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02B1 -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02B1
KR102418602B1 KR1020210088220A KR20210088220A KR102418602B1 KR 102418602 B1 KR102418602 B1 KR 102418602B1 KR 1020210088220 A KR1020210088220 A KR 1020210088220A KR 20210088220 A KR20210088220 A KR 20210088220A KR 102418602 B1 KR102418602 B1 KR 10241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space
lever
striking
limit switch
nozz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라종열
정대호
정재한
임우섭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육송(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21008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 배전반, 분배기 등의 전장박스 내에 설치되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작동 유무와 연동되는 리밋 스위치를 부착한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apparatus of sensing spring operation of small space fire oextinguisher}
본 발명은 분전반, 배전반, 분배기 등의 전장박스 내에 설치되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작동 유무와 연동되는 리밋 스위치를 부착한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박스 내에 설치되는 소공간 소화용구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2154675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소공간 소화용구는, 화재로 유리벌브가 팽창 파열되면 압축된 스프링의 해제로 타격핀이 차단막을 뚫게 되고, 소화용기의 소화약제가 타격핀을 통해 비산공을 통해 외부로 비산하여 화재의 초동 진압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소공간 소화용구는 전장박스 내에 설치되는데, 그 전장박스가 통상 수십~수백 개 설치됨으로써, 각 전장박스의 소공간 소화용구의 작동 유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전장박스의 도어를 열고 유리벌브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리벌브가 제조상 결함이 있는 경우, 스프링의 강한 눌림으로 저절로 파열된 상태로 소공간 소화용구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를 그대로 방치하면, 화재 발생 시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5467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유무를 원격으로 점검 가능한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공간 소화용구의 작동 유무를 육안으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공간 소화용구의 타격노즐부의 스프링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PCB; 상기 PCB에 설치되는 리밋 스위치; 상기 PCB와 상기 리밋 스위치가 탑재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면, 상기 타격노즐부의 비산공이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타격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타격노즐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밋 스위치의 레버 끝단이 상기 비산공을 통해 상기 타격노즐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PCB에 LED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노즐부의 선단이 걸리는 스토퍼;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타격노즐부의 밑면 둘레를 받치는 받침편; 및 상기 받침편을 승강시켜 상기 타격노즐부를 고정/해제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밋 스위치의 레버는, 상기 리밋 스위치의 접점을 누르는 접점용 레버; 및 상기 비산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용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밋 스위치의 레버가 비산공을 통해 타격노즐부 내에 배치됨으로써, 평상시와 화재 시 소공간 소화용구의 작동유무를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리밋 스위치가 OFF 일 때 LED는 ON, 리밋 스위치가 ON 일 때 LED는 OFF로 설정해 놓으면, 전장박스의 도어를 열어 육안으로 점검할 때 신속 정확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에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타격노즐부를 삽입부에 삽입했을 때 비산공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부에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받침편을 승강시켜 타격노즐부를 삽입부에 고정/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리밋 스위치의 레버를 절곡 각도에 따라 접점용 레버와 작동용 레버로 구분함으로써, 확실한 작동과 정확한 점점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소공간 소화용구와 감지장치를 분리 및 결합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감지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감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좌우에서 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평상시와 화재시 작동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와 감지장치를 결합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와 감지장치(100)를 분리 및 결합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L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는, 소화용기(10), 타격노즐부(30) 및 소화용기(10)와 타격노즐부(30)를 연결하는 엘보(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화용기(10)는 병(battle) 형상일 수 있다. 소화용기(10)는 화재 진압용 소화약제가 담겨질 수 있다.
타격노즐부(30)는, 특허문헌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한쪽이 막히 관 형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40)은, 한쪽이 막힌 하우징본체(41)와, 하우징본체(41)의 열린 부분에 연결되는 연결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본체(41)의 중간에, 비산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비산공(42)은, 관의 길이에 따라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비산공(42)은, 하우징본체(41)의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본체(41)는, 감지장치(1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연결관(43)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엘보(9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타격노즐부(30)는, 특허문헌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하우징본체(41)의 상부 내측에 탑재되는 압축스프링(45)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노즐부(30)는, 하우징본체(41)의 중간 내측에 탑재되는 타격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재(50)는, 특허문헌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슬롯 형태의 분출공(51a)을 갖는 타격부재몸체(51)와, 타격부재몸체(5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고정체(52)와 타격핀(53), 타격부재몸체(51) 내에 배치되는 유리벌브지지체(54)와, 타격부재몸체(51)를 관통한 채 유리벌브지지체(54)를 받게 연결관(43)에 결합되는 고정핀(55)을 포함한다.
