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92B1 - Smart recycling collector - Google Patents

Smart recycling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92B1
KR102414992B1 KR1020210013114A KR20210013114A KR102414992B1 KR 102414992 B1 KR102414992 B1 KR 102414992B1 KR 1020210013114 A KR1020210013114 A KR 1020210013114A KR 20210013114 A KR20210013114 A KR 20210013114A KR 102414992 B1 KR102414992 B1 KR 102414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frame
weigh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인
권민주
강근혜
조나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9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식부, 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체의 유무에 따라 개폐되는 거치부, 거치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물체가 안착되는 보관부, 거치부에 형성되는 무게측정부,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인식부, 거치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거치부에 물체가 유입되는 경우, 무게측정부와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ecycling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frame part having a hollow part therein, a recogni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a holding part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which opens and clos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coming object ,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storage unit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a weight measuring unit formed in the cradle, a sensor unit and recognition un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a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moun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nd, when an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easure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Description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SMART RECYCLING COLLECTOR}SMART RECYCLING COLLECTOR

본 발명은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식부, 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체의 유무에 따라 개폐되는 거치부, 거치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물체가 안착되는 보관부, 거치부에 형성되는 무게측정부,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인식부, 거치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거치부에 물체가 유입되는 경우, 무게측정부와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ecycling collector, and more particularly, a frame part having a hollow part therein, a recogni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a holding part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which opens and clos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coming object ,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storage unit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a weight measuring unit formed in the cradle, a sensor unit and recognition un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a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moun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and, when an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easure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현재 집안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종량제 봉투 이용 등으로 어느 정도 양에 대한 통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언택트 문화의 확산으로 가정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온라인 쇼핑, 배달 식품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Currently, the amount of garbage generated in the house is controlled to some extent through the use of volume-based bags. However, the number of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food users is increasing as the time spent at home increases due to the spread of the untact culture due to an epidemic such as Corona 19.

이에, 배달 및 일회용 용기 쓰레기가 증가되어 쓰레기 양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지고 있다.Accordingly, delivery and single-use container waste ha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amount of waste.

특히,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신선식품이 배송될 때, 함께 오는 아이스팩은 얼음보다 냉장효과가 뛰어나게 지속되는 특성으로 신석식품이 배송되는 아이스 박스 안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fresh food that needs to be kept in temperature is delivered, the accompanying ice pack maintains the refrigeration effect better than ice, so it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 the ice box where the new food is delivered.

이러한, 아이스팩은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가정집에서는 다시 사용할 일이 많지 않아 처치 곤란이 된다.Although these ice packs can be reused many times,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because they are not often used again at home.

아이스팩의 내용물은 플라스틱의 일종인 고흡수성 폴리머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흡수성 폴리머는 열에 타지 않아 소각이 불가능하고 자연분해 기간만 500년이상 걸리는 소재이다.The contents of the ice pack are made of a type of plastic, a super-absorbent polymer and water. The super-absorbent polymer does not burn with heat, so it cannot be incinerated, and it takes more than 500 years to decompose naturally.

이러한, 고흡수성 폴리머는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며, 바다가 흘러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발생된다.These superabsorbent polymers change into microplastics and affect the human body,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a flows and contaminates water quality.

아이스팩은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가정에 배달되기 때문에 처치 곤란하여 버리기 일쑤이다.Ice packs can be reused many times, but most of them are delivered to homes, so they are difficult to handle and are often thrown away.

이에, 아이스팩을 수거하여 신선식품을 판매 및 배달하는 업체에 기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아이스팩을 재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가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mart recycling collector that can collect ice packs and provide them to companies that sell and deliver fresh food at a lower price than befor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cycle ice packs.

20-0462664 Y120-0462664 Y1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를 활용하여 아이스팩과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물체를 수거하여 수요가 필요한 곳에 제공하여 구매비용을 절감하는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purchase costs by collecting reusable objects such as ice packs by utilizing a smart recycling collector and providing them to a place where demand is nee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식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체의 유무에 따라 개폐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물체가 안착되는 보관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는 무게측정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인식부, 상기 거치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 상기 물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무게측정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a recognition uni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a holding part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coming object; a storage unit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uni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an object is seated; a weight measuring unit formed in the mounting unit; a sensor uni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a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recognition unit, the moun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wherein when the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easure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식부는,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태그부; 및 상기 물체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태그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개방된다.The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for guiding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tag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an input unit for putting the object, wherein the input unit is opened when the user's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tag uni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환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환기시킨다.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unit formed throug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portion ventilates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비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개방 시,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물체를 반출할 수 있다.A plate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part reflecting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plate part includes a pair of opening part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opening part is opened when the frame part is opened. Objects can be taken out inside the uni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관부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막대 형상의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바퀴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형성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페브릭부;를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mov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oving unit includes: a rod-shaped case unit; a pair of wheel parts formed under the case part; a roller part formed inside the case part; and a fabric part surrounding the roller pa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관부는 좌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페브릭부의 일단은 상기 보관부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바퀴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페브릭부는 상기 케이스부에서 분출되며 상기 보관부의 상측면을 닦는다.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rail portion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ir of wheel portions are coupled to the pair of rail portions, and one end of the fabric portion is the storage portion When the wheel part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rail part in a state coupled to one end, the fabric part is ejected from the case part and wip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부는 폭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보관부에 위치한 상기 물체를 외부로 밀어낸다.When the cas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it pushes the object located in the storage part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부; 상기 프로세서부와 연동되는 통신부; 및 기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 중 어느 하나로 매칭시키도록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전송된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에 대한 보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interworking with the processor unit; and a memory unit storing preset data, wherein the processor unit includes: searching for the user's information to match the user'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any one of the preset user's information; providing the object col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measur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display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and transmitt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o the server, and providing compensation for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the user.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는 택배 이용이 급증하면서 생산량이 급증한 아이스팩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아이스팩 수거를 통한 리워드를 제공하고 아이스팩이 필요한 업자에게 아이스팩을 공급하여 아이스팩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닐 수 있다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recycles ice packs whose production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courier services. It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치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식부 및 투입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이동부가 보관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recycling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un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ognition unit and the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ov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mov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또한,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수직 방향'이란 Z축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Z-axis direction.

