connected by overlapping one end of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122 formed on the rear of the sign 121 by passing a bolt through it, and filling the through bolt with a nut to firmly fix it. After surrounding the protective pipe body 123 with the restraining member 124-3, both ends of the restraining member are inserted into both edges of the holder 124-2 and firmly fixed with nuts to restrain the protective pipe body to the sign.

상기 기어박스부(130)는 지지대(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제어유닛(300)을 보호하는 박스부(131);와, 박스부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32);로 구분 구성된다.The gear box unit 130 is divided into a box unit 131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10 to protect the control unit 300; and a cover unit 13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x unit to be openable and closed. It is composed.

상기 기어박스부(130)에는 제어유닛(300)이 수용되고, 제어유닛 중 일부가 박스부(13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어유닛 조작용 레버(A)의 설치를 허용한다. 상기 덮개부(132)는 일면에 조작용 레버(A)가 보관되는 수용공간(132a)이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박스부(131)와 덮개부(132)는 각각 클램프나 자물쇠용 경첩 등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작업자 외에 덮개부(132)를 개방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300 is accommodated in the gear box unit 130, and a portion of the control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x unit 131 to allow installation of a lever A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The cover portion 132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space 132a formed on one side where the operating lever A is stored. Meanwhile, the box part 131 and the cover part 132 are each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such as a clamp or a locking hinge, so that the cover part 132 cannot be opened by anyone other than the operator.

상기 케이블(200)은 프레임(100)이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210);와, 프레임의 각 지지대(110)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마찰 저항에 기여하는 롤러부재(220);로 구분 구성된다.The cable 200 includes a wire 210 disposed along the internal space provided by the frame 100; and a roller member installed on the top of each support 110 of the frame to contribute to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and friction resistance ( 220);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예컨대 상기 와이어(210)는 먼저 지지대(우)에 마련된 제어유닛(300)으로부터 인출되어 수직 배치되면서 지지대(우)에 배치된 게시유닛(400)과 연속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지지대(우)에 배치된 게시유닛(400)과 연속적 결합이 이루어진 와이어(210)는 지지대(우)의 상단에 결합된 롤러부재(220)에 의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안내판(120)의 후면에 수평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때 안내판(120)에 결합된 보호관체(123)의 내부공간으로 수평 개입됨에 따라 와이어의 외부 노출이 차단된다. 보호관체(123)를 관통한 와이어(210)는 지지대(좌)의 상단에 결합된 롤러부재(220)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연직하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지지대(좌)의 내부공간으로 수직 배치되면서 지지대(좌)에 배치된 게시유닛(400)과 연속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wire 210 is first pulled out from the control unit 300 provided on the support (right) and placed vertically, and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display unit 400 disposed on the support (right). The wire 210, which is continuously coupled to the display unit 400 placed on the support (right), is chang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ller member 220 coupled to the top of the support (righ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 It is placed horizontally at the rear of 120). At this time, as the wire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rotective tube 123 coupled to the guide plate 120, external exposure of the wire is blocked. The wire 210 passing through the protective tube body 123 is chang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by the roller member 220 coupled to the top of the support (left) and is placed vertic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left). Continuous coupling is achieved with the display unit 400 placed on the support stand (left).

상기 와이어(210)는 일 단부가 제1메인관체(411)와 제2메인관체(421)의 각 상단에 설치된 원형링과 결합하고, 원형링과 결합되는 단부에는 U볼트가 더 설치되어 보다 쉽고 편리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210 is coupled to a circular ring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a U bolt is further installed at the end coupled to the circular ring to make it easier and easier. A convenient connection can be made.

상기 롤러부재(220)는 지지대(110)에 볼팅 결합되는 연결편(221);과, 연결편로부터 직각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편(222);과, 연장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23);와, 연장편에서 롤러와 인접하게 가로 배치되어 와이어(210)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대(224);로 구분 구성된다.The roller member 220 includes a connecting piece 221 bolted to the support 110; a pair of extension pieces 222 extending at right angles from the connecting piece; and a roller 223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 and a separation prevention zone 224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roller in the extension piece and blocks the wire 210 from being separated.

