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31B1 -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31B1
KR102418031B1 KR1020220000795A KR20220000795A KR102418031B1 KR 102418031 B1 KR102418031 B1 KR 102418031B1 KR 1020220000795 A KR1020220000795 A KR 1020220000795A KR 20220000795 A KR20220000795 A KR 20220000795A KR 102418031 B1 KR102418031 B1 KR 10241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urifier
air purifier
shiel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김복희
Original Assignee
이재철
김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김복희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22000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부(200); 및 상기 기능부(2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쉴드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A werable air purifi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착용되는 형태로 사용되는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증대됨에 따라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기질은 건강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용도이므로, 실외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날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대처법이다.
그리고 실내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도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공기질이 좋지 못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실내 공간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처리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해당 공간 내의 공기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에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착용하는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착용식 공기정화장치는 조잡한 외관, 불편한 착용 방식, 부족한 성능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발명으로서, 실내 및 실외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부(200); 및 상기 기능부(2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쉴드부(30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정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기능부(200)가 중앙부(210) 및 상기 중앙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좌우 연장부(220, 2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각각의 선단부 내측면에 공기배출부(201)가 구비되며,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각각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01)를 통해 LED광을 제공하는 LED 램프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의 선단부에는 쉴드고정부(29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부(210)에는 임시고정부(271, 272)가 구비되며, 상기 쉴드부(3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쉴드고정부(290) 또는 상기 임시고정부(271, 272)에 탈부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재(31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쉴드고정부(290) 및 상기 임시고정부(271, 272)가 영구자석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재(310)는 자성체 소재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안에 방향부재(800)가 수용되며,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에는 상기 방향부재(800)의 장착 및 교체를 위한 방향부재케이스(255)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의 프레임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부(221, 231), 이동부(222, 232) 및 연결부(281, 282)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222, 232)가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281, 282)를 통해 상기 고정부(221, 231)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정화기는 상기 기능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하는 힌지부(110) 및 상기 힌지부(110)에 구비된 최소회동각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소회동각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부(110)에 대한 상기 기능부(200)의 회동각이 최소인 것으로 감지되면 전기 동작을 정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상기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가 중앙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및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를 도면 13 및 14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관 내지 휴대하는 중에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및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이러한 연장부 조립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비사용 중에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보관 내지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와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부로 구분되어 있어 착용 및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가 지지부에 대해 회동가능한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기능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신체 사이즈 및 사용기호에 맞게 기능부의 각도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기능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기능부의 선단에 부착된 쉴드부를 편의에 따라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힌지부에 전원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최소회동각 감지센서를 제공하므로, 기능부의 올림 및 내림 동작을 통해 전원의 ON-OFF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에 쉴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쉴드부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의 공기배출부를 통해 LED광을 제공하므로 공기정화기 작동 여부 인지의 편의성이 높아지며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사용할 때 착용자 시인성이 높아져 사용자 안전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의 좌우 연장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기능부의 연장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신체 사이즈 및 사용기호에 맞게 기능부의 길이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의 좌우 연장부의 내부에 방향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착용자에 배출되는 공기가 좋은 향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부재는 교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수시로 방향부재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방향부재들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능부의 좌우 연장부 및 지지부의 좌우 연장부를 조립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관 내지 휴대하는 중에는 기능부의 좌우 연장부 및 지지부의 좌우 연장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 조립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비사용 중에 공기정화기를 여러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기의 보관 내지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가 착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뒷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분해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사용 상태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쉴드부의 예들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회동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회동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길이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구비되는 방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이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기기로서,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100), 지지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기능부(200), 및 기능부(2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쉴드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목 부위에 걸쳐지기 용이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지지부(100)는 힌지부(110)와 바디부(120)를 포함한다. 사용 중에 지지부(100)는 목 부위의 대략 절반 정도를 감싸며 좌우측 연장부가 목과 어깨의 경계 부위에 얹혀지는 배치를 갖는다. 지지부(100)의 좌우측 연장부를 양손으로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좌우측 연장부는 탄성 변형에 의해 그 폭이 조금 확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 지지부(100)의 좌우측 연장부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지지부(100)에는 풍량조절버튼(12)이 구비된다. 풍량조절버튼(12)은 공기배출의 강약 조절을 위한 버튼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량조절버튼(12)은 지지부(100)의 선단부 상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풍량조절버튼(12)을 터치하여 손쉽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기능부(200)는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대략 C자 형상 내지 호(arch) 형상으로 제작된다. 기능부(200)는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위치하는 중앙부(210)와 중앙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좌우측 연장부(220, 230)를 포함한다. 중앙부(210)에 전술한 지지부(100)의 힌지부(110)가 연결된다. 중앙부(210) 및 좌우측 연장부(220, 230)는 각각 내부 중공 구조를 갖는다. 중앙부(210)의 상면에는 전원버튼(11)이 구비된다. 전원버튼(11)을 통해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전기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다.
