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373B1 - 사운드 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운드 편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373B1
KR102417373B1 KR1020220008216A KR20220008216A KR102417373B1 KR 102417373 B1 KR102417373 B1 KR 102417373B1 KR 1020220008216 A KR1020220008216 A KR 1020220008216A KR 20220008216 A KR20220008216 A KR 20220008216A KR 102417373 B1 KR102417373 B1 KR 102417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dvertisement
editing
sourc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래
Original Assignee
홍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래 filed Critical 홍성래
Priority to KR102022000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5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for synchronising with other signals, e.g.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콘텐츠 영상에 보다 적합한 광고음원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운드 편집 시스템은 광고 콘텐츠 영상을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소스와 영상 소스로 분리하는 광고영상 관리부, 상기 음성 소스를 주파수 분석함에 따라 일정시간 검출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을 제1 및 제2 편집구간으로 식별하는 편집구간 식별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 편집될 광고음원을 음원 마디를 기준으로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로 분할하는 음원 분할부, 상기 광고음원의 음악적 속성을 음원 마디마다 비교 분석함에 따라,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결정하는 음원 관리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상기 영상 소스에서 확인된 상품 객체에 대한 면적 크기에 비례하도록 증감시키고, 상기 제2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기 위한 구간별 프리셋을 생성하는 프리셋 생성부 및 상기 구간별 프리셋을 이용하는 DAW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을 상기 음성 소스에 적용함에 따라 음원 편집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음원 편집 데이터와 상기 영상 소스를 합성 처리하여 광고 편집 영상을 출력하는 편집영상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운드 편집 시스템{SOUND EDIT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운드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콘텐츠 영상에 보다 적합한 광고음원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음원 매체인 시디, 자기테이프 등에 의한 음원 공급이 줄어들고, 전자 파일을 이용한 음원 공급이 늘어나면서 전자 파일 형태로 된 음원의 편집에 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술은 음원 파일의 편집을 위한 여러 가지 설정들을 다른 유사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이미지 편집하는 프로그램 혹은 비디오 콘텐츠 편집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서 차용하면서 굉장히 복잡한 사용자 조작 방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광고 콘텐츠 영상에 보다 적합한 광고음원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80642 (2018.07.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콘텐츠 영상에 보다 적합한 광고음원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편집 시스템은 광고 콘텐츠 영상을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소스와 영상 소스로 분리하는 광고영상 관리부, 상기 음성 소스를 주파수 분석함에 따라 일정시간 검출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을 제1 및 제2 편집구간으로 식별하는 편집구간 식별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 편집될 광고음원을 음원 마디를 기준으로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로 분할하는 음원 분할부, 상기 광고음원의 음악적 속성을 음원 마디마다 비교 분석함에 따라,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결정하는 음원 관리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상기 영상 소스에서 확인된 상품 객체에 대한 면적 크기에 비례하도록 증감시키고, 상기 제2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기 위한 구간별 프리셋을 생성하는 프리셋 생성부 및 상기 구간별 프리셋을 이용하는 DAW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을 상기 음성 소스에 적용함에 따라 음원 편집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음원 편집 데이터와 상기 영상 소스를 합성 처리하여 광고 편집 영상을 출력하는 편집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영상 출력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을 스테레오 채널에 따라 분할시켜 타임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음성 소스에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집영상 출력부는 상기 영상 소스로부터 검출되는 어느 하나의 객체의 중심점에 대한 프레임당 움직임 속도에 따라 단계별로 기설정된 VFX(visual effects) 소스를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편집 영상에 적용하고, 상기 VFX 소스는 화면전환효과, 컬러효과, 그래픽 효과를 포함하는 영상 편집 효과를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광고 편집 영상에 자동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영상보정 프리셋 데이터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리부는 상기 광고음원을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타임 라인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타임 라인 조절부, 상기 광고음원과 상기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로부터 동일 키워드가 인식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재설정하는 소스 재설정부 및 동일 키워드를 광고 콘텐츠 영상에 합성될 광고 문구로 생성하고 이를 광고주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응답받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 키워드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 소스에 합성처리하는 광고 문구 생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임 라인 조절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이 적어도 둘 이상 선택된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사이에 트랜지션 구간을 생성하여 재생 순서에 따라 병합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으로부터 확인되는 각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 빈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중 어느 하나의 타임 라인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증감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생성부는 상기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조절할 때, 가청 주파수 이외의 대역을 제거하도록 주파수 임계수치를 상기 구간별 프리셋에 통합시켜 관리하는 필터링부, 상기 광고 대상 상품의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타상품 광고 영상들 중 인기 광고 영상을 웹검색을 통해 획득하는 웹검색부 및 상기 인기 광고 영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타임 라인의 시점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를 증가시키는 이력 보정값을 구간별 프리셋으로 변경하는 프리셋 변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편집 시스템은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콘텐츠 영상에 보다 적합한 광고음원을 자동으로 편집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간별 프리셋을 제공함으로써, 광고 콘텐츠 영상의 음원 파일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편집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운드 편집 