일반적으로 와이어(210)의 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롤러(223)는 곡면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반복적인 권취 과정에서 와이어가 롤러의 곡면을 타고 롤러를 이탈하거나 또는 롤러와 연장편 사이의 축에 끼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와이어(210)의 인출과 권취가 불가능해지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제어유닛(300)을 조작하게 되면 와이어가 단선되는 등의 2차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장편(222)의 일측에 롤러와 인접한 위치에 이탈방지대(224)를 형성하여 와이어(210)가 롤러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였다.In general,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210 is circular, and the roller 223 on which the wire is wound is made of a curved surface, so during the repetitive winding process, the wire rides on the curved surface of the roller and leaves the roller or between the roller and the extension piece. Problems such as getting caught in the shaft may occur. In this case, drawing out and winding the wire 210 becomes impossible, and if the control unit 300 is operated without recognizing this, secondary problems such as wire disconnection will occu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on prevention zone 2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iece 222 adjacent to the roller to prevent the wire 210 from leaving the roller.

상기 제어유닛(300)은 프레임(100)의 기어박스부(130)를 기준으로 지지대(110)를 수평 관통하는 기어축(310);과, 기어축에 결합되는 메인기어(320);와, 기어축 상단에 평행 배치되며 와이어(210)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와이어의 권취 및 인출을 유도하는 보빈(330);과, 보빈의 일단에 연장 설치되어 메인기어와 치합됨에 따라 기어축의 회전력을 보빈으로 전달하는 보조기어(340);로 구분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gear shaft 310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upport 110 based on the gear box portion 130 of the frame 100; and a main gear 320 coupled to the gear shaft; A bobbin 330 disposed in parallel at the top of the gear shaf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210 to induce winding and withdrawal of the wire depending on whether it rotates; It consists of an auxiliary gear (340)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bobbin.

상기 기어축(310)은 기어박스부(130)의 박스부(131)에 내장 설치되며, 일단이 박스부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용 레버(A)의 연결을 허용한다. 기어축(310)에 조작용 레버(A)를 결합시킨 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축과 연결된 메인기어(320)가 회전하게 되고, 메인기어와 치합된 보조기어(340)가 회전하면서 최종적으로 보빈(34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빈(3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210)가 권취될 수도 있고, 인출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210)가 보빈(340)에 권취되게 되면 게시유닛(400)이 승강하게 되고, 와이어가 보빈으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승강된 게시유닛이 하강하게 된다.The gear shaft 310 is installed inside the box portion 131 of the gear box portion 130, and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x portion to allow connection of the operating lever (A). When the operating lever (A) is coupled to the gear shaft 310 and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main gear 320 connected to the gear shaft rotates, and the auxiliary gear 340 meshed with the main gear rotates, thereby rotating the final gear. This rotates the bobbin 340. Accordingly, the wire 210 may be wound or pulled out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bbin 340. When the wire 210 is wound around the bobbin 340, the posting unit 400 is raised and lowered, and when the wire is pulled out from the bobbin, the raised posting unit is lowered.

상기 게시유닛(400)은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현수막의 거치 및 거치된 현수막을 일방향 권취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용게시대(410);와, 다른 하나의 지지대에 설치되며, 현수막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용게시대(420);로 구분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절용게시대(410)는 지지대(우)에 설치되고, 고정용게시대(420)는 지지대(좌)에 설치된다.The display unit 400 is installed on one of the supports 110, and has an adjustment stand 410 for mounting the banner and controlling the tension by winding the mounted banner in one direction; and, installed on the other support, the banner It is divided into a fixed container (420) that is mounted and fix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able vessel stand 41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tand (right), and the fixed vessel stand 4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tand (left).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지지대(110)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1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1가이드롤러(412);와, 제1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1메인봉체(413);와,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을 이음하며 메인봉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유닛(414);과, 제1메인봉체과 나란히 배치되고 제1메인봉체의 하단부로부터 틸팅됨에 따라 현수막의 개재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1보조봉체(415);와, 제1메인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메인봉체에 밀착된 제1보조봉체를 임의 구속하는 구속편(416);으로 구분 구성된다.The control stand 410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110 and includes a first main pipe body 411 to which wire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l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pipe body and connected to its own wheel. As a result, a first guide roller 412 that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and a first main rod body disposed side by side at a set interval from the first main pipe body ( 413); and, an operating unit 414 that connects the main tube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rod body and enables rotation of the main rod body;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and tilt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a banner It is divided into a first auxiliary rod body 415 that adjusts the interposition and tension of the first auxiliary rod body and a restraining piece 416 that is hinged to the top of the first main rod body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first auxiliary rod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It is composed.

