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273B1 -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 Google Patents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273B1
KR102419273B1 KR1020210155032A KR20210155032A KR102419273B1 KR 102419273 B1 KR102419273 B1 KR 102419273B1 KR 1020210155032 A KR1020210155032 A KR 1020210155032A KR 20210155032 A KR20210155032 A KR 20210155032A KR 102419273 B1 KR102419273 B1 KR 10241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main shaft
barbell
grip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한수
Original Assignee
인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인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15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0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balls or rollers urged by an axial displacement of a wedge or a conical memb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adjustable grip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adjustable grip allowing the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muscles to be trained by weight training to be widened while maintaining a weight balance of both arms of a user supporting a main shaf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hands of the user gripping the main shaft are moved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approaching direction or in a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ring a weight training exercises such as bench press or deadlift.

Description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본 발명은 바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메인샤프트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메인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는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bell,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 the main shaft by moving both hands of a user holding the main shaft by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close or spaced direction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 lift. It relates to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so that the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secured more widely while maintain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user's arms.

최근 들어 미용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ning)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social interest in beauty and health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continue to perform weight training to improve muscle strength and create a balanced body is increasing.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이나 덤벨(dumbbell)과 같이 무게를 가진 물체를 이용해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으로서,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 리프트(dead lift) 등 여러 가지 동작이 있으며, 피트니스 클럽에는 이러한 동작들을 구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헬스 기구들이 구비되어 있다.Such weight training is an exercise that uses a weighted object, such as a barbell or dumbbell, to train muscles and thereby increase physical strength. Bench press, squat, and deadlift There are various motions such as (dead lift), and the fitness club is equipped with various fitness equipment to implement these motions.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의 대표적인 동작 중의 하나의 벤치 프레스 동작은 사용자가 벤치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양손으로 바벨(1')의 메인샤프트(100)를 어깨 넓이 보다 조금 넓은 간격으로 파지한 후, 도 1a와 같이, 팔을 뻗어 메인샤프트(100)를 들어올리는 동작과, 도 1b와 같이, 메인샤프트(100)를 가슴 쪽으로 내리는 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가슴 근육을 단련시키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bench press operation, one of the representative movements of weight training, is performed by holding the main shaft 100 of the barbell 1' with both hands at an interval slightly wider than shoulder width while lying on the bench, as shown in FIG. 1a. , to train the pectoral muscles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main shaft 100 by extending the arm and lowering the main shaft 100 toward the chest as shown in FIG. 1B.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바벨(1')은 도 1a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샤프트(100)를 들어올려 가슴 근육을 수축시키는 동작 중에는 메인샤프트(100)를 파지한 양손의 위치가 팔꿈치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가슴 근육이 수축되는 범위가 제한되고, 도 1b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샤프트(100)를 가슴 쪽으로 내려 가슴 근육을 이완시키는 동작 중에는 메인샤프트(100)를 파지한 양손의 위치가 팔꿈치 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가슴 근육(대흉근)이 이완되는 범위가 제한됨에 따라 가슴 근육의 단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rbell 1 ′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A , the position of both hands holding the main shaft 100 is located outside the elbow dur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lifting the main shaft 100 and contracting the pectoral muscles. As a result, the range in which the pectoral muscles contract is limited, and as shown in FIG. 1b , dur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lowers the main shaft 100 toward the chest to relax the pectoral muscles, the position of both hands holding the main shaft 100 is on the inner side of the elb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ining of the pectoral muscles is not performed properly as the range in which the pectoral muscle (pectoralis major) relaxes is limited.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등록특허 제5152731호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한 메인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그립을 구비한 바벨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 Patent No. 5152731 discloses a barbell having gripping grips that are slidably coupl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to both ends of the main shaft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spectively.

상기한 미국등록특허 제5152731호는 사용자의 양손의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파지그립이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메인샤프트를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파지그립이 사용자에 의해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가슴 근육의 이완 및 수축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되도록 하여 가슴 근육 단련을 위한 운동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U.S. Patent No. 5152731 discloses that, as the gripping grips providing gripping areas of the user's both hands are slidably coupl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raising and lowering the main shaft, each As the gripping grips are moved to a position that is spaced apart or close to each other by the user, the user's hands are moved to a position that is spaced apart or close to each other to secure a wider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chest muscles, thereby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for training the chest muscles. can be further improved.

