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45B1 -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45B1
KR102416045B1 KR1020210127006A KR20210127006A KR102416045B1 KR 102416045 B1 KR102416045 B1 KR 102416045B1 KR 1020210127006 A KR1020210127006 A KR 1020210127006A KR 20210127006 A KR20210127006 A KR 20210127006A KR 102416045 B1 KR102416045 B1 KR 10241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elastic
elastic band
main body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1012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hockey
    • A63B69/002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hockey for ice-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24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이스하키의 퍽이 충돌된 후 반발력으로 튕겨 나오도록 하는 패스 훈련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복수개의 기둥에 양단이 연결되며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 각각은, 외주면에 탄성밴드가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고 밀착력을 갖는 고무탄성부가 더 형성되고, 각 기둥에 형성된 고무탄성부를 회전시켜 탄성밴드를 감아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조절부는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면에 고무탄성부가 형성된 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Ice Hockey Pass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스하키 경기 중 퍽을 상대방에게 패스하는 훈련을 혼자할 수 있도록 한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키(hockey)는 단부가 절곡된 스틱(stick)으로 원형의 공을 드리블하거나 슛을 하여 상대 골대에 넣는 게임으로 스케이트를 신고 빙상에서 고무원판의 퍽을 사용하는 아이스하키와 이와 대비되는 잔디에서 원형의 공을 사용하는 필드하키(field hockey) 또는 그라운드하키(ground hockey)가 있다.
이러한 하키의 스틱은 통상 바형태로 하단이 대략 90°로 절곡되어 공을 드리블하거나 슛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키는 스틱으로 구형상의 볼을 드리블하거나 슛자세를 익혀 정확한 방향으로 슛는 등 숙련을 위해 많은 연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혼자 연습하는 동안에는 파트너가 없으므로 패스 연습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9-009545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이스하키 경기 중 퍽을 상대방에게 패스하는 훈련을 혼자할 수 있도록 한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하키의 퍽이 충돌된 후 반발력으로 튕겨 나오도록 하는 패스 훈련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복수개의 기둥에 양단이 연결되며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 각각은, 외주면에 탄성밴드가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고 밀착력을 갖는 고무탄성부가 더 형성되고, 각 기둥에 형성된 고무탄성부를 회전시켜 탄성밴드를 감아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조절부는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면에 고무탄성부가 형성된 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고무재질이며 30~40cm 너비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외면의 두께가 두껍게 하여 볼록부가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퍽이 볼록부에 충돌되면 반사 방향 및 속도가 불규칙하도록 변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력조절부는 핸들에 연동되어 관체를 회전시킨 후 고정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기둥의 상단에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치차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외부에 결합되며 치차와 걸림작용되는 래칫이 내주면에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스토퍼부재의 샤프트의 하단에 스파이크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110)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지지되는 볼이 구비되고, 관체의 내주면에는 볼이 삽입되는 볼홈이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것으로, 핸들을 누르면 기둥이 하강하고, 볼이 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의 스파이크가 빙판에 박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밴드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탄성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탄성밴드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판에 형성되며, 광섬유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는, 광섬유의 일단을 하나로 묶어서 결합하는 조임부,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고 상기 광섬유와 함께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접촉시킨 채로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광섬유 소켓슬롯, 및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이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의 헤드가 향하는 방향을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을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시키되, 상기 광섬유의 탄성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타단이 흔들리면 상기 광섬유의 타단의 움직임을 이용해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을 회전시키는 회전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은, 상기 본체의 상판의 전방을 향하는 헤드와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방이 없더라도 혼자서도 아이스하키 퍽을 주고 받는 패스 훈련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의 기둥과 탄성밴드를 나타낸 확대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의 탄성력 조절부 및 스토퍼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서 '광원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의 기둥과 탄성밴드를 나타낸 확대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의 탄성력 조절부 및 스토퍼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에서 '광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는, 아이스하키의 퍽(P)이 충돌된 후 반발력으로 튕겨 나오도록 하여 상대방이 없어도 혼자 패스 연습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10)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110)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12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 상기 복수개의 기둥(110)에 양단이 연결되며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16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기둥(110) 각각은, 외주면에 탄성밴드(160)가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고 밀착력을 갖는 고무탄성부(150)가 장착된다.