상기 제1메인관체(411)는 조절용게시대(410)의 기본 골조가 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지지대(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개재되어 제어유닛(300)의 조작에 따라 승강 내지 하강이 이루어진다.The first main pipe body 411 serves as the basic frame of the control stand 410, and is vertically interposed inside the support stand 110 to be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상기 제1가이드롤러(412)는 제1메인관체(411) 후면에 배치되며 볼트와 너트의 상호 조합으로 제1메인관체와 일체화 구성되는 바디;와, 롤러바디의 양측에 각 설치되며 지지대(110)에 마련된 승강레일(113)을 따라 구동하는 차륜;으로 구성된다.The first guide roller 412 is a bod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integrated with the first main pipe body through a mutual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body and has a support (110) It consists of a wheel that drives along the lifting rail 113 provided in ).

상기 제1메인봉체(413)는 제1메인관체(411)로부터 설정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아래 후술할 작동유닛(414)에 의해 좌우 양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작동유닛(414)에 구비된 기어체(414-3)와 조작레버(414-4) 등의 조합과 조작에 기인하여 그 목적이 달성되며, 선회 동작으로 하여금 게시유닛(400)에 게첩된 현수막의 장력이 정교하게 조절된다.The first main rod body 413 is arranged side by si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can be assembled in a form that can be rotat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n operation unit 4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purpose is achieved due to the combination and operation of the gear body 414-3 and the operation lever 414-4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414, and the turning operation causes the display unit 400 to be posted. The tension of the banner is precisely controlled.

상기 작동유닛(414)은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봉체(413)의 상단을 연결하며, 제1메인관체를 기준으로 제1메인관체를 좌 방향 또는 우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한다.The operation unit 414 connects the top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rotates the first main pipe body to the left or right or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first main pipe body. Shiki performs a direct role.

상기 작동유닛(414)은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봉체(413) 상단에 횡단 배치되는 케이스(414-1);와, 케이스를 수직 관통하여 제1메인봉체의 상단 인입을 허용하는 수용홈(414-2);과, 수용홈을 통해 인입된 메인봉체와 결부되는 기어체(414-3);와, 기어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양방향 위치 가변을 통해 기어체와의 치합과 이탈이 설정됨에 따라 메인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레버(414-4);와, 케이스와 조작레버를 연결하며, 인장력에 기인하여 조작레버의 가변된 위치를 임시 고정하는 스프링(414-5);으로 구분 구성된다.The operating unit 414 includes a case 414-1 disposed transversely at the top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allows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to be inserted through the case vertically. a receiving groove (414-2); and a gear body (414-3)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introduc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gear body and meshing with the gear body through two-way position variation. An operating lever (414-4) that determines the flow direction of the main rod body as the separation is set; and a spring (414-5) that connects the case and the operating lever and temporarily fixes the changed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due to the tensile force. );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상기 케이스(414-1)는 작동유닛(414)을 구성하는 제반 요소들의 유기적인 조합이 가능하도록 설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공간 내에서 소정의 기어체(414-3)와 조작레버(414-4), 스프링(414-5) 등이 순차적으로 위치 배열되어 제 기능을 발휘한다. The case 414-1 is made up of a space set to enable organic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operating unit 414, and within the space, a predetermined gear body 414-3 and an operating lever 414 are installed. -4), springs 414-5, etc. are arranged sequentially and perform their functions.

상기 기어체(414-3)는 수용홈을 통해 인입된 제1메인봉체(413)의 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제1메인봉체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동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체(414-3)는 제1메인봉체(413)와 동반 회전할 뿐만 아니라 피치를 조작레버(414-4)의 제1걸림부(414-4b) 내지 제2걸림부(414-4c)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긴밀한 작용을 유도한다. 즉 조작레버(414-4)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414-4b) 내지 제2걸림부(414-4c)는 기어의 이빨과 이빨 사이에 정확히 안착하여 해당 기어체(414-3)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As the gear body 414-3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413 introduc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ain rod body is transmitted and rotates together. The gear body 414-3 not only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413, but also adjusts the pitch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s 414-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414-4c of the operating lever 414-4. )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leading to a close action with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locking portion 414-4b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414-4c that protrudes from the operating lever 414-4 is accurately seated between the teeth of the gear and the corresponding gear body 414-3. It must be set enough to control the direction of rotation.

상기 조작레버(414-4)는 작동유닛(414)의 케이스(414-1) 내에 설치되고, 일부는 외부 노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선회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조작레버의 일부가 기어체(414-3)의 이빨과 이빨 사이에 걸림이 이루어져 회전된 위치를 결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operating lever 414-4 is installed in the case 414-1 of the operating unit 414, and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hold it, and can be turned left or right due to the user's operation. This is done, and from this, a part of the operation lever is caught between the teeth of the gear body 414-3 and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rotated position.

