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224B1 -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224B1
KR102418224B1 KR1020200049860A KR20200049860A KR102418224B1 KR 102418224 B1 KR102418224 B1 KR 102418224B1 KR 1020200049860 A KR1020200049860 A KR 1020200049860A KR 20200049860 A KR20200049860 A KR 20200049860A KR 102418224 B1 KR102418224 B1 KR 10241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detachable
patch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262A (ko
Inventor
김선국
이민구
신종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2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는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층 및 상기 패치층 상에 고정되며 상기 수유병 또는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유병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 또는 온도 등을 센싱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센싱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이를 기초로 수유액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유병을 이용하여 수유를 하기 전에 수유를 하기에 적합한 온도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유자의 감에 의존하여 수유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수유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가 있다.
또한, 수유병 내에 잔존하는 분유량이 얼마인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잔존하는 분유량을 통해 유아가 먹은 양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유자가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분유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유아가 공기를 흡입하여 배앓이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가 부착된 수유병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하는 수유병의 특성상 소독을 위해 고온으로 삶아야 하기 때문에, 센서가 수유병에 부착되는 경우 센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744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시킬 수가 있어서 수유병을 삶아 소독할 때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센싱 장치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외부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수유병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층; 및 상기 패치층 상에 고정되며 상기 수유병 또는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접지 전극부과 나머지 전극부 사이에 있어서, 수유병 내부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지 전극부와 나머지 전극부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전극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수유병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제 1 패치층; 및 상기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층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패치층은 PDMS, ECOFLEX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를 섞고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하여 상기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치층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장착된 수유병;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전송 받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수유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센서를 수유병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 탈부착 가능한 센싱 장치를 수유병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센싱하도록 함으로써 수유병을 삶아 소독할 때에는 수유병 센싱 장치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으로 센싱 장치를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전극부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수위 센싱 장치를 제작할 수가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수유병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센서를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하여 곡면에도 센서의 손상없이 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센싱 장치를 수유병 내에 배치하지 않고 수유병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센싱하므로, 수유병 내의 액체가 오염되지 않고 센싱을 위해 수유병을 별도로 개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무선 통신에 의해 수유량, 수유액의 온도 등에 관한 센싱 정보를 의료진이나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원격으로 수유병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수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대기시간 동안 수유액이 침전되지 않도록 진동으로 수유액을 혼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일 예인 수위 센싱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가 수유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인 온도 센싱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전극부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는 수유병의 외측면에 센싱 장치를 부착하여 수유병 외측면과 밀착한 센서로부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 장치이다. 여기서, 용액의 정보라고 하면 용액의 온도, 수유병 내 용액의 양(수위) 등을 의미할 수가 있다.
상기 수유병 센싱 장치는 수유병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유병을 삶아서 소독하는 경우에는 분리시킬 수가 있어서, 수유병 소독 과정에서 센싱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센싱 장치가 수유병 내부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수유병 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센싱 장치의 일 예로서 수유병 내에 담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싱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일 예인 수위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가 수유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다.
상기 수위 센싱 장치는 센싱층(150) 및 패치층(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층(150)은 패치층(110) 상에 고정된다. 센싱층(15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25)가 형성되는데, 센서(125)는 복수의 전극부(122) 및 연결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치층(110)에 의해 수위 센싱 장치(100)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될 때, 센싱층(150)을 구성하는 전극부(122)는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부(122)는 복수의 전극부(122a, 122b)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형태이다. 각각의 전극부(122a, 122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전극부(122a, 122b)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전극부(122b)는 접지극을 형성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전극부(122b)와 나머지 전극부(122a)들 사이는 연결부(124)에 형성된 배선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센싱 장치(100)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접지극을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전극부(122a, 122b)와 수유병(300) 내의 용액 및 공기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두 전극부(122a, 122b)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때,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서 정전용량 값(
Figure 112020042349705-pat00001
)의
Figure 112020042349705-pat00002
값이 변화하여 각 전극부 쌍(122a, 122b)을 통해 구해지는 C값 또는 전압(V)값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분석하여 수유병(300) 내의 수위 변화를 감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극부(122)의 개수만 길이 방향으로 늘리면 다양한 크기의 수유병(300)에 대한 수위 센싱 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 전극부(12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부(122)를 포함하는 센싱층(15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데, 곡면을 형성하는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극부(122)를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하여, 곡면에 부착될 때에도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유연 신축 구조라고 하면, 전극부(122)의 재질이 유연 또는 신축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부(122)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마치 거미줄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즉, 다수의 곡선 또는 직선의 패턴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전극부(122)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극부(122)는 연결부(124)에 의해 연결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부(124)는 복수의 전극부(122)의 양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4)를 통해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접지극인 전극부(122b)와 나머지 전극부(122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4)도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24)는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므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패턴(예를 들어,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 등)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쉽게 굴곡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패치층(110)은 내측면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키며 수유병(300) 외측면에 수위 센싱 장치(1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패치층(110)은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패치층은 신축성의 고분자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수위 센싱 장치(100)의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다. 제 2 패치층은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신축성의 고분자 필름층으로 신축성과 함께 접착성도 가져서, 제 2 패치층 상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킨다.
