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565B1 -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565B1
KR102418565B1 KR1020180029279A KR20180029279A KR102418565B1 KR 102418565 B1 KR102418565 B1 KR 102418565B1 KR 1020180029279 A KR1020180029279 A KR 1020180029279A KR 20180029279 A KR20180029279 A KR 20180029279A KR 102418565 B1 KR102418565 B1 KR 10241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ssion
gateway
address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934A (ko
Inventor
고영성
한규호
이준서
정문영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565B1/ko
Priority to US16/352,122 priority patent/US11044784B2/en
Publication of KR2019010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gateways and public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제 1 단말, 제 2 단말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통신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 세션(Internet Protocol Session)의 연속성(continuity)이란 단말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address)를 할당 받으면, 단말이 어디로 이동하더라도 동일한 IP 주소로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TE의 경우, SSC(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모드 1을 통해 단말의 IP 세션의 연속성을 전 영역에서 보장한다.
서비스(service)의 연속성(continuity)이란 단말의 IP 세션의 연속성을 보장하지 않는 대신, 애플리케이션 단계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WiFi, DNS(Domain Name System), 5G 등의 경우, SSC 모드 2 또는 SSC 모드 3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단계에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장치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실시간 통신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IP 세션을 신규 IP 세션으로 원활하게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방법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allocated) 제 1 IP 주소(IP address)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gateway)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release)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방법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됨으로써 상기 제 1 단말에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제 1 단말은, 메모리;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제 2 단말은, 메모리;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됨으로써 상기 제 1 단말에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1 IP 세션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allocated) 제 1 IP 주소(IP address)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gateway)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release)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됨으로써 상기 제 1 단말에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SSC 모드 1 내지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이 제 1 단말과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네임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제 2 단말, 제 1 게이트웨이, 제 2 게이트웨이 및 네임 서버가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함은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신호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으며, 몇몇 치수는 보다 명확한 표현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면의 상당 부분은 임의로 표현될 수 있다.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 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에 기재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를 통해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개시에 기재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만으로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통신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SSC 모드 1 내지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SSC 모드 1(110)이란 단말(100)이 고정 UPF(User Plane Function)(101)와 세션(Session)을 생성하면, 액세스 네트워크의 종류나 단말의 위치와 관련 없이 전 영역에서 IP 세션의 연속성(Continuity)을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LTE를 이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고정 UPF(101)는 예를 들어 P-GW(P-Gateway)가 될 수 있다. 고정 UPF(101)와 세션을 생성한 단말(100)은 기지국(102)을 통해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SSC 모드 2(120)란 단말(100)과 기존 UPF(103)와의 세션을 기존 UPF(103)와 관련한 특정 영역 내에서만 유지하며, 단말(100)이 기존 UPF(103)와 관련한 특정 영역을 벗어나고 신규 UPF(105)와 관련한 특정 영역에 진입하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가 단말(100)과 기존 UPF(103) 간의 세션을 삭제하고, 단말(100)과 신규 UPF(105) 간의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존 UPF(103)와 세션을 생성하여 기지국(104)을 통해 외부 단말과 통신하던 단말(100)이 이동하여 기존 UPF(103)와 관련한 특정 영역을 벗어나고, 신규 UPF(105)와 관련한 특정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100)과 기존 UPF(103) 간의 세션을 삭제하고, 단말(100)과 신규 UPF(105) 간의 세션을 새로 생성할 수 있다. 단말(100)은 신규 UPF(105)와의 세션에 기초하여 기지국(106)을 통해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SSC 모드3(130)이란 단말(100)과 기존 UPF(103)와의 세션을 기존 UPF(103)와 관련한 특정 영역 내에서만 유지하며, 단말(100)이 기존 UPF(103)와 관련한 특정 영역을 벗어나고 신규 UPF(105)와 관련한 특정 영역에 진입하면, 코어 네트워크가 단말(100)과 신규 UPF(105) 간의 새로운 세션을 우선 생성하고, 이후 단말(100)과 기존 UPF(103) 간의 세션을 삭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SSC 모드3(130)에서는 단말(100)과 기존 UPF(103) 간의 기존 세션 및 단말(100)과 신규 UPF(105) 간의 신규 세션이 동시에 유지되는 시점이 존재한다.