상기 조작레버(414-4)는 작동유닛(414)의 수용홈(414-2) 상에 양 방향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기어체(414-3)에 치합되면서 제1메인봉체(413)의 선회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작레버(414-4)는 얇은 두께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메인봉체(413)와 결부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어체(414-3)와의 치합 여부가 결정되어 제1메인봉체의 선회 동작을 제어한다.The operating lever 414-4 is installed in a form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on the receiving groove 414-2 of the operating unit 414, and engages with the gear body 414-3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operates it. 1Controls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main rod body 413.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lever 414-4 is made of a thin plate shape, is connected to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rotates, and allows the user to hold the gear body 414 by the user's operation. -3) Whether or not it engages is determined and the turning motion of the first main rod is controlled.

이러한 조작레버(414-4)는 메인봉체(413)와 결부되는 결합면(414-4a);과,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14-3)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414-4b);와,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414-4c);와,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414-4d);로 이루어진다.This operating lever (414-4) has a coupling surface (414-4a)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413; and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gear body (414-3) when the coupling surface turns to the right. A first engaging portion (414-4b);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414-4c)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left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and engages with the gear body when the engaging surface turns to the left; And, a lower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It consists of a manipulation unit 414-4d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and allows the user to hold it.

상기와 같이 조작레버(414-4)는 결합면(414-4a)을 기준으로 우측에 제1걸림부(414-4b)가 연장 형성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기어체(414-3)와 치합이 이루어져 회전 제어가 가능하고, 결합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제2걸림부(414-4c)가 연장 형성되어 좌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도 기어체와 치합이 이루어져 회전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조작레버(414-4)는 제1걸림부(414-4b)와 제2걸림부(414-4c)를 매개로 기어체(414-3)의 우측과 좌측 이빨에 치합이 가능하여 양 방향 조작이 가능케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lever 414-4 has a first locking portion 414-4b extending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surface 414-4a, so that even when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gear body 414-3 Rotation control is possible by engaging with the gear body,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414-4c is formed extending to the left of the engagement surface, so that even when rotating in the left direction, rotation is controlled by engaging with the gear body.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lever 414-4 can be engaged with the right and left teeth of the gear body 414-3 via the first engaging portion 414-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14-4c. Bidirectional operation is possible.

한편,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제1메인봉체(413)의 정면에 돌출되어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1고정핀(4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tand 4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pin 417 that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banner.

상기 고정용게시대(420)는 지지대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2메인관체(421);와, 제2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2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2가이드롤러(422);와, 제2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2메인봉체(423);와,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 이음하는 이음편(424);으로 구분 구성된다.The fixing stand 420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and has a second main pipe body 421 to which wires 210 are each coupled; and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and is driven by a self-equipped wheel. A second guide roller (422) that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and a second main rod body (423)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t distance from the second main pipe body. ); and a joint piece 424 that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pipe body and the main rod body.

상기 제2메인관체(421)는 고정용게시대(420)의 기본 골조가 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지지대(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개재되어 제어유닛(300)의 조작에 따라 조절용게시대(410)와 동반하여 승강 내지 하강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serves as the basic frame of the fixing stand 420, and is vertically interposed inside the support stand 110 to adjust the stand 4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Ascending or descending occurs along with .

상기 제2가이드롤러(422)는 제2메인관체(421)의 후면에 배치되며 볼트와 너트의 상호 조합으로 제2메인관체와 일체화 구성되는 바디;와, 롤러바디의 양측에 각 설치되며 지지대(110)에 마련된 승강레일(113)을 따라 구동하는 차륜;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guide roller 422 is a bod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integrated with the second main pipe body through a mutual combination of bolts and nuts;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ller body and has a support ( It consists of a wheel that drives along the lifting rail 113 provided in 110).

상기 제2메인봉체(423)는 제2메인관체(421)로부터 설정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며, 아래 후술할 이음편(424)에 의해 제2메인관체와 일체화 결합된다. 상기 제2메인봉체(423)는 직접적으로 현수막이 거치되는 봉체로써 일측에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2고정핀(425)이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rod body 423 is arranged side by si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in pipe body by a joint 4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main rod body 423 is a rod body on which the banner is directly moun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in 425 formed on one side to arbitrarily restrain the banner.