그러나, 상기한 미국등록특허 제5152731호는 파지그립이 메인샤프트에 단순히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메인샤프트를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파지그립에 인가되는 힘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각각의 파지그립의 이동거리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거리의 차이는 바벨을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를 무너뜨려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대로된 근육 단련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No. 5152731, the gripping grip is simply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the difference in the force applied to each gripping grip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the user repeating the operation of lifting and lowering the main shaft. occurs, a difference in the movement distance of each gripping grip may occur, and this difference in movement distance may break the weight balance of the user's arms supporting the barbell,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the user is inju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roper muscle training effect.

또한, 상기한 미국등록특허 제5152731호는 파지그립이 메인샤프트에 단순히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자가 메인샤프트를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파지그립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파지그립에 인위적인 힘을 지속적으로 인가해야 함에 따라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한 근육 단련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U.S. Patent No. 515273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ping grips are simply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so that the user moves the gripping grip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oves each gripping grip closer to or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main shaft. As an artificial force must be continuously applied to each gripping grip for this purpo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muscle training effect by weight train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미국등록특허 제5152731호US Patent No. 5152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메인샤프트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메인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는 보더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both hands of a user holding the main shaft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 lift by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adjacent or spaced direction. It is to provide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so that a wider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secured while maintain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user's arms supporting the main shaft by moving 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을 기준으로 한 양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포함하는 파지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파지 그립은 바벨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shaft in which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spectively, an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ain sha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isposed and includes a gripping grip por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ing portion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are used for weight training using a barbell. There is provided a barbell provid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both hands in a mutually proximate or space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은 상기 메인샤프트의 정,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ov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ain shaft.

그리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벨 웨이트의 체결영역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체결샤프트를 포함하는 바벨 웨이트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main shaft, respectivel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barbell weight fastening por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shafts providing a fastening area of the barbell weight do.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은 볼 스크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of a ball screw coupling structure.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 및 제1 파지그립은 나사산의 시작점이 다수개로 형성된 다줄나사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arts and the first and first gripping gr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ulti-line screw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arting points of the screw thread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은 각각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eac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메인샤프트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메인샤프트를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는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 밸런스의 붕괴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근육 단련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lift, both hands of a user holding the main shaft ar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close or spaced direction to support the main shaft. While maintaining the weight balance, the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secured more widely, 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weight balance, but also to provide a more improved muscle training effect. ca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바벨을 이용한 벤치 프레스 동작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정면도.
1A and 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blem during a bench press operation using a conventional barbel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bell provided with a position 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rbell provid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front views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this view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1)은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샤프트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메인샤프트(10), 파지그립부(20) 및 바벨 웨이트 체결부(30)를 포함한다.2 to 4, the barbell 1 provid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both hands of a user who grips the shaft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lift. Alternatively, the main shaft 10, the gripping grip part 20 and the barbell weight fastening part 30 are moved to the same distance in the spaced direction to secure a wider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include

메인샤프트(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의 봉 상으로서, 중앙을 기준으로 한 양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11, 12)가 형성된다.The main shaft 10 has a circular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 and 12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여기서,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11, 12)는 사용자의 양손의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파지그립부(20)의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이 메인샤프트(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하며,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 and 12 ar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of the gripping grip portion 20 providing gripping areas of the user's both hands of the main shaft 10 . It provides a region that is movably coupl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serves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n a direction that is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파지그립부(20)는 원형의 관체 형상으로서 내주면이 제1 나사체결부(11)에 나사결합되는 제1 파지그립(21)과, 원형의 관체 형상으로서 내주면이 제2 나사체결부(12)에 나사결합되는 제2 파지그립(22)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통해 사용자의 양손의 파지영역을 제공한다.The gripping grip part 20 has a circular tubular shape,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which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fastening part 11 , and a circular tubular body shape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screwed to the second screw fastening part 12 . It includes a second gripping grip 22 that is screwed together, and provides gripping areas of both hands of the us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

