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02B1 -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02B1
KR102416602B1 KR1020170171570A KR20170171570A KR102416602B1 KR 102416602 B1 KR102416602 B1 KR 102416602B1 KR 1020170171570 A KR1020170171570 A KR 1020170171570A KR 20170171570 A KR20170171570 A KR 20170171570A KR 102416602 B1 KR102416602 B1 KR 10241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ase
composite spring
indicat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742A (ko
Inventor
김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는, 자동차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을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로서, 내측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의 단부가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면이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FRACTURE INDICATOR FOR COMPOSITE MATERIAL SPRING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 시점을 표시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특히 대형 트럭의 서스펜션은 복수 개의 판스프링을 겹쳐 구성한 리프스프링을 통해 차체와 휠 사이를 매개하게 된다. 이때, 리프스프링은 공차시 양단부가 휘어진 호형으로 형성되고, 최대 적재시 평행에 가깝게 펴지게 된다.
종래에는 리프스프링의 수명을 측정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의 각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측정센서를 차체와 판스프링에 각각 설치하여 각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각도측정센서는 그 부피가 크고, 한번 설치하면 재사용이 어려우며,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판스프링을 겹쳐 구성하였던 리프스프링을 강화섬유와 수지가 혼합된 복합재 스프링으로 대체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복합재 스프링은 금속성의 판스프링에 비해 가볍고 인장강도가 높으며 탄성이 우수하여 스프링 소재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복합재 스프링의 특성상 종래의 리프스프링에 사용되었던 수명 측정 장치들을 적용하기 어려워 수명을 용이하게 측정하지 못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부 적용되고 있는 수명 측정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재활용이 어려워 비용 및 공정 부담이 높았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조가 용이하고,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파손 인디케이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61904 (2013.06.1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재 스프링의 교체시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설치 및 재사용이 용이한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는, 자동차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을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로서, 내측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의 단부가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면이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피스톤의 위 방향의 내부공간을 대기압과 같은 기압으로 유지시키는 기압조절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매개하고,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피스톤의 아래 방향의 내부공간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매개하고,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피스톤의 아래 방향의 내부공간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설치보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는 상기 설치보조홀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이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팅홈일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합재 스프링과 면접합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중앙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부로 구분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복합재 스프링과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표시창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설치방법은, 자동차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을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내측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마련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시켜 상기 유동로를 폐쇄시키는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설치보조홀을 통해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피스톤의 상면과 체결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다음에, 상기 고정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피스톤에서 분리시키는 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용이하다.
둘째, 설치된 복합재 스프링이 파손된 이후 다른 복합재 스프링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 인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가 복합재 스프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가 복합재 스프링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단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가 복합재 스프링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a)는 정상 상태의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복합재 스프링이 파손된 상태일 때의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제1실시예는 안착부(110), 케이스(120), 피스톤(130) 및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110)는 복합재 스프링(10)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복합재 스프링(10)과 접합되는 브라켓부(111)와, 브라켓부(111)의 중앙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기둥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브라켓부(111)는 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복합재 스프링(10)에 밀착되고, 기둥부(112)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관형의 유동로(113)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부(111)가 복합재 스프링(10)에 밀착되면, 유동로(113)의 단부가 복합재 스프링(10)의 표면에 밀착하면서 유동로(113)가 폐쇄된다.
이때, 브라켓부(111)와 복합재 스프링(10)은 접착제(200)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재 스프링(10)은 소재적 특성상 타공을 형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볼팅 결합 등을 수행하기 어렵고, 기계적 체결 구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더 자세히는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브라켓부(111)와 복합재 스프링(10)은 복합재 스프링(10)의 파손이 시작될 때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상술한 유동로(113)가 개방되게 된다.
케이스(120)는 안착부(110)에서 연장되어 구성되고, 유동로(113)와 연통되는 내부공간(V)을 가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20)는 예를 들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12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측면에 투명한 표시창(121)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V)을 관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표시창(121)을 형성시킴으로써, 외부에서 후술할 피스톤(130)의 위치를 확인하여 복합재 스프링(10)의 파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한정되지 않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공간(V)을 관측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창(121)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을 것이다.
피스톤(130)은 케이스(120)의 내부공간(V)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피스톤(130)의 외측면은 케이스(12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내부공간(V)을 피스톤(130)의 위쪽 공간인 제1내부공간(V1)과, 피스톤(130)의 아래쪽 공간인 제2내부공간(V2)으로 분할한다. 제1내부공간(V1)과 제2내부공간(V2)은 피스톤(130)으로 완전히 분할되어 상호간에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피스톤(130)의 외주면에는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링(131)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의 상단 중앙부에는 커버(1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설치보조홀(123)이 형성되고, 피스톤(130)의 상면에는 설치보조홀(123)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고정수단은 볼트이고, 체결부(13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팅홈일 수 있다.