상기 이음편(424)은 설정 두께의 평판으로 제2메인봉체(423)의 상단과 하단에 각 배치되며, 상단에 배치된 이음편은 용접에 의해 제2메인봉체(423)와 일체화되고, 하단에 배치된 이음편은 제2메인봉체에 비해 다소 확장된 직경의 진입홀;이 마련되어 이에 중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joint piece 424 is a flat plate of a set thickness and is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main rod body 423. The joint piece disposed at the upper end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main rod body 423 by welding, and the lower end The joint piece disposed in can be provided with an entry hole with a diameter slightly enlarged compared to the second main rod body and placed in an overlapping state.

상기 이음편(424)은 모두 제2메인관체(421)의 어느 일측면에 용접되어 제2메인관체와 제2메인봉체(423)를 일체화시키는데 기여한다.The joint pieces 424 are all weld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contribute to integrating the second main pipe body and the second main rod body 423.

한편, 상기 이음편(424) 중 제2메인봉체(423)의 상단에 배치된 이음편은 측면에서 진입홀에 이르도록 설정 폭으로 절개된 것을 포함하며, 해당 절개면을 통해 현수막을 진입시켜 현수막의 일단을 제2메인봉체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mong the joint pieces 424, the joint piece disposed at the top of the second main rod body 423 includes a cut with a set width from the side to reach the entry hole, and allows the banner to enter through the cut surface to create a banner. One end of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ain rod body.

더불어 본 발명의 게시유닛(400)은 상측에 위치한 게시유닛과 그 하측에 위치한 게시유닛이 승강 시 서로 중첩되어 연속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는 각 게시유닛(4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중첩블록(440)이 더 구비되고, 게시유닛이 승강하면서 중첩블록끼리 중첩되면서 연속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play unit located on the lower side overlap each other when the display unit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display unit is continuously raised and lowered.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overlapping blocks 440 are further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posting unit 400, and the overlapping blocks overlap each other as the posting unit is raised and lowered, thereby enabling continuous elevation.

상기 중첩블록(440)은 제1메인관체(411) 또는 제2메인관체(421)의 각 저부에서 좌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거치블록(441);과, 제1메인관체 또는 제2메인관체의 각 상부에서 우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안착블록(442); 및 거치블록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안착블록을 관통함에 따라 거치블록과 안착블록을 고정시키는 돌기(443);로 구성된다.The overlapping block 440 is a mounting block 441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left from each bottom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or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each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or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 seating block 44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top to the right; and a protrusion 443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mounting block and penetrates the seating block, thereby fixing the mounting block and the seating block.

예컨대, 프레임(100)의 상측에 배치된 게시유닛(400)과, 바로 아래에 배치된 게시유닛(400)은 중첩블록(440) 끼리 서로 설정 범위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측에 배치된 메인관체(411,421)가 승강할 때 하측에 배치된 메인관체의 안착블록(442)과 상하 중첩이 이루어지게 되며, 거치블록에 형성된 돌기(443)가 안착블록에 끼움 고정되어 상측에 배치된 메인관체가 하측에 배치된 메인관체를 끌어올리게 되는 구조이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4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0 and the display unit 400 disposed immediately below are arranged so that the set ranges of the overlapping blocks 440 overlap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main pipe bodies 411 and 421 placed on the upper side are raised and lowered, they overlap vertically with the seating block 442 of the main pipe body placed on the lower side, and the protrusion 443 formed on the holding block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eating block.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main pipe placed on the upper side raises the main pipe placed on the lower sid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복수의 현수막을 극히 쉽고 간편하게 게첩할 수 있고, 동시에 설정의 간판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 게시가 가능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banne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lace a plurality of banners,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ost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s, such as installing additional signs of the setting, thereby maximizing the advertising effect. there is.

또한, 롤러부재에 마련된 이탈방지바가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고, 더불어 롤러와 연장편 사이에 끼임되는 등의 문제가 완벽하게 해소됨에 따라 현수막 게시를 위한 승강과 하강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reakaway prevention bar provided on the roller member prevents the wire from breaking away, and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being caught between the roller and the extension piece are completely eliminated, allowing smooth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s for banner posting. It is done.

또한, 기존과 같이 끈으로 묶어 고정하던 단순한 게첩 방식이 아닌, 다수의 봉체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정밀한 회전력이 부여됨에 따라 현수막의 장력 조절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능률과 효율이 극대화 유도된다.In addition, instead of using the simple method of tying and securing the banner with strings as before, the tension of the banne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mechanically operating multiple rods to provide precise rotational force, further maximizing work efficiency and efficiency. do.

