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07B1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507B1
KR102414507B1 KR1020200094824A KR20200094824A KR102414507B1 KR 102414507 B1 KR102414507 B1 KR 102414507B1 KR 1020200094824 A KR1020200094824 A KR 1020200094824A KR 20200094824 A KR20200094824 A KR 20200094824A KR 102414507 B1 KR102414507 B1 KR 10241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ubstrate
unit
groun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956A (ko
Inventor
전찬익
신현석
방승윤
김청수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09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5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내측면이 곡면 형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도전성의 전극부와 접지부가 패터닝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접지 단자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고, 신호를 입출력받는 피딩 단자가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의 접지 단자는 상기 기판의 접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부의 성능을 개선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과 태블릿(tablet)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이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스마트워치, 헬멧 등)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내부에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부를 구비하고 있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 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System (GNSS))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GPS(globalpositioning system)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모 단말(mother device)과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부, 3G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 안테나부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공간이 협소하여, 안테나부가 설치되는 경우, 안테나부를 회로의 접지부에 접지하여도, 접지의 크기가 작아 안테나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출원 10-2017-0110533
본 발명은 안테나부의 성능을 개선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내측면이 곡면 형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도전성의 전극부와 접지부가 패터닝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접지 단자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고, 신호를 입출력받는 피딩 단자가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의 접지 단자는 상기 기판의 접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부터 상기 기판의 타면까지 밴딩되어 연장되되,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위치한 제1 부분은 상기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타면에 위치한 제2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금속성 링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착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는 절연성 링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착용부를 관통한 금속성 접촉 부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접지부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접촉 부재가 삽입되되, 상기 접촉 부재는 일단이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Chip 안테나, LDS 안테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monopole 안테나, PIFA 안테나, dipole 안테나, helical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또는 인쇄 회로 기판(PC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착용부의 곡면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안테나부의 피딩 단자와 연결되는 통신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는 가속도, 방향, 위치, 소리 또는 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이 상기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안테나부의 전지 단자가 기판의 접지 패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부의 접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테나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안테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안테나부의 접지 단자가 기판의 접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같이, 안테나부의 접지 단자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에서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사용자(10)가 착용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b)는 (a)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이고, (c)는 (b)에 도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d)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부(110), 기판(120), 안테나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하고, 도 1의 (b) 내지 (d)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판(120), 안테나부(130) 및 통신부(140)를 덮는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0)에는 센서 모듈(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움직임, 가속도, 방향, 위치, 소리 또는 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5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모듈(150)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분의 움직임, 가속도, 방향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센서 모듈(150)은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와 같은 음원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의 신체 일부분에 광을 조사하여,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사용자(10)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 예를 들어 PPG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 GPS 시스템 등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10)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 이동 통신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 단말기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도 1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10), 기판(120), 안테나부(130) 및 통신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착용부(110)는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분과 맞닿는 내측면이 곡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착용부(110)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링 형태의 착용부(110)는 금속성 재질 또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착용부(110)가 링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착용부(110)는 반드시 링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부(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링의 일부분이 개구된 C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착용부(110)는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되, 착용부(110)의 외측면에 기판(120), 안테나부(130) 및 통신부(140)가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기판(120)이나, 안테나부(130) 및 통신부(140) 각각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기판(120)은 착용부(11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도전성의 전극부(미도시)와 접지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전극부(미도시)는 도 1의 (b) 내지 (d)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테나부(130)의 피딩 단자(131)와 통신부(1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통신부(140)와 센서 모듈(1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지부(121)는 안테나부(130), 통신부(140) 및 센서 모듈(150)에 그라운드(GND) 상태의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안테나부(130), 통신부(140) 및 센서 모듈(150)의 접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12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120) 또는 인쇄 회로 기판(PCB, 1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판(120)이 인쇄 회로 기판(120)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기판(120)은 인쇄 회로 기판(120)으로 구비된 경우, 인쇄 회로 기판(120)은 착용부(110)의 곡면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로 분할된 기판(120)의 각 부분 위에는 안테나부(130), 통신부(140), 센서 모듈(150)이 위치할 수 있다.
안테나부(130)는 기판(120) 상에 위치하며, 안테나부(130), 접지 단자(132)와 신호를 입출력받는 피딩 단자(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부(130)는 Chip 안테나, LDS 안테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monopole 안테나, PIFA 안테나, dipole 안테나, helical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안테나부(130)가 Chip 안테나를 구비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는 기판(120)에 구비된 접지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딩 단자(131)는 기판(120)의 전극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기판(120) 상에 위치하여,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14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 단말기 또는 필요에 의해 모 단말기가 아닌 다른 전자 통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14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3G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구조적 특성상 사용자(10)의 신체 일부분에 반지와 같은 형태로 착용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연결되는 기판(120)의 접지부(121) 역시 그 면적이 매우 작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안테나부(130)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때, 접지부(121)의 면적이 매우 작아 기준 전압이 흔들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로 인하여 안테나부(130)의 송수신 품질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는,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기판(120)의 접지부(121)를 통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안테나부(130)의 송수신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서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기판(120)의 접지부(121)를 통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d)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화살표 방향으로 볼 때, 보여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착용부(110)가 금속 재질로 구비된 경우,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구조를 도시한 일례이고, 도 2의 (b)는 착용부(110)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경우,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구조를 도시한 일례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판(120)의 접지부(121)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지부(121)를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판은 기판(120)의 일면부터 기판(120)의 타면까지 밴딩되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접지부(121)는 기판(120)의 일면에 위치한 제1 부분부터 기판(120)의 측면 및 기판(120)의 타면에 위치한 제2 부분까지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121)의 제1 부분은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부(121)의 제2 부분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10)가 금속성 링 형태로 구비된 경우, 접지부(121)의 제2 부분은 금속성의 접촉 부재(160)를 통하여 착용부(110)의 외측면(110OF)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0)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착용했을 때, 착용부(110)의 내측면(110IF)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어,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는 기판(120)의 접지부(121), 접촉 부재(160) 및 착용부(110)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착용부(110)는 절연성 링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접지부(121)의 제2 부분은 착용부(110)를 관통하는 금속성 접촉 부재(160)를 통하여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부(110)에서 접지부(121)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는 접촉 부재(1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 부재(160)의 일단은 접지부(121)의 제2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을 관통하여 착용부(110)의 내측면(110IF)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부(110)의 내측면(110IF)으로 돌출된 접촉 부재(160)의 돌출된 끝단은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160)의 돌출된 끝단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자연스럽게 접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는 경우, 안테나부(130)의 송수신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와 같이,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의 반사 계수(VSWR)를,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비교예의 반사 계수(VSWR)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의 방사 효율(total radiation efficiency)을,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비교예의 방사 효율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부(130)의 통과 대역인 2.400GHz ~ 2.485GHz 사이에서, 본 발명의 경우 반사 계수(VSWR)가 2.00dB 이하로 매우 낮고, 안정적인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나, 비교예의 경우, 반사 계수(VSWR)가 5.00dB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우, 2.400GHz ~ 2.485GHz 사이의 통과 대역보다 훨씬 넓은 2.330GHz ~ 2.560GHz 사이 범위에서 5.00dB 이하로 반사계수가 유지되나, 비교예의 경우 2.330GHz 및 2.560GHz에서 반사 계수(VSWR)가 11.00dB로 사실상 수신이 불가능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부(130)의 접지 단자(132)가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안테나부(130)의 수신 성능이 매우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방사 효율이 대략 2.400GHz ~ 2.505GHz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8.5dB 이하로 유지되지만, 본 발명의의 경우 2.360GHz ~ 2.520GHz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8.0 dB 이상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에서도 비교예와 비교하여 방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안테나부(130)의 송신 성능이 비교예와 비교하여 월등히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안테나부(130)의 전지 단자가 기판(120)의 접지 패턴을 통해 사용자(10)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부(130)의 접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테나부(130)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0: 착용부
120: 기판 130: 안테나부
140: 통신부 150: 센서 모듈