설치보조홀(123), 고정수단 및 체결부(13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를 복합재 스프링(10)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설치방법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스프링(140)은 피스톤(130)과 케이스(120)의 내측면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구성으로서, 스프링(140)의 양단과 케이스(120) 및 피스톤(130)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단턱이나 홈 등이 형성되어 스프링(140)의 단부가 지지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프링(140)의 피스톤(130)의 위쪽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그 일단부가 피스톤(130)의 상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케이스(120)의 상부 내측면에 결합되어 피스톤(1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케이스(120)에는 내부공간(V) 중 제1내부공간(V1)과 연통되는 기압조절홀(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압조절홀(122)은 케이스(120)의 상부, 더 구체적으로는 피스톤(130)의 가동 범위보다 위쪽에 형성된다.
기압조절홀(122)과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V1)은 항상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동하므로, 제1내부공간(V1)의 기압은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은 대기압과 다르게 형성되어 피스톤(13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서로 다르게 조절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높게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한 척력으로 피스톤(1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보다, 제1내부공간(V1)과 제2내부공간(V2) 사이의 기압차에 의해 피스톤(130)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더 크도록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을 조절하여, 스프링(140)이 압축되어 피스톤(13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2내부공간(V2)에 공기 대신 불투명한 액체를 채워넣어 피스톤(130)의 위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제2실시예는 안착부(110), 케이스(120), 피스톤(130) 및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피스톤(130)과 스프링(140) 및 케이스(120) 사이의 결합관계와 제2내부공간(V2)의 기압 상태가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구성된다.
도 1 내지 3을 참고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프링(140)의 일단이 피스톤(13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케이스(120)의 하부 내측면에 결합되어, 스프링(140)은 피스톤(130)을 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서, 제1내부공간(V1)의 기압과 제2내부공간(V2)의 기압 차이로 인한 압력으로 피스톤(1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게 조절된다.
이때 스프링(140)은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고,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한 척력으로 피스톤(130)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보다, 제1내부공간(V1)과 제2내부공간(V2) 사이의 기압차에 의해 피스톤(1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더 크도록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을 조절하여, 스프링(140)이 압축되어 피스톤(130)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방법은, 크게 준비단계, 부착단계를 포함하고, 이를 더 세부적으로 구분할 경우 준비단계와 부착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고정단계와, 부착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준비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를 준비한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 내용과 중복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고정단계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보조홀(123)을 통해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고, 이 고정수단의 단부를 피스톤(13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32)에 결합시킨 후, 고정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스프링(140)을 압축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를 사용한다면 고정수단을 상승시켜 스프링(140)을 압축시키고 피스톤(13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를 사용한다면 고정수단을 하강시켜 스프링(140)을 압축시키고 피스톤(130)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부착단계에서는, 안착부(110)와 복합재 스프링(10)을 접착제(20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안착부(110) 중에서 브라켓부(111)의 하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하고, 이를 복합재 스프링(10)의 평탄한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안착부(110)와 복합재 스프링(10)을 결합시킬 때, 유동로(113)가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두 구성을 완전히 밀착시키고, 미세한 틈새를 접착제(200)나 실리콘 등 별도의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거단계에서는, 앞서 고정단계에서 설치되었던 고정수단을 피스톤(130)으로부터 분리하여 설치보조홀(123)을 통해 제거하고, 설치보조홀(123)에 커버(124)를 설치하게 된다.
