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071B1 -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 Google Patents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071B1
KR102419071B1 KR1020210133727A KR20210133727A KR102419071B1 KR 102419071 B1 KR102419071 B1 KR 102419071B1 KR 1020210133727 A KR1020210133727 A KR 1020210133727A KR 20210133727 A KR20210133727 A KR 20210133727A KR 102419071 B1 KR102419071 B1 KR 10241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ook
interlocking
server
data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21013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0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which comprises a step of performing a big data-based book material management. 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book material management comprises: a step of designing a book material management system; a step of realizing the designed book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a step of managing and providing a book material based on the realized book material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provided is the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wherein the book material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comprise: a material management server which generat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collection of the book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given to each material; a user terminal used by a book user; a manager terminal used by a book manager; and a server managing unit which maintains and manages the material management servers to be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manages the same to respond to external shock. Therefore, efficient book recommendation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providing method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도서를 추천하는 기술이 지속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시대에 맞춰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이 요구된다. 아울러 이러한 도서추천과 함께 관련된 도서자료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에서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들을 모두 효과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은 부재하거나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온라인상에서 안전하고 최적화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부분이 간과되어 네트워크 상의 고장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수요자들은 불편함을 겪게되는 문제점이 있다.While book recommendation technology is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 method of provid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i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se book recommendations and related book materials online and offlin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ology that can effectively satisfy all of these parts is absent or insufficient. In addition, in providing such a syst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hysically stabl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provide the system in an online safe and optimized st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such a physical part is overlooked, resulting in huge damage due to a failure on the network, and inconvenience to consumers.

한국등록특허 제10-223295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3295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효과적인 도서추천을 제공하며 그 운영상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에 갖춰진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book recommendation in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and to provide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equipped in an environment that can secure operational stability and efficiency.

또한, 영어 리딩을 통한 효율적인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원생 개개인의 리딩 지수, 워드카운트, 도서 퀴즈 정답률에 따라 원생의 리딩 실력을 가장 잘 성장시킬 수 있는 맞춤형 도서 목록을 제공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ig Data can provide a customized book list that can best develop a student's reading skills according to each student's reading index, word count, and book quiz correct rate by using big data for efficient improvement of English proficiency through English reading. It is to provide a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또한, 영어 리딩을 통한 효율적인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원생 개개인의 리딩 지수, 워드카운트, 도서 퀴즈 정답률에 따라 원생의 리딩 실력을 가장 잘 성장시킬 수 있고 원생 개개인의 정보에서 리딩 지수, 워드카운트, 도서 퀴즈 정답률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맞춤형 도서 목록을 제공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English proficiency through English reading, by using big data, students can best develop their reading skills according to each student's reading index, word count, and book quiz correct rate. It is to provide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a customized book list that is not limited to word count and book quiz correct rate.

또한, 미국 교과 과정에서 사용하는 AR, Lexile 지수로만 한국 상황에 적용할 경우,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도서의 선정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도서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용이하게 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AR and Lexile indices used in the US curriculum are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select books appropriate for a student’s level and select books that are helpful for growth. to provide a system

또한, 시스템상의 서버와 관련된 부분을 최적화된 온도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과 진동 등에 대해 서버등의 물리적 수단을 효과적으로 파지 고정되도록 장착 보관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not only maintains the server-related parts on the system in an optimized temperature state, but also installs and stores physical means such as servers to effectively grip and fix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will be.

또한, 도서관에서 소장하는 각 자료에 부여되어 있는 ISBN를 근거로 하여 자료 정보 및 관리 정보를 한 번에 생성하는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implement a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that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at once based on the ISBN assigned to each material owned by the library.

또한, 도서관 소장 자료 관리, 도서관 이용자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such as library collection data management and library user management.

또한,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신규 도서의 대출 시점 및 그에 따른 배가 시점을 예측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that can predict the timing of borrowing and doubling of new book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제공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 평가를 실시하는 서비스 평가 서버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including a service evaluation server that evaluates emotional factors for the provided ser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빅데이터 기반 도서자료 관리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자료 관리가 수행되는 단계는,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설계된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이 구현되는 단계; 및 구현된 상기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도서자료가 관리 및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은, 각 자료에 부여되어 있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를 근거로 하여 상기 도서의 소장 자료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료관리서버와 도서 이용자가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과, 서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자료관리서버들을 설정조건으로 유지관리하고 외부충격에 대응하도록 관리하는 서버매니징유닛을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performing big data-based book data management, wherein the book data management is performed, comprising: designing a book data management system; a step in which the designed book data management system is implemented; and managing and providing book data based on the implemented book data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book data management system holds the book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assigned to each data. A data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information for data management, a user terminal used by book users, an administrator terminal used by a book administrator, and a server manager that maintains and manages the data management servers under set conditions and responds to external shocks It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jingle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효과적인 도서추천을 제공하며 그 운영상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환경에 갖춰진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equipped in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effective book recommendation and secures operational stability and efficiency in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또한, 시스템상의 서버와 관련된 부분을 최적화된 온도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과 진동 등에 대해 서버등의 물리적 수단을 효과적으로 파지 고정되도록 장착 보관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not only maintains the server-related parts on the system in an optimized temperature state, but also can install and store physical means such as servers to effectively grip and fix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can

또한, 도서관에서 소장하는 각 자료에 부여되어 있는 ISBN를 근거로 하여 자료 정보 및 관리 정보를 한 번에 생성하는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implement a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that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at once based on the ISBN assigned to each material owned by the library. .

또한, 도서관 소장 자료 관리, 도서관 이용자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such as library collection data management and library user management.

또한,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신규 도서의 대출 시점 및 그에 따른 배가 시점을 예측가능한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capable of predicting the timing of borrowing and doubling of new book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제공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 평가를 실시하는 서비스 평가 서버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including a service evaluation server that evaluates emotional factors for the provided service.

도 1 내지 도 3a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1에 따른 도서추천시스템의 참고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자료 관리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료 관리 서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4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1 to 3A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figurations of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3B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reference contents of the boo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 .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7 to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som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system accor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a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a을 참조하면,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도서추천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설계된 도서추천시스템이 구현되는 단계; 및 구현된 상기 도서추천시스템이 온라인상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1 to 3A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figurations of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 to 3A ,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designing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a step in which the design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is implemented; and providing the implement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online.

상기 도서추천시스템은, 학습자(210)의 리딩을 포함하는 수준을 측정하고, 학습자(210)에게 도서 학습진행을 위한 과정을 제공하며 리딩을 위한 리딩가이드와 추천도서에 관한 추천도서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DB(220); 상기 온라인 DB와 연계되어 바코드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리딩도서와 상기 가이드 도서를 판별하는 AI교사모듈(230); 및 상기 온라인DB(220)와 연계되어 상기 리딩가이드와 상기 추천도서에 기반하는 도서 목록에 관한 정보를 융합하는 도서추천모듈(240)을 포함한다.The book recommendation system measures the level including the reading of the learner 210, provides the learner 210 with a process for learning the book, and provides a reading guide for reading and recommended book information about recommended books. Online DB (220); AI teacher module 230 for discriminating the reading book and the guide book based on barcode recognition in connection with the online DB; and a book recommendation module 240 that is linked with the online DB 220 to fuse the reading guide and information on a book list based on the recommended book.

아울러, 상기 온라인DB(220)는, 상기 AI교사모듈(230)과 상기 도서추천모듈(240)과 연동되며, 상기 AI교사모듈(230)과 함께 상기 리딩가이드를 통한 도서학습진행에 대한 진도체크, 절대평가 및 상대평가를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도서추천모듈(240)과 연동되어 상기 추천도서의 리스터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학습자(210)의 학습평가를 위한 평가 및 도서 리스트에 관한 정보의 열람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시스템은, 상기 절대평가 혹은 상기 절대평가에 따른 도서리스트를 추출하며, 학습자(210)의 성향에 따른 도서추천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nline DB 220 is interlocked with the AI teacher module 230 and the book recommendation module 240, and the progress check for book learning through the reading guide together with the AI teacher module 230 ,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process of absolute and relative evaluation, is linked with the book recommendation module 240 to store lister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book, and to the evaluation and book list for learning evaluation of the learner 210 Information on related information is to be retrieved. Here, the recommendation system extracts the absolute evaluation or a book list according to the absolute evalu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ook recommendation list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the learner 210 .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 영어 리딩을 통한 효율적인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원생 개개인의 리딩 지수, 워드카운트, 도서 퀴즈 정답률에 따라 원생의 리딩 실력을 가장 잘 성장시킬 수 있는 맞춤형 도서 목록을 제공한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에서 학부모들의 도서 선정의 어려움과 어떠한 도서가 학생의 영어 실력향상에 가장 효과가 있는가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 도서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국 교과 과정에서 사용하는 AR, Lexile 지수로만 한국 상황에 적용할 경우, 학생의 수준에 적절한 도서의 선정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도서의 선정에 큰 어려움이 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항목은 하기와 같다.3b to 3d, the present invention is . To effectively improve English proficiency through English reading, big data is used to provide a customized book list that can best develop a student's reading skills according to each student's reading index, word count, and book quiz correct rate. In countries where English is not the native language, there are difficulties in selecting books for parents and it is difficult to know which books are most effective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You can solve that problem by providing an actual bibliography. If only the AR and Lexile indexes used in the American curriculum are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there are great difficulties in selecting books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and selecting books that are helpful for growth, but it can be solved. Items related to this are as follows.

