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97B1 -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 Google Patents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97B1
KR102414797B1 KR1020210171682A KR20210171682A KR102414797B1 KR 102414797 B1 KR102414797 B1 KR 102414797B1 KR 1020210171682 A KR1020210171682 A KR 1020210171682A KR 20210171682 A KR20210171682 A KR 20210171682A KR 102414797 B1 KR102414797 B1 KR 10241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late fixing
unit
heat dissipatio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덕희
Original Assignee
맹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덕희 filed Critical 맹덕희
Priority to KR102021017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가 개시된다.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는, 상부 표면이 체결부재에 의해 LED 조명등의 반사판에 고정되며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어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홈부가 형성된 반사판 고정부와, 반사판 고정부의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며 LED를 포함한 기판이 삽입 고정되며 전선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LED 삽입부와, LED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LED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반사판 고정부의 하부로 스커트 형상으로 확장 돌출되며 LED로부터 발산되어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빛을 통로를 이루는 도광 바디와, 도광 바디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패턴 형상을 이루어 빛을 발산하는 면발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DIFFUSER FOR LED ILLUMINATOR}
본 발명은 균일한 휘도가 가능하고 확산 효율을 향상에 따른 소비전력의 절감과 보다 밝은 빛을 발산이 가능한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판 조명, 평판 조명, 형광등, 가로등(街路燈), 도로조명 등기구 등의 조명은 소정의 목적을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광을 방출하는 용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에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광원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조명에 설치된 광원을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교체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엘이디는 친환경, 고효율, 그리고 긴 수명을 갖춘 광원일 뿐만 아니라, 전기 소모량이 적어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광원이기 때문이다.
한편, LED가 구비된 조명램프는 LED에서 발광된 빛이 직진하는 직진성을 갖는 특징으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짐에
따라 다수의 LED를 설치해서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LED를 구비한 조명램프를 사용하더라도 빛의 휘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LED의 사이에서 명암차가 발생하여 조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빛을 균일한 휘도로 확산하는 확산렌즈 및 확산렌즈가 장착된 조명장치 기술이 다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확산렌즈나 조명장치는 부분적으로 빛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확산렌즈를 장착하기 위해 복잡한 성형과정을 거치거나, 결합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제작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확산 효율이 떨어져 많은 소비전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076646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확산 효율의 향상이 따른 소비 전력의 절감이 가능한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 표면이 체결부재에 의해 LED 조명등의 반사판에 고정되며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어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홈부가 형성된 반사판 고정부와, 반사판 고정부의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며 LED를 포함한 기판이 삽입 고정되며 전선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LED 삽입부와, LED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LED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반사판 고정부의 하부로 스커트 형상으로 확장 돌출되며 LED로부터 발산되어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빛을 통로를 이루는 도광 바디와, 도광 바디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패턴 형상을 이루어 빛을 발산하는 면발산부를 포함한다.
전선 안내홈부는, 반사판 고정부의 상부면에서 일측은 상기 LED 삽입부에 연통되고 타측은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 고정부에는 LED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는, 표면에 다각의 오목홈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안내홈부는, LED 삽입부에서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제1 안내홈부와, LED 삽입부에서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제2 안내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는, LED 삽입부에서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3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방열홈부와, LED 삽입부에서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4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방열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는, LED 삽입부의 내부 저면에 돌출되며 표면에는 다각의 오목홈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 삽입부에 설치된 LED로부터 빛이 발생시 확산부를 통해 확산이 이루어지고, 확산된 빛이 도광 바디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바,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빛의 확산 효율이 향상되어 적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에 반사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확산부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에 반사판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100)는, 상부 표면이 체결부재에 의해 LED 조명등의 반사판(11)에 고정되며,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어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홈부(16)가 형성된 반사판 고정부(10)와, 반사판 고정부(10)의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며 LED(21)를 포함한 기판(20)이 삽입 고정되며 전선 안내홈부(16)에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LED 삽입부(14)와, LED 삽입부(14)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LED(21)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30)와, 반사판 고정부(10)의 하부로 스커트 형상으로 확장 돌출되며 LED(21)로부터 발산되어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빛을 통로를 이루는 도광 바디(40)와, 도광 바디(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패턴 형상을 이루어 빛을 발산하는 면발산부를 포함한다.