또한, '상측, 상측면 및 상측단'이란 상대적으로 폭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측면 및 하측단'이란 상대적으로 폭 방향에서 아래 방향을 의미한다.In addition, 'upper side, upper side surface, and upper end' means a relatively upward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lower side, lower side surface and lower end' means a relatively downward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는 택배 이용이 급증하면서 생산량이 급증한 아이스팩을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아이스팩 수거를 통한 리워드를 제공하고 아이스팩이 필요한 업자에게 아이스팩을 공급하여 아이스팩을 구매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지닐 수 있다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recycles ice packs whose production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courier services. This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n ice pack.

또한, 아이스팩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ice packs.

전술한 예시는 아이스팩으로 한정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적용하여 본 발명은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limited to an ice pack,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by applying various recyclable material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는, 프레임부(110), 인식부(120), 거치부(130), 플레이트부(140), 제어부(150) 및 이동부(20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10 , a recognition unit 120 , a mounting unit 130 , a plate unit 140 , a control unit 150 and a moving unit 200 . include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의 프레임 즉 뼈대를 이루는 외관의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중공부(s)가 형성되며 전체적인 외형은 사각형 형상이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 the frame part 110 is a frame of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 that is, an exterior that forms a skeleton, and preferably a hollow part (s) is formed therein. is not limited to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식부(120)는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며 후술할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아이스팩과 같이 재활용 가능한 물체(P)가 투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recognition unit 1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10 , and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a recyclable object P such as an ice pack may be inserted therein.

이에, 인식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 태그부(122), QR부(123) 및 투입부(124)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recognition unit 120 includes a display unit 121 , a tag unit 122 , a QR unit 123 , and an input unit 124 .

디스플레이부(121)는 도 3을 참조하면 물체(P)를 수거하기 위해 기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splay unit 121 may display a preset interface for collecting the object P to the user.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및 양자점 디스플레이(Quantum do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1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 electronic ink display (e-ink display), and a quantum dot display (Quantum dot) may include at least one.

태그부(122)는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 및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태깅(tagging)을 통해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투입부(124)가 개방되어 재활용이 대상 물체(P)를 투입할 수 있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tag unit 122 can identify the user by comparing it with preset data through tagging using the card and the terminal 300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input unit 124 is opened to allow recycling of the target object. (P) can be add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QR부(123)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서 QR코드를 인식시키기 위함이며, QR코드는 일회용으로 디스플레이되며 한 번 사용된 QR코드는 재태깅 하더라도 인식되지 않는다.The QR unit 123 is for recognizing the QR code in the user's terminal 300, the QR code is displayed for one time use, and the QR code used once is not recognized even if it is re-tagged.

QR부(123)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인식된 QR코드의 URL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보안 QR코드에 포함된 정보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 및 인식하여 투입부(124)를 개폐하거나 후술할 리워드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When the QR unit 123 recognizes the QR code in the user terminal 300,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cure QR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recognized QR code URL. Accordingly, by receiving and recognizing the user'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input unit 124 or perform a reward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QR코드는 투입부(124)를 개폐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의 사용자 인증 QR코드이다.In addition, the QR code includes information that can open and close the input unit 124 and is a unique user authentication QR code generated using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투입부(124)는 물체(P)가 프레임부(110)의 중공부(s)로 투입되기 위한 구성이며 프레임부(110)의 중공부(s)와 연통되어 물체(P)가 투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part 124 is configured for the object P to be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s of the frame part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part s of the frame part 110 so that the object P can be put into it. It is preferable to have

이에, 투입부(124)는 캡부(125)를 통해 개폐될 수 있으며 캡부(125)는 투입부(124)를 개폐시킬 수 있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탈착식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the input unit 124 may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ap unit 125 , and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a conventional sliding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unit 124 and detachable type may be applied to the cap unit 125 . This is a 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부(124)는 물체(P)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정각도 경사진 한 쌍의 경사부(124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input part 124 includes a pair of inclined parts 124a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acilitate the inflow of the object P.