1. AR (Accelerated Reader)지수1. AR (Accelerated Reader) Index

1)정의1) Definition

Accelerated Reader의 약자로, 르네상스 러닝에서 개발한 다독 권장 목적의 독서 관리 프로그램cf) 르네상스 러닝은 미국의 약 60000개 학교 및 국내 유명 영어 도서관과 유치원에서 사용한다.An abbreviation of Accelerated Reader, a reading management program developed by Renaissance Learning for the purpose of recommending extensive reading cf) Renaissance Learning is used in about 60,000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famous English libraries and kindergartens in Korea.

2) 구성2) Configuration

- 책에 포함된 어휘의 양과 난이도, 문장 길이와 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수치화한 자료- Numericalized data by comprehensively judging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vocabulary included in the book, length and composition of sentences, etc.

- 학생의 읽기 수준을 학년 별로 분류한 레벨- Level that classifies students' reading level by grade level

- K부터 13까지 총 14단계- 14 steps from K to 13

3) 책의 AR 요소3) AR elements of books

- ATOS Book Level (BL) : 책의 글 난이도를 측정한 레벨 지수 / 1.0 - 12.0- ATOS Book Level (BL): Level index that measures the difficulty of reading a book / 1.0 - 12.0

소수점 앞은 학년, 소수점 뒤는 개월 수 ex) 1.7 = 1학년 7개월의 평균 독서수준Year before the decimal point, months after the decimal point ex) 1.7 = Average reading level for 7 months in the first year

- Interest Level (IL) : 나이와 학년을 고려한 적절성 레벨 지수 / K - 12의 인지레벨과 맞는지 판단- Interest Level (IL): Relevance level index considering age and grade / Determines whether it matches the cognitive level of K - 12

LG (Lower Grades) : K - 3 / MG (Middle Grades) : 4 - 8 LG (Lower Grades) : K - 3 / MG (Middle Grades) : 4 - 8

MG+ (Middle Grades Plus) : 6- / UG (Upper Grades) : 9 - 12MG+ (Middle Grades Plus) : 6- / UG (Upper Grades) : 9 - 12

2. Lexile 지수2. Lexile Index

1) 정의1) Definition

메타 매트릭스에서 개발한 영어 읽기 능력 지수English Reading Proficiency Index developed by Meta Matrix

Lexile 독자지수 : 개인의 읽기 능력을 의미Lexile Readers' Index: Means an individual's reading ability

Lexile 텍스트 난이도 : 영어 잡지나 영어책의 난이도Lexile Text Difficulty: Difficulty of English magazines or English books

Lexile 척도 : 0L - 2000L를 측정, 초급 읽기는 BR(Beginning Reader)로 표기Lexile scale: 0L - 2000L are measured, beginner reading is marked as BR (Beginning Reader)

2) Lexile의 미국 내 공신력2) Lexile's credibility in the US

미국 21개 주에서 공식인증 받은 읽기 지수이며, 현재 가장 많이 채택된 읽기 지수It is an officially certified reading index in 21 US states, and is currently the most adopted reading index.

AZ(애리조나), CA(캘리포니아), DE(델라웨어), FL(플로리다), GA(조지아), HI(하와이) 등AZ (Arizona), CA (California), DE (Delaware), FL (Florida), GA (Georgia), HI (Hawaii), etc.

60여 개의 평가 시험 점수와 렉사일 점수가 연계되어 표기More than 60 evaluation test scores and Lexile scores are linked and displayed

TOEFL IBT, TOEFL Junior 리딩 파트 점수에도 Lexile 지수 표기TOEFL IBT, TOEFL Junior reading part scores are also marked with Lexile index

3) Lexile 지수의 활용3) Utilization of Lexile Index

Lexile 독자 지수 + Lexile 텍스트 지수 = Lexile 영어 독서 시스템Lexile Reader Quote + Lexile Text Quote = Lexile English Reading System

Lexile 지수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독자의 영어 리딩 능력을 지속적 관찰 가능The Lexile index enables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reader's English reading ability over time.

Lexile 척도로 표기되기에 발달 진전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가능Displayed on a Lexile scale, allowing continuous monitoring of developmental progress

개인별 발달 상황을 지속확인 가능하기에 개인별 학습법을 지도하기에 용이A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heck individual developmental status, it is easy to teach individual learning methods

3. ORF (Oral Reading Fluency)3. ORF (Oral Reading Fluency)

1) 정의1) Definition

- 텍스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표현하며 읽는 능력- Ability to read texts quickly, accurately, and expressly

- 성공적인 독해력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중요한 요소 중 하나- One of several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 적절한 속도와 정확성, 표현을 가지면 의미에 집중할 수 있어, 자료를 이해하기 쉬움- With proper speed, accuracy, and expression, you can focus on the meaning, making the material easier to understand

2) ORF가 중요한 이유2) Why ORFs Matter

i. 유창하게 읽는 건 동기 부여에 중요 - 독서를 어려워하면 아예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i. Reading Fluency is Important for Motivation - People who find it difficult to read tend to not do it at all

ii. 고학년일수록 유창성은 더 중요해짐 - 고학년 때 필요한 독서량이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ii. Fluency becomes more important in higher grades - because the amount of reading required in the upper grades increases dramatically

iii. 읽기가 느리거나 힘든 학생 - 해당 학년의 평균 리딩 수준을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됨iii. Students who are slow or difficult to read - will have difficulty meeting the grade level average reading level

4. 리딩과 어휘습득의 상관관계4.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d Vocabulary Acquisition

1) 리딩과 독해의 구분1) Distinguishing between Reading and Reading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 읽기Reading is the fastest way for children to learn a language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부모나 TV가 아니어도 스스로 언어에 노출되어 단어와 문장을 익힘By starting to read, you learn words and sentences by being exposed to the language yourself, even if you are not a parent or TV.

자신의 수준에 맞고, 도움없이 읽는 것이 리딩Reading at your own level and reading without assistance is leading

해석이 필요한 읽기는 독해Reading that requires interpretation is reading comprehension

(독해도 필요한 공부방법이지만 어린, 문법의 기초나 어휘의 수준이 미흡한 아이에게는 맞지 않음)(Reading is a necessary study method, but it is not suitable for young children, who have insufficient basic grammar or vocabulary)

2) 어휘력과 이해력의 관계2)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이해를 위해 어휘가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함It is clear that we need vocabulary to understand

개별적인 단어의 의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이해가 안 되는 것Incomprehension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individual words

→ 하지만 단어를 다 알지 못해도 문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기도 함→ But you can also know what the context means without knowing all the words

→ 이렇게 구성된 문맥의 의미는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줌→ The meaning of this structured context help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unknown words

이런 일종의 순환 구조로 인해서 문맥으로 단어를 알게 되고, 어휘력이 성장Due to this kind of circular structure, you get to know words from context, and your vocabulary grows.

비슷한 나이대에 비해 어휘력을 더 가진 학생은 덜 발달된 학생에 비해 더 높은 이해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Students with more vocabulary than their peers tend to have higher comprehension skills than less developed students.

3) 어휘력과 이해력이 연관된 이유3) Why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are related

이해력과와 어휘력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매우 분명함It is very clear that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are closely related.

한 연구에서는 이해력의 개인차가 어휘력의 개인차에 영향을 준다고 봄One study foun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affect individual differences in vocabulary.

이 관점에서, 아이들은 모든 방법 중에 읽기를 통해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가장 많이 배움From this perspective, children learn the meaning of new words the most through reading, of all methods.

