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177B1 -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177B1
KR102416177B1 KR1020210008650A KR20210008650A KR102416177B1 KR 102416177 B1 KR102416177 B1 KR 102416177B1 KR 1020210008650 A KR1020210008650 A KR 1020210008650A KR 20210008650 A KR20210008650 A KR 20210008650A KR 102416177 B1 KR102416177 B1 KR 102416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curtain
air condi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0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숙박시설의 객실에 대하여 미세먼지, 온도 등을 조절하여 쾌적한 객실환경을 형성하는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상태센서가 감지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설정하는 숙박시설의 관리서버와, 객실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공기상태센서와, 객실의 공기상태를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와, 상기 관리서버의 설정신호를 전달받아 공기상태조절기기를 제어하는 객실제어기를 포함하고, 객실 내에서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한 공기분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FOR AIR CONDITION OF GUEST ROOM OF ACCOMMODATIONS}
본 발명은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텔 등 숙박시설의 객실 내에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유해가스농도 등 공기질과,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관리서버에 보고할 수 있고, 관리자는 공기질, 온도, 습도 등에 관한 조건을 설정하여, 객실 내의 공기에 대한 자동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텔 등 숙박시설의 객실 이용 시, 객실의 상태에 따라 해당 숙박시설에 대한 이미지가 결정될 수 있다.
근래 미세먼지, 유해가스 농도 등 실내 공기상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숙박시설의 객실에서 공기상태를 개선하여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전에 조절되어 있는 공기 온습도에 의해 이용자가 자택과 같은 안락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숙박시설의 객실과 관련하여 공조장치, 공기정화장치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6695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시스템은 공기정화서버(3), 운영자단말(4), 공기정화장치(5), 및 통신망(6)을 포함한다.
공기정화장치(5)에는 공조점검장치가 설치되어 각 객실의 공조장치(1)에 대한 오염여부를 확인하고, 공기정화서버(3)로 통신망(2)을 통해 오염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공기정화서버(3)가 오염정보에 따른 오염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운영자단말(4)에 의해 공조장치(1)의 클린 절차를 수행하도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페트세척장치, 오존분사장치 등을 더 설치하여 공기정화서버(3) 또는 운영자단말(4)에 의한 원격제어에 따라 객실의 클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시스템은 예약자의 객실 방문 전에 객실의 공기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제어작동이 가능하나, 각종 비품에 부착된 먼지와 객실 사용 중에 부유할 수 있는 먼지 등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이로 인해 실제 객실의 사용 시에 공기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숙박시설의 객실에 대하여 예약자의 사용 전에 미세먼지, 온도 등을 조절하여 쾌적한 객실환경을 형성함과 함께, 각종 비품에 부착된 먼지도 함께 제거되도록 하여, 실제 객실의 사용 시에 객실의 공기질이 양호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감지하는 공기상태센서와,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와, 예약결재서버를 통해 예약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객실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공기상태센서가 감지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설정하는 숙박시설의 관리서버와, 객실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상태센서로부터 감지값을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서버의 설정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를 제어하는 객실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는 객실 내에서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해 고속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공기상태센서가,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와, 유해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는, 공기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와, 공기의 온도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공기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와, 공기를 가습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가 객실 내에 설치된 커튼을 진동시키는 커튼진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상기 커튼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커튼진동기가, 상기 커튼 상단의 커튼봉과 결합된 진동블록과, 상기 진동블록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진동블록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진동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전동기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블록을 상하운동시키는 진동캠과, 상기 커튼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캠의 회전 시, 상기 커튼봉이 상하로 반복운동하고 상기 무게추가 함께 상하로 운동하면서 상기 커튼을 긴장 또는 이완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가, 공기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상기 커튼 상단의 커튼봉에 고속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와, 상기 커튼봉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튼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상기 고속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분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객실제어기는, 상기 공기분사기가 고속공기를 분사 시, 상기 공기청정기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가 포함되어, 숙박시설의 객실에 대하여 예약자의 입실 전에 미세먼지, 온도 등을 조절하여 쾌적한 객실환경을 형성할 수 있고, 객실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분사기가 고속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각종 비품에 부착된 먼지도 함께 제거하도록 하여, 실제 객실의 사용 시에도 객실의 공기질이 양호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공기분사기가 커튼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도록 설치하고, 객실 내에 설치된 커튼을 진동시키는 커튼진동기를 구비함으로써, 커튼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이탈 및 부유시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실제 객실의 사용 시에도 미세먼지 증가없이 객실의 공기질이 양호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숙박시설의 객실과 관련하여 공조장치, 공기정화장치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블록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서 커튼의 먼지를 이탈 및 제거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서 커튼을 진동시키는 커튼진동기의 세부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에서 커튼봉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은,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감지하는 공기상태센서(20)와,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30)와, 예약결재서버(51)를 통해 예약자의 스마트폰(52)으로부터 객실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공기상태센서(20)가 감지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설정하는 숙박시설의 관리서버(10)와, 객실에 설치되고 공기상태센서(20)로부터 감지값을 수집하여 관리서버(10)로 전달하며 관리서버(10)의 설정신호를 전달받아 공기상태조절기기(30)를 제어하는 객실제어기(40)를 포함한다.