쉴드부(300)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착용했을 때 입과 코 앞에 거리를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쉴드부(300)는 투명 내지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쉴드부(300)는 기능부(200)의 선단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쉴드부(300)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기능부(200)의 좌우측 연장부(220, 230)의 선단부 내측면에 탈부착식으로 결합된다.
쉴드부(300)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가려줌으로써 착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비말이 외부로 확산되거나 타인의 호흡기를 통해 배출된 비말이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쉴드부(300)는 기능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가 착용자의 호흡기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가 착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공기정화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지지부(100)는 목과 어깨 부위에 걸쳐져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처져 있는 배치를 가지며, 기능부(200)는 그것의 중심부(210)가 목 뒷쪽의 아랫부위에 위치하고 좌우측 연장부(220, 230)의 선단이 사용자의 입 근처에 위치하는 배치를 가지며, 쉴드부(300)는 입과 코를 가리는 배치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뒷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기능부(200)의 중앙부(210)에는 다수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필터커버(2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부(210)의 하측면에는 충전포트(13)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충전포트(13)는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포트(13)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부(200)의 중앙부(210)에는 한 쌍의 임시고정부(271, 272)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한 쌍의 임시고정부(271, 272)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도시되었으나 대안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임시고정부(271, 272)는 자력을 제공하도록 영구자석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쉴드부(3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자성체 소재의 부착부재(310, 도 6 참조)가 구비되어 있어서 쉴드부(300)를 임시고정부(271, 272)에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임시고정부(271, 272)는 쉴드부(300)를 중앙부(210)에 임시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분해하여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사용 상태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팬(600), 제1 필터(610), 제2 필터(620) 및 제3 필터(630A, 630B)를 포함한다. 팬(600), 제1 필터(610) 및 제2 필터(620)는 기능부(200)의 중앙부(210) 내에 수용되며, 제3 필터(630A, 630B)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내에 배치된다. 좌우 연장부(220, 230)에는 개폐식의 필터케이스(251, 252)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제3 필터(630A, 630B)의 교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각각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공기배출부(201)가 구비된다.
팬(600)이 가동되면 팬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필터커버(211)를 통해 기능부(200) 안으로 유입되고 제1 내지 제3 필터(610, 620, 630A, 630B)를 거치면서 깨끗하게 정화된 후 공기배출부(201)를 통해 배출되어 착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필터(610, 620, 630A, 630B)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유해가스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역할을 함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제1 내지 제3 필터(610, 620, 630A, 630B)는 다양한 기능의 필터들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터(610, 620)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필터이고 제3 필터(630A, 630B)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필터(630A, 630B)는 활성탄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기능부(200)의 중앙부(210)에 2개의 필터(610, 620)가 구비되었지만 대안적으로 그 중앙부(210)에 단지 1개의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200)의 중앙부(210) 내부에 복수의 UVC-LED(700)가 구비된다. UVC-LED(700)는 살균 작용을 하는 LED광을 조사함으로써 공기정화기 안으로 흡입된 공기 내의 세균을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200)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이 내부 중공의 유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기능부(200)의 프레임이 제공하는 자체적인 내부 유로를 통해 공기흡입구로부터 공기배출구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공기 전달을 위한 튜브부재와 같은 별도의 공기전달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제어기판(400) 및 배터리(500)를 포함한다.