경사부(124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inclined portion 124a is formed in a pair and faces each other.

경사부(124a)는 프레임부(110) 내부를 향해 절삭되어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물체(P)가 경사부(124a)에 맞닿아 프레임부(110) 내부를 향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124a is cut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110 and is made in a inclined shape, whereby the object 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124a and smoothly flows into the frame portion 110 inside. have.

상세히, 물체(P)가 투입부(124)에 투입될 때, 경사부(124a)를 통해 프레임부(110) 내부를 향해 가이드되어 물체(P)가 이탈되지 않고 프레임부(11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object P is put into the input part 124 , it is guided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110 through the inclination part 124a so that the object P is not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110 . can be inserted towards

이를 통해, 경사부(124a)는 투입부(1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체(P)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the inclined portion 124a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object P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portion 124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부(130)는 프레임부(110)의 내부 즉 중공부(s)에서 한쌍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하부로 틸팅되는 구조로 형성된다.1 and 2, the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s a pair in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110, that is, in the hollow portion s, and has a structure tilted downward.

상세히, 도1을 참조하면, 투입부(124)를 통해 유입된 물체(P)는 거치부(130)에 안착되게 된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1 , the object P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124 is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30 .

거치부(130)에 안착된 물체(P)는 프레임부(110) 내측면에 형성된 센서부(111)를 통해 개수를 카운팅하여 파악하게 된다.The number of objects P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30 is counted through the sensor unit 1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unit 110 to be grasped.

여기서 센서부(111)는 근접 물체 감지 센서, 도플러 센서, 적외선 센서 및 다양한 공지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s the sensor unit 111, a proximity object detection sensor, a Doppler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various well-known sensors may be used.

센서부(111)는 물체(P)의 개수를 파악하여 물체(P)가 유입된 개수를 측정하여 카운팅하게 된다.The sensor unit 111 detects the number of objects P and counts the number of objects P introduced therein.

여기에, 거치부(130)에 내장되어 탑재된 무게측정부(141)에 의해 물체(P)의 무게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무게는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후술할 제어부(150)를 통해 저장된다.Here, the weight of the object P is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141 built in and mounted in the mounting unit 130, and the measured weight is stored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data conversion process. .

거치부(130)에 안착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 후,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체(P)의 개수 및 무게 정보를 알리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fter measur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s P seated on the mounting unit 130 ,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s P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부(130)는 물체(P)의 개수 및 무게 정보를 측정 후, 하부로 틸팅되며, 이에 거치부(130)에 안치된 물체(P)는 거치부(130)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프레임부(110)의 일부인 보관부(112)에 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cradle 130 is tilted downward after measuring the number and weight information of the object P, and the object P placed in the cradle 130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130 and It falls on the storage part 112 which is a part of the frame part 110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물체(P)는 보관부(112)에 안착되어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에 보관된다.Accordingly, the object P is seated in the storage unit 112 and stored in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관부(112)에 보관된 물체(P)가 보관부(112) 및 중공부(s)에 가득 채워져 더 이상 수용할 수 없을 경우, 프레임부(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플레이트부(140)를 통해 재활용 물체(P)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P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2 is filled in the storage unit 112 and the hollow portion (s) and can no longer be accommodated, the plate unit 14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ame unit 110 . It is possible to take out the recycled object (P) to the outside through.

상세히, 플레이트부(140)는 투명한 판 형태의 소재를 이용하여 중공부(s) 내부에 물체(P)의 유무 및 채워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part 140 be able to grasp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ject P in the hollow part s and the degree of filling by using a transparent plate-shaped material.

전술한 물체(P)가 중공부(s)에 가득 채워지거나 필요에 의해 물체(P)를 꺼내야 하는 경우 플레이트부(140)에서 도어(door)형태의 개방부(141)를 개방하여 물체(P)를 꺼낼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object P is filled in the hollow portion s or the object P needs to be taken out as necessary, the door-shaped opening 141 is opened in the plate portion 140 to open the object P ) can be taken out.

상세히, 도 1 및 7을 참조하면 개방부(14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개폐 가능하며, 각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41a) 및 복수 개의 힌지부(141b)를 포함한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opening portion 141 is formed in a pair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includes a handle portion 141a and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141b respectively formed therein.

개방부(141)는 손잡이부(141a)를 통해 개방할 수 있으며 힌지부(141b)를 통해 틸팅 운동 되어 개방될 수 있다.The opening portion 141 may be open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141a, and may be opened by a tilting movement through the hinge portion 141b.

힌지부(141b)는 개방부(141)가 일정한 각도 안에서만 젖혀지는 각도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구성이며 후술할 제어부(150)와 연동되어 잠금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The hinge part 141b is configured to limit the range of the angle at which the opening part 141 is tilted only within a certain angle, and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serve as a locking function.