결과적으로, 책을 자주 읽는 아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어휘를 배우는 반면,As a result, children who read frequently learn more vocabulary over time, while

글을 적게 읽는 아이는 언어에 대한 노출이 부족하여 어휘 개발이 저조함 Children who read less have poor vocabulary development due to lack of exposure to language

→ 어휘력의 개인차가 이해력의 개인차에 영향을 줌→ Individual differences in vocabulary affect individual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 어휘력이 낮거나 단어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없는 경우, 이해력 성장이 미미함→ If the vocabulary is low or the meaning of words cannot be acquired effectively, the growth of comprehension is insignificant.

다른 연구에서는 어휘력과 읽기가 공통된 프로세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관련이 있다고 봄Other studies have found that vocabulary and reading are related because they share a common process.

어휘 성장은 단어의 의미론적 개념과 음운적 형태 사이의 매핑을 필요로 하며,Vocabulary growth requires a mapping between the semantic concepts of words and their phonological forms,

비슷한 맥락에서 읽기는 의미론적, 음운론적 표현 단위 간의 매핑에 의존In a similar vein, reading relies on mappings between semantic and phonological units of expression.

→ 책을 적게 읽는 아이는 매핑을 적절히 할 수 없으며, 그래서 읽기와 어휘가 저하됨→ Children who read less may not be able to map properly, so reading and vocabulary deteriorate

5. 방식5. way

1) 원생 개개인의 데이터(평균 리딩 지수 (AR, Lexile), 평균 워드카운트, 평균 퀴즈 정답률, ORF, 성향, 학습 데이터 등)를 추출1) Extract individual data (average reading index (AR, Lexile), average word count, average quiz correct rate, ORF, propensity, learning data, etc.)

- 평균 AR지수와 워드카운트 추출 시, 수준에 비해 과도하게 쉽거나 어려운 도서를 제외하여 과소 과대평가되지 않도록 함- When extracting the average AR index and word count, exclude books that are too easy or difficult for the level to avoid underestimation

i. 전체 리딩 현황 중 정답률 60% 미만의 기록 제외i. Excluding records with a correct answer rate of less than 60% among all reading status

ii. 원생별 리딩 현황 중 AR지수의 분포를 확인ii. Check the distribution of AR index among the reading status of each school

iii. 분포에 따라 상위 및 하위의 일정 비율을 제외 후 평균 AR 지수 계산iii. Calculate the average AR index after excluding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op and bottom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iv. 워드카운트와 정답률의 경우 ii. 에서 구한 AR지수에 해당하는 워드카운트와 정답률로 평균값 계산iv. In case of word count and correct answer rate ii. Calculate the average value with the word count corresponding to the AR index obtained from

- 리딩 데이터(리딩 지수, 워드카운트 등) 뿐만 아니라 원 내 학습현황 등의 학습 데이터도 고려하여 추천 도서 패키지를 선정- Select a recommended book package considering not only reading data (reading index, word count, etc.) but also learning data such as learning status in the school

- 학습데이터- Learning data

i. 파닉스, 읽기, 단어, 문법, 쓰기 5가지 영역에서의 성적 및 학습 데이터를 추출i. Extracts grades and learning data in 5 areas of phonics, reading,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ii. 추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어떤 영역이 부족한지, 어떤 영역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지 계산ii. Calculate which areas are lacking and which areas can be moved to the next step based on the extracted data

iii. ii. 에서 계산된 데이터를 도서 선정 기준에 추가하여 단순히 리딩만이 아니라 학습 성장에도 도움이 되도록 함iii. ii. By adding the calculated data to the book selection criteria, it helps not only reading but also learning growth.

2)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약 130가지의 추천 도서 패키지(이하 패키지)의 선정 조건에 따라 패키지를 부여2) Packages are given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nditions of about 130 recommended book packages (hereafter packages) created through big data research

- 추후 패키지의 종류 증가 가능성 있음.-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types of packages in the future.

- 패키지 내 도서의 경우 ISBN이 아닌, 퍼플 아카데미 자체 도서 분류인 PLBN을 사용하여 분류- In the case of books in the package, they are classified using PLBN, Purple Academy's own book classification, not ISBN

3) 홈페이지의 마이페이지 내 추천도서 탭에 선정된 패키지와 일치하는 도서 15권을 매 주 제공3) 15 books matching the package selected in the Recommended Books tab on the My Page of the homepage are provided every week

- 추천된 도서를 등록하면 즉시 다른 도서로 교체- When a recommended book is registered, it is immediately replaced with another book

- 추천되기 전에 이미 읽은 도서(이하 중복도서)의 경우 매 월 5일까지 원생의 리딩 기록을 이용하여 제외시키고,- In the case of books that have already been read before being recommen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plicate books), by the 5th of each month, the student's reading record is used to exclude them;

제외된 권 수만큼 패키지 내 다른 도서를 제공Other books in the package are provided for the number of excluded books.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은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를 근거로 한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면, 도서관 소장 자료의 ISBN을 스캔하는 경우, 자료 정보, 등록 번호, 원부 번호, 청구 기호, 배가 정보 등을 자동 생성하여 주는 서비스로, 도서관에서 새로 정보를 등록할 자료에 있어서, 해당 자료의 ISBN 스캔만으로 자료 관리를 위한 필수 정보 구축이 가능하다. 도서관 관리자는 이러한 본 발명의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통해 새로구매한 도서에 대한 필수 정보를 생성 및 등록한 뒤, 등록 번호 및 청구 기호 레이블 부착 작업 및 배가 작업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ISBN 스캔에 의해 도서관 신규 자료에 대한 필수가 등록되자마자 이용자는 해당 자료의 검색이 가능할 것이다.4 to 8 ,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one-step material registration service based on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One-step material registra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material information, registration number, directory number, billing symbol, ship information, etc. when scanning the ISBN of library material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build essential information for data management only by scanning the ISBN of the data. The library manager can use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reate and register essential information for a newly purchased book through a one-step material registration service, and then to attach a registration number and billing symbol label and double work. . Here, the user will be able to search for the material as soon as the essential for the library's new material is registered by the ISBN scan.

즉, 본 발명의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은 도서관 관리자의 도서관 자료 등록을 용이하게 하며, 도서관 신규 자료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서비스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at is,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library material registration of the library manager, and it will be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until the new library material is serviced to the user.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1000)은 이용자 단말(10), 관리자 단말(20) 및 자료 관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10) 및 관리자 단말(2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 핸드폰 등과 같이 입력 수단, 출력 수단 및 CPU모듈 등이 구비된 통신 가능 장치이다. 이용자 단말(10) 및 관리자 단말(20)은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거나, 자료 관리 서버(100)와 연동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자료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 , a manager terminal 20 , and a material management server 100 .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r terminal 20 are communication capable devices equipped with an input means, an output means, and a CPU module,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mobile phone.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r terminal 20 install a dedicated software (application) that provides a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ccess a web page interlocked with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executed.

본 실시예에서 이용자 단말(10)은 도서관 이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고, 관리자 단말(20)은 도서관 관리자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도서관 소장 자료에 대한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도서관 소장 자료에 대한 정보 등록, 생성 및 관리 등을 할수 있을 것이다. 자료 관리 서버(100)는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device used by a library user, and the manager terminal 20 may be a device used by a library manager. For example, the user can search for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holdings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administrator can register, create and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holdings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20. will be.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execute or produce various software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S), that is, the system. The operating system is a system program for software to use the hardware of the device. Mobile compu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Android OS, iOS, Windows Mobile OS, Bada OS, Symbian OS, Blackberry OS, and Windows, Linux, Unix, MAC , AIX, HP-UX, etc. may include all computer operating systems.