두 개 이상의 단말 간에 SSC 모드 3을 통해 실시간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특정 시점에서 데이터를 송신한 단말(이하 '송신 단말'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은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이하 '수신 단말'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시점의 변화에 따라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상호 역할을 변경하여,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이 될 수 있고,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이 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이 IP 세션을 신규 IP 세션으로 변경한 것을 확인한 후에 기존 IP 세션을 릴리즈 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이 기존 IP 세션을 릴리즈하면,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은 신규 IP 세션을 통해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단말이 SSC 모드 3을 통해 원활하게 통신하기 위해서는, 송신단말이 수신 단말의 IP 세션이 신규 IP 세션으로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가능한 빨리 수신할 필요가 있다. 후술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SSC 모드 3에서 외부 단말에게 단말의 IP 세션의 변경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호 간 원활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제 2 단말과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단말"은 단말 간의 통신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한 단말을 의미하며, 전술된 송신 단말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은 단말 간의 통신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을 의미하며, 전술된 수신 단말과 대응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시점의 변화에 따라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이 상호 역할을 변경하여, 제 1 단말이 제 2 단말이 될 수 있고,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이 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은 도 2의 흐름도의 각 단계들을 통해 SSC 모드 3에서 제 2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IP 세션"은, 제 1 단말과 제 2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용된 기존의 IP 세션을 의미하고, "제 2 IP 세션"은 제 1 단말과 제 2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경된 신규의 IP 세션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게이트웨이(gateway)"란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과 제 1 IP 세션에 따라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를 의미하고, "제 2 게이트웨이"란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과 제 2 IP 세션에 따라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게이트웨이는 IP 앵커링을 수행하는 IP 앵커(anchor),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210에서, 제 1 단말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1 단말에 할당된 제 1 IP 주소(IP address)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1 단말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게이트웨이는 단말이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면 단말에 제 1 게이트웨이의 해당 UPF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이 제 1 게이트웨이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제 1 게이트웨이는 단말에 제 1 게이트웨이의 해당 UPF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 1 단말은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제 1 단말에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이 제 1 게이트웨이 주변의 특정 영역에서 벗어나 제 2 게이트웨이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여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되는 경우, 제 1 단말에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는 제 2 IP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기 결정된 임계치는 게이트웨이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 1 단말은 제 2 단말에 제 1 IP 세션을 통한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 2 단말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2 단말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 2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와 신규 IP 세션을 생성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로 송신하는,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제 2 단말의 기존 IP 주소, 제 2 단말의 신규 IP 주소, 제 1 단말의 기존 IP 주소, 제 1 단말의 신규 IP 주소 및 메시지 ID(message-ID)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가 포함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IP 세션에서 제 2 IP 세션으로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제 2 단말이 기존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제 2 단말의 신규 IP 주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IP 세션에서 제 2 IP 세션으로 변경되면서 제 2 단말이 신규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제 2 단말의 신규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ID는, 제 2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와 신규 IP 세션을 생성한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D 0001은 제 2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와 신규 IP 세션을 생성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제 1 단말은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제 1 IP 세션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와 신규 IP 세션을 생성한 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제 2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와 신규 IP 세션을 생성한 지 여부를 인지한 직후부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제 1 IP 세션을 해제 할 수 있다.
제 2 단말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제 1 단말이 별도의 세션 릴리즈 타이머(session release timer)를 이용하여 기존 IP 세션을 해제하는 단말과 비교할 때, 본 개시의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에 따르면, SSC 모드 3를 통해 상호간에 통신함에 있어서 기존 IP 세션에서 신규 IP 세션으로의 전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이 제 1 단말과 통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은 도 3의 흐름도의 각 단계들을 통해 SSC 모드 3에서 제 1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제 2 단말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제 2 단말은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됨으로써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에 따라,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게이트웨이에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이 제 2 게이트웨이 주변의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여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되어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에 제 2 IP 세션이 생성되는 경우, 제 2 단말은 생성된 제 2 IP 세션에 따라 제 2 게이트웨이에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에서는,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에 따라 제 1 IP 세션이 해제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400)은 실시간(real time) 서비스 모듈(410) 및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430)는 실시간 서비스 어댑터(440) 및 미들 레이어(middle layer,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430)에 포함된 미들 레이어(450)는 가상 IP 주소(420)와 기존 IP 주소(460) 및 신규 IP 주소(470) 간 브릿지 펑션(bridge fun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400)에서, 실시간 서비스 모듈(410)에서 가상 IP 주소(420)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미들 레이어(450)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는 기존 IP 주소(460)를 통해 미들 레이어(450)에서 게이트웨이를 거쳐 외부 단말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단말(400)은 외부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미들 레이어(450)는, 기존 IP 주소(460) 또는 신규 IP 주소(470)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400)과 외부 단말 간에 신규 IP 세션이 생성된 경우, 미들 레이어(450)는 기존 IP 주소(460) 또는 신규 IP 주소(470)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미들 레이어(450)가 수신한 신호는 가상 IP 주소(420)를 통해 실시간 서비스 모듈(41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어댑터(440)는, 새로운 IP 세션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애플리케이션 단계(application level)에서 IP 스위치 오버(switch over) 여부를 판단하여,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기존 세션 해제(release)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다.