예를 들어, 개방부(141)가 상시 개방된다면 내부에 보관된 물체(P)의 분실 및 도난의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힌지부(141b)는 기 설정된 개방부(141)를 개방할 수 있는 정보가 제어부(150)에 인증되지 않는다면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개방부(141)를 잠금시키며 제어부(150)에 개방부(141)를 개방할 수 있는 정보가 제어부(150)에 인증된다면 힌지부(141b)는 잠금을 해제하여 개방부(141)를 개방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opening 141 is always open, there is a risk of loss or theft of the object P stored therein. Therefore, the hinge part 141b locks the opening part 141 by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if the information that can open the preset opening part 141 is not authenticated by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opening part ( If the information capable of opening the 141 is authenticated by the control unit 150 , the hinge unit 141b may release the lock to open the opening unit 141 .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관부(112)에 안치된 물체(P)를 꺼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물체(P)를 꺼내 반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take out the object (P) placed in the storage unit 112, and can take out the object (P) as needed.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프로세서부(151), 메모리부(152), 통신모듈부(1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processor unit 151 , a memory unit 152 , and a communication module unit 153 .

제어부(150)는 전술한 인식부(120), 거치부(130), 플레이트부(140) 및 센서부(111)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150 can input and transmit data by interworking with the recognition unit 120 , the mounting unit 130 , the plate unit 140 , and the sensor unit 111 .

프로세서부(151)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15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서, 기 설정된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51 may process input or output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or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152 , thereby providing or processing preset information and data to a user or a function.

프로세서부(151)는 통상적으로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151)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51)는 메모리부(15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5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51)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메모리부(152)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unit 151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unit 151 may generally control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50 . 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51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152 . The processor unit 151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unit 1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single processor in an integrated form, depending on functions and roles thereof.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 notification message by executing at least on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152 .

여기서, 프로세서부(151)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 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unit 151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ontrollers (controllers) ,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또한 프로세서부(151)는 UI/UX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UI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21)에서 터치 제스처를 활용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부(151)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unit 151 may include a UI/UX module, and the UI module may provide a specialized UI, GUI, etc. that are interlocked with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for each application. This may utilize a touch gesture on the display unit 121 , and the touch screen module may detect a touch gesture on the user's touch screen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touch gesture to the processor unit 151 . The touch scre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gnize and analyze a touch code. The touch screen module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hardware including a controller.

메모리부(152)는 본 발명을 동작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UI/UX 구성들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52 may store data and commands for oper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for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UI/UX components.

여기서, 메모리부(152)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등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적 저장장치 일 수 있으며, 인터넷상에서 메모리부(152)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 및 클라우드 시스템 일 수도 있다.Here, the memory unit 152 may be various hardware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floppy diskette, etc., and has a function of storing data and commands of the memory unit 152 on the Internet. It can also be a web storage and cloud system that performs

통신모듈부(153)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는 무선 인터넷 기술일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통신부는 상기에 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153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ternatively, it may be a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and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 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외부기기부 및 단말기(300)와 무선 통신부 사이, 외부기기부와 다른 외부기기부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300)와 다른 이동 단말기(3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Alternatively, it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 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between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the terminal 3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etween the external device unit and another external device unit, or the mobile terminal 3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Wireless Area Networks) (300) or an external server)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ted networks.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local area network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이때, 통신모듈부(153)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153 i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and the like, may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also be us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and the like.

또한, 최근 상용화 중인 5G 통신뿐만 아니라, 추후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는 6G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에 구애됨이 없이 기설치된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5G communication, which is currently commercialized, but also 6G, which is scheduled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may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re-installed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tilized without being limited by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부(153)는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module unit ( 153)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덧붙여,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에는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10) 내부에 발생되는 먼저 및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환기부(160)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frame par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part 160 for removing moisture and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frame part 110 through the outside and the inside is formed.

상세히, 환기부(160)는 프레임부(110)의 외측 및 내측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부재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프레임부(110) 내부에 먼지 및 습기를 외기로서 환기시킬 수 있다.In detail, the ventilation unit 16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110, and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such as a propeller and rotates to ventilate dust and moisture inside the frame unit 110 as outside air.

또한, 본 발명은 보관부(112)에 물체(P)가 안착되어 발생될 수 있는 먼지 및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이동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unit 200 for removing dust and moisture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object P is seated in the storage unit 112 may be provid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케이스부(210), 롤러부(220), 페브릭부(230) 및 한 쌍의 바퀴부(240)를 포함한다.4 to 7 , the moving unit 200 includes a case unit 210 , a roller unit 220 , a fabric unit 230 , and a pair of wheel units 240 .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부(210)는 막대 형상으로 보관부(112)에 설치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보관부(112)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ase unit 210 may be the same as or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12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12 in a rod shape.

롤러부(220)는 케이스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막대 또는 봉 형상일 수 있다. 롤러부(220)는 케이스부(2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ller unit 220 is formed inside the case unit 210 and may have a rod or rod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part 220 can rotate inside the case part 210 .