자료 관리 서버(100)는 이용자 단말(10) 및 관리자 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소프트웨어 또는 연동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이용자 단말(10) 및 관리자 단말(20)이 참여하는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료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획득하는 자료의 ISBN 스캔 정보에 기반하여 자료의 각종 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용자 단말(10)에서 생성한 필수 정보가 조회 가능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자료 관리 서버(100)는 도서관 이용자 별 자료 대출 패턴을 분석하여, 도서관 신규 자료의 배가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외에도, 자료 관리 서버(100)는 통상의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제공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can implement a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r terminal 20 participate through dedicated software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r terminal 20 or a web page linked thereto. have. For example,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various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data based on the ISBN scan information of the data acquir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 ,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10 is It can be registered so that it can be viewed. In addition,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analyze the data loan pattern for each library user, and predict the doubling time of the new library material.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In addition,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various service provision functions provided by a typical library data management system.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자료 관리 서버(100)는 대출/반납 제어창, 회원정보, 가족회원정보, 스캔자료서지정보, 휴관일/일정관리, 대출정보, 책이음기반 상호대차정보, 당일반납정보, 예약정보 등과 같이 대출 및 반납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 제공 탭이 마련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각 탭이 선택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일련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a loan/return control window, member information, family member information, scan data bibliographic information, closing date/schedule management, loan information, book joint-based mutual loan information, same-day return information , reservation information, etc. can be built and provided with various service provision tabs related to loan and return, and when each tab is select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 a series of services for providing corresponding services can handle the work.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료 관리 서버(100)은 지역내 표준 상호 대차, 이용자 인증, 등록 및 관리, 소장자료, 이용자, 대출 및 반납 통계 등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 제공 탭이 마련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구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b having various service provision tabs related to local standard mutual loan, user authentic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collection data, users, loan and return statistics, etc. You can also build a page and provide i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1000)은 통상의 도서관 소장 자료 관리, 도서관 이용자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ISBN에 기반한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관리자의 도서관 자료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도서관 신규 자료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서비스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도서관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도서관 이용자 증가를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자료 관리 서버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료 관리 서버(100)는 스캔부(110), 검색부(130), 자료 정보 생성부(150) 및 관리 정보 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ervices such as general library collection material management and library user management, as well as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based on ISBN. It facilitates the library manager's management of library materials and shortens the time it takes for new library materials to be serviced to users.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 ,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a scan unit 110 , a search unit 130 , a data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 , and a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70 .

스캔부(110)는 도서 별로 부여되어 있는 ISBN을 스캔할 수 있다. ISBN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된 고유번호로, 통상적으로 도서의 뒷면에 기재되어있다. 스캔부(110)는 바코드 스캔 모듈과 연동되어 바코드 스캔 모듈을 통해 스캔되는 ISBN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스캔부(110)는 관리자 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소프트웨어 또는 연동한 웹 페이지를 통하여 관리자로부터ISBN을 직접 입력 받아 획득할 수도 있다. The scanning unit 110 may scan the ISBN assigned to each book. ISBN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books produced worldwide according to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method, and is usually written on the back of the book. The scan unit 110 may obtain an ISBN scanned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module by interworking with the barcode scanning module. Alternatively, the scan unit 110 may obtain the ISBN by directly inputting the ISBN from the manager through dedicated softwar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20 or a web page linked thereto.

검색부(130)는 별도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스캔부(110)에서 획득하는 ISBN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부(130)는 포털 사이트에서 ISBN을 검색하고, 그 결과를 자료에 대한 간략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간략 정보에는 자료의 표지 이미지,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130)는 관리자 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소프트웨어 또는 연동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자료 간략 정보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해당 자료 간략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 검색을 요청받을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에 출력되는 자료의 표지 이미지 및 제목이 ISBN을 스캔한 자료의 표지 및 이미지와 동일한지 확인하여, 해당 자료에 대한 상세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The search unit 130 may access a separate portal site and search the ISBN obtained by the scan unit 110 . The search unit 130 may search for the ISBN on the portal site and obtain the result as brief information about the data. Here, the brief information may include a cover image of the material, a title, and the like. The search unit 130 may output brief data information through dedicated softwar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20 or an interlocked web page, and may receive a request for detailed information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brief data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For example, the manager may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material by checking whether the cover image and title of the material output to the manager terminal 20 are the same as the cover image and the image of the ISBN scanned material.

자료 정보 생성부(150)는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검색부(130)에서 검색한 자료의 상세 정보 검색을 요청받는 경우, 국가자료 공동목록 시스템(KOLIS NET)에 접속하여 해당 자료에 대한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정보에는 제목, 저자, 출판사, 발행년도, 표지 이미지, 내용분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료 정보 생성부(150)는 국가자료 공동목록 시스템에서 스캔부(110)에서 획득하는 ISBN을 검색하여 해당 자료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국가자료 공동목록 시스템에서 스캔부(110)에서 획득하는 ISBN에 대한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부(130)에서 획득하는 간략 정보를 해당 정보의 상세 정보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data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 receives a request to search for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ata searched by the search unit 13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 it accesses the KOLIS NET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ata.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Here, the detailed information may include a title, author, publisher, publication year, cover image, content classification, and the like. The data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 may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ata by searching the ISBN obtained from the scanning unit 110 in the national data common catalog system, and in the national data common list system, the scanning unit 110 When there is no search result for the obtained ISBN, the brief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arch unit 130 may be generated and stored a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이와 같이 자료 정보 생성부(150)는 자료에 기재되어 있는 ISBN에 대한 일반 포털사이트 또는 국가자료 공동목록 시스템에서의 검색 결과인 상세 정보 또는 간략 정보를 해당 자료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정보 생성부(170)는 자료 정보 생성부(150)에서 자료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되는 경우, 해당 자료의 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정보에는 등록 번호, 원부 번호, 청구 기호, 배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such, the data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 may generate detailed information or brief information, which is a search result in a general portal site or a national data joint catalog system for ISBNs described in the data, as the information of the data. Th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may generat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when the data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by the data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50 . Here, the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 registration number, a directory number, a billing symbol, ship information, and the like.

관리 정보 생성부(170)는 어느 자료에 대한 관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자료의 자료 정보 및 관리 정보를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검색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정보 생성부(170)는 어느 자료에 대한 관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별도의 출력 모듈을 통해 등록 번호 바코드 및 청구 기호 레이블을 출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등록 번호 바코드 및 청구 기호 레이블을 자료에 부착한 뒤 배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When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certain material is generated, th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70 may store the materi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aterial so that it can be search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 Th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may output a registration number barcode and a billing symbol label through a separate output module when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certain material is generated, and the manager may apply the registration number barcode and the billing symbol label to the material After attaching it, the ship can proceed to work.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료 관리 서버(100)는 스캔부(110), 검색부(130), 자료 정보생성부(150), 관리 정보 생성부(170) 및 배가 시점 예측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료 관리 서버(100)는 도 4에 도시된 자료 관리 서버(100)와 비교하였을 때에 배가 시점 예측부(19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Meanwhile,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an unit 110 , a search unit 130 , a data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 , a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70 , and a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 190) may be included.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ata management server 100 shown in FIG. 4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and the other The components are the same.

따라서, 이하에서는 배가 시점 예측부(19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스캔부(110), 검색부(130), 자료 정보생성부(150) 및 관리 정보 생성부(17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관리 정보 생성부(170)에서 어느 자료에 대한 관리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자료의 배가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서관에 신규 자료는 소정 기간 동안 별도의 배가 공간에 비치된 뒤, 각 자료에 부여된 청구 기호에 맞추어 배가된다. Therefore, in the following, only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will be described, and the rest of the scan unit 110 , the search unit 130 , the data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50 ,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70 will be described above. replace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predict the doubl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data when th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0 genera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certain data. Typically, new materials in the library are placed in a separate doubling spa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doubled according to the billing preference assigned to each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도서관 이용자 별 자료 대출 패턴을 분석하고, 도서관 신규 자료에 대한 배가 시점을 예측하여 관리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20)은 배가 시점 예측부(190)로부터 도서관 신규 자료에 대한 배가 시점이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알람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관리자는 신규 자료의 배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analyze the data loan pattern for each library user, predict the doubling time for the new library material, and provide it to the manager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manager terminal 20 may receive an alarm notifying that the doubling time for the library new material has arrived from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and in this case, the manager may proceed with the doubling of the new material. will be.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신규 자료의 자료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분류를 확인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도서관 이용자 별로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소정 기간 동안 도서관 이용자가 대출한 자료에 있어서 내용분류 별로 그 권수를 카운트하고, 가장 많은 권수에 해당하는 내용분류를 해당 도서관 이용자의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로 분석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신규 자료의 내용분류가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로 분석된 도서관 이용자 중어느 한 명을 선출하고, 해당 이용자의 대출 주기를 분석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분석한 대출 주기에 따라 산출되는 도서관 이용자의 대출 일자로부터 소정 일자 지난 일자를 신규 자료의 배가 시점으로 예측할 수 있다.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check the content classification included in the data information of the new data.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analyze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material for each library user. For example,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counts the number of books for each content classification in the materials borrowed by the library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sets the content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number of books to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of the library user. It can be analyzed by content classification.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select any one of the library users whose content classification of new material is analyzed as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preferred material, and analyze the loan period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predict a date elapsed by a predetermined date from the library user's loan dat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nalyzed loan period as the doubling time of the new material.

또는,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도서관 이용자를 성별, 나이 및 지역 별로 나누고, 성별, 나이 및 지역 별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를 분석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딥러닝 모델로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에 대하여 선호 또는 비선호를 타겟으로 하여, 성별, 나이, 지역 별로 해당 내용분류에 대한 선호 또는 비선호를 학습한 딥러닝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divide library users by gender, age and region, and analyze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data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adopt a deep belief network (DBN) model as a deep learning model.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can build a deep learning model that learns preference or non-preference for the content classification by gender, age, and region by targeting preference or non-preference for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data. .