또한, 케이블과 제어유닛이 프레임 내부에 적극 내장되어 외부 노출이 최소화됨에 따라 미관상 심미성이 적극 향상될 뿐 아니라, 특히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원활한 구동이 장기간 유지되고 이로부터 게시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In addition, as the cables and control units are actively built into the frame, external exposure is minimized, which not only improves aesthetics, but is also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minants, maintaining smooth oper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by extending the lifespan of the display device. The convenience of use and efficiency are maximized due to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repair that comes from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현수막 게시장치 100. 프레임
110. 지지대 120. 안내판
130. 기어박스부 200. 케이블
210. 와이어 220. 롤러부재
300. 제어유닛 310. 기어축
320. 메인기어 330. 보빈
340. 보조기어 400. 게시유닛
410. 조절용게시대 420. 고정용게시대
1. Banner display device 100. Frame
110. Support 120. Information board
130. Gearbox part 200. Cable
210. Wire 220. Roller member
300. Control unit 310. Gear shaft
320. Main gear 330. Bobbin
340. Auxiliary gear 400. Posting unit
410. Adjustable display 420. Fixed display

Claims (16)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좌우 한쌍의 프레임(100);과,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배열되며 도르레 방식으로 작동하는 케이블(200);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 내지 인출하는 제어유닛(300);과, 프레임 상에 층별로 복수 배치되어 현수막의 게시를 허용하고, 케이블의 권취와 인출 여부에 따라 연쇄적으로 중첩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게시유닛(400);으로 구성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으로부터 좌우 입설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 상단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판(120);과, 지지대 측부에 결합되어 제어유닛(300)을 수용하는 기어박스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판(120)은 지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간판(121);과, 간판의 후면에 설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보강대(122);와, 간판 후방에 수평 배치되며, 케이블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는 보호관체(123);와, 보호관체를 보강대에 결합시키는 어뎁터(124);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 pair of left and right frames 100 that stan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d a cable 200 arranged along the inside of the frame and operating in a pulley manner; and a control unit 300 that winds or withdraws the cabl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the banner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nd, a display unit 400 that is arranged in multiple layers on the frame to allow display of banners and is sequentially overlapped and raised and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cable is wound or pulled out. ,
The frame 100 includes a support 110 that stands upright from the ground to the left and right; a guide plate 120 replace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and a gear box portion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to accommodate the control unit 300 ( 130); including,
The information board 120 includes a signboard 12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 reinforcement bar 122 installed at set intervals on the rear of the signboard; and a protection bar that is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rear of the signboard and allows cables to enter the interior.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osting a sign and a banner including a tube body (123) and an adapter (124) for coupling the protective tube body to the reinforcement b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부(130)는,
지지대(110)의 측부에 형성되어 제어유닛(300)을 보호하는 박스부(131);
박스부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32);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32)는 일면에 제어유닛(300) 조작용 레버(A)가 보관되는 수용공간(132a)이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earbox unit 130,
A box portion 131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10 to protect the control unit 300;
A cover portion 13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x portion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cluding,
The cover part 132 is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 sign and a banner, including a receiving space (132a) on one side of which the control unit 300 operating lever (A) is stor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124)는,
보강대(122)와 볼팅 체결되는 설정 길이의 연결대(124-1);
연결대의 일측에서 수평 연장되는 거치대(124-2);
보호관체(123)를 포박한 상태로 양단이 거치대에 결부되는 구속부재(124-3);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apter 124 is,
A connecting rod (124-1) of a set length that is bolted to the reinforcing rod (122);
A holder (124-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 restraining member (124-3)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holder while enclosing the protective tube body (123);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00)은,
프레임(100)이 제공하는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210);
프레임의 각 지지대(110)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방향 전환과 마찰 저항에 기여하는 롤러부재(220);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ble 200 is,
A wire 210 disposed along the internal space provided by the frame 100;
A roller member 220 installed on the top of each support 110 of the frame to contribute to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ire and friction resistance;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220)는,
지지대(110)에 볼팅 결합되는 연결편(221);
연결편로부터 직각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편(222);
연장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23);
연장편에서 롤러와 인접하게 가로 배치되어 와이어(210)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방지대(224);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roller member 220 is,
A connecting piece 221 bolted to the support 110;
A pair of extension pieces (222) extending at right angles from the connecting piece;
Rollers 223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A separation prevention band 224 is disposed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roller in the extension piece to block separation of the wire 210;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프레임(100)의 기어박스부(130)를 기준으로 지지대(110)를 수평 관통하는 기어축(310);
기어축에 결합되는 메인기어(320);
기어축 상단에 평행 배치되며 와이어(210)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여부에 따라 와이어의 권취 및 인출을 유도하는 보빈(330);
보빈의 일단에 연장 설치되어 메인기어와 치합됨에 따라 기어축의 회전력을 보빈으로 전달하는 보조기어(340);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300,
A gear shaft 310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support 110 with respect to the gearbox portion 130 of the frame 100;
Main gear 320 coupled to the gear shaft;
A bobbin 330 arranged in parallel at the top of the gear shaf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210 to induce winding and withdrawal of the wire depending on whether it rotates or not;
An auxiliary gear 340 that is extended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bbin and engages with the main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shaft to the bobbin;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유닛(400)은,
어느 하나의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현수막의 거치 및 거치된 현수막을 일방향 권취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용게시대(410);
다른 하나의 지지대에 설치되며, 현수막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고정용게시대(420);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sting unit 400 is,
An adjustment device holder 410 installed on one of the supports 110 and adjusting the tension by mounting the banner and winding the mounted banner in one direction;
A stationary stand (420) installed on another support and holding and fixing the banner;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지지대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1메인관체(411);