타격노즐부(30)는, 유리벌브(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벌브(60)는 고정체(52)와 유리벌브지지체(5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엘보(90)에는 차단막(91)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막(91)은 타격핀(53)이 뚫고 들어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보(90)에는 소화용기(10)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9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감지장치(100)에서 커버(133)를 제거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감지장치(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좌우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PCB(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리밋 스위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밋 스위치(120)는, PCB(110)에 설치될 수 있다.
리밋 스위치(120)는, 레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21)는 리밋 스위치(120)의 접점(123)을 눌러 접점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121)는 접점용 레버(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용 레버(121a)는 리밋 스위치(120)에 설치될 수 있다.
접점용 레버(121a)는 접점(123)과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작동용 레버(121b)는 도 8과 같이, 비산공(42)의 내부에 끝단이 배치될 수 있다.
작동용 레버(121b)는 접점용 레버(121a)의 끝단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작동용 레버(121b)는 도 9와 같이, 타격노즐부(30)의 고정체(52)에 의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접점용 레버(121a)와 접점(123) 사이의 간극이 세팅된 경우, 경사 절곡된 작동용 레버(121b)가 비산공(42)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고정체(52)에 의한 위로 눌림이 접점용 레버(121a)에 보다 정확히 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30)는, 케이스본체(131)와 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본체(131)에, PCB(110)가 ㄱ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30)의 일측에, 타격노즐부(30)가 삽입되는 삽입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삽입부(140)는 리밋 스위치(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140)는 타격노즐부(30)의 하우징본체(41) 중 상부측(41a)이 삽입될 수 있다. 상부측(41a)은 비산공(42)과 선단(41b)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삽입부(140)는 비산공(42)이 외부로 와전 노출될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30)에는 타격노즐부(30)의 선단(41b)이 걸리는 스토퍼(15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하우징본체(41)의 상부측(41a)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50)의 상측(150a)에는 레버(121)가 인출되는 레버 인출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0)에는, 고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삽입부(140)에 삽입된 하우징본체(41)를 빠지지 못하게 잡아줄 수 있다.
고정부(160)는, 스토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토퍼(150)의 상측이 하우징본체(41)를 눌러줄 수 잇다.
고정부(160)는, 받침편(17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편(170)은, 하우징본체(41)의 밑면 둘레를 받치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받침편(170)의 하면에 가이드 돌기(17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71)는 스토퍼(150)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173)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케이스(130)에는, 승강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180)는 다각형 너트(181)와, 다각형 너트(181)가 회전하지 못하게 수용되는 다각형 홈(183)과, 다각형 너트(181)와 체결되면서 가이드 돌기(171)를 밀어올리는 볼트(185)를 포함할 수 있다.
다각형 너트(181)는 금속재질의 사각 너트 또는 육각 너트일 수 있다.
물론, 케이스(130)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스(130)에 암나사가 형성되면, 체결력이 약할 우려가 클 수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131)와 커버(133)로 나눈 상태에서 암나사를 형성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케이스(130)의 하면에는, 볼트(185)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중공가이드부(187)가 형성될 수 있다.
PCB(110)에는 LED(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190)는 리밋 스위치(120)가 OFF 일 때(평상시) ON으로 켜지고, 리밋 스위치(120)가 ON 일 때(화재 시) OFF로 꺼지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작업자가 일일이 전장박스의 도어를 열고 LED의 불빛 만으로 작동 유무를 즉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PCB(110)에는 단자(1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30)의 하단에는, 단자(115)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케이블인출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용 레버(121b)를 살짝 들고 L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의 하우징(40)의 선단(41b)이 스토퍼(150)에 닿을 때까지 삽입부(140)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비산공(42)의 내부로 작동용 레버(121b)의 끝단이 배치되게 된다. 삽입부(140)에 하우징(40)이 자리잡으면, 볼트(185)를 체결하면 너트(181)에 대해 상승하면서, 받침편(170)도 상승시켜서, 스토퍼(150)의 상측(150a)과 받침편(170) 사이에 하우징(40)이 눌러 고정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와 감지장치(100)를 결합한 정면도이다.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는, 타격노즐부(30)에 직결로 연결될 수 있다.