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LTE 모뎀, 5G 모뎀, 케이블 모뎀, WiFi 모뎀, 하부 레이어2(layer 2)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 어댑터(440)는, 실시간 네임 서버가 단말(400)의 어댑터 소프트웨어와 송수신하는 등록(registration) 메시지 또는 리솔루션(resolution) 메시지를 스누핑(snooping)하여 대신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510)는 실시간 서비스 어댑터(511) 및 미들 레이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서비스 어댑터(511)는, 애플리케이션 어댑터(512) 및 모뎀 어댑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 모듈(520)과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540)는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500) 내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어댑터(512)는 호스트 IP 레이어(530)에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 서비스 모듈(520)과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540)는 호스트 IP 레이어(530), 애플리케이션 어댑터(512) 및 미들 레이어(514)를 통해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 어댑터(513)는,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540)에 제어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모뎀 어댑터(513)와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540)는 동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모뎀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 어댑터(513)가 5G를 위한 모뎀과 관련된 경우, 호스트 모뎀 디바이스 드라이버(540) 역시 5G를 위한 모뎀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네임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네임 서버와 상호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610)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제 2 단말(620)로 실시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610)은 제 2 단말(620)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 1 단말(610)이 피어 투 피어 방식으로 제 2 단말(620)로 실시간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IP 세션이 변경되는 경우, 제 1 단말(610) 또는 제 2 단말(620)은 네임 서버(600)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610) 및 제 2 단말(620) 중 적어도 하나는, 네임 서버(600)와 신규 IP 주소의 등록(registration)과 관련된 정보 및 리솔루션(resolution)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네임 서버(600)는 제 1 단말(610) 및 제 2 단말(620) 중 적어도 하나와 송수신한 신규 IP 주소의 등록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이 프록시(proxy)를 통해 제 2 단말로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이 네임 서버와 상호 통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630)은 프록시 모드(proxy mode) 방식으로 제 2 단말(650)로 실시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630)은 프록시(640)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프록시(640)는 제 2 단말(650)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 1 단말(630)이 프록시 모드 방식으로 제 2 단말(650)로 실시간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IP 세션이 변경되는 경우, 제 1 단말(630) 또는 제 2 단말(650)은 네임 서버(600)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630) 및 제 2 단말(650) 중 적어도 하나는, 네임 서버(600)와 신규 IP 주소의 등록과 관련된 정보 및 리솔루션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네임 서버(600)는 제 1 단말(630) 및 제 2 단말(650) 중 적어도 하나와 송수신한 신규 IP 주소의 등록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규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 제 2 단말, 제 1 게이트웨이, 제 2 게이트웨이 및 네임 서버가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 2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10에서, 제 1 게이트웨이(702)는 제 1 단말(701) 및 제 2 단말(704)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게이트웨이(702)는 제 1 IP 세션을 통해 제 1 단말(701) 및 제 2 단말(704)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게이트웨이(702)와 제 1 단말(701) 및 제 2 단말(704)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는, 예를 들어 데이터,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701)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1 단말(701)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702)와 통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704)은,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2 단말(704)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702)와 통신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제 1 단말(701)과 제 2 게이트웨이(703)는 신규 IP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말(701)은 제 1 단말(701)과 제 2 게이트웨이(703)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제 2 게이트웨이(703)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제 1 단말(701)은 네임 서버(705)에 신규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IP 세션이 제 2 IP 세션으로 변경됨에 따라 제 1 단말(701)의 IP 주소가 제 1 IP 주소에서 제 2 IP 주소로 변경된 경우, 제 1 단말(701)은 네임 서버(705)와 제 2 IP 주소의 등록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네임 서버(705)에 제 2 IP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제 1 단말(701)은 기존 IP 세션에 따라, 신호를 제 1 게이트웨이(702)를 거쳐 제 2 단말(704)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말(701)은 제 1 IP 세션에 따른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 1 게이트웨이(702)를 거쳐 제 2 단말(704)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701)은, 제 2 단말(704)로 제 1 단말(701)에 신규 IP 주소인 제 2 IP 주소가 추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704)은 제 1 단말(701)로부터 수신한, 제 1 단말(701)에 제 2 IP 주소가 추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단말(701)에 제 2 IP 주소가 추가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제 2 단말(704)은 신규 IP 세션에 따라, 제 2 게이트웨이(703)를 거쳐 제 1 단말(701)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단말(704)은 신규 IP 세션에 따라, 제 2 게이트웨이(703)를 거쳐 제 1 단말(701)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701)은,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게이트웨이(703)로부터 제 2 단말(704)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704)이 제 1 단말(701)로 송신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단말(704)이 제 1 단말(701)로 송신하는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제 2 단말(704)의 기존 IP 주소, 제 2 단말(704)의 신규 IP 주소, 제 1 단말(701)의 기존 IP 주소, 제 1 단말(701)의 신규 IP 주소 및 메시지 ID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가 포함하는 대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704)은, 제 1 단말(701)로 기존 IP 주소의 삭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704)은, 제 1 단말(701)로 제 1 IP 주소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명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701)은 제 2 단말(70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IP 주소를 삭제할 수 있다.