Claims (10)

  1. 내측면이 곡면 형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도전성의 전극부와 접지부가 패터닝되어 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접지 단자가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고, 신호를 입출력받는 피딩 단자가 상기 전극부에 연결되는 안테나부;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여,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의 접지 단자는 상기 기판의 접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부는 상기 기판의 일면부터 상기 기판의 타면까지 밴딩되어 연장되되,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 위치한 제1 부분은 상기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의 타면에 위치한 제2 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금속성 링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착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절연성 링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은 상기 착용부를 관통한 금속성 접촉 부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서 상기 접지부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접촉 부재가 삽입되되, 상기 접촉 부재는 일단이 상기 접지부의 제2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착용부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Chip 안테나, LDS 안테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monopole 안테나, PIFA 안테나, dipole 안테나, helical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또는 인쇄 회로 기판(PCB)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착용부의 곡면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94824A 2020-07-29 2020-07-29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1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24A KR102414507B1 (ko) 2020-07-29 2020-07-29 웨어러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24A KR102414507B1 (ko) 2020-07-29 2020-07-29 웨어러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56A KR20220014956A (ko) 2022-02-08
KR102414507B1 true KR102414507B1 (ko) 2022-07-01

Family

ID=8025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824A KR102414507B1 (ko) 2020-07-29 2020-07-29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29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9557A (ja) * 2002-03-05 2005-06-30 プレシジョン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識別器具用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16B1 (ko) * 2016-02-01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지형 웨어러블 기기
KR101949013B1 (ko) 2016-03-22 2019-02-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 약물 제어 방출을 위한 폴리락타이드 광학이성질체의 스테레오 복합체에 기초한 생분해성 이방성 나노입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9557A (ja) * 2002-03-05 2005-06-30 プレシジョン ダイナミ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識別器具用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56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8932B1 (en) Dual feed internal antenna
CN107112627B (zh) 一种可穿戴设备的天线及可穿戴设备
TWI633706B (zh) 穿戴式電子裝置
US7053841B2 (en) Parasitic element and PIFA antenna structure
JP5040926B2 (ja) アンテナ
US20070063903A1 (en) Built-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55947B1 (ko) 안테나 디바이스, 그 안테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및 그 통신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
US20100289702A1 (en) Dual-band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341476A1 (en) Band with an antenna for use with a wireless electronic device
KR102414507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209913044U (zh) 可穿戴智能设备
KR101898059B1 (ko) 슬롯 안테나가 설치된 전자 장치
TWI513110B (zh) 天線模組及應用該天線模組之無線通訊裝置
US6911943B2 (en)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JPH10163748A (ja) 平面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無線機
KR101408654B1 (ko) 사이드 키의 fpcb에 실장된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7859470B2 (en) Multiple element antenna assembly
JP2014003608A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のアンテナモジュール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KR10063488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8629810B2 (en) Multiband antenna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63156A (ko) 안테나 구조체
KR101651902B1 (ko)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12886207B (zh) 穿戴式电子设备
KR102139075B1 (ko) 슬롯 안테나가 설치된 전자 장치
US20080169983A1 (en)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