고무탄성부(150)는 기둥(110)을 감싸도록 부착되며, 10~30mm의 두께를 갖는 고무 재질이며, 퍽(P)이 맞았을때 튕겨나갈 수 있도록 고탄성의 고무소재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각 기둥(110)에 형성된 고무탄성부(150)를 회전시켜 탄성밴드(160)를 감아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력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력조절부(200)는 기둥(110)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210)과, 상기 기둥(1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면에 고무탄성부(150)가 형성된 관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밴드(160)는 고무재질이며 30~40cm 너비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퍽(P)이 강한 압력으로 탄성밴드(160)에 충돌된 후 반발력에 의해 다시 튕겨나가도록 함으로써 타격자가 다시 이를 받게 되어 패스 연습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탄성밴드(160)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여 타격자의 힘에 적합한 두께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성인이 사용할 경우에는 두꺼운 탄성밴드(160)를 사용하고, 학생이 사용할 경우에는 얇은 탄성밴드(16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탄성밴드(160)는 두께가 균일한 판상일 수 있으나 다른 형태로는 부분적으로 외면의 두께가 두껍게 하여 볼록부(미도시)가 다수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퍽(P)이 볼록부에 충돌되면 반사 방향 및 속도가 불규칙하도록 변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연습자가 불규칙 바운딩된 퍽(P)을 받기 위해 활동 범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운동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탄성밴드(160)에는 퍽(P)의 충격 강도를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퍽(P)의 충격력을 감지하여 후술될 광원부(L)와 연동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력조절부(200)는 핸들(210)에 연동되어 관체(220)를 회전시킨 후 고정하는 스토퍼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부재(400)는, 기둥(110)의 상단에 연결된 샤프트(420)와, 상기 샤프트(4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치차가 형성된 기어(430)와, 상기 기어(430)의 외부에 결합되며 치차와 걸림작용되는 래칫(440)이 내주면에 형성된 하우징(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들(210)을 손으로 돌리면, 샤프트(420)가 회전되므로 기어(430)가 동반하여 회전되고, 그에 연결된 관체(220)가 회전되어 탄성밴드(160)를 감아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래칫(440)이 기어(430)의 치차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발휘함으로써 탄성밴드(160)를 강한힘으로 타격하더라도 풀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본체(100)는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180)가 형성된다.
또한 빙판에서 위치를 고정시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둥(110)의 하단부에 돌출된 뾰족한 형태의 스파이크(118)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둥(110)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지지되는 볼(115)이 구비되고, 관체의 내주면에는 볼(115)이 삽입되는 볼홈(221)이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10)을 상부로 당기면 기둥(110)이 상승하고, 볼(115)이 볼홈(221) 중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의 스파이크(118)가 빙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10)을 누르면 기둥(110)이 하강하고, 볼(115)이 볼홈(221) 중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의 스파이크(118)가 빙판에 박히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스파이크(118)의 상승, 하강 범위는 약 2~5mm 가 적당하며, 이 범위의 상하 이동을 감안하여 기어(430) 및 래칫(440)의 두께를 5~8mm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어(430)가 하강하더라도 래칫(4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부재(400)의 고정기능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성밴드(160)를 감거나 풀어주는 작동 중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밴드(16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탄성부(150)에는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탄성밴드(160)가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관체(220) 및 고무탄성부(150)가 정,역회전됨에 따라 탄성밴드(160)의 감김 또는 풀림 작동이 정교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상판(120)에 형성되며, 광섬유(23)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L)는 탄성밴드(160)에 연결된 충격감지센서(미도시)에 연결되며, 탄성밴드(160)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비례하여 빛의 밝기 또는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충격력을 1~10의 강도로 세분하여 감지토록 사전에 설정되고, 탄성밴드(160)에 강한 충격(충격력 8~10인 경우)을 받을 경우 밝게 빛이 발생되거나 또는 적색 광이 발생되도록 하고, 약한 충격(충격력 1~4인 경우)을 받을 경우 흐린 빛이 발생되거나 또는 황색 광이 발생되도록 하며, 중간 강도의 충격(충격력 4~7인 경우)을 받을 경우 빠른 점멸 작동으로 빛이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원부(L)는 광섬유(23), 조임부(24) 및 광섬유 소켓슬롯(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임부(24)는 광섬유(23)의 일단을 하나로 묶어서 결합할 수 있다. 조임부(24)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소켓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섬유 소켓슬롯(25)은 광섬유(23)가 삽입되어 광섬유(23)를 본체의 상판(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광섬유 소켓슬롯(25)은 본체(100)의 상판(10)에 광섬유(23)의 타단을 접촉시킨 채로 광섬유(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광섬유(23)의 타단은 실타래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100)의 상판(1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광섬유 소켓슬롯(25)에 삽입된 채로 본체(100)의 상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광섬유 소켓슬롯(25)은 발광형 표지판의 전방을 향하는 헤드와 광섬유(23)가 삽입되는 몸통부로 나뉠 수 있다.
반사부(30)는, 내부 반사부(34), 표면 반사부(35) 및 광원 증폭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반사부(34)는 본체의 상판(10)와 접합되어 광원부의 빛을 본체(100)의 상판(10)의 전면 방향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표면 반사부(35)는 내부 반사부(34)와 본체의 상판(10)의 전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표면 반사부(35)는 본체의 상판(10)의 전면으로 입사하는 들어오는 빛을 내부 반사부(34)까지 통과시키고, 일부 빛을 본체의 상판(10)의 전면으로 반사할 수 있다.
광원 증폭부(321)는 내부 반사부(34)와 표면 반사부(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경계부의 일 측에 대응되는 1 광원 증폭부(321)와 경계부의 타 측에 대응되는 제2 광원 증폭부(321-2)로 나뉠 수 있다.