단계 760에서, 제 1 단말(701)은 제 1 게이트웨이(702)와의 기존 IP 세션을 해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말(701)은 제 2 게이트웨이(703)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게이트웨이(702)와의 제 1 IP 세션을 해제 할 수 있다.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70에서, 제 1 단말(701)은 네임 서버(705)와 통신하여 기존 IP 주소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701)은 네임 서버(705)로 제 1 IP 주소의 등록을 취소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네임 서버(705)에서 제 1 IP 주소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단계 780에서, 제 1 단말(701)과 제 2 단말(704)은 신규 IP 세션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말(701)과 제 2 단말(704)은 제 2 IP 세션에 따라, 제 2 게이트웨이(703)를 통해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 1 단말(800) 및 제 2 단말(9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단말들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800)은, 송수신부(810), 메모리(820) 및 프로세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 1 단말(8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단말(8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800)에서 송수신부(810), 메모리(820) 및 프로세서(830)는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800)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800)은 기지국을 거쳐 제 2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810)는 RF부를 포함할 수 있고, RF부는 다시 RF 전송부 및 RF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830)는, 제 1 단말(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도 1 내지 도 7에 기재된 단말들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30)는 송수신부(810), 메모리(820) 등 제 1 단말(8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830)는,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1 단말(800)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830)는, 제 1 단말(800)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제 1 단말(800)에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830)는, 제 2 단말(900)에 제 1 IP 세션을 통한 제 1 단말(800)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 2 단말(900)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830)는, 송수신부(810)가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제 1 IP 세션을 해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제 1 단말(800)로 입력되거나 제 1 단말(8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3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 2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900)은, 송수신부(910), 메모리(920) 및 프로세서(9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 2 단말(9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2 단말(9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900)에서 송수신부(910), 메모리(920) 및 프로세서(930)는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900)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900)은 기지국을 거쳐 제 1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910)는 RF부를 포함할 수 있고, RF부는 다시 RF 전송부 및 RF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930)는, 제 2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30)는 도 1 내지 도 7에 기재된 단말들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30)는 송수신부(910), 메모리(920) 등 제 2 단말(9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930)는, 제 1 IP 세션에 따라, 제 2 단말(900)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송수신부(9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930)는, 제 1 단말(800)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됨으로써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에 따라, 송수신부(910)가 제 2 단말(900)에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2 게이트웨이에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기존 IP 세션에서 신규 IP 세션으로 전환됨에 따른 제 2 단말(900)의 IP 주소 변경에 대해 다루지 않았으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기존 IP 세션에서 신규 IP 세션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 2 단말(900)의 IP 주소도 변경될 수도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송신 단말이 이동함으로써 IP 세션이 변경되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수신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송신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와 상응하여 IP 세션이 변경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제 2 단말(900)로 입력되거나 제 2 단말(9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3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 1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개시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질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에서 제 1 단말이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allocated) 제 1 IP 주소(IP address)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gateway)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release)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IP 세션을 상기 제 2 IP 세션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IP 세션의 수립 시에 획득된 상기 제 2 IP 주소의 등록 정보를 네임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IP 주소를 상기 네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상기 제 1 IP 주소, 상기 제 2 IP 주소,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 및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제 2 IP 주소의 할당 정보를 네임 서버(name server)로 송신하여 상기 네임 서버에 상기 제 2 IP 주소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임 서버에서 상기 제 1 IP 주소의 등록을 취소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는 제 1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IP 세션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에 할당된 제 1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 1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단말과 제 2 게이트웨이 간의 거리가 기 결정된 임계치 이하로 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와 제 2 IP 세션을 생성하고,
    제 2 단말에 상기 제 1 IP 세션을 통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IP 세션에 따른 제 2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IP 세션을 상기 제2 IP 세션으로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와의 상기 제 1 IP 세션을 해제하고,