제1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1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1가이드롤러(412);
제1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1메인봉체(413);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을 이음하며 메인봉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유닛(414);
제1메인봉체과 나란히 배치되고 제1메인봉체의 하단부로부터 틸팅됨에 따라 현수막의 개재 및 장력을 조절하는 제1보조봉체(415);
제1메인봉체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제1메인봉체에 밀착된 제1보조봉체를 임의 구속하는 구속편(416);
을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device 410 is,
A first main pipe body (411)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and to which wires (210) are each coupled;
A first guide roller 412 that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first main pipe body and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due to its own wheels;
A first main rod body 413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main pipe body at a set interval;
An operating unit 414 that connects the top of the main tube body and the main rod body and enables rotation of the main rod body;
A first auxiliary rod body 415 tha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and adjusts the interposition and tension of the banner by tilt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A restraining piece 416 that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in rod body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first auxiliary rod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ain rod body;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게시대(410)는 제1메인봉체(413)의 정면에 돌출되어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1고정핀(417)을 더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display stand 410 is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 sign and a banner, further including a first fixing pin 417 that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bann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414)은,
제1메인관체(411)와 제1메인봉체(413) 상단에 횡단 배치되는 케이스(414-1);
케이스를 수직 관통하여 메인봉체의 상단 인입을 허용하는 수용홈(414-2);
수용홈을 통해 인입된 메인봉체와 결부되는 기어체(414-3);
기어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양방향 위치 가변을 통해 기어체와의 치합과 이탈이 설정됨에 따라 메인봉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조작레버(414-4);
케이스와 조작레버를 연결하며, 인장력에 기인하여 조작레버의 가변된 위치를 임시 고정하는 스프링(414-5);
을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operating unit 414 is,
A case (414-1) disposed transversely on the top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and the first main rod body (413);
A receiving groove (414-2) that vertically penetrates the case and allows entry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rod body;
A gear body (414-3)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introduced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An operating lever (414-4) disposed adjacent to the gear body and determin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main rod body as engagement and separation with the gear body are set through bi-directional position variation;
A spring 414-5 that connects the case and the operating lever and temporarily fixes the changed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due to tensile force;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414-4)는,
메인봉체(413)와 결부되는 결합면(414-4a);
결합면의 우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우측 선회 시 기어체(414-3)와 치합되는 제1걸림부(414-4b);
결합면의 좌측 상단에서 연장 돌출되며 결합면의 좌측 선회 시 기어체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414-4c);
결합면의 하측에서 연장 돌출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조작부(414-4d);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The operating lever (414-4) is,
A coupling surface (414-4a) connected to the main rod body (413);
A first engaging portion (414-4b) that extends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and engages with the gear body (414-3) when the engaging surface turns to the right;
a second engaging portion (414-4c)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left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and engages with the gear body when the engaging surface turns to the left;
An operating unit (414-4d) that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to allow the user to hold it;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게시대(420)는,
지지대의 내부에 수직 설치되며, 와이어(210)가 각 결합되는 제2메인관체(421);
제2메인관체의 일면에 볼팅 결합하며 자체 구비된 차륜에 기인하여 지지대가 제공하는 내부의 수직공간 내에서 제2메인관체의 승·하강에 기여하는 제2가이드롤러(422);
제2메인관체와 설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제2메인봉체(423);
메인관체와 메인봉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 이음하는 이음편(424);
을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fixing stage 420 is,
A second main pipe body 421 is installed vertically inside the support and each wire 210 is coupled thereto;
A second guide roller 422 that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and contributes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within the internal vertical space provided by the support due to its own wheels;
A second main rod body 423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second main pipe body at a set interval;
A joint piece (424)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pipe body and the main rod body;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게시대(420)는 제2메인관체(421)의 정면 상에 돌출되어 현수막을 임의 구속하는 제2고정핀(425)을 더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fixed display stand 420 is a multi-post type banner display capable of simultaneous display of a sign and a banner, which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pin 425 that protrudes on the front of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nd arbitrarily restrains the bann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유닛(400)은 프레임(100) 내 상부에 위치한 게시유닛과 하부에 위치한 게시유닛이 승강 시 서로 중첩되어 연속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각 상단과 하단에 중첩블록(4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블록(440)은,
제1메인관체(411) 또는 제2메인관체(421)의 각 저부에서 좌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거치블록(441);
제1메인관체 또는 제2메인관체의 각 상부에서 우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안착블록(442);
거치블록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안착블록을 관통함에 따라 거치블록과 안착블록을 고정시키는 돌기(443);
를 포함하는 간판과 현수막의 동시 게시가 가능한 멀티 게시형 현수막 게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sting unit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overlapping blocks 440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posting unit located at the upper part and the post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part overlap each other when being lifted and lowered to enable continuous lifting. Contains,
The overlapping block 440 is,
A mounting block 441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left from each bottom of the first main pipe body 411 or the second main pipe body 421;
A seating block 442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right from each upper part of the first main pipe body or the second main pipe body;
A protrusion 443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mounting block and penetrates the seating block to secure the mounting block and the seating block;
A multi-post banner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signs and banners including.
KR1020230152087A 2023-11-06 2023-11-06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2648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087A KR102648799B1 (en) 2023-11-06 2023-11-06 A bulletin stand of pla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087A KR102648799B1 (en) 2023-11-06 2023-11-06 A bulletin stand of pla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799B1 true KR102648799B1 (en) 2024-03-18