롤러부(220)의 외측면에는 페브릭부(230)가 감싸는 형태로 감겨진다.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part 220 is wound in the form of a fabric part 230 is wrapped.

페브릭부(230)는 직물, 천, 부직포, 린넨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For the fabric part 230, various materials such as fabric, cloth, non-woven fabric, and linen may be used, and the type is not limited.

바퀴부(240)는 한 쌍의 형성되며 케이스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heel part 240 is formed in a pair and is preferably formed under the case part 210 .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바퀴부(240)는 각각 케이스부(210)의 좌측 및 우측 단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퀴 형상으로 굴려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pair of wheel units 240 are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se unit 210 , respectively, and may be rolled into a wheel shape.

이동부(200)는 보관부(112)에 설치되어 보관부(112)에 안치된 물체(P)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으며 보관부(112)에 형성될 수 있는 먼지, 오염물 및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12 to push the object P placed in the storage unit 112 to the outside, and removes dust, contaminants and moisture that may be formed in the storage unit 112 . can do.

상세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관부(112)에는 좌측 및 우측 단부에 레일부(11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6 and 7 , rail parts 112a may be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orage unit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레일부(112a)는 중심이 오목하며 측면부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U' 또는 'c' 형상의 형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부(112a)의 오목한 중심에는 이동부(200)의 바퀴부(240)가 삽입되어 레일부(112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rail part 112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U' or 'c'-shaped section steel in which the center is concave and the side par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concave center of the rail part 112a, the movable part 200 The wheel part 240 may be inserted and moved along the rail part 112a.

즉, 바퀴부(240)는 레일부(112a)를 따라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바퀴부(240)를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wheel part 240 can slide along the rail part 112a and serves to guide the wheel part 240 in the width direction.

이는, 바퀴부(240)가 보관부(112)에서 이동되어야만 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오작동 없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designating a position where the wheel part 240 should be moved in the storage part 112 so that it can be operated efficiently without malfunction.

이에, 레일부(112a)에 의해 바퀴부(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바퀴부(240)는 레일부(112a)를 따라서 이동하기만 하면 되므로 이동을 위한 불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wheel part 240 by the rail part 112a, and since the wheel part 240 only needs to move along the rail part 112a, there is no need to provide unnecessary power for movement. There are no advantages.

보관부(112)의 물체(P)가 안치되는 상측면을 이동부(200)를 통해 닦아내는 과정을 설명한다.A process of wiping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112 on which the object P is placed through the mov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보관부(112)의 플레이트부(140)와 인접한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페브릭부(230)의 단부를 고정 또는 접착시킨 상태에서 바퀴부(240)를 레일부(112a)에 삽입시켜 위치시킨다.First, referring to FIG. 5 ,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fabric part 230 is fixed or adhered to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adjacent to the plate part 140 of the storage part 112, the wheel part 240 is attached to the rail part 112a. Insert and place in

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부(200)에 구비되는 모터를 통해 바퀴부(24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바퀴부(240)의 작동으로 인해 이동부(200)는 플레이트부(140)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폭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unit 240 through a motor provided in the moving unit 200 , an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wheel unit 240 , the moving unit 200 is adjacent to the plate unit 140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unit 140 . It can be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to

이에, 롤러부(220)에 감겨진 페브릭부(23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부(210)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으로 파여져 페브릭부(230)가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홀을 통해 분출되게 되며 롤러부(220)는 회전하여 페브릭부(230)를 펼쳐지도록 한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the fabric part 230 wound around the roller part 220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the case part 210 and is ejected through the hole formed so that the fabric part 230 is discharged, and the roller part ( 220 is rotated to spread the fabric part 230 .

이에,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페브릭부(230)가 보관부(112)의 상측면에 맞닿도록 펼쳐지며 보관부(112)의 상측면에 묻은 먼지 또는 습기를 닦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6 , the moving unit 200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reads the fabric unit 230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2 , and removes dust or moistu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112 . It can be removed by wiping.

이를 통해, 보관부(112)에 위치되는 물체(P)에 의해 보관부(11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torage unit 112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object P located in the storage unit 112 .

또한, 습기를 제거하여 보관부(112)의 부식을 방지하며 이는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의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by removing moistur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torage unit 112,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덧붙여, 본 발명의 이동부(200)는 보관부(112)에 보관된 물체(P)를 외부로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hat can easily push the object P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2 to the outside.

상세히, 도 7의 7(a)를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보관부(112)의 폭 방향의 후단에 위치된다.In detail, referring to 7(a) of FIG. 7 , the moving unit 20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torage unit 112 in the width direction.

보관부(112)에 물체(P)가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체(P)를 꺼내기 위해 개방부(1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이동부(200)는 전술한 과정을 바탕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물체(P)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unit 112 is filled with the object P, the user opens the opening 141 to take out the object P, and the moving unit 200 is moved forwar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t is possible to push the object P to the outside.