이에 따라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신규 자료의 자료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분류를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내용분류가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인 이용자의 성별, 나이 및 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신규 자료의 내용분류가 최우선순위 선호 자료의 내용분류로 분석된 도서관 이용자 중딥러닝 모델로부터 예측한 성별, 나이 및 지역에 해당하는 도서관 이용자를 선출하고, 해당 이용자의 대출 주기를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input the content classification included in the data information of the new data into the deep learning model, and predict the gender, age and region of the user whose content classification is the highest priority preference data.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selects a library user corresponding to the gender, age and region predicted from the deep learning model among library users whose content classification of new material is analyzed as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the highest priority preferred material, and borrows the user's loan cycle can be analyzed.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분석한 대출 주기에 따라 산출되는 도서관 이용자의 대출 일자로부터 소정 일자 지난 일자를 신규 자료의 배가 시점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처럼, 배가 시점 예측부(190)는 신규 자료에 있어서, 해당 자료를 대출할 가능성이 높은 도서관 이용자의 자료 대출 일자를 예측하고, 예측한 자료 대출 일자까지 신규 자료를 별도의 배가 공간에 비치함으로써, 도서관이용자의 독서 장려 효과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배가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1000)은, 서비스 평가 서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may predict a date elapsed by a predetermined date from the library user's loan dat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nalyzed loan period as the doubling time of the new material. As such, in the new material, the doubling time prediction unit 190 predicts the data loan date of the library user who is likely to borrow the corresponding material, and provides the new material in a separate doubling space until the predicted data loan date, It will not only encourage library users to read, but als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administrators. On the other hand,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evaluation serve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 서비스와 관련된 평가 설문을 이용자 단말(10)로 전송하며,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평가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아 사용자가 제공받은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감성 요소를 평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사용자로부터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피드백 받아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감성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사용성, 상품성 등의 감성 요소를 평가함으로써 평가 대상 서비스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transmits an evaluation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a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nd evaluates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provided by the user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may receive feedback on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from the user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and manage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That is,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qua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by evaluating emotional factors such as usability and commerciality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사용자가 작성하는 설문 응답에 기반하여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감성 요소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평가 대상 서비스의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평가대상 서비스의 감성 요소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서비스의 응답 내역의 분석 결과를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설문 응답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valuates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based on a questionnaire response written by the user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but also analyzes the response details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to evaluate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can evaluate the emotional elements of Here,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sponse details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prepared by the us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평가 서버는 서비스의 감성 요소 평가에 기반한 품질 관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시장성 개선과 제품 보완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평가 서버는, 이용자 단말(10)에 평가 설문을 전송하고 응답을 입력 받아,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감성 요소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평가 서버는 이용자 단말(10)로부터 평가 대상 서비스의 설문 응답을 수신하여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감성 요소를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대상서비스의 감성 요소 평가에 필요한 각종 지표 등을 저장하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accuracy of quality management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service, and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rketability improvement and product supplementation.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may transmit an evaluation questionnaire to the user terminal 10 and receive a response to evaluate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In addition,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may receive a survey response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evaluate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In addition,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may store various indicators necessary for evaluation of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and may include a database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output data.

이와 같은 서비스 평가 서버에서의 서비스 품질 관리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평가 서버는, 평가 설문 제공부, 서비스 응답 분석부 및 서비스 품질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각각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method in such a service evaluation serv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evaluation server may include an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a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and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each configura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평가 설문 제공부는 관리자 단말(20)에서 서비스 평가를 위한 평가 설문이 출력되도록 하여 평가 설문에 대한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가 설문 제공부는 관리자 단말(20)에서의 평가 대상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20)에서 평가 설문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평가 설문에는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 평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질문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설문에 대해 주관식으로 응답을 요청하도록 평가 설문이 구성된 것을 예로들어 도시하였으나, 평가 대상 서비스의 장르, 사용자의 연령대 등을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는 객관식 형식으로 평가 설문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request a response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by outputting an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service evalu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20 . For example, when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in the manager terminal 20 is terminated,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control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o be output from the manager terminal 20 .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may include at least one question for evaluating the emotional element for the service. Although an evaluation questionnaire is shown as an example to request a response in a subjective form for one questionnaire,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will be constructed in a multiple-choice format in which at least one answer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genre of the service to be evaluated, the age of the user, etc. Of course it could be.

평가 설문 제공부는, 평가 설문에 대해 관리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되는 응답을 획득하여 후술하는 서비스 품질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평가 설문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설문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의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20)로 해당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재요청할 수 있다.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obtain a response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deliver it to a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check an item to which a response is not input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ncluding at least one item. When there is an item for which no response is input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ncluding at least one item,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re-request a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item to the manager terminal 20 .

예를 들면, 평가 설문 제공부는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전체 항목의 1/3 이하인 경우, 관리자 단말(20)로 해당 항목에 대한 응답을 제1 시간 동안 재요청할 수 있다. 평가 설문 제공부는 제1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의 응답 입력 여부와 무관하게 평가 설문 데이터를 후술하는 서비스 응답 분석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평가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하고, 평가 설문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For example,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re-request a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item to the manager terminal 20 for the first time when the items for which no responses are input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are 1/3 or less of the total items.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transmit evaluation questionnaire data to a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to be described later regardless of whether a response is input to an item for which a response is not input. This is because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analyzes the response details, infers responses to items for which no responses are entered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verifies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평가 설문 제공부는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전체 항목의 1/2 이상인 경우, 관리자 단말(20)로 해당 항목에 대한 응답을 제2 시간 동안 재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 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re-request a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item to the manager terminal 20 for a second time when an item to which a response is not input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s 1/2 or more of all items. Here, the second time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time.

평가 설문 제공부는 제2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 중 응답이 입력된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설문 제공부는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 중 평가 설문 재요청에 따른 응답이 입력된 항목이 1/2 이상인경우에 한하여 평가 설문 데이터를 후술하는 서비스 응답 분석부로 전달하고, 그 반대의 경우 해당 평가 설문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하는데,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평가 설문에 의한 평가 서비스의 품질 관리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second time period has elapsed,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may check an item for which a response has been input among items for which a response has not been input.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delivers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data to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to be described later only when more than 1/2 of the items for which responses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re-request are entered among the items for which no responses have been entered, and vice versa,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Data can be discard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analyzes the response details and infers responses to items for which no responses have been entered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is is because the reliability of the

이처럼 평가 설문 제공부는 관리자 단말(20)로 평가 대상 서비스, 즉, 원스텝 자료 등록 서비스에 대한 감성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평가 설문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관리자 단말(20)기로부터 평가 설문의 응답을 수신하여 해당 평가 설문 데이터를 서비스 응답 분석부로 제공할 수 있으며, 평가 설문의 응답 항목 개수에 따라 관리자 단말(20)로 평가 설문의 응답을 재요청할 수도 있다.As such,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controls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ncluding at least one item for evaluating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that is, the one-step data registration service, to be output to the manager terminal 20, and the manager terminal 20 unit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esponse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rom ,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questionnaire data to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and may re-request the response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o the manag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sponse item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응답 내역을 수신하여 서비스를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에 따라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하고, 평가 설문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may receive response details from the manager terminal 20 and analyze the service.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may infer a response to an item to which a response is not input amo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response history, and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관리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평가 응답의 항목 별로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긍정 단어 및 부정 단어의 출현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적어도 하나의 긍정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부정 단어를 미리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긍정 단어의 경우, 만족 또는 추천과 관련된단어이고, 부정 단어의 경우, 실망과 관련된 단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각 평가 응답의 항목 별로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긍정 단어 또는 부정 단어로 분류되는 단어가 출현하는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긍정 단어 및 부정 단어의 출현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may calculat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ositive words and negative words by analyzing response details for each item of the evaluation response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 . To this end,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select and store at least one positive word and at least one negative word in advan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ffirmative word, it may be a word related to satisfaction or recommendation, and in the case of a negative word, it may consist of a word related to disappointment.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analyzes the response details for each evaluation response item of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and count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words classified as positive or negative words to calculate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positive words and negative words. have.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각 응답 내역에서 부정 단어의 출현 빈도보다 긍정 단어의 출현 빈도가 큰 경우가 더 많은 경우, 해당 사용자의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 해당 사용자의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가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may analyze that the emotional element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is positive whe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ositive words is greater tha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negative words in each response history of the service to be evaluated. In the opposite cas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emotional element of the user's evaluation target service is negative.