예약자의 스마트폰(52)은 객실의 예약 결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예약결재서버(51)에 통신으로 접속하여 객실의 예약 및 결재를 수행한다.
예약 및 결재 후, 상기 예약결재서버(51)로부터 객실의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객실의 도어락에 스마트폰(52)을 태깅 시, 객실도어(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객실도어(60)는 NFC모듈(61)에 의해 스마트폰(52)의 인증코드를 전송받아 객실제어기(40)로 전송함으로써 예약자의 인증코드와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시 도어잠금장치(62)를 작동시켜 객실도어(60)를 잠금해제시킨다.
예약자가 객실의 예약시, 예약결재서버(51)는 인증코드를 숙박시설의 관리서버(1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0)는 인증코드를 객실제어기(40)로 전송하거나, 예약자의 스마트폰(52)이 객실도어(60)에 태깅 시, 객실제어기(40)가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10)는 해당 숙박시설의 전체 운영을 관리하는 부분으로서, 관리데스크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예약결재서버(51)와 통신하면서 예약된 객실의 인증코드를 전달받아 해당 객실의 객실제어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10)는 예약된 객실의 예약일에 해당 객실의 객실제어기(40)로 명령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객실도어(60)의 NFC모듈(61) 및 도어잠금장치(62)가 작동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며, 객실제어기(40)는 예약일에 인증코드를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 후, 스마트폰(52)의 태깅 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0)는, 예약결재서버(51)를 통해 예약자의 스마트폰(52)으로부터 객실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공기상태센서(20)가 감지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예약자는 예약결재서버(51)를 통해 객실을 예약하고, 예약한 객실에 입실하는 시점에서 사전에 해당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객실에 입실하는 시점에서 쾌적한 객실상태로 입실할 수 있다.
예약자가 스마트폰(5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실할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설정, 예컨대 먼지(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농도수준, 공기온도, 습도, 오존과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농도 등에 관하여 설정하면, 인터넷으로 설정정보를 전달받은 예약결재서버(51)는 숙박시설의 관리서버(10)로 해당 설정정보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10)는 예약된 해당객실의 입실예상시점, 예컨대 예약시간 1시간 전에 예약된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객실제어기(40)를 통해 수신한다.
객실제어기(40)는 각종 공기상태센서(2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0)로 전달한다.
관리서버(10)는 예약자가 사전에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을 수행한 경우는, 예약자의 설정정보와, 수집된 객실의 공기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객실제어기(40)에 해당 객실의 공기상태를 조절하도록 명령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약자의 설정정보가 없더라도, 관리자는 관리서버(10)를 통해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을 사전에 수행함으로써, 예약시간 전에 해당 객실의 공기상태, 즉 먼지농도, 온도, 습도, 유해가스농도 등의 조건을 설정하는 명령신호를 객실제어기(40)로 전달할 수 있다.
각 객실에는 현재 공기 중에서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공기상태센서(20)가 설치되어 있고 감지값을 객실제어기(40)로 전달한다.
공기상태센서(20)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21)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3) 뿐 아니라, 유해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22)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객실에는 객실제어기(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30)는 공기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31)와, 공기의 온도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공기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32)와, 공기를 가습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3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청정기(31)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필터 뿐 아니라,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오존,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를 포집하여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30)는 객실 내에서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해 고속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35)를 포함한다.
공기분사기(35)는 객실의 각종 기기 및 비품에 부착된 먼지를 부유시켜 공기청정기(31)가 제거하기 쉽도록 한 것으로서, 커튼, 소파, TV 등을 향해 고속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객실의 기기 및 비품을 향하는 노즐이 설치되되 노즐이 선회하면서 다양한 방향을 향해 고속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객실의 여러부분에 부착된 먼지를 불어내어 부유시킬 수 있다.
공기분사기(35)에 의해 고속공기가 분사되는 시점에서, 객실제어기(40)는 공기청정기(31)를 최고강도로 작동시켜 부유한 먼지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객실제어기(40)는 객실의 전반적인 기기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각종 공기상태센서(20)로부터 감지값을 수집하여 관리서버(10)로 전달하며 관리서버(10)의 설정신호를 전달받아 공기상태조절기기(30)를 제어하도록 관리서버(10)와 통신하고 있다.