시스템(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며, 도 3은 영상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예이며, 도 4는 DAW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5는 도 2의 음원 관리부(14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프리셋 생성부(15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편집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운드 편집 시스템(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며, 도 3은 영상 및 음성 소스에 대한 실시 예이며, 도 4는 DAW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운드 편집 시스템(100)은 광고영상 관리부(110), 편집구간 식별부(120), 음원 분할부(130), 음원 관리부(140), 프리셋 생성부(150) 및 편집영상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광고영상 관리부(110)는 광고주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 영상을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소스와 영상 소스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소스와 영상 소스는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에 따라 서로 연동되는 타임라인 기반의 트랙을 가진 데이터 채널일 수 있다. 이때, 음성 소스는 스테레오를 위한 이중 채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편집 프로그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도비 프리미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집구간 식별부(120)는 음성 소스를 주파수 분석함에 따라 일정시간 검출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제1 및 제2 편집구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주파수 대역은 2000~4000kz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편집구간은 타임 라인에서 사운드효과가 적용되는 구간이고, 제2 편집구간은 타임 라인에서 사운드효과가 최소화되고 음성 신호가 증폭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신호는 불특정 화자가 광고 콘텐츠 영상 내에서 광고 대상 상품을 음성으로 광고하는 신호를 의미하고, 사운드효과는 광고주 또는 제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광고음원이 편집되고 광고 콘텐츠 영상에 적용되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콘텐츠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이 30초이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 구간이 25~30초인 경우, 편집구간 식별부(120)는 0~24초 구간을 제1 편집구간으로 식별하고 25~30초 구간을 제2 편집구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원 분할부(130)는 제1 편집구간에 편집될 광고음원을 음원 마디(ba)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원 분할부(130)는 먼저, 광고 대상 상품을 구매하는 타겟 구매자 정보를 광고주 단말(10)에 요청함에 따라 응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구매자는 연령, 성별 및 직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음원 분할부(130)는 음악 사이트와의 연동을 통해 타겟 구매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음악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 정보는 타이틀, 음악가, 앨범, 공개년도, 코멘트, 가사 및 장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원 분할부(130)는 음악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 DB(200)에 광고음원 계약에 따라 기등록된 복수의 음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음원들을 선택하고, 이를 광고주 단말(10)에 순차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선택받는 하나의 음원을 광고음원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원 관리부(140)는 음악적 속성을 음원 마디마다 비교 분석함에 따라,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악적 속성은 가사 반복 구간, BPM(beats per minute), 조(key), 비트(beat), 구조(structure), 국소적 특징(local feature) 및 전역 특징(global fe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리셋 생성부(150)는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영상 소스에서 확인되는 상품 객체의 면적 크기에 비례하도록 증감시키고, 제2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기 위한 구간별 프리셋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간별 프리셋은 도 4에 도시된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프로그램에서 음원을 편집할 때 이용되는 보정 프리셋 데이터들일 수 있다. 이때, DAW 프로그램은 프로툴즈(Pro Tools), 에이블톤 라이브(Ableton Live), 큐베이스(Cubase), 로직 프로(Logic Pro), 스튜디오원(Studio One), FL 스튜디오(FL Studi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셋 생성부(150)는 제1 편집구간에서 상품 객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일 때,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를 증가시키는 제1 구간 프리셋을 생성하고, 제2 편집구간에서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가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는 제2 구간 프리셋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리셋 생성부(150)는 제1 편집구간에서 상품 객체의 크기가 일정 크기 미만일 때, 제1 편집구간에서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를 감소시키는 제1 구간 프리셋을 생성하고, 제2 편집구간에서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가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는 제2 구간 프리셋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리셋 생성부(150)는 DAW 프로그램에서 이용가능한 구간별 프리셋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리셋 생성부(15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확인된 편집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커스터마이즈 보정값을 구간별 프리셋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커스터마이즈 보정값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음원 파장의 해당하는 간격, 세기(인텐시티), 마디(bar), 시간범위, 간격, 악기별 음원 및 템포를 포함한 DAW 프로그램의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편집영상 출력부(160)는 구간별 프리셋을 이용하는 DAW 프로그램을 통해 하이라이트 조각을 음성 소스에 적용함에 따라 음원 편집 데이터를 출력하고,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음원 편집 데이터와 영상 소스를 합성 처리하여 광고 편집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편집영상 출력부(160)는 하이라이트 조각을 스테레오 채널에 따라 분할시켜 타임 라인을 기준으로 DAW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으로 음성 소스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편집영상 출력부(160)는 영상 소스로부터 검출되는 어느 하나의 객체의 중심점에 대한 프레임당 움직임 속도에 따라 단계별로 기설정된 VFX(visual effects) 소스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편집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VFX 소스는 화면전환효과, 컬러효과, 그래픽 효과를 포함하는 영상 편집 효과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편집 영상에 자동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영상보정 프리셋 데이터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2의 음원 관리부(14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원 관리부(140)는 타임 라인 조절부(141), 소스 재설정부(142) 및 광고 문구 생성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타임 라인 조절부(141)는 하이라이트 조각이 저장 DB(20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에 대응되도록 광고음원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타임 라인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DB(200)는 광고영상 관리부(110)를 통해 광고 콘텐츠 영상을 사전에 전송받아 