이때, 제 1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PDMS, ECOFLEX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Polyethylenimine 80% ethoxylated solution)을 섞고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패치층(110)은 팔토시와 같은 신축성 섬유나 실리콘 같은 신축성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원통형의 수유병(300)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삽입 할 수 있는 형태의 기구의 안쪽에 내장하여 신축성 물질의 복원력에 의해 기구의 크기보다 크거나 다른 모양의 젖병을 삽입 하였을 때 기구의 복원력에 의해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가 있다. 원통형의 수유병(300)에 삽입되는 기구에 의해 센싱 장치(100)를 수유병(30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나, 상기 기구 없이 패치층(110) 만으로도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층(110)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미세 크기의 홀(11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홀(112)에 의해 신축성에 의해 수위 센싱 장치를 부착시킬 때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의 제작 공정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metalized polymer film)(120)을 준비한다(도 4의 (a)). 이는, PET 또는 PI로 만들어진 필름 형태의 폴리머 기판(128) 상에 금(Au)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증착시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을 UV 레이저 기기에 진공 흡착을 통해 고정시키고, 금속층에 대하여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극부(122)와 연결부(124)의 패턴 형상을 선형으로 전사한다(도 4의 (b)). 다음, 전극부(122)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24)를 덮는 중앙에 사각의 홀이 형성된 PET 필름(130)을 금속층(125) 상부에 부착한다(도 4의 (c)). 다음, UV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부에 부착된 PET 필름(130) 및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 전체에 대하여 패터닝을 수행하고(도 4의 (d)), 패터닝된 센싱층(150)을 분리하여(도 4의 (e), (f)) 최종적으로 센싱층(150)을 제작할 수가 있다.
패치층(110)은 서로 다른 재질의 제 1 패치층과 제 2 패치층으로 형성된 패치층(110) 필름을 준비하고, CO2 레이저로 패치층(11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112)을 형성(도 4의 (f))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착성이 있는 제 2 패치층에 센싱층(150)을 전사하여 패치층(110)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킨다(도 4의 (h)).
도 4의 (i)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수위 센싱 장치(100)의 각 층을 분리한 도면인데, 위로부터 패치층(110), 도 4의 (a)에서 준비된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의 폴리머 기판(128)과 금속층(125), 도 4의 (c)에서 전극부(122)가 노출되도록 금속층(125) 상부를 덮은 PET 필름(1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로서 수유병(300) 내에 담긴 용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싱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인 온도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5의 전극부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다.
온도 센싱 장치(200)는 수위 센싱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센싱층 및 패치층(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센싱층은 패치층(110) 상에 고정된다.
센싱층(150)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전극부(225)가 형성되는데, 패치층(210)에 의해 온도 센싱 장치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될 때, 전극부(225)는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온도 변화에 따라 전극부(225)의 저항이 변화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온도 변화에 다른 전극부(225)의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수유병(300) 내 용액의 온도를 감지한다. 도 7은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하는데,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의 변화율이 선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가 있다.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싱 장치(200)의 전극부(225)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225)를 포함하는 센싱층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에에서도 곡면을 형성하는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극부(225)를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하여, 곡면에 부착될 때에도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센싱층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기판에 Polyimide 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기판상에 Polyimide 필름층을 형성하고, Polyimide 필름층에 Ti 또는 Pt을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도 6의 형상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고, 금속층의 보호를 위해 금속층 상부에 Polyimide 보호층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컷팅하여 센싱층을 제작할 수가 있다.
패치층(21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제 1 패치층 및 제 2 패티층으로 구성되고, 패치층(210)에는 관통하는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 상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센싱층을 전사시켜 패치층(210)에 센싱층이 고정된 형태의 온도 센싱 장치(200)를 최종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와 온도 센싱 장치(20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단일의 패치층 상에 통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센싱 장치(200)의 센싱층은 수위 센싱 장치(200)의 센싱층(150) 아래 또는 좌우 측에 배치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유병 센싱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BLE, WiFi, ZigBee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센싱된 정보(수위 또는 온도)를 외부의 서버부에 전송시킬 수가 있다. 서버부는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폰일 수 있는데,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앱을 통해 센싱된 값의 정보를 받아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100, 200)를 포함하는 수유병(300)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병(300)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부(310)는 복수의 수유병(300)을 고정시킨다. 고정부(310)는 수유병(300)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수위 센싱 장치(100)와 온도 센싱 장치(200)가 부착되어, 수위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 및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수유병(300) 내의 용액의 수위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수유병(300)에 부착된 센싱 장치(100, 200)로부터 측정된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산후 조리원과 같이 많은 수의 영유아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복수의 수유병(300)에 대하여 원격지에서 보호자 또는 의료진은 수유액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가 있다.