또한, 객실제어기(40)는 객실도어(60)와 통신함으로써 NFC모듈(61)이 스마트폰(52)의 태깅에 의해 전달받은 인증코드를 전달받아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하거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인증코드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인증코드의 일치 시, 객실도어(60)의 도어잠금장치(62)를 잠금해제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객실의 공기상태를 설정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약자가 객실을 예약한 시간이 임박한 시점, 예컨대 예약시간 1시간 전에 객실제어기(40)는 공기상태센서(20)로부터 수집된 먼지농도, 온도, 습도 등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10)로 전달한다.(S10단계)
관리서버(10)에서는 숙박시설 관리자가 해당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해당 객실의 공기상태에 대한 조건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예약자가 스마트폰(5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객실의 공기상태에 대한 조건 설정을 한 경우에는, 예약결재서버(51)를 통해 숙박시설의 관리서버(10)로 설정정보가 전달된다.(S20단계)
이에 관리서버(10)는 예약자의 설정정보를 객실제어기(40)로 전달하여, 객실제어기(40)가 설정조건에 따라 공기상태조절기기(30)를 제어하도록 한다.(S30단계)
객실제어기(40)가 공기상태조절기기(30)를 작동시킨 후, 설정시간이 경화하면, 객실의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공기상태센서(20)로부터 수집하여 관리서버(10)로 전달하고(S40단계), 관리서버(10)는 설정된 조건에 맞게 설정된 것인지를 비교하고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는 객실의 조절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예약결재서버(51)를 통해 예약자 스마트폰(52)으로 전달할 수 있다.(S50단계)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객실내에 설치된 커튼(72)에 가장 먼지가 많이 부착되고 객실사용 중 커튼(72)으로 인한 부유성 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30)에 커튼진동기(34)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커튼진동기(34)는 객실 내에 설치된 커튼(72)을 진동시켜 커튼(72)으로부터 먼지를 털어내기 위한 것이고, 이때, 공기분사기(35)는 커튼(72)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도록 하여, 커튼(72)에서 이탈된 먼지를 부유시켜 공기청정기(31)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커튼진동기(34)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커튼진동기(34)는 커튼(72) 상단의 커튼봉(35b)과 결합된 진동블록(34a)과, 상기 진동블록(34a)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진동블록(34a)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b)과, 상기 진동블록(34a)을 기준으로 스프링(34b)이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전동기에 의한 회전에 의해 진동블록(34a)을 상하운동시키는 진동캠(34c)과, 상기 커튼(72)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무게추(34f)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블록(34a)은 커튼봉(35b)의 단부가 고정된 블록으로서, 진동공간(34e) 내에서 가이드되어 상하로 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진동캠(34c)은 진동블록(34a)의 하측에 설치되고 전동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진동블록(34a)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높이를 변화시키는 부분이다.
진동캠(34c)은 통상의 캠(Cam)과 같이, 회전축(34d)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반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반경이 최대치가 되는 부분에서 갑자기 반경이 감소하는 달팽이모양의 부재이다.
이에 따라, 진동캠(34c)이 회전하면, 진동블록(34a)이 진동캠(34c)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오르내릴 수 있고, 진동캠(34c)의 반경이 최대치가 되는 부분이 통과하면 갑자기 하강하는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4b)은 진동블록(34a)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진동블록(34a)을 탄성력으로 밀어주는 부분으로써, 진동블록(34a)을 진동캠(34c) 측으로 밀어내어 진동캠(34c)의 회전에 따라 진동블록(34a)의 상하운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진동캠(34c)과 스프링(34b)의 위치는 서로 교체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무게추(34f)은 커튼(72)의 하단부에 복수개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커튼(72)의 주름형성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커튼(72)의 주름 사이에서 짧은 길이의 무게추(34f)가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무게추(34f)는 진동블록(34a)의 상하운동에 따른 커튼봉(35b)의 상하운동 시 커튼(72)과 함께 상승 후 하강하는 운동을 하게 되고, 커튼(72)의 유연성으로 인해 커튼봉(35b)과 무게추(34f)가 반드시 동일한 동작으로 운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커튼봉(35b)이 상하운동을 반복하면 무게추(34f)는 커튼(72)을 당겨 긴장시키거나 이완시키는 작용이 반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튼진동기(34)와의 협동을 위해, 공기분사기(35)가 커튼봉(35b)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공기분사기(35)는, 커튼(72) 상단의 커튼봉(35b)에 고속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35a)와, 커튼봉(35b)의 하부에 형성되고 커튼(72)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고속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분사공(35d,35e)을 포함한다.
공기공급기(35a)가 커튼봉(35b)의 내부(35c)로 공기를 공급하면, 커튼봉(35b)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분사공(35d,35e)이 고속공기를 커튼(72)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분사하여, 커튼(72)에서 이탈된 먼지를 공중으로 부유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동기가 진동캠(34c)을 회전시키면, 커튼봉(35b)이 상하로 반복운동하고 무게추(34f)가 상하로 운동하면서 커튼(72)을 당겨 긴장시키거나 밀어 올려 이완시키는 운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커튼(72)에 부착된 먼지가 순간적으로 이탈할 수 있다.