제어기판(400)은 기능부(200)의 중앙부(210)에 내장되며 공기정화기의 전기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500)는 공기정화기의 전기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충전포트(13)를 통해 충전된다. 예로써 배터리(500)는 지지부(100) 안에 내장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배터리(200)는 2개 구비되었으나 대안적으로 배터리(200)는 단지 1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안면을 비추는 LED광을 제공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LED광은 청색 계열의 광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의 선단부 안에는 공기배출부(201)를 통해 LED광을 제공하는 LED 램프(미도시)가 구비된다. 사용 중에 LED광이 제공됨으로써 공기정화기의 가동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와 같은 LED광이 제공됨으로써 착용자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쉴드부(300)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는 부착부재(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부착부재(310)는 기능부(200)의 연장부(220, 230)에 탈부착되는 구성이며, 이를 위해 각 연장부(220, 230)에는 도 9에 도시된 쉴드고정부(290)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쉴드고정부(290)는 홈의 형태로 구비되고 부착부재(310)는 그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에 의해 부착부재(310)의 탈부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쉴드고정부(290)는 영구자석 소재로 구비되고 부착부재(310)는 자성체 소재(예: 철)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쉴드부의 예들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쉴드부(300)는 다양한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부(300A)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가릴 수 있는 소형 사이즈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부(300B)는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가릴 수 있는 대형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쉴드부(300)가 기능부(200)에 탈부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사이즈의 쉴드부(300)를 기능부(2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회동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회동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지지부(100)와 기능부(200)가 힌지부(1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지지부(100)에 대한 기능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능부(2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기능부(200)를 위로(A 방향) 올리거나 아래로(B 방향)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을 통해 사용자는 착용 중에 기능부(200) 및 쉴드부(300)의 높낮이를 자신의 신체 구조에 맞게 그리고 자신이 희망하는 정도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부(200)가 최대한 아래로 내려진 경우 즉 기능부(200)가 회동에 의해 지지부(100)에 가장 근접한 배치를 갖는 경우 전기 동작이 중단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부(110)에 최소회동각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최소회동각 감지센서는 기능부(200)가 최대로 내려진 위치에서의 회동각 즉 지지부(100)에 대한 기능부(200)의 최소회동각을 감지한다. 최소회동각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는 전술한 제어기판(400)에 전달되며, 기능부(200)가 최소회동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배치된 것으로 인지되면 제어기판(400)이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정화기의 전기 동작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최소회동각 감지센서가 전원 스위치의 역할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팬, LED 램프 등의 전기 부품들의 가동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 전원버튼(11)을 누르는 대신 기능부(200)를 아래로 내려주면 된다. 사용자가 기능부(200)를 위로 들어올리면 공기정화기의 전기 동작이 재개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길이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의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좌우 연장부(220, 230)의 프레임은 고정부(221, 231), 이동부(222, 232) 및 연결부(281, 28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동부(222, 232)는 앞뒤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이동부(222, 232)의 이동을 통해 좌우 연장부(220, 230)의 연장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길이조절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그리고 희망하는 바에 따라 기능부(200)의 연장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구비되는 방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안에 방향부재(800) 구비할 수 있다. 방향부재(800)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에 유익한 향이 나도록 하는 구성이다. 방향부재(800)로는 공기에 방향 물질을 내뿜는 다양한 종류의 방향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부재(800)로 아로마향을 내는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에 방향부재케이스(255)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방향부재케이스(255)를 열어 좌우 연장부(220, 230) 안에 방향부재(8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사용자는 방향부재(800)의 교체 및 종류변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방향부재(800)가 구비되므로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좋은 향이 나는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도 달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의 연장부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는 중앙부(2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는 지지부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및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를 도면 13 및 14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웨어러블 공기정화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관 내지 휴대하는 중에는 기능부(200)의 좌우 연장부(220, 230) 및 지지부(100)의 좌우 연장부(121, 122)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정화기에 이러한 연장부 조립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비사용 중에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보관 내지 휴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11 : 전원버튼
12 : 풍량조절버튼
13 : 충전포트
100 : 지지부
110 : 힌지부
200 : 기능부
201 : 공기배출부
210 : 중앙부
211 : 필터커버
220 : 좌측 연장부
221 : 고정부
222 : 이동부
230 : 우측 연장부
231 : 고정부
232 : 이동부
251, 252 : 필터케이스
255 : 방향부재케이스
271, 272 : 임시고정부
281, 282 : 연결부
290 : 쉴드고정부
300 : 쉴드부
310 : 부착부재
400 : 제어기판
500 : 배터리
600 : 팬
610 : 제1 필터
620 : 제2 필터
630A, 630B : 제3 필터
700 : UVC-LED
800 : 방향부재

Claims (7)

  1.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부(200); 및
    상기 기능부(2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부(200)는 중앙부(210) 및 상기 중앙부(2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좌우 연장부(220, 2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각각의 선단부 내측면에 공기배출부(201)가 구비된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각각에는 상기 공기배출부(201)를 통해 LED광을 제공하는 LED 램프가 구비되는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의 선단부에는 쉴드고정부(290)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부(210)에는 임시고정부(271, 272)가 구비되며, 상기 쉴드부(3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쉴드고정부(290) 또는 상기 임시고정부(271, 272)에 탈부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부착부재(310)가 구비된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쉴드고정부(290) 및 상기 임시고정부(271, 272)는 영구자석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부착부재(310)는 자성체 소재로 구비되는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 안에는 방향부재(800)가 수용되며,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에는 상기 방향부재(800)의 장착 및 교체를 위한 방향부재케이스(255)가 구비된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장부(220, 230)의 프레임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부(221, 231), 이동부(222, 232) 및 연결부(281, 282)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222, 232)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281, 282)를 통해 상기 고정부(221, 231)에 연결된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7.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걸쳐지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부(200); 및
    상기 기능부(20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쉴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연결하는 힌지부(110) 및 상기 힌지부(110)에 구비된 최소회동각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소회동각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부(100)에 대한 상기 기능부(200)의 회동각이 최소인 것으로 감지되면 전기 동작이 정지되는
    휴대용 웨어러블 정화기.