즉, 제1 광원 증폭부(321-1)와 제2 광원 증폭부(321-2)는 경계부의 양 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증폭부(321)는 표면 반사부(35)와 내부 반사부(34) 사이의 내측으로 모래시계와 유사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증폭부(321)는 내부 반사부(34)를 통해 발산되는 상기 광원부(L)의 빛을 굴절시키고, 상기 표면 반사부(35)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본체 110 : 기둥
115 : 볼 118 : 스파이크
120 : 상판 150 : 고무탄성부
160 : 상판 180 : 손잡이
200 : 탄성력조절부 210 : 핸들
220 : 관체 221 : 볼홈
400 : 스토퍼부재 420 : 샤프트
430 : 기어 440 : 래칫
450 : 하우징 P : 퍽

Claims (3)

  1. 아이스하키의 퍽이 충돌된 후 반발력으로 튕겨 나오도록 하는 패스 훈련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과, 상기 복수개의 기둥의 상부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복수개의 기둥에 양단이 연결되며 수직하게 형성되어 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둥 각각은,
    외주면에 탄성밴드가 밀착되며 고정될 수 있고 밀착력을 갖는 고무탄성부가 더 형성되고,
    각 기둥에 형성된 고무탄성부를 회전시켜 탄성밴드를 감아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력조절부는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기둥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외면에 고무탄성부가 형성된 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 형성되며, 광섬유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탄성밴드에 연결된 충격감지센서에 연결되며, 탄성밴드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비례하여 빛의 밝기 또는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광원부는,
    광섬유의 일단을 하나로 묶어서 결합하는 조임부,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고 상기 광섬유와 함께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판에 상기 광섬유의 타단을 접촉시킨 채로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는 광섬유 소켓슬롯, 및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이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의 헤드가 향하는 방향을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을 상기 본체의 상판에 결합시키되,
    상기 광섬유의 탄성에 의해 상기 광섬유의 타단이 흔들리면 상기 광섬유의 타단의 움직임을 이용해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을 회전시키는 회전 힌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 소켓슬롯은, 상기 본체의 상판의 전방을 향하는 헤드와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조절부는 핸들에 연동되어 관체를 회전시킨 후 고정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기둥의 상단에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치차가 형성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외부에 결합되며 치차와 걸림작용되는 래칫이 내주면에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부 또는 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스토퍼부재의 샤프트의 하단에 스파이크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지지되는 볼이 구비되고, 관체의 내주면에는 볼이 삽입되는 볼홈이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것으로,
    핸들을 누르면 기둥이 하강하고, 볼이 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의 스파이크가 빙판에 박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3. 삭제
KR1020210127006A 2021-09-27 2021-09-27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KR10241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06A KR102416045B1 (ko) 2021-09-27 2021-09-27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06A KR102416045B1 (ko) 2021-09-27 2021-09-27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045B1 true KR102416045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006A KR102416045B1 (ko) 2021-09-27 2021-09-27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0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2045A (en) * 1992-09-16 1994-11-08 7Th Man Enterprises Inc. Practice device for the game of hockey
KR20190095454A (ko) 2016-12-22 2019-08-14 에이큐닷 리미티드 쿠커비투릴(cucurbituril)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WO2019180399A1 (en) * 2018-03-17 2019-09-26 Parklife Innovations Ltd Sports ball rebound and boundar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2045A (en) * 1992-09-16 1994-11-08 7Th Man Enterprises Inc. Practice device for the game of hockey
KR20190095454A (ko) 2016-12-22 2019-08-14 에이큐닷 리미티드 쿠커비투릴(cucurbituril)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
WO2019180399A1 (en) * 2018-03-17 2019-09-26 Parklife Innovations Ltd Sports ball rebound and boundar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061B1 (ko) 골프 타격방향 제시용 레이저 포인터 고정장치
US8641560B2 (en) Bunting practice bat
CA2388146A1 (en) Ball launching apparatus
US5123643A (en) Ball throwing apparatus
US6769999B1 (en) Reuseable directional golf tee apparatus and method
US9566496B1 (en) Racquet grip teaching device
US20080153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l kicking practice
KR102416045B1 (ko) 아이스하키 패스 훈련장치
US20140094329A1 (en) Hockey Training Aid
US6758768B2 (en) Sharp shooter basketball apparatus
US8282500B1 (en)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US8109837B1 (en) Laser putting device
US20030162602A1 (en) Putting aid for aiding a golfer in properly aligning the golfer's line of sight, putting stroke and club head angle
KR20150106886A (ko)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101762793B1 (ko) 골프 스윙 분석기
US11712609B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ll hitting
US20110237343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11879724B2 (en) Sports field marking assembly and method of marking a surface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US5692975A (en) Soccer training aid
US5470071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040235594A1 (en) Hockey training puck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942630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160011085A (ko) 발광식 골프스윙 연습기
US20040185955A1 (en) [Golf grip mounted optical aiming device that improves the clubface or putter face alignment to the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