즉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는, 연결관(43)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막은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1')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L자형 소공간 소화용구 1' : I자형 소공간 소화용구
10 : 소화용기 30 : 타격노즐부
40 : 하우징 41 : 하우징본체
42 : 비산공 43 : 연결관
45 : 압축스프링 50 : 타격부재
51 : 타격부재몸체 51a : 분출공
52 : 고정체 53 : 타격핀
54 : 유리벌브지지체 55 : 고정핀
60 : 유리벌브 90 : 엘보
91 : 차단막 100 : 감지장치
110 : PCB 115 : 단자
117 : 케이블 인출부 120 : 리밋 스위치
121 : 레버 121a : 접점용 레버
121b : 작동용 레버 123 : 접점
130 : 케이스 131 : 케이스본체
133 : 커버 140 : 삽입부
150 : 스토퍼 151 : 레버 인출공
160 : 고정부 170 : 받침편
171 : 가이드돌기 173 : 가이드 홀
180 : 승강부 181 : 다각형 너트
183 : 다각형 홈 185 : 볼트
187 : 케이블 인출부 190 : LED

Claims (4)

  1. 소공간 소화용구의 타격노즐부의 스프링 작동 유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PCB;
    상기 PCB에 설치되는 리밋 스위치;
    상기 PCB와 상기 리밋 스위치가 탑재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면, 상기 타격노즐부의 비산공이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타격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타격노즐부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밋 스위치의 레버 끝단이 상기 비산공을 통해 상기 타격노즐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리밋 스위치의 레버는, 상기 리밋 스위치의 접점을 누르는 접점용 레버와, 상기 비산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용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노즐부의 유리벌브가 터지면, 상기 타격노즐부의 압축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상기 타격노즐부의 고정체의 이동으로 상기 작동용 레버가 위로 올라가 상기 접점용 레버를 누른 접점신호를 상기 PCB에 전달하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에 LED가 더 설치되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노즐부의 선단이 걸리는 스토퍼;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타격노즐부의 밑면 둘레를 받치는 받침편; 및
    상기 받침편을 승강시켜 상기 타격노즐부를 고정/해제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4. 삭제
KR1020210088220A 2021-07-06 2021-07-06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KR10241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20A KR102418602B1 (ko) 2021-07-06 2021-07-06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20A KR102418602B1 (ko) 2021-07-06 2021-07-06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02B1 true KR102418602B1 (ko) 2022-07-08

Family

ID=8240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20A KR102418602B1 (ko) 2021-07-06 2021-07-06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34Y1 (ko) * 2008-01-25 2010-01-19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설비용 기동용기밸브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체크센서
KR101212984B1 (ko) * 2011-06-02 2012-12-18 곽진초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KR101305625B1 (ko) * 2013-04-15 2013-09-09 염순년 소방 밸브 개폐 감지용 탬퍼 스위치
KR101841224B1 (ko) * 2016-06-29 2018-03-23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54675B1 (ko) 2020-02-27 2020-09-10 육송(주) 유리벌브의 파손작동장치를 갖는 소공간용 자동소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34Y1 (ko) * 2008-01-25 2010-01-19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설비용 기동용기밸브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체크센서
KR101212984B1 (ko) * 2011-06-02 2012-12-18 곽진초 소방기기의 스마트 헤드 자동작동장치
KR101305625B1 (ko) * 2013-04-15 2013-09-09 염순년 소방 밸브 개폐 감지용 탬퍼 스위치
KR101841224B1 (ko) * 2016-06-29 2018-03-23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54675B1 (ko) 2020-02-27 2020-09-10 육송(주) 유리벌브의 파손작동장치를 갖는 소공간용 자동소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850B1 (ko) 신속한 화재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154675B1 (ko) 유리벌브의 파손작동장치를 갖는 소공간용 자동소화시스템
KR102418602B1 (ko) 소공간 소화용구의 스프링 작동 감지장치
CN101283283B (zh) 插入件、测试托架及半导体测试装置
US20140141657A1 (en) Multipole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contacts
PL1719214T3 (pl) Elektryczny wtyk z obudową wtyku i co najmniej dwoma zintegrowanymi stykami wtyku z urządzeniem wyrzutnikowym
ES2565490T3 (es) Conector suplementario
CN103091796A (zh) 光纤收发模块的自检显示结构
JP200630847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器
US4164072A (en) Automatic piercing nut assembling arrangement
KR200403498Y1 (ko)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
US20230077378A1 (en) Device for inspecting the assembly defect of a connector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a wire terminal
TW201837474A (zh) 電氣接觸件以及電氣零件用插座
KR20220037936A (ko) 자동 소화 장치
TW201623973A (zh) 探針裝置
CN103592560B (zh) 一种主板中防拆功能的测试方法
KR200447334Y1 (ko) 소화설비용 기동용기밸브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체크센서
US20100079295A1 (en) Emergency device actuator absenc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737829A (en) Terminal insertion machine having position sensing and automatic actuation device
KR102123882B1 (ko) 테스트 장치의 커넥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커넥터 서브어셈블리 및 커넥터 핀
US10213635B2 (en) Bracket interlock systems
RU156815U1 (ru) Извещатель пожарный ручной
KR200485456Y1 (ko) 기동 용기함의 수전 및 솔레노이드밸브 부착 확인장치
KR20220109288A (ko) 소공간에 설치된 소화기의 자동 전개장치
CN108922839A (zh) 一种高压熔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