여기서,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중에는 바벨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사용자 양손의 제1수평위치와, 바벨을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내린 상태에서의 사용자 양손의 제2수평위치 간에 위치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사용자 양손의 위치편차는 사용자가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 양손으로 파지한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메인샤프트(10)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 즉 수평분력을 자연스럽게 발생시키게 된다.
Here,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lift, the first horizontal position of the user's both hands in a state in which the barbell is lif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barbell is lower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positional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user's hands.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user's hands as described above is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o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gripped by the user's both hands when the user performs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barbell. )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 a force that moves in a direction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a horizontal component force is naturally generated.

그리고, 상기한 수평분력에 의해 메인샤프트(10)는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제1수평위치와 제2수평위치에서의 사용자 양손의 위치편차 범위 안에서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양팔의 밸런스가 유지되므로 웨이트 밸런스의 붕괴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shaft 10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component while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n the first horizontal posi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sition. It moves the same distance in a direction that is close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the range.
Accordingly, since the balance of the user's arms is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user perform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tion of the barbe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weight balanc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양손의 제1수평위치와 제2수평위치 간의 위치편차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는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단련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weight balance of the user's arms, and the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secured more widely due to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user's hands. The training effect of the muscle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improved more.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메인샤프트(10)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 즉 수평분력이 자연스럽게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상기한 수평분력을 인위적으로 부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인위적인 힘을 부가해야 함에 따라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한 근육 단련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c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 in a direction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the user lifting and lowering the barbell. That is, as the horizontal component is naturally generated, the user does not need to artificially add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component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s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are artificially As a force must be add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muscle training effect by weight training is not properly achieve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도4의 확대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10)의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11, 12)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의 결합구조를 볼 스크류 결합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A of Figure 4,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main shaf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 can be formed as a ball screw coupling structur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샤프트(10)의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11, 12)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의 결합구조를 나사산의 시작점이 다수개로 형성된 다줄나사 결합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main shaf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s formed of a screw thread. It may be formed in a multi-line screw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arting points are formed.

위와 같은 다줄나사 결합구조는 피치 간격이 커 1회전시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의 보다 원활한 이동성을 제공하면서도 볼 스크류 결합구조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multi-row screw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provides smoother mobility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as the movement distance during one rotation is relatively long due to the large pitch interval, while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ball screw coupling structure. can save

바벨 웨이트 체결부(30)는 메인샤프트(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바벨 웨이트의 체결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 체결샤프트(31) 및 제2 체결샤프트(32)를 포함한다.The barbell weight fastening part 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shaft 10 to provide a fastening area for the barbell weight, and includes a first fastening shaft 31 and a second fastening shaft 32 .

제1 및 제2 체결샤프트(31, 32)는 내측단이 개방된 원관 형상으로서 메인샤프트(10)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개재되는 베어링부재(31b, 32b)를 통해 메인샤프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단에 체결되는 바벨 웨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 지지플랜지(31a, 32a)가 외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hafts 31 and 32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ner end and rotate on the main shaft 10 through bearing members 31b and 32b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main shaft 10 and interposed therebetween. First and second support flanges (31a, 32a) which are installed as possible and limit the movement of the barbell weight fastened to the inner end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러한 제1 및 제2 체결샤프트(31, 32)는 메인샤프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바벨 웨이트와 같은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메인샤프트(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shafts 31 and 32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shaft 10, the main shaft while stably supporting a weight such as a barbell weight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 lift (10) serves to rotat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barbell equipp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벤치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양손으로 바벨의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파지한 후,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샤프트(10)를 들어올려 가슴 근육을 수축시키는 동작 중에는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메인샤프트(10)의 축방향으로 따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자연스럽게 발생되어 메인샤프트(1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하여 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가 유지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가슴 근육이 수축되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사용자의 가슴 근육을 충분히 수축시킬 수 있게 된다.
After the user grips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of the barbell with both hands while lying on the bench, as shown in FIG. 5A ,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main shaft 10 to contract the pectoral muscles During the process, a forc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 in a mutually proximate direction is naturally generated. The shaft 10 rotates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move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proximate direction, and as the user's both hands holding them ar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a mutually adjacent direction, the weight balance of both arms of the user is improved. In addition to being maintained, the range in which the user's pectoral muscles contract is not limited, so that the user's pectoral muscles can be sufficiently contracted.