고정수단이 피스톤(130)으로부터 제거되면,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13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의 경우, 고정수단이 제거되면 스프링(140)에 의해 피스톤(130)이 소정 높이 하강하면서 제2내부공간(V2)의 체적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상승하면 대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유지되는 제1내부공간(V1)과의 기압차에 의해 피스톤(130)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힘이 스프링(140)의 탄성력과 같아지는 시점에서 피스톤(130)은 움직임을 멈추게 되는데, 피스톤(130)이 정지된 위치가 케이스(120)의 중앙보다 위쪽이 되도록 내부공간(V)의 부피나 스프링(140)의 탄성계수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를 설치할 때, 고정단계와 부착단계 사이에 제2내부공간(V2)에 불투명한 액체를 채워넣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피스톤(130)의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제거단계에서 고정수단을 제거한 다음 피스톤(130)이 하강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의 경우, 고정수단이 제거되면 스프링(140)에 의해 피스톤(130)이 상승하면서 제2내부공간(V2)의 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하강하게 된다.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하강하면 대기압과 동일한 기압으로 유지되는 제1내부공간(V1)과의 기압차에 의해 피스톤(130)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힘이 스프링(140)의 탄성력과 같아지는 시점에서 피스톤(130)은 움직임을 멈추게 되는데, 피스톤(130)이 정지된 위치가 케이스(120)의 중앙보다 아래쪽이 되도록 내부공간(V)의 부피나 스프링(140)의 탄성계수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를 설치한 이후, 복합재 스프링(10)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안착부(110)와 복합재 스프링(1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서 유동로(113)가 개방되고, 유동로(113)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면서 제2내부공간(V2)의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 내부의 피스톤(130)은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 인디케이터 내부의 피스톤(130)은 위로 상승하게 되며, 이렇게 피스톤(130)의 움직임을 통해 복합재 스프링(10)의 파손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 스프링(10)의 파손은 어퍼새들(11)과 로워새들(12)이 유볼트(13)로 체결되어 있는 중앙 부분에서 시작되어 양단 방향으로 성장하게 된다. 즉, 도면상의 A, B, C 지점으로 차례로 파손이 확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를 복합재 스프링(10)의 중앙에서 가까운 위치(A)에 설치하면 복합재 스프링(10)이 파손되기 시작하는 직후에 그 파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복합재 스프링(10)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한 직후에 바로 안전상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기 때문에, 적절한 시점에 복합재 스프링(10)의 파손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복합재 스프링(10)의 중앙에서 더 먼 위치(B, C)에 인디케이터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복합재 스프링 11: 어퍼새들
12: 로워새들 13: 유볼트
110: 안착부 120: 케이스
130: 피스톤 140: 스프링

Claims (10)

  1. 자동차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을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로서,
    내측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의 단부가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면이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피스톤의 위 방향의 내부공간을 대기압과 같은 기압으로 유지시키는 기압조절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매개하고,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피스톤의 아래 방향의 내부공간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하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매개하고,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피스톤의 아래 방향의 내부공간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설치보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는 상기 설치보조홀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이고,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팅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복합재 스프링과 면접합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중앙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부로 구분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복합재 스프링과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표시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9. 자동차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복합재 스프링의 파손을 감지하는 인디케이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내측에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이분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케이스 사이를 탄성적으로 매개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마련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복합재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시켜 상기 유동로를 폐쇄시키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설치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설치보조홀을 통해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피스톤의 상면과 체결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 및
    상기 부착시키는 단계 다음에, 상기 고정단계에서 체결된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피스톤에서 분리시키는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설치방법.
KR1020170171570A 2017-12-13 2017-12-13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KR10241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70A KR102416602B1 (ko) 2017-12-13 2017-12-13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570A KR102416602B1 (ko) 2017-12-13 2017-12-13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42A KR20190070742A (ko) 2019-06-21
KR102416602B1 true KR102416602B1 (ko) 2022-07-04

Family

ID=6705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570A KR102416602B1 (ko) 2017-12-13 2017-12-13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500A (ja) 2000-06-07 2001-12-21 Toyo Rasenkan Kogyo Kk 蛇腹型伸縮管継手の漏洩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745U (ja) * 1992-12-02 1994-06-28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製板ばねの損傷検出装置
KR20000021245U (ko) * 1999-05-24 2000-12-26 서평원 필터의 오염도 감지장치
JP2001140960A (ja) * 1999-11-19 2001-05-22 Tokyo Buhin Kogyo Co Ltd ブレーキライニング摩耗検出装置
KR20130061904A (ko) 2011-12-02 2013-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 축하중 모니터링용 센서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500A (ja) 2000-06-07 2001-12-21 Toyo Rasenkan Kogyo Kk 蛇腹型伸縮管継手の漏洩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42A (ko)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276B2 (en) Cylinder apparatus
US7444889B2 (en) Load cell
US20200070600A1 (en) Improved inflation valve for tyre
KR101632655B1 (ko)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EP0248821B1 (de) Reifendrucksensor für kraftfahrzeuge
CN101189448A (zh) 空气弹簧的塑料筒式活塞
CN104024683B (zh) 空气弹簧
KR102416602B1 (ko) 복합재 스프링 파손 인디케이터 및 그 설치방법
CN104364551B (zh) 用于空气弹簧滚动气囊的滚动活塞
EP3181942A1 (en) Air spring
CN209587031U (zh) 一种空气弹簧子口密封结构
CN111433486B (zh) 盖中具有加强芯的空气弹簧滑柱组件
GB2084692A (en) Rolling diaphragm gas springs combined with shock absorbers
CN208827516U (zh) 一种减震器支架
US20140077430A1 (en) Bumper stopper for a shock absorber
KR10250722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EP2960541A1 (en) Air spring
CN204726178U (zh) 减振器及悬架
EP2647871A1 (en) Air spring
EP3170686A1 (en) Piston housing for air spring
AU2017206408B2 (en) Pneumatic spring for axles of vehicles with air suspension
CN201218772Y (zh) 电动振动台滚动密封结构
CA1333252C (en) Pressure indicating valve stem
CN207943015U (zh) 一种方向盘和驾驶员安全气囊总成装置
CN219035422U (zh) 一种汽车用活塞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