상세히, 보관부(112)에 위치한 물체(P)를 꺼내기 위해 사용자는 개방부(141)를 개방하여 꺼내지만, 이는 물체(P)를 개별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detail, the user opens the opening 141 to take out the object P located in the storage 112, but this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out the object P individually.

이에, 사용자는 불편을 느끼게 되며, 일괄적으로 물체(P)를 꺼낼 수 있는 이동부(200)에 의해 물체(P)를 꺼내는 작업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ing time for taking out the object P by the moving unit 200 that can take out the object P at once is reduced.

또한, 이동부(200)는 보관부(112)를 닦는 것과 동시에 물체(P)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어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부(112)를 닦을 필요가 없으며 보관부(112)를 닦는 것과 물체(P)를 외부로 밀어내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unit 200 can push the object P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s wiping the storage unit 112 ,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wipe the storage unit 112 , and wiping the storage unit 112 and the object The operation of pushing (P) to the outside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더불어, 레일부(112a)와 이동부(200)의 바퀴부(24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어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더라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물체(P)를 수거함에 있어서 수거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ail part 112a and the wheel part 240 of the moving part 200 are sliding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it can be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thereby reducing the collection cost in collecting the object P. there is

다음으로, 본 발명의 물체(P) 수거 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object (P) colle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는 기 설정된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외부기기를 통해 상호 연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user's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preset settings.

여기서 외부기기부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300) 형태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및 모든 정보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device unit may be in the form of a terminal 300 capable of displaying data inputted from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smartphone, a PDA, a tablet PC, and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기(300)를 통해 수거기의 위치, 수거 신청버튼 및 리워드를 통해 누적된 포인트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simply check the accumulated points through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machine, the collection application button, and the reward through the terminal 300 carried by the user.

사용자는 인식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UI/UX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도시처럼 디스플레이부(121)에 도시되는 '수거를 하시려면 아래의 배출하기 클릭'과 같은 안내 버튼을 실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the UI/UX displayed on the recognition unit 1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a guidance button such as 'click to dispose below for collection' shown on the display unit 121 is executed. can

이후, 디스플레이부(121)에는 예를 들어 '인증을 진행해주세요'와 같은 문구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구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단말기(300)를 태그부(122)에 태깅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거나 QR부(123)의 QR코드를 인식시켜 사용자 개별 인증을 할 수 있다.Thereafter, for example, a phrase such as 'Please proceed with authenticatio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1, and when such a phrase is output, the user tags the terminal 300 to the tag unit 122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or By recognizing the QR code of the QR unit 123, it is possible to perform individual user authentication.

인증방법은, 일 예로 QR코드 스캔, 인증 코드, 전화번호, 단말기(300) 태깅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300) APP사용이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CARD를 통해 태그부(122)에 태깅 시 인증이 가능하다.For the authentication method, as an example, QR code scanning, authentication code, phone number, and terminal 300 tagging can be used. It is possible.

개별인증이 완료되면, 물체(P)를 투입부(124)를 통해 투입하고, 투입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한다.When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object P is put through the input unit 124, and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input object P are measured.

측정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알리게 된다.The number and weight of the measured objects P are notified using an application or software pre-installed on the user's terminal 300 to inform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s P.

이후, 사용자가 개수 및 무게를 확인하면, 단말기(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투입부(124)를 닫을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confirms the number and weight, the input unit 124 may be closed by clicking a confirmation button tha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300 .

수거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통해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through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collected objects (P).

여기서 리워드는 소위 포인트라 불리우는 적립식 가상화폐일 수 있으며 이는 일 예로 지역화페로 전환하여 사용되거나, 제휴를 맺은 업체에서 친환경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reward may be an accumulation-type virtual currency called point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local currency and used, for example, or may be used to purchase eco-friendly products from affiliated companies.

리워드는 물체(P)의 개수 및 무게에 대해 리워드를 제공하며 여기서 리워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수입, 재활용 가능한 물체(P)의 재판매를 통한 수익창출로 제공될 수 있다.The reward provides a reward for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Here, as a means for providing a reward, the advertisement income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300, revenue generation through the resale of the recyclable object (P) can be provided.

이를 통해, 재활용 가능한 물체(P)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물체(P)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재사용할 수 있는 물체(P)의 재활용으로 인해 과도한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bject (P) to the user who needs the recyclable object (P), thereby generating profits for the user,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reducing excessive production costs due to the recycling of the reusable object (P) there is

물체(P)가 수거되는 일련의 과정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100)는 프로세서부(151)를 통해 인식부(120)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의 정부를 기 설정된 사용자의 정보 중 어느 하나로 매칭시키기 위해 서버 또는 기 설정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umming up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object P is collected, the smart recycling coll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government of the user provid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120 through the processor unit 151 among the user's information set in advance. Searching for user information through a server or preset data to match any one.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물체(P)의 수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in order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 of the object (P)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물체(P)의 수거 정보를 기반으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based on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P).

물체(P)의 개수 및 무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를 확인하는 단계.Display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and confirming this.

물체(P)의 개수 및 무게를 서버로 전송하며 저장하는 단계.The step of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to the server.