반사판 고정부(10)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2)에 의해 반사판(11)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반사판 고정부(10)는 원판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다각 판형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사판 고정부(10)는 나사로 적용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2)에 의해 반사판(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 고정부(10)의 중앙 위치에는 LED 삽입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LED 삽입부(14)는 반사판 고정부(10)의 상부면의 중앙 위치에서 그 내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사판 고정부(10)의 상부면의 내부로 대략 원통형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LED 삽입부(14)는 LED(21)를 포함한 기판(20)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기판(20)은 LED 삽입부(14)에 압입 등에 의해 밀접한 상태로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기판(20)이 LED 삽입부(14)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LED(21)의 설치된 상태의 센터링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LED(21)는, COB(Chip On Board)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LED 삽입부(14)의 하부에는 확산부(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30)는 LED 삽입부(14)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LED(21)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확산부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산부(30)는 LED 삽입부(14)의 내부 저면에서 볼록한 상태로 형성되면, 표면에는 다각형의 오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부(30)는 육각의 오목홈(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부(30)가 LED 삽입부(14)의 내부 저면에 육각의 오목홈이(31) 복수개로 형성되는 바, LED 삽입부(14)에 설치된 LED(21)로부터 발산된 빛이 도광 바디(40) 전체로 효과적으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오목홈(31)은 본 실시예에서 LED 삽입부(41)의 내부 저면의 표면 내부로 육각형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홈(31)은 원추형의 팽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LED 삽입부(41)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오목홈(31)의 각각은 LED(21) 방향을 향하도록 인입 형성된 각도가 서로간에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홈(31)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LED(21)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바, LED(21)로부터 발생된 조명을 원활하게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명 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확산부(30)는 LED 삽입부(14)의 내부 저면에 육각의 오목홈 형상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LED 삽입부(14)의 원통형의 직경의 크기의 변경에 따라 적절한 다각의 홈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확산부(30)는 LED 조명등의 휘도와 확산 면적, LED 조명등이 적용되는 장소의 특성 등에 따라 다각이 홈의 개수가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광 바디(40)는, 반사판 고정부(10)의 하부로 스커트 형상으로 확장 돌출되며, LED(21)로부터 발산되어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빛을 통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 바디(40)는 상부 중앙에는 LED 삽입부(14)와 확산부(3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단부의 직경은 5~7㎝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 바디(40)의 하면은 오목한 형성으로 광 발산면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광 발산면부(41)에는 입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확산 코어를 통해 확산된 빛을 개개의 패턴을 통해 각각 모아 전방으로 발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반사판 고정부(10)에는 전선 안내홈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전선 안내홈부(16)는, 반사판 고정부(10)의 상부면에서 일측은 LED 삽입부(14)에 연통되고 타측은 반사판 고정부(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안내홈부(16)는, LED 삽입부(14)에서 반사판 고정부(10)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제1 안내홈부(16a)와, LED 삽입부(14)에서 반사판 고정부(10)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전선이 삽입되는 제2 안내홈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내홈부(16a)와 제2 안내홈부(16b)는 반사판 고정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LED 삽입부(14)에 설치된 LED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안내홈부(16a)와 제2 안내홈부(16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반사판 고정부(10)에는 LED(21)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17)는 LED 삽입부(14)에서 반사판 고정부(10)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3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방열홈부(17a)와, LED 삽입부(14)에서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4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방열홈부(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홈부(17a)와 제2 방열홈부(17b)는 제1 안내홈부(16a)와 제2 안내홈부(16b)의 사이에 서로간에 교번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LED(21)의 계속적인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100)는, LED 삽입부(14)에 설치된 LED(21)로부터 빛이 발생시 확산부(30)를 통해 확산이 이루어지고, 확산된 빛이 도광 바디(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바,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빛의 확산 효율이 향상되어 적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보다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반사판 고정부 11...반사판