이때, 커튼봉(35b)에서 분사하는 고속공기가 이탈된 먼지를 공중으로 부유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기(31)가 최고강도로 함께 작동되어 공중에 부유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관리서버 20; 공기상태센서
21; 먼지센서 22; 가스센서
23; 온도센서 24; 습도센서
30; 공기상태조절기기 31; 공기청정기
32; 냉난방기 33; 가습기
34; 커튼진동기 34a; 진동블록
34b; 스프링 34c; 진동캠
34d; 회전축 34e; 진동공간
34f; 무게추 35; 공기분사기
35a; 공기공급기 35b; 커튼봉
35c; 커튼봉의 내부 35d,35e; 공기분사공
40; 객실제어기 51; 예약결재서버
52; 스마트폰 60; 객실도어
61; NFC모듈 62; 도어잠금장치
72; 커튼

Claims (5)

  1.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감지하는 공기상태센서와,
    객실에 설치되어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조절하는 공기상태조절기기와,
    예약결재서버를 통해 예약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객실공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공기상태센서가 감지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며, 객실의 먼지농도와 온도조건을 설정하는 숙박시설의 관리서버와,
    객실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상태센서로부터 감지값을 수집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서버의 설정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를 제어하는 객실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는,
    객실 내에서 먼지를 부유시키기 위해 고속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와,
    객실 내에 설치된 커튼을 진동시키는 커튼진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상기 커튼을 향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상태센서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와, 유해가스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는,
    공기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와, 공기의 온도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공기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기와, 공기를 가습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객실의 조절된 공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예약결재서버를 통해 예약자 스마트폰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진동기는,
    상기 커튼 상단의 커튼봉과 결합된 진동블록과,
    상기 진동블록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진동블록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진동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전동기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블록을 상하운동시키는 진동캠과,
    상기 커튼의 하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상기 진동캠의 회전 시, 상기 커튼봉이 상하로 반복운동하고 상기 무게추가 상하로 운동하면서 상기 커튼을 긴장 또는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상태조절기기는, 공기필터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상기 커튼 상단의 커튼봉에 고속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와,
    상기 커튼봉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튼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상기 고속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분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객실제어기는,
    상기 공기분사기가 고속공기를 분사 시, 상기 공기청정기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KR1020210008650A 2021-01-21 2021-01-21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KR102416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50A KR102416177B1 (ko) 2021-01-21 2021-01-21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50A KR102416177B1 (ko) 2021-01-21 2021-01-21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177B1 true KR102416177B1 (ko) 2022-07-05

Family

ID=8240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650A KR102416177B1 (ko) 2021-01-21 2021-01-21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1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00Y2 (ja) * 1986-10-02 1994-08-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全面層流クリ−ンル−ム
KR20160065052A (ko) * 2014-11-28 2016-06-08 케이웨더(주)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KR2020004903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00Y2 (ja) * 1986-10-02 1994-08-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全面層流クリ−ンル−ム
KR20160065052A (ko) * 2014-11-28 2016-06-08 케이웨더(주)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KR20200049037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9936B (zh) 一种可控制智能家居设备的智能地板
CN103528137B (zh) 一种移动式检测的室内空气净化机及其控制系统
CN111035328A (zh) 机器人清洁方法及机器人
KR101325669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복합 청소기
KR20190135462A (ko) 윈도우 세척 로봇
JP2019002677A (ja) 自律走行式の床処理装置
KR102416177B1 (ko) 숙박시설의 객실 공기상태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CN108113595A (zh) 一种节能清扫机器人系统、方法及机器人
CN105928061A (zh) 一种室内空气调节装置与方法
KR101975918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TW201915406A (zh) 室內空氣品質調整系統
CN106152403B (zh) 兼具室内空气监测的新风机控制仪
CN108931027A (zh) 一种可视化远程监控控制维护空调系统
WO2022227533A1 (zh) 清扫控制方法、装置和空调机
KR20210152073A (ko) IoT기반의 스마트 통합 객실관리시스템
KR20090102048A (ko)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52401A1 (zh) 洗衣机与晾衣机的联动模块和联动系统及联动方法
CN111964227B (zh) 一种空气循环控制方法、系统和装置
WO2022227569A1 (zh) 空调控制方法、装置、控制箱、空调器及存储介质
CN112556010A (zh) 空调控制方法、装置、空调、介质及产品
CN103574841B (zh) 空调用遥控器、室内机以及空气调节系统
CN111913393A (zh) 一种智能家居系统
RU26882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апель воды для увлажнения воздуха и система увлажнения с так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2412945B1 (ko) 스마트 리빙 케어 로봇
CN112944543A (zh) 室内空气净化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