    상기 제 2 IP 세션의 수립 시에 획득된 상기 제 2 IP 주소의 등록 정보를 네임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IP 주소를 상기 네임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제 1 IP 세션의 해제에 관한 메시지는 상기 제 1 IP 주소, 상기 제 2 IP 주소, 상기 제 2 단말에 할당된 IP 주소, 및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IP 세션이 생성됨으로써 획득된 상기 제 2 IP 주소의 할당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가 네임 서버로 송신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네임 서버에 상기 제 2 IP 주소를 등록하는, 제 1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상기 네임 서버에서 상기 제 1 IP 주소의 등록을 취소하도록 요청하는, 제 1 단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6. 삭제
KR1020180029279A 2018-03-13 2018-03-13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1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79A KR102418565B1 (ko) 2018-03-13 2018-03-13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6/352,122 US11044784B2 (en) 2018-03-13 2019-03-13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79A KR102418565B1 (ko) 2018-03-13 2018-03-13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34A KR20190107934A (ko) 2019-09-23
KR102418565B1 true KR102418565B1 (ko) 2022-07-07

Family

ID=6790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79A KR102418565B1 (ko) 2018-03-13 2018-03-13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44784B2 (ko)
KR (1) KR102418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6949A (zh) * 2022-01-27 2023-08-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Ip地址分配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4042A1 (en) * 2014-05-16 2015-11-19 Hitachi, Ltd. Traffic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8764B2 (en) * 2002-06-20 2010-03-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arbitration in a multi-participant communication session
CN103095664B (zh) * 2011-10-31 2015-12-16 国际商业机器公司 Ip多媒体会话建立方法和系统
EP3742802A1 (en) * 2014-06-23 2020-11-25 Convida Wireless, LLC Inter-system mobility in integrated wireless networks
KR20160014382A (ko)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앵커 게이트웨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38563B2 (en) * 2014-10-13 2017-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 user data path
WO2016095115A1 (en) * 2014-12-17 2016-06-23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using dual active connections
WO2016105004A1 (ko) * 2014-12-26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bifom 캐퍼빌리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16665B2 (en) * 2015-02-03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RAT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preference
US20180077610A1 (en) * 2015-03-17 2018-03-15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ccess point managing devic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re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7217802A1 (ko) * 2016-06-16 2017-12-2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687300B2 (en) * 2016-11-27 2020-06-16 Lg Electronics Inc. De-registr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728952B2 (en) * 2017-01-09 2020-07-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session management
CN108881356B (zh) * 2017-05-11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缓存数据的方法和会话管理功能设备
WO2018236164A1 (ko) * 2017-06-21 2018-12-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요청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52278B2 (en) * 2018-02-20 2021-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mall data user plane transmission for cellular internet of things (CIoT)
US11122477B2 (en) * 2018-02-26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User plane function (UPF) duplication based make before break hand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4042A1 (en) * 2014-05-16 2015-11-19 Hitachi, Ltd. Traffic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34A (ko) 2019-09-23
US20190289664A1 (en) 2019-09-19
US11044784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1316B (zh) 应用服务器的切换方法及会话管理网元、终端设备
CN112153098B (zh) 一种应用迁移方法及装置
US11606421B2 (en) Edge computing relocation
US89426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JP7017586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装置
KR102349656B1 (ko) 베어러 식별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및 그를 위한 저장 매체
CN110650168B (zh) 一种通信方法及其装置
CN105874830A (zh) 一种移动性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003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mobility of mobile terminal in distributed mobile network based on a software-defined network
US20160338015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1869310A (zh) 用于执行小数据快速路径通信的方法和系统
KR20220021332A (ko)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64234A1 (en) Service continuit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7088451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KR102418565B1 (ko)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856213B (zh) 切换数据传输方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3435727B1 (en) Acces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9238050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601000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stinatio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record medium
CN116097751A (zh) 利用smf重新选择来重新锚定
JP2022133821A (ja) リレーノード及び基地局
KR20170025550A (ko) 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377519B (zh) 一种处理会话连接的方法及装置
US974332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0663261A (zh) 通信设备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