12...체결부재 20...기판
16...전선 안내홈부 16a..제1 안내홈부
16b..제2 안내홈부 17...방열부
17a..제1 방열홈부 17b..제2 방열홈부
21...LED 30...확산부
31...오목홈 40...도광 바디
41...광 면발산부

Claims (5)

  1. 상부 표면이 체결부재에 의해 LED 조명등의 반사판에 고정되며,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어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 안내홈부가 형성된 반사판 고정부;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상부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며, LED를 포함한 기판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전선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LED 삽입부;
    상기 LED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LED로부터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하부로 스커트 형상으로 확장 돌출되며, 상기 LED로부터 발산되어 상기 확산부를 통해 확산된 빛을 통로를 이루는 도광 바디; 및
    상기 도광 바디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패턴 형상을 이루어 빛을 발산하는 면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안내홈부는,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상부면에서 일측은 상기 LED 삽입부에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연장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 안내홈부는, 상기 LED 삽입부에서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제1 안내홈부; 및 상기 LED 삽입부에서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제2 안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는, 상기 LED 삽입부의 내부 저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며 표면에 다각의 오목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오목홈은, 상기 LED 삽입부의 내부 저면의 표면 내부로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오목홈은 상기 LED 삽입부에 설치된 상기 LED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각도가 서로간에 상이하며,
    상기 반사판 고정부에는 상기 LED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열부는, 상기 LED 삽입부에서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3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방열홈부; 및 상기 LED 삽입부에서 상기 반사판 고정부의 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제4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제2 방열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홈부(17a)와 상기 제2 방열홈부(17b)는 상기 제1 안내홈부(16a)와 상기 제2안내홈부(16b)의 사이에 서로간에 교번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1682A 2021-12-03 2021-12-03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KR10241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82A KR102414797B1 (ko) 2021-12-03 2021-12-03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682A KR102414797B1 (ko) 2021-12-03 2021-12-03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797B1 true KR102414797B1 (ko) 2022-06-30

Family

ID=8221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682A KR102414797B1 (ko) 2021-12-03 2021-12-03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68B1 (ko) 2006-03-29 2007-10-12 에이피엘시스템(주) 조명기구용 광 확산렌즈
KR20110072376A (ko) * 2009-12-22 2011-06-29 (주)엘앤디 확산 렌즈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JP5272029B2 (ja) * 2011-03-04 2013-08-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レンズおよび照明装置
JP2014021218A (ja) * 2012-07-13 2014-02-03 Omron Corp 光偏向素子並びに当該素子を用いた照光スイッチ及び面光源装置
KR101713973B1 (ko) * 2016-12-12 2017-03-09 맹덕희 Led 조명등용 확산 렌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68B1 (ko) 2006-03-29 2007-10-12 에이피엘시스템(주) 조명기구용 광 확산렌즈
KR20110072376A (ko) * 2009-12-22 2011-06-29 (주)엘앤디 확산 렌즈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JP5272029B2 (ja) * 2011-03-04 2013-08-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レンズおよび照明装置
JP2014021218A (ja) * 2012-07-13 2014-02-03 Omron Corp 光偏向素子並びに当該素子を用いた照光スイッチ及び面光源装置
KR101713973B1 (ko) * 2016-12-12 2017-03-09 맹덕희 Led 조명등용 확산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361B2 (ja) 照明モジュール
US9927074B2 (en) Lighting device
JP6379098B2 (ja) Led照明装置
CN102853288B (zh) 光学元件及具有该光学元件的发光装置
JP2013182729A (ja)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KR101795368B1 (ko) 엘이디 조명용 광학렌즈
JP2013182730A (ja) 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CN103383078A (zh) 一种led灯具
KR102002969B1 (ko) 엘이디 조명용 멀티렌즈
KR20120006451U (ko)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101696367B1 (ko)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KR102414797B1 (ko) Led 조명등용 방열 확산 렌즈
KR20220098713A (ko) 조명 장치
KR20120007312U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KR101713973B1 (ko) Led 조명등용 확산 렌즈
KR1015117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휘도 엘이디 작업램프
KR101682676B1 (ko) 산란기능이 부가된 엘이디 조명용 확산렌즈
CN216643877U (zh) 防眩光灯具
KR10219850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91206B1 (ko) 트로퍼 스타일 엘이디 조명기구
KR20150078708A (ko) 광 반도체 램프
KR101272689B1 (ko) 조명 모듈
KR101315702B1 (ko) 조명 모듈
KR101272690B1 (ko) 조명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