서버로 전송된 물체(P)의 개수 및 무게에 대한 리워드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providing a reward compensation for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P)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par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부(110)의 특징 상, 부식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part 110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vulnerable to corrosion.

이에, 본 발명의 프레임부(110)의 표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corro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par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프레임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프레임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프레임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프레임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not shown) is to be coat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and the coating layer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may exhibit an anti-corrosion effect.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by the coating layer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frame portion, and contains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the frame portion,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frame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organic solvents, metal compounds and amine compounds: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1012057293-pat00001
Figure 112021012057293-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레임부(11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프레임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프레임부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part 110 by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to the frame part is excellent, the coating layer is not easily peeled off by an external force, and a metal compound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the frame part By including, it may exhibit an excellent anti-corrosion effect.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프레임부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siloxane-based compound contains a mercapto group as a substituent, it not only exhibits excellent adhesion to the frame part, but also maintains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at a certain level to increase moldability and enhance stability.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The metal compound serves as an erosion and corrosion inhibitor that blocks contact with moisture, salt or oxygen. Here, the metal compound may use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iron in order to act as an erosion and corrosion inhibitor. That is, a metal or alloy such as aluminum (Al), magnesium (Mg), or zinc (Zn) may be used, and zinc (Zn) is mainly used.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may be 0.1 to 10㎛.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is 0.1 μm or m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etal compound can be reduced, 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is 10 μm or less, the metal particles can be uniformly dispersed.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ethyl ketone (MEK), toluene, and mixtures thereof, and preferably methyl ethyl keto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The amine compound may include modified aliphatic amines or tertiary amines, and specifically, trimethylamine or aniline may be used. The amin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to prevent cracking or peeling of the coating film. That is, by increas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ing or peeling of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use is excellent.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er as other additives, and the stabilizer may include a UV absorber, an antioxidan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organic solvents, metal compounds and amine compounds.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2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compound, and 5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amin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of a degree in which the water repellency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has a critical significance is expressed,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프레임부(110)의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1500 to 18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500 cP,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rame part 110,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coating layer by flowing down, and exceeding 1800 cP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rmation of a uniform coating layer is not easy.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methyl ethyl ketone with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zinc and trimethylamin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1012057293-pat00002
Figure 112021012057293-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3030 4040 5050 6060 7070 금속 화합물metal compound 1010 2020 3030 4040 5050 아민 화합물amine compounds 1One 55 1010 1515 2020

(단위 중량부)(unit weight parts)

2. 코팅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프레임부(11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Typicall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luminum, which is a metal material that easily corrodes, instead of the frame unit 110 .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The coating composition of DX1 to DX5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10×10 cm aluminum, and then 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1.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evaluated,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프레임부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forming the coating layer,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after the curing process,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2. 부식 특성의 측정2. Measurement of corrosion properties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an aluminum plate without a coating layer was used as a control, and corrosion resistance tests were performed using an aluminum plate with a coating layer of TX1 to TX5.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The aluminum plate was immersed in a beaker containing a 10 wt% CuCl2 aqueous solution, and the degree of corrosion was checked over time.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If the generation of hydrogen gas is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it will mean that corrosion occur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corrosion occurred until 24 hours had elapsed.

○: 부식 발생○: Corrosion

×: 부식 발생하지 않음×: No corrosion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대조군control 부식 발생corrosion occurs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 aluminum plate was placed in a beaker and hydrogen gas was generated shortly thereafter, and copper was precipitated in less than 1 hour. In the case of TX1, hydrogen gas was generated after 3 hours, and copper precipitation was confirmed after 6 hours.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In the case of other coating layers, corrosion did not occur even after 24 hours had elap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corrosion.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combinations of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including C, C++ , Java, assembler, etc.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00 :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110 : 프레임부,
111 : 센서부,
112 : 보관부,
112a : 레일부,
120 : 인식부,
121 : 디스플레이부,
122 : 태그부.
123 : QR부,
124 : 투입부,
125 : 캡부,
130 : 거치부,
131 : 무게측정부,
140 : 플레이트부,
141 : 개방부,
141a : 손잡이부,
141b : 힌지부,
150 : 제어부,
151 : 프로세서부,
152 : 메모리부,
153 : 통신모듈부,
160 : 환기부,
200 : 이동부,
210 : 케이스부,
220 : 롤러부,
230 : 페브릭부,
240 : 바퀴부,
300 : 외부기기부,단말기,
S : 중공부.
100: smart recycling collector,
110: frame part;
111: sensor unit;
112: storage unit;
112a: rail part;
120: recognition unit;
121: display unit;
122: tag part.
123: QR unit,
124: input unit,
125: cap part,
130: mount,
131: weight measurement unit,
140: plate part,
141: open part;
141a: handle part;
141b: hinge part;
150: control unit;
151: processor unit;
152: memory unit;
153: communication module unit;
160: ventilation unit;
200: moving unit,
210: case part,
220: roller unit,
230: fabric part,
240: wheel,
300: external device unit, terminal,
S: Hollow.