또한, 수유병(300)에 담긴 분유를 식히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분유가 침전될 수가 있으므로, 고정부(310) 내에는 고정부(3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진동을 가하여 분유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10)의 저면에는 수유병(300)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수유병(30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상기 진동부 또는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는 상시적으로 진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부(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진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가열부도 서버부(400)로부터 수신된 온도 제어 명령값에 따라 가열 온도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수위 센싱 장치
110: 패치층
112: 홀
120: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
122: 전극부
124: 연결부
125: 센서, 금속층
128: 기판
130: PET 필름
150: 센싱층
200: 온도 센싱 장치
210: 패치층
212: 홀
225: 전극부
300: 수유병
310: 고정부
400: 서버부

Claims (15)

  1.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층; 및
    상기 패치층 상에 고정되며 상기 수유병 또는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접지 전극부과 나머지 전극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수유병 내부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전극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수유병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전극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지 전극부와 나머지 전극부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제 1 패치층; 및
    상기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층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치층은 PDMS, ECOFLEX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를 섞고 경화시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하여 상기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치층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4. 제 13 항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장착된 수유병;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전송 받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유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49860A 2020-04-24 2020-04-24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ko) 2020-04-24 2020-04-24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ko) 2020-04-24 2020-04-24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262A KR20210132262A (ko) 2021-11-04
KR102418224B1 true KR102418224B1 (ko) 2022-07-08

Family

ID=7852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ko) 2020-04-24 2020-04-24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2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07B1 (ko) 2018-10-16 2019-1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센서 기반으로 우유량 및 온도 측정이 가능한 수유병 커버 장치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102047831B1 (ko) 2019-07-09 2019-1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 기능 및 방열 기능을 갖는 액체 금속 입자 코팅 시트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6316B2 (ja) * 2010-09-13 2015-11-10 ピーエスティ・センサーズ・(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Pst Sensors (Proprietary) Limited 印刷された温度センサ
KR20140087440A (ko) 2012-12-29 2014-07-09 이종혁 온도알림젖병
KR101807650B1 (ko) * 2015-11-30 2017-12-12 (주) 파루 수위 및 수온 측정 장치
KR20190083947A (ko) * 2018-01-05 2019-07-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착성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07B1 (ko) 2018-10-16 2019-1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센서 기반으로 우유량 및 온도 측정이 가능한 수유병 커버 장치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KR102047831B1 (ko) 2019-07-09 2019-1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파 차폐 기능 및 방열 기능을 갖는 액체 금속 입자 코팅 시트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262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9863B2 (ja) 医療用途のための伸張性電子部品を使用する装置
JP6370445B2 (ja) 温度センサパッチ、及びそれを含む接着式温度計
EP2973475B1 (en) Apparatuses for the detection of incontinence or other moisture
KR100972465B1 (ko) 온도 측정 장치 및 온도 측정 방법
US888633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US20140215684A1 (en) Pressure Sensing Glove
US200700731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s
US8519852B2 (en) Two-axis inclinometer head of bed elevation alarm and method of operation
US11874965B2 (en) Epidermal virtual reality devices
EP3117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moisture and multifunctional sensor system
JP6009466B2 (ja) 動物の呼吸及び/又は心拍の変動監視方法
US10694999B2 (en) Conductive layer formed strain gaug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8159531B (zh) 非悬挂的输液控制系统
WO2017059831A1 (en) Sensory system for the electronic detection of body fluids in a diaper
KR102418224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0838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line
CN102973320A (zh) 可佩带的便携式装置和方法
KR20080007960A (ko) 링거투여 감시장치
EP2854875B1 (en) An electronic indicator device for cleaning monitoring
Hemalatha et al. Smart digital parenting using Internet of Things
JP2007195837A (ja) うつ伏せ検出装置
KR102353719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수액팩 수위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수액팩 케이싱 장치
KR20180075211A (ko) 사용자 신체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 패치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dos Santos Development of integrated temperature and pressure sensors for textile applications
KR101673334B1 (ko) 탈착형 진단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