또한, 본 발명은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메인샤프트(10)를 가슴 쪽으로 내려 가슴 근육을 이완시키는 동작 중에는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을 메인샤프트(10)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자연스럽게 발생되어 메인샤프트(10)가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하여 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양손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가 유지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가슴 근육이 이완되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사용자의 가슴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B ,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re placed on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lowering the main shaft 10 toward the chest to relax the chest muscles. , 22)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10, a force is naturally generated to cause the main shaft 10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sid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are moved by the same distance in the mutually spaced direction and the user's both hands holding the gripping grips 21 and 22 move the same distance in the mutually spaced direction, thereby balancing the weight of both arms of the user. is maintained and the range in which the user's pectoral muscles are relaxed is not limited, so that the user's pectoral muscles can be sufficiently relax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벤치 프레스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시 제1 및 제2 파지그립에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자연스럽게 발생되어 메인샤프트가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만큼 이동시킴에 따라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시 사용자 양팔의 웨이트 밸런스가 유지되면서도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의 이완 및 수축 범위는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웨이트 밸런스의 붕괴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향상된 근육 단련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 of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such as a bench press is provided in a direction that is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As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move the same distan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as the main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due to natural occurrence, the weight of the user’s arms during weight training operation While the balance is maintained, the range of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muscles trained by weight training can be secured more widely, 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weight balance, but also to provide an improved muscle training effect. have.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벤치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벤치 프레스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바로 선 상태에서 바벨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데드 리프트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발생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bench press operation in which the user repeats lifting and lowering the barbell while lying on the bench. It is natural that the same action and effect occur even when applied to a deadlift that repeats lifting and lowering motions.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의 정면도이다.6A and 6B are front views of a barbell provid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1)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의 각각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막대형상의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21a, 22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A and 6B, the barbell 1 provided with a position-variable gripping gr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rod-shaped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and 22a are further form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위와 같은 제1 및 제 2 보조파지구(21a, 22a)는 도 6a와 같이, 메인샤프트(10)에 대해 90˚로 배치되거나, 도 6b와 같이, 메인샤프트(!0)에 대해 45˚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양팔이 비틀어지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and 22a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at 90°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10, as shown in FIG. 6a, or at 45°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0) as shown in FIG. 6b. It is disposed and serves to variously change the angle at which the user's arms are twisted when the user grips i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21a, 22a)를 통해 자신의 양팔의 비틀어지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에 의해 단련되는 근육부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muscle part to be trained by weight training by variously changing the torsion angle of his or her arm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and 22a.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21a, 22a)가 메인샤프트(10)에 대해 90˚또는 45˚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and 22a are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at 90° or 45°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10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changed to various angles according to ne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21a, 22a)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21a, 22a)가 제1 및 제2 파지그립(21, 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and 22a are fixedly instal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and 22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21a, 22a)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21, 22) are detachably install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10 : 메인샤프트 11 : 제1 나사체결부
12 : 제2 나사체결부 20 : 파지그립부
21 : 제1 파지그립 22 : 제2 파지그립
30 : 바벨 웨이트 체결부 31 : 제1 체결샤프트
31a : 제1 지지플랜지 32 : 제2 체결샤프트
32a : 제2 지지플랜지
1: Barbell with variable position gripping grip
10: main shaft 11: first screw fastening part
12: second screw fastening part 20: gripping grip part
21: first gripping grip 22: second gripping grip
30: barbell weight fastening part 31: first fastening shaft
31a: first support flange 32: second fastening shaft
32a: second support flange

Claims (6)