또는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감성 요소 평가와 관련된 단어가 출현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응답 내역에서 평가와 관련된 단어가 출현하는 경우, 그 전후 단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감성 요소에 대한 의견을 예측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analyze the response details to determine whether a word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a preset emotional factor appears. When a word related to evaluation appears in the response history,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predict the user's opinion on the emotional element by checking the words before and after it.

이처럼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의 응답 내역을 분석하여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인 사용자의 감성요소를 긍정 또는 부정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미리 설정된 특정 감성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을 긍정 또는 부정으로 예측할 수도 있다.As such,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analyze the user's response details to predict the overall user's emotional element as positive or negative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Alternatively,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predict the user's opinion on a preset specific emotional element as positive or negative.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할 수 있다.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infer a response to an item to which a response is not input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by us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response history.

예를 들면,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감성 요소가 긍정인 경우,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평가 설문 항목의 응답을 미리 설정된 긍정 예시 응답으로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s emotional element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is positive,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infer the response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tem to which no response is input as a preset positive example response.

한편,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감성 요소가 예측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서비스 지역 등을 이용하여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연령, 성별, 서비스 지역 등을 이용하여 응답을 유추하는 것은 연령, 성별, 서비스 지역 등이 동일한 다른 사용자의 응답을 해당 해당 사용자의 응답으로 유추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emotional element is not predicted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infer a response to an item for which no response is input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by using the user's age, gender, service area, etc. . Inferring a response by using the user's age, gender, service area, etc. is to infer the response of another user having the same age, gender, service area, etc. as the corresponding user's response.

여기서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의 각 응답 내역에서 부정 단어의 출현 빈도와 긍정 단어의 출현빈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긍정 또는 부정 예측을 보류할 수 있다.He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negative word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ositive words in each response history of the service to be evaluated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withhold the user's positive or negative prediction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이처럼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요소 분석 결과, 연령, 성별 및 서비스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평가 설문 중 응답이 입력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 응답을 유추할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응답한 평가 설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As such,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infer a response to an item for which no response is input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emotional element analysis result for the evaluation target service, age, gender, and service area.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user by us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response details.

예를 들면,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설문의 각 항목 별 예상 응답을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가 작성한 평가 설문의 응답이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 해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요소가 긍정 또는 부정으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여 두 결과를 매칭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ice response analyzer may classify the expected response for each item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s positive or negative, and store it in advance.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checks whether the response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written by the user is classified as positive or negative, and matches the two results by checking whether the user's emotional element for the service is classified as positive or nega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response history can do.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사용자가 작성한 평가 설문의 응답의 긍정 또는 부정 분류와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의 긍정 또는 부정의 분류의 일치 여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응답타당성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응답 분석부는 평가 설문의 각 항목 별로, 사용자가 작성한 응답의 긍정 또는 부정 분류와 사용자의 응답 내역 분석 결과의 긍정 또는 부정 분류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응답 타당성 점수를 더하고, 그 반대의 경우 해당 사용자의 응답 타당성 점수를 빼는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응답 타당성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may give a response validity score of the corresponding user according to whether the positive or negative classification of the response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prepared by the user matches the positive or negative classification of the user's response history analysis result. That is,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for each item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f the positive or negative classification of the response written by the user matches the positive or negative classification of the user's response history analysis result, the user's response validity score is added, and vice versa In this case, the response validity score of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given by subtracting the response validity score of the corresponding user.

서비스 품질 관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평가 설문 응답을 평가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자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1000) 플랫폼 제공자일 수 있다. 서비스 품질 관리부는 서비스 응답 분석부에 의해 평가 설문 응답이 유추된 항목에는 별도의 표식을 하여 평가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품질 관리부는 평가 설문 응답의 유추 근거 또한 함께 제시할 수 있다.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may present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response prepared by the user to the evaluator. Here, the evaluator may be a platform provider of the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may present a separate mark to the item from which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response is inferred by the service response analysis unit to the evaluator. In this case,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may also present the reason for analog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response.

서비스 품질 관리부는 사용자의 응답 타당성 점수를 평가자에게 함께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가자는 응답이 모두 완료된 평가 설문을 확인하여 평가 대상 서비스에 대한 감성 요소 평가를 통한 품질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서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unit may present the user's response validity score to the evaluator together. Accordingly, the evaluator will be able to check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which all responses have been completed and perform quality management through evaluation of emotional factors for the service to be evaluated. As such, the boo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도서추천과 연계되어 빅데이터 기반 도서자료 관리 관리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자료 관리가 수행되는 단계는,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설계된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이 구현되는 단계; 및 구현된 상기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도서자료가 관리 및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7 to 9 based on the foregoing,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it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big data-based book data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book recommendation, wherein the book data management is The steps to be carried out, the step of designing the book data management system; a step in which the designed book data management system is implemented; and managing and providing book data based on the implemented book data management system.

여기서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은, 각 자료에 부여되어 있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를 근거로 하여 상기 도서의 소장 자료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료관리서버와 도서 이용자가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과, 서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자료관리서버들을 설정조건으로 유지관리하고 외부충격에 대응하도록 관리하는 서버매니징유닛을 더 포함한다.Here, the book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data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oldings of the book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assigned to each data, a user terminal used by the book user, and a book It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terminal used by the administrator, and a server management unit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s according to set conditions and to respond to external shocks.

이러한 상기 서버매니징유닛은,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판패널몸체(41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상판패널몸체(410) 사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이동되는 제1상부이동체(321)로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와 연결되고 하부로 이동되는 제1하부이동체(322)로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연결되는 일측연동체(32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상판패널몸체(410) 사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이동되는 제2상부이동체(341)로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와 연결되고, 하부로 이동되는 제2하부이동체(342)로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연결되는 타측연동체(340)와, 상기 일측연동체(320)로부터 내부측으로 바형상의 제1연동체로 연동설치되며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장착고정을 위한 제1서버장착체(350)와, 상기 타측연동체(340)로부터 바형상의 제2연동체로 내부측으로 연동설치되며 상기 제1서버와 함께 상기 자료관리서버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2서버장착체(360)를 포함한다.The server management unit includes a lower panel body 310, an upper panel body 410 disposed to face the lower panel body 310,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the upper panel body 410 ) is provided on one side between,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nel body 410 as a first upper movable body 321 that moves upwards, and is a first lower movable body 322 that moves downwards,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The upper panel body 410 as a second upper moving body 341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be connected and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the upper panel body 410 and moves upward.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connected to the lower panel body 310 as a second lower movable body 342 that is connected to and moves downward, and a bar-shaped first interlocking body from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the inside. The first server mounting body 350 for mounting and fixing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and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are interlocked and installed inwardly as a bar-shaped second interlocking body, and together with the first server and a second server mounting body 360 for mounting and fix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상기 제1서버장착체(350)는, 상기 제1연동체와 연결되는 제1장착몸체(351)와, 상기 제1장착몸체(351)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구비되는 제1외곽파지체(3511,3512)와, 상기 제1장착몸체(351)상에서 상기 제1외곽파지체 사이에 교호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제1삽입판(3513)을 포함한다.Here, the first server mounting body 350 includes a first mounting body 351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ing body, and a first outer holding body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first mounting body 351, respectively. (3511, 3512), and a plurality of first inserting plates (3513) alternately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er gripper on the first mounting body (351).

이러한 상기 제2서버장착체(360)는, 상기 제2연동체와 연결되는 제2장착몸체(361)와, 상기 제2장착몸체(361)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구비되는 제2외곽파지체(3611,3612)와, 상기 제2장착몸체(361)상에서 상기 제2외곽파지체 사이에 교호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제2삽입판(36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동체는, 제1-1연동체(331)와, 상기 제1-1연동체(33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몸체(351)에 연결되는 제1-2연동체(332)를 포함한다.The second server mounting body 360 is a second mounting body 361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locking body, and a second outer holding body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respectively. It includes (3611, 3612)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plates (3613) alternatel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uter holding body on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The first interlocking body is a 1-1 interlocking body 331 and a 1-2 interlock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the 1-1 interlocking body 331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body 351 . and a sieve 332 .

아울러 상기 제2연동체는, 제2-1연동체(341)와, 상기 제2-1연동체(34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장착몸체(361)에 연결되는 제2-2연동체(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장착몸체(351)와 상기 제2장착몸체(361)는, 상기 제1-2연동체(332)의 제1방향으로의 제1축회전과, 상기 제2-2연동체(342)의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제2축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자료관리서버를 회전 가압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second interlocking body is a 2-1 interlocking body 341 and a 2-2 second interlocking body 341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2-1 interlocking body 34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 a linkage 342 . The first mounting body 351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include a first axial rotation of the 1-2 interlocking body 332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2-2 interlocking body 342 . ) based on a second shaft rotation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f rotation and press and fix the data management server.