저장하고, 음원 분할부(130)를 통해 광고음원을 사전에 전송받는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스 재설정부(142)는 광고음원과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로부터 동일 키워드가 인식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재설정부(142)는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상품 키워드와 광고음원을 재생함에 따라 인식되는 가사 키워드 간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동일 키워드가 인식되는 타임 라인의 시간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소스 재설정부(142)는 광고음원으로부터 동일 키워드가 인식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사운드 조각을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로부터 추출하여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문구 생성부(143)는 동일 키워드를 광고 콘텐츠 영상에 합성될 광고 문구로 생성하고 이를 광고주 단말(10)에 제공함에 따라 응답받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 키워드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 소스에 합성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임 라인 조절부(141)는 하이라이트 조각이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사이에 트랜지션 구간을 생성하여 재생 순서에 따라 병합할 수 있다. 이때, 음원 관리부(1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으로부터 확인되는 각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 빈도 횟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중 어느 하나의 타임 라인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증감시켜 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 빈도 횟수가 5회이고, 제2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 빈도 횟수가 1회인 경우, 타임 라인 조절부(141)는 제1 및 제2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타임 라인의 길이합이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제1 하이라이트 조각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2 하이라이트 조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프리셋 생성부(15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리셋 생성부(150)는 필터링부(151), 웹검색부(152) 및 프리셋 변경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필터링부(151)는 제1 편집구간에서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조절할 때, 가청 주파수 이외의 대역을 제거하도록 주파수 임계수치를 구간별 프리셋에 통합시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청 주파수 이외의 대역 예컨대, 1000,000hz 이상의 초음파, 7hz 이하의 초저주파는 특정 스피커 장치에서 노이즈를 야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웹검색부(152)는 광고 대상 상품의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타상품 광고 영상들 중 인기 광고 영상을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웹검색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웹사이트는 유튜브, 네이버, 다음과 같은 광고 영상이 업로드된 웹페이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리셋 변경부(153)는 인기 광고 영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타임 라인의 시점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를 증가시키는 이력 보정값을 구간별 프리셋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광고주 단말
100: 사운드 편집 시스템
110: 광고영상 관리부
120: 편집구간 식별부
130: 음원 분할부
140: 음원 관리부
150: 프리셋 생성부
160: 편집영상 출력부

Claims (5)

  1.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 영상을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소스와 영상 소스로 분리하는 광고영상 관리부;
    상기 음성 소스를 주파수 분석함에 따라 일정시간 검출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 영상의 타임 라인을 제1 및 제2 편집구간으로 식별하는 편집구간 식별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 편집될 광고음원을 음원 마디를 기준으로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로 분할하는 음원 분할부;
    상기 광고음원의 음악적 속성을 음원 마디마다 비교 분석함에 따라, 복수의 사운드 조각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결정하는 음원 관리부;
    상기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상기 영상 소스에서 확인된 상품 객체에 대한 면적 크기에 비례하도록 증감시키고, 상기 제2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최저 임계 크기로 조절하기 위한 구간별 프리셋을 생성하는 프리셋 생성부; 및
    상기 구간별 프리셋을 이용하는 DAW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을 상기 음성 소스에 적용함에 따라 음원 편집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음원 편집 데이터와 상기 영상 소스를 합성 처리하여 광고 편집 영상을 출력하는 편집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영상 출력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을 스테레오 채널에 따라 분할시켜 타임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음성 소스에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편집영상 출력부는 상기 영상 소스로부터 검출되는 어느 하나의 객체의 중심점에 대한 프레임당 움직임 속도에 따라 단계별로 기설정된 VFX(visual effects) 소스를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광고 편집 영상에 적용하며,
    상기 VFX 소스는 화면전환효과, 컬러효과, 그래픽 효과를 포함하는 영상 편집 효과를 상기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광고 편집 영상에 자동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영상보정 프리셋 데이터인, 사운드 편집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리부는 상기 광고음원을 이용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타임 라인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타임 라인 조절부;
    상기 광고음원과 상기 광고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로부터 동일 키워드가 인식되는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사운드 조각을 하이라이트 조각으로 재설정하는 소스 재설정부; 및
    동일 키워드를 광고 콘텐츠 영상에 합성될 광고 문구로 생성하고 이를 광고주 단말에 제공함에 따라 응답받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 키워드를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 소스에 합성처리하는 광고 문구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라인 조절부는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이 적어도 둘 이상 선택된 경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사이에 트랜지션 구간을 생성하여 재생 순서에 따라 병합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으로부터 확인되는 각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 빈도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하이라이트 조각 중 어느 하나의 타임 라인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증감시키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 생성부는 상기 제1 편집구간에서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음량 세기를 조절할 때, 가청 주파수 이외의 대역을 제거하도록 주파수 임계수치를 상기 구간별 프리셋에 통합시켜 관리하는 필터링부;
    상기 광고 대상 상품의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타상품 광고 영상들 중 인기 광고 영상을 웹검색을 통해 획득하는 웹검색부; 및
    상기 인기 광고 영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타임 라인의 시점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이라이트 조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별 출력 db를 증가시키는 이력 보정값을 구간별 프리셋으로 변경하는 프리셋 변경부를 포함하는, 사운드 편집 시스템.