Claims (8)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식부;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체의 유무에 따라 개폐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되, 물체가 안착되는 보관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는 무게측정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인식부, 상기 거치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 상기 물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무게측정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태그부; 및
상기 물체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태그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개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및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환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환기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에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를 비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개폐 가능한 한 쌍의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개방 시,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물체를 반출할 수 있고,
상기 보관부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막대 형상의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바퀴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형성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페브릭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a frame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 recognition uni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unit;
a holding part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coming object;
a storage unit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 which an object is seated;
a weight measuring unit formed in the mounting unit;
a sensor uni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interlocked with the recognition unit, the mounting unit, and the sensor unit;
When the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 and the sensor unit measure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he recognition unit,
a display unit for guiding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 tag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and
Including; an input unit for putting the object;
The input unit is opened when the user's information matches the preset user's information through the tag unit,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unit formed throug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The ventilation unit ventilates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a plate part that reflects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further comprising,
The plate part,
A pair of opening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cludes;
When the opening part is opened, it is possible to take out an object inside the frame part,
It further includes; a mov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The moving unit,
a rod-shaped case portion;
a pair of wheel parts formed under the case part;
a roller part formed inside the case part; and
Which includes; a fabric part surrounding the roller part
Smart recycling bi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좌우측 단부에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바퀴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페브릭부의 일단은 상기 보관부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바퀴부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폭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페브릭부는 상기 케이스부에서 분출되며 상기 보관부의 상측면을 닦는 것인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rail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ir of wheel parts are coupled to the pair of rail parts,
When the wheel part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rail part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fabric par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orage part, the fabric part is ejected from the case part and to wipe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Smart Recycling Coll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폭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보관부에 위치한 상기 물체를 외부로 밀어내는 것인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case part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object located in the storage part is pushed to the outside
Smart Recycling Coll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부;
상기 프로세서부와 연동되는 통신모듈부; 및
기 설정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 중 어느 하나로 매칭시키도록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물체의 수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 전송된 상기 물체의 개수 및 무게에 대한 보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활용 수거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processor unit;
a communication module unit interworking with the processor unit; and
Includ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preset data;
The processor unit,
retrieving the user's information to match the user'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any one of the preset user's information;
providing the object col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measur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based on the collec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display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o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ransmitting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o the server, and providing a compensation for the number and weight of the object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the user; including
Smart Recycling Collector.
KR1020210013114A 2021-01-29 2021-01-29 Smart recycling collector KR102414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14A KR102414992B1 (en) 2021-01-29 2021-01-29 Smart recycling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114A KR102414992B1 (en) 2021-01-29 2021-01-29 Smart recycling coll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992B1 true KR102414992B1 (en) 2022-06-29

Family

ID=8227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114A KR102414992B1 (en) 2021-01-29 2021-01-29 Smart recycling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9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087A (en)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Bin service for mask recycl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4Y1 (en)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KR200479171Y1 (en) * 2015-06-15 2015-12-28 방옥희 Cloth recycling apparatus
KR102201061B1 (en) * 2019-09-17 2021-01-11 정민호 System for smart old clothes colle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64Y1 (en) 2010-06-15 2012-09-24 엔솜 주식회사 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KR200479171Y1 (en) * 2015-06-15 2015-12-28 방옥희 Cloth recycling apparatus
KR102201061B1 (en) * 2019-09-17 2021-01-11 정민호 System for smart old clothes collec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087A (en)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Bin service for mask recycling
KR102542879B1 (en) 2021-10-29 2023-06-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Bin service for mask recyc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992B1 (en) Smart recycling collector
US118541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delivery or pick up during a delivery or pick up phase of drone operation
CN204418976U (en) A kind of can the Intelligent door of transceiving data and logistics courier packages
CN115515460A (en) Temperature control equi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tation with hot area and cold area
EP2775458A3 (en) Controlling queuing in a defined location
US11583122B2 (en) Secure package receptacle for receiving drone deliveries
EP318146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smart luggage
CN105227654B (en) A kind of methods, devices and systems being intelligently in danger
US20230005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raudulent fueling operations
CN114901514A (en) Improved asset delivery system
EP3399377A1 (en) Method for monitoring by means of remotely controlled drone
CN111389736B (en) Intelligent express delivery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and unmanned transportation
CN108668932A (en) Intelligent animals food throwing machine
CN203496458U (en) Fiber laser bar mark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feeding and blanking
US11794894B2 (en) Landing apparatuse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1046987A (en) Gun management and control closed loop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latform
CN207601947U (en) Bill delivery apparatus
CN207425017U (en)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is received and dispatched in a kind of express delivery
CN204250663U (en) Mobile business logistics device
CN106608429A (en) Intelligent express distribution box
KR101671250B1 (en)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car
KR102440081B1 (en)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CN110852410A (en) Intelligent too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212873641U (en) Self-service intelligent carrying equipment for community
CN109169372A (en) A kind of pet positioning recove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