상기 제1삽입판(3513)들과 상기 제2삽입판(3613)들은 상호간에 위치조절되도록 이격간격이 조절되어 다수의 상기 자료관리서버가 규격에 따라 장착되며, 상기 제1삽입핀 내지 상기 제2삽입판(3613)들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설정각도로 축회전되어 장착된 상기 자료관리서버(100)를 고정시킨다.The first insertion plate (3513) and the second insertion plate (3613)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position of each other is adjust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s are moun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the first insertion pin to the first insertion plate (3613) Each of the two insert plates 3613 is at least partially axially rotated at a set angle to fix the mounted data management server 100 .

상기 상판패널몸체(410)는, 상기 서버매니징유닛은, 플랜지형 제1냉각몸체(411)와, 상기 제1냉각몸체(411)에서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상판패널몸체(4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1냉각진입체(412)를 포함하는 제1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된다.The upper panel body 410, the server management unit, a flange-type first cooling body 411 and the first cooling body 411 are installed downward from the first cooling body 411 through the upper panel body 410, A first cooling reinforcement including a first cooling entry body 412 that enters the inside is provided, and the first cooling reinforcement is the top panel body 41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is optionally installed in the singular or plural.

아울러 플랜지형 제2냉각몸체(511)와, 상기 제2냉각몸체(5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판패널몸체(3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2냉각진입체(512)를 포함하는 제2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된다.In addition, a flange-type second cooling body 511, and a second cooling entry body 512 installed upward from the second cooling body 511 and penetrating the lower panel body 310 to enter the interior. A second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and the second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one or a plurality of the lower panel body 31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여기서 플랜지형 제3냉각몸체(611)와, 상기 제3냉각몸체(6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일측연동체(3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3냉각진입체(612)를 포함하는 제3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일측연동체(32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된다.Here, a flange-type third cooling body 611 and a third cooling entry body 612 installed upward from the third cooling body 611 and penetrating the one-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enter the inside. A third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and the third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one or a plurality of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아울러 플랜지형 제4냉각몸체(711)와, 상기 제4냉각몸체(7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타측연동체(34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4냉각진입체(712)를 포함하는 제4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4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타측연동체(34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된다.In addition, a flange-type fourth cooling body 711 and a fourth cooling entry body 712 installed upward from the fourth cooling body 711 and penetrating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to enter the inside. A fourth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and the fourth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a single or plural number on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한편 상기 자료관리서버매지징유닛은, 상기 제1냉각몸체(411)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냉각몸체(411)들 사이로 진입하여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제1마감삽입체(811)가 구비되는 제1외곽패널부(810)와, 상기 제2냉각몸체(511)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냉각몸체(511)들 사이로 진입하여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제2마감삽입체(821)가 구비되는 제2외곽패널부(820)와, 상기 일측연동체(32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3냉각몸체(611)들 사이로 진입하여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제3마감삽입체(831)가 구비되는 제3외곽패널부(830)와, 상기 타측연동체(34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4냉각몸체(711)들 사이로 진입하여 사이공간을 마감하는 제4마감삽입체(841)가 구비되는 제4외곽패널부(84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management server managing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cooling body 411,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closing insert 811 that enters between the first cooling bodies 411 and closes the space therebetween. The first outer panel part 810 to be formed, and a second closing insert 821 provided under the second cooling body 511 and entering between the second cooling bodies 511 to close the space therebetween is provided. The provided second outer panel part 820 and the third closing insert 831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and entering between the third cooling bodies 611 to close the space therebetween are provided. A third outer panel part 830 provided and a fourth closing insert 841 provided outside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and entering between the fourth cooling bodies 711 to close the space therein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outer panel unit 840 that is provided.

이때 상기 자료관리서버매지징유닛은, 상기 제1외곽패널부(810)와 상기 제3외곽패널부(830)사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제1모서리장착체(910)와, 상기 제1외곽패널부(810)와 상기 제4외곽패널부(840)사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제2모서리장착체(920)와, 상기 제2외곽패널부(820)와 상기 제3외곽패널부(830)사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제3모서리장착체(930)와, 상기 제2외곽패널부(820)와 상기 제4외곽패널부(840)사이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제4모서리장착체(940)를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data management server managing unit includes a first corner mounting body 910 provided in a corner between the first outer panel unit 810 and the third outer panel unit 830, and the first outer panel unit. A second corner mounting body 920 provided in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panel unit 810 and the fourth outer panel unit 840, the second outer panel unit 820 and the third outer panel unit 830 ) a third corner mounting body 930 provided at a corner between the 940).

상기 제1모서리장착체(910)와 상기 제2모서리장착체(920)는 상기 제1외곽패널부(810)를 연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제1외곽패널부(810)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3모서리장착체(930)와 상기 제4모서리장착체(940)는 상기 제2외곽패널부(820)를 연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제1외곽패널부(810) 내부에 냉기를 공급한다.The first corner mounting body 910 and the second corner mounting body 920 use the first outer panel unit 810 as a communication path to supply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panel unit 810, , the third corner mounting body 930 and the fourth corner mounting body 940 use the second outer panel unit 820 as a communication path to supply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first outer panel unit 810 . do.

아울러 상기 제1모서리장착체(910)와 상기 제3모서리장착체(930)는 상기 제3외곽패널부(830)를 연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제3외곽패널부(830)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2모서리장착체(920)와 상기 제4모서리장착체(940)는 상기 제4외곽패널부(840)를 연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제4외곽패널부(840) 내부에 냉기를 공급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rner mounting body 910 and the third corner mounting body 930 use the third outer panel unit 830 as a communication path to supply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third outer panel unit 830 . and the second corner mounting body 920 and the fourth corner mounting body 940 use the fourth outer panel unit 840 as a communication path to cool the inside of the fourth outer panel unit 840. supply

한편 상기 자료관리서버매지징유닛은, 상기 상단패널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대칭형 ㄱ자형의 제1모서리내장체(911)가 구비되어 냉기유출 방지와 외기 유입방지를 수행하며, 상기 상단패널의 타측 모서리부에는 ㄱ자형의 제2모서리내장체(921)가 구비되어 냉기유출 방지와 외기 유입방지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단패널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대칭형 ㄴ자형의 제3모서리내장체(931)가 구비되어 냉기유출 방지와 외기 유입방지를 수행하며, 상기 상단패널의 타측 모서리부에는 ㄴ자형의 제4모서리내장체(941)가 구비되어 냉기유출 방지와 외기 유입방지를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management server managing unit is provided with a symmetrical L-shaped first corner built-in body 911 at one corner of the upper panel to prevent cold air from leaking and outside air from flowing in, and the other corner of the upper panel The L-shaped second corner embedded body 921 is provided on the part to prevent cold air from leaking and outside air from flowing in. On the other hand, a symmetrical L-shaped third corner embedded body 931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lower panel to prevent cold air outflow and outside air inflow, and the other corner of the upper panel has a L-shaped fourth corner embedded. A sieve 941 is provided to prevent cold air outflow and outside air inflow.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hysic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is based on a motor, an actuator, etc.,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are made,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component can be variously selec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e and materials to be implemented. .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0: 도서관 자료 관리 시스템
10: 이용자 단말
20: 관리자 단말
100: 자료 관리 서버?
1000: library material management system
10: user terminal
20: administrator terminal
100: Data management server?