KR1020220008216A 2022-01-20 2022-01-20 사운드 편집 시스템 KR102417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16A KR102417373B1 (ko) 2022-01-20 2022-01-20 사운드 편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16A KR102417373B1 (ko) 2022-01-20 2022-01-20 사운드 편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373B1 true KR102417373B1 (ko) 2022-07-06

Family

ID=8240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16A KR102417373B1 (ko) 2022-01-20 2022-01-20 사운드 편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3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62A (ko) * 2006-03-31 2007-10-05 (주)엔브이엘소프트 배경 음악을 동영상에 합성시키는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
JP2011254342A (ja) * 2010-06-03 2011-12-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編集方法,映像編集装置および映像編集プログラム
KR101741747B1 (ko) * 2016-06-09 2017-05-31 (주)매직비젼 실시간 광고 삽입이 가능한 영상 광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80642A (ko)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바로 음원과 동기화되는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
KR20200045852A (ko) * 2018-10-23 2020-05-06 스마트이어 주식회사 음성 합성 또는 영상 편집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 광고 서비스 플랫폼 및 음성 합성 서비스와 영상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08369B1 (ko) *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인공지능 음원 분석을 통한 동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62A (ko) * 2006-03-31 2007-10-05 (주)엔브이엘소프트 배경 음악을 동영상에 합성시키는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
JP2011254342A (ja) * 2010-06-03 2011-12-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編集方法,映像編集装置および映像編集プログラム
KR101741747B1 (ko) * 2016-06-09 2017-05-31 (주)매직비젼 실시간 광고 삽입이 가능한 영상 광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80642A (ko)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바로 음원과 동기화되는 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
KR20200045852A (ko) * 2018-10-23 2020-05-06 스마트이어 주식회사 음성 합성 또는 영상 편집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 광고 서비스 플랫폼 및 음성 합성 서비스와 영상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308369B1 (ko) * 2020-12-18 2021-10-06 주식회사 스파크엑스 (SPARKX Co.,Ltd.) 인공지능 음원 분석을 통한 동영상 자동 편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80653B (zh) 音频内容制作、音频排序和音频混合的系统和方法
JP7265987B2 (ja) 強化型コンテンツ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12259B1 (ko) 시맨틱 오디오 트랙 믹서
US8173883B2 (en) Personalized music remixing
US9230552B2 (en) Advanced encoding of music files
JP2003177784A (ja) 音響変節点抽出装置及びその方法、音響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音響再生システム、音響配信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音響信号編集装置、音響変節点抽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音響再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音響信号編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音響変節点抽出方法プログラム、音響再生方法プログラム、音響信号編集方法プログラム
KR102417373B1 (ko) 사운드 편집 시스템
Lerch The relation between music technology and music industry
US10777176B2 (en) Toolboxes, systems, kits and methods relating to supplying precisely timed, synchronized music
JP2012018282A (ja) 演奏ファイル管理装置、演奏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演奏ファイル再生方法
Huelin Soundtracking the city break: Library music in travel television
KR101193152B1 (ko) 객체 기반 음원간 객체 정합 방법 및 장치
Boon Two production strategies for music synchronisation: As speculative entrepreneurship
Vachon et al. Specifics of Sound Editing
JP2024501519A (ja) オーディオアレンジメントの生成及びミキシング
Wyatt Preparing for the Mix: Music
Mason et al. Research White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