Family

ID=9047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087A KR102648799B1 (en) 2023-11-06 2023-11-06 A bulletin stand of pla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79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815Y1 (en) * 2004-05-13 2004-08-21 최경주 The Reduced Operating Load Placard-Bulletin System
KR100869689B1 (en) 2007-11-28 2008-11-21 주식회사 남신테크 Device for hanging placard
KR101683179B1 (en) 2016-07-15 2016-12-07 주식회사 대상디자인 Banners posted Device
KR102030061B1 (en) * 2018-08-30 2019-10-08 염규익 Hanging apparatus for placard
KR102569328B1 (en) * 2023-02-10 2023-08-22 전정숭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2583039B1 (en) * 2023-02-10 2023-09-26 전정숭 A screen hang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815Y1 (en) * 2004-05-13 2004-08-21 최경주 The Reduced Operating Load Placard-Bulletin System
KR100869689B1 (en) 2007-11-28 2008-11-21 주식회사 남신테크 Device for hanging placard
KR101683179B1 (en) 2016-07-15 2016-12-07 주식회사 대상디자인 Banners posted Device
KR102030061B1 (en) * 2018-08-30 2019-10-08 염규익 Hanging apparatus for placard
KR102569328B1 (en) * 2023-02-10 2023-08-22 전정숭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2583039B1 (en) * 2023-02-10 2023-09-26 전정숭 A screen 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9898A (en) Vertically adjustable sign
US7000344B2 (en) Up-and-down display sign
KR20130033628A (en) Pole of elevating type
US6192627B1 (en) Lead screw barrier system
KR101271763B1 (en) Angle controling type pole assembly
KR102030061B1 (en) Hanging apparatus for placard
KR102648799B1 (en) A bulletin stand of placard
CN210383113U (en) Animation education creation workstation
CA2097681A1 (en) Flagstaff maintaining the flag unfurled
KR102673443B1 (en)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2569328B1 (en)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1025936B1 (en) Screen hanging device
US5471774A (en) Lowerable changeable message and maintenance sign
KR20090015168A (en) Movable type lighting apparatus
KR100777208B1 (en) A vertical hanging banner notice device
US3779516A (en) Post puller
KR102442902B1 (en) A bulletin stand of placard
KR100924175B1 (en) Hanger for banner
KR101895942B1 (en) Placard notice device of both directions winding type
KR100869690B1 (en) Device for hanging placard
KR100397826B1 (en) The vertical type banner rack
CN114108514A (en) Portal frame superelevation protection early warning device based on laser detection
KR100517326B1 (en) system banner of movement perpendicularity up and down
KR101197649B1 (en) Multimedia display board
CN217352309U (en) Lifting type water ret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