Claims (3)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운영설비에 있어서,
각 자료에 부여되어 있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를 근거로 하여 상기 도서의 소장 자료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료관리서버와 도서 이용자가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과,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자료관리서버들을 설정조건으로 유지관리하고 외부충격에 대응하도록 관리하는 서버매니징유닛이 구비되는 도서자료관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매니징유닛은,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판패널몸체(41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상판패널몸체(410) 사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이동되는 제1상부이동체(321)로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와 연결되고 하부로 이동되는 제1하부이동체(322)로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연결되는 일측연동체(320)와,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상기 상판패널몸체(410) 사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부로 이동되는 제2상부이동체(341)로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와 연결되고, 하부로 이동되는 제2하부이동체(342)로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와 연결되는 타측연동체(340)와,
상기 일측연동체(320)로부터 내부측으로 바형상의 제1연동체로 연동설치되며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장착고정을 위한 제1서버장착체(350)와,
상기 타측연동체(340)로부터 바형상의 제2연동체로 내부측으로 연동설치되며 상기 제1서버장착체(350)와 함께 상기 자료관리서버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2서버장착체(3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서버장착체(350)는,
상기 제1연동체와 연결되는 제1장착몸체(351)와, 상기 제1장착몸체(351)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구비되는 제1외곽파지체(3511,3512)와, 상기 제1장착몸체(351)상에서 상기 제1외곽파지체 사이에 교호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제1삽입판(35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서버장착체(360)는,
상기 제2연동체와 연결되는 제2장착몸체(361)와,상기 제2장착몸체(361)의 상단과 하단에 각기 구비되는 제2외곽파지체(3611,3612)와, 상기 제2장착몸체(361)상에서 상기 제2외곽파지체 사이에 교호적으로 다수 구비되는 제2삽입판(36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동체는,
제1-1연동체(331)와, 상기 제1-1연동체(33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장착몸체(351)에 연결되는 제1-2연동체(3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동체는,
제2-1연동체(341)와, 상기 제2-1연동체(34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장착몸체(361)에 연결되는 제2-2연동체(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몸체(351)와 상기 제2장착몸체(361)는,
상기 제1-2연동체(332)의 제1방향으로의 제1축회전과, 상기 제2-2연동체(342)의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제2축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자료관리서버를회전력 가압고정시키며,
상기 제1삽입판(3513)들과 상기 제2삽입판(3613)들은 상호간에 위치조절되도록 이격간격이 조절되어 다수의 상기 자료관리서버가 규격에 따라 장착되며,
상기 제1삽입판(3513) 내지 상기 제2삽입판(3613)들은 각각 적어도 일부가 설정각도로 축회전되어 장착된 상기 자료관리서버(100)를 고정시키
상기 서버매니징유닛은,
플랜지형 제1냉각몸체(411)와, 상기 제1냉각몸체(411)에서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상판패널몸체(4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1냉각진입체(412)를 포함하는 제1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상판패널몸체(41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되고,
플랜지형 제2냉각몸체(511)와 상기 제2냉각몸체(5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하판패널몸체(3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2냉각진입체(512)를 포함하는 제2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하판패널몸체(31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되고,
플랜지형 제3냉각몸체(611)와 상기 제3냉각몸체(6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일측연동체(3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3냉각진입체(612)를 포함하는 제3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일측연동체(32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되며,
플랜지형 제4냉각몸체(711)와 상기 제4냉각몸체(711)에서 상부로 설치되어 상기 타측연동체(340)를 관통하여 내부로 진입되는 제4냉각진입체(712)를 포함하는 제4냉각보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4냉각보강체는 상기 자료관리서버의 냉각에 필요한 필요환경을 조성하도록 상기 타측연동체(340)에 선택적으로 단수 혹은 복수로 설치되는, 빅데이터 기반 도서추천시스템 운영설비.
In the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operating facility,
A data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collection of the book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assigned to each material, a user terminal used by book users,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used by the administrator; and a book data management system provided with a server management unit that maintains and manages the data management servers according to set conditions and manages them to respond to external shocks,
The server management unit,
A lower panel body 310, an upper panel body 410 disposed to face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one side between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the upper panel body 410,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connected to the upper panel body 410 with a first upper moving body 321 that moves upward, and connected with the lower panel body 310 with a first lower moving body 322 moving downward. Wow,
A second upper movable body 341 tha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lower panel body 310 and the upper panel body 410 and moves upwar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nel body 410 and moves downward.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connected to the lower panel body 310 by a lower moving body 342,
A first server mounting body 350 for interlocking installation with a bar-shaped first interlocking body from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the inside and for fix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is interlocked with a bar-shaped second interlocking body toward the inside and includes a second server mounting body 360 for mounting and fix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together with the first server mounting body 350 but,
The first server mounting body 350,
A first mounting body 351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ing body, first outer grippers 3511 and 3512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first mounting body 351, and the first mounting body On (351), a plurality of first insert plates (3513) alternately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er gripping members are included,
The second server mounting body 360,
A second mounting body 361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locking body, second outer holding bodies 3611 and 3612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On (361),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insert plates (3613) alternatel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uter gripping body,
The first interlocking body,
It includes a 1-1 interlocking body 331 and a 1-2 interlocking body 332 rotatably installed in the 1-1 interlocking body 331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body 351, ,
The second linkage is
It includes a 2-1 interlocking body 341 and a 2-2 interlocking body 342 rotatably installed in the 2-1 interlocking body 34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
The first mounting body 351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361 are,
A first axial rotation of the first-2 linkage body 332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axis rotation of the second-2 linkage body 342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pressurizing and fix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The first insert plate (3513) and the second insert plate (3613)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position of each other is adjust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data management serve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first inserting plate 3513 to the second inserting plate 3613 are each at least partly axially rotated at a set angle to fix the mounted data management server 100 .
The server management unit,
First comprising a flange-type first cooling body 411, and a first cooling entry body 412 installed downward from the first cooling body 411 and entering the inside through the upper panel body 410 1A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The first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singular or plural in the upper panel body 41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A second including a flange-type second cooling body 511 and a second cooling entry body 512 installed upward from the second cooling body 511 and entering the inside through the lower panel body 310 . A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The second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a single or a plurality of the lower panel body 31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A third including a flange-type third cooling body 611 and a third cooling entry body 612 installed upward from the third cooling body 611 and entering the inside through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 A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The third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in one or a plurality of the one side interlocking body 32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A fourth including a flange-type fourth cooling body 711 and a fourth cooling entry body 712 installed upward from the fourth cooling body 711 and entering the inside through the other side interlocking body 340 A cooling reinforcement is provided,
The fourth cooling reinforcement is selectively installed singly or in plurality in the other side linkage 340 to creat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oling the data management server, a big data-based book recommendation system operating fac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33727A 2021-10-08 2021-10-08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KR102419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727A KR102419071B1 (en) 2021-10-08 2021-10-08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727A KR102419071B1 (en) 2021-10-08 2021-10-08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071B1 true KR102419071B1 (en) 2022-07-07

Family

ID=8239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727A KR102419071B1 (en) 2021-10-08 2021-10-08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0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3B1 (en) * 2014-08-07 2014-12-05 주식회사 씨엔씨알 Thermostatic device of the server rack
KR102115606B1 (en) * 2019-10-16 2020-06-02 강필수 Book management system
KR20200094825A (en) * 2019-01-21 2020-08-10 박경숙 System and method for coatching reading using big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32957B1 (en)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Library member customized book recommendation kiosk device and system using emotion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873B1 (en) * 2014-08-07 2014-12-05 주식회사 씨엔씨알 Thermostatic device of the server rack
KR20200094825A (en) * 2019-01-21 2020-08-10 박경숙 System and method for coatching reading using big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15606B1 (en) * 2019-10-16 2020-06-02 강필수 Book management system
KR102232957B1 (en) 2020-12-22 2021-03-26 주식회사 채움씨앤아이 Library member customized book recommendation kiosk device and system using emotion recogn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30174B (en) Online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network
US20220238033A1 (en) Integrated Student-Growth Platform
Aeiad et al. An adaptable and personalised E-learning system applied to computer science Programmes design
US20110270883A1 (en) Automated Short Free-Text Scoring Method and System
KR1009199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knowledge assessment, instruction, and acquisition
Meerah et al.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research skills
US20050019740A1 (en) Online curriculum handling system including content assembly from structured storage of reusable components
Heilman et al. Retrieval of reading materials for vocabulary and reading practice
Williams Creativity in assessment of library instruction
Faff Responsible science matters
Nilashi et al. What factors influence students satisfaction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Findings from user-generated content using educational data mining
KR102418068B1 (en) System for providing supermarket type shoppingmall service for language education
Sensuse et al. Personalization strategies based on Felder-Silverman learning styles and its impact on learning: A literature review
KR102419071B1 (en) providing method of book recommendation system
McAliste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hatGPT: Exploring Current and potential future roles in marketing education
Krudysz et al. Collaborative system for signal processing education
Poitras et al. Mining the edublogosphere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AKII et al. Efficiency or engagement: Comparison of book recommendation approaches in English extensive reading
Asmaningrum et al. The design of vlogs as ethnochemical learning media by project based learning
Kokensparger Using compositional writing samples to explore student usage patterns i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de Heer et al. Devilish dilemma games: narrative game engine and accompanying authoring tool
JP2003050536A (en) System for language learning database service
Alkhuraiji Dynamic adaptive E-learning mechanism based on learning styles
Baksa-Haskó et al. Data-Mining Possibilities in Blended Learning
Budinská et al. Gender Differences in Graph Tasks-Do They Exist in High School Bebras Categories To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