중앙을 기준으로 한 양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포함하는 파지그립부를 포함하고,
벤치 프레스 또는 데드 리프트와 같은 바벨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에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어 상기 메인샤프트가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상기 메인샤프트이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을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은 사용자가 상기 바벨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들어올린 상태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내린 상태에서의 사용자 양손의 수평위치 편차에 의해 자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 main shaft in which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ortions each having different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a gripping grip portion dispos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ain shaf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each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ing parts,
A force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to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in a direction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during a weight training operation using a barbell, such as a bench press or a deadlift This is generat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by the same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shaft approaches or separates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while the main shaft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force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in a direction to be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is determined by a stat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barbell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 barbell provided with a variable-position gripping gri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aturally generated by a deviation i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user's hands in the state lowered to the first 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벨 웨이트의 체결영역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체결샤프트를 포함하는 바벨 웨이트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ccording to claim 1,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rbell weight fastening part which is respectively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main shaft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haft,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fastening shafts providing a fastening area for the barbell weight. Barbell with variable gripping gr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은 볼 스크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ccording to claim 1,
The barbell provided with a variable-position gripping g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have a ball screw coupl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 및 제1 파지그립은 나사산의 시작점이 다수개로 형성된 다줄나사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ccording to claim 1,
The barbell provided with a variable-position gripping g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fastening parts and the first and first gripping grips have a multi-line screw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arting points of a screw thread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지그립은 각각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보조파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grips each have first and second auxiliary grippers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KR1020210155032A 2021-11-11 2021-11-11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KR102419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32A KR102419273B1 (en) 2021-11-11 2021-11-11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32A KR102419273B1 (en) 2021-11-11 2021-11-11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273B1 true KR102419273B1 (en) 2022-07-11

Family

ID=8239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032A KR102419273B1 (en) 2021-11-11 2021-11-11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7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4812A1 (en) * 2010-10-19 2012-04-19 Pec 1000, Llc Exercise bar having sliding hand grips
JP5152731B2 (en) 2006-12-15 2013-02-27 フェデラル−モーグル コーポレイション Multilayer gasket
KR20140005514U (en) * 2013-04-16 2014-10-27 윤홍규 Exercise equipment supportting the leg tearing
KR20150089810A (en) * 2014-01-28 2015-08-05 이준형 Training device
CN206745830U (en) * 2017-04-24 2017-12-15 王广 The multi-functional firm barbell thick stick that a kind of length is easily adjuste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2731B2 (en) 2006-12-15 2013-02-27 フェデラル−モーグル コーポレイション Multilayer gasket
US20120094812A1 (en) * 2010-10-19 2012-04-19 Pec 1000, Llc Exercise bar having sliding hand grips
KR20140005514U (en) * 2013-04-16 2014-10-27 윤홍규 Exercise equipment supportting the leg tearing
KR20150089810A (en) * 2014-01-28 2015-08-05 이준형 Training device
CN206745830U (en) * 2017-04-24 2017-12-15 王广 The multi-functional firm barbell thick stick that a kind of length is easily adjus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220B2 (en) Exercise log
US8088052B1 (en) Core-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JP5995878B2 (en) Improved exercise equipment
US7601106B2 (en) Multi-axis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9950211B2 (en) Weight stack pushup exercise device
US10123929B2 (en) Wrist and forearm exoskeleton
US20170216650A1 (en) Plate loaded abduction-adduction press bar
US20060276314A1 (en) Bar with sliding handgrips for resistance exercise devices
US7896777B2 (en) Multi-dimensional arm and wrist train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weight
CN208511802U (en) A kind of physical fitness stretcher
US7241251B2 (en) Hand-held exercise device assembly incorporating a variable stability strength overload distribution system
US10646748B1 (en) Wrist and forearm exercise and rehabilitation device
KR102419273B1 (en) Barbell with position variable grasping grips
EP1955736A1 (en) Exercise apparatus
CN212262334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fitness equipment
CN105854240B (en) A kind of strong chest chest-developer
US20160346594A1 (en) Forearm workout device
US20050239614A1 (en) Centrifugal forc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CN210078750U (en) Shoulder exercising device
KR20190091232A (en) Multi-angle muscle strength device using rotary axis
RU223966U1 (en) Sports barbell
PL213973B1 (en) Apparatus for practising ability of hand manipulation
CN212327374U (en) Combined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CN220327885U (en) Rehabilitation device is tempered with hand to nursing branch of academic or vocational study
CN209917154U (en) Shoulder exerci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