KR1020220000795A 2022-01-04 2022-01-04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10241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95A KR102418031B1 (ko) 2022-01-04 2022-01-04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95A KR102418031B1 (ko) 2022-01-04 2022-01-04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31B1 true KR102418031B1 (ko) 2022-07-05

Family

ID=8240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95A KR102418031B1 (ko) 2022-01-04 2022-01-04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458A1 (en) * 1996-08-14 1998-02-19 Safety Equipment Australia Pty. Ltd. Visor mounted breathing equipment
JP2008520271A (ja) * 2004-11-15 2008-06-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摩擦係合する給気式ヘルメットフェースシール
JP2011502704A (ja) * 2007-11-12 2011-0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空気流の方向制御を備えた呼吸装置組立品
KR20200083069A (ko) * 2018-12-31 2020-07-08 (주)루쏘코리아 스마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JP2020525179A (ja) * 2017-07-05 2020-08-27 ゾディアック エアロテクニクス 顔面接触を伴わない航空機パイロット用呼吸装置
KR20210125830A (ko) * 2020-04-09 2021-10-19 이춘우 목걸이형 에어마스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6458A1 (en) * 1996-08-14 1998-02-19 Safety Equipment Australia Pty. Ltd. Visor mounted breathing equipment
JP2008520271A (ja) * 2004-11-15 2008-06-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摩擦係合する給気式ヘルメットフェースシール
JP2011502704A (ja) * 2007-11-12 2011-0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空気流の方向制御を備えた呼吸装置組立品
JP2020525179A (ja) * 2017-07-05 2020-08-27 ゾディアック エアロテクニクス 顔面接触を伴わない航空機パイロット用呼吸装置
KR20200083069A (ko) * 2018-12-31 2020-07-08 (주)루쏘코리아 스마트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20210125830A (ko) * 2020-04-09 2021-10-19 이춘우 목걸이형 에어마스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942B1 (ko) 마스크
US10556136B2 (en) Half facepiece
US20210339061A1 (en) Air mask
CN108136236A (zh) 具有风扇呼吸辅助的微粒过滤面罩
KR101941191B1 (ko) 호흡연동형 전동식 호흡 보호구
KR20180041558A (ko) 웨어러블형 휴대용 에어 블로워 및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 모니터링 시스템
CN104436460A (zh) 可穿戴空气净化装置和空气净化方法
KR20170031956A (ko) 넥밴드형 음이온 발생장치
CN207384623U (zh) 手持佩戴两用空气净化呼吸装置
KR101968511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418031B1 (ko) 휴대용 웨어러블 공기정화기
KR20190014605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시스템
CN208114959U (zh) 一种口罩
KR20210043228A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417414B1 (ko) 팬 착탈형 공기청정 헤드폰
KR10198803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2406626B1 (ko) 다기능 공기청정 헤드폰
CN108325109A (zh) 一种口罩
WO2010075397A2 (en) Fan-based cooling devices for welding masks
KR20190014203A (ko) 헬멧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 시스템
TWI761127B (zh) 隨身式空氣清淨裝置
KR20190007580A (ko) 공기 청정 장치
CN106924905A (zh) 可穿戴呼吸装置
CN208448457U (zh) 可穿戴空气净化装置
CN112295124A (zh) 一种医用便携式呼吸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