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351B1 -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 Google Patents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351B1
KR102414351B1 KR1020210147874A KR20210147874A KR102414351B1 KR 102414351 B1 KR102414351 B1 KR 102414351B1 KR 1020210147874 A KR1020210147874 A KR 1020210147874A KR 20210147874 A KR20210147874 A KR 20210147874A KR 102414351 B1 KR102414351 B1 KR 10241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coupler
elastic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회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김병회
김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회, 김태민 filed Critical 김병회
Priority to KR102021014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공사 등에서 사용하는 철근 및 기타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를 연결시켜주는 철근 및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 자재(110); 및 내부에 형성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를 통해 건설공사 자재(110)를 이음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커플러 바디(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Connection coupler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공사 등에서 사용하는 철근 및 기타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를 연결시켜주는 철근 및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등에서 사용하는 철근 및 기타 파이프를 연결 시켜주는 철근 및 파이프 커플러는 다양하게 제조되고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나사를 이용한 쐐기 방식, 원터치 방식 등이 있으나 복잡한 형식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철근을 잡아 주는 톱니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보장시켜주질 못하고 있으며, 원형 스프링이 눌렸다 다시 펴져야 하는 관계로 철근을 잡아주는 톱니의 일괄적이고 꾸준하게 같은 힘과 작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28005(2018.10.25)호 "철근커플러 및 이의 제작방법(STEEL REINFORCING COUPL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20313(2019.02.21)호 "철근 커플러 제작방법(Reinforcing bar coupler product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72980 (2015.12.07)호 "철근용 커플러 및 이의 제조방법(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 영역의 중앙의 내측으로 타원형 홈을 갖는 되어 있고 좌우 및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 스프링인 탄성체를 철근 및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 삽입구에 해당하는 커플러 바디의 입구 지름보다 적게 오므렸다 커플러 바디 내부에 집어넣으면 다시 넓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고정 톱니를 역으로 밀어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힘을 소멸시키지 않고 영구적으로 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가가 낮아 지면 모든 건설공사 자재에 사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래 공사시 철근 작업은 법적인 이음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철근 지름에 따라 다르지만 22mm 기준 약 1.5m 이며 그 철근 이음 길이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울러 철근 절단 비용 및 원터치로 이을 수 있는 장점으로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2개의 내부부속으로 되어 있고 그 부속만으로 철근 및 파이프 등의 이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단순하여 제조시 자동화 설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는, 1자형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철근, 파이프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에 의해 이음 시공이 필요한 자재인 건설공사 자재(110); 연결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은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2개의 삽입구 형성단이 형성되며, 삽입구 형성단의 중앙단은 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연결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은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2개의 삽입구 형성단이 형성되며, 삽입구 형성단의 중앙단은 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를 통해 건설공사 자재(110)를 이음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며,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는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을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탄성체(140)의 2개의 탄성단이 맞닿는 영역을 수용하며, 탄성체(140)의 각 2개의 탄성단은 길이 방향의 중앙 지점이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의 타원형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는 커플러 바디(120); 입구가 좁아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 형성단의 내측으로 맞닿고 내측으로는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되기 위한 톱니형 돌기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톱니 몸체에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와 인접한 끝단에 복수로 길이 방향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시 벌려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고정 톱니(130);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가진 개체로 형성되며,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2개의 탄성단이 합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는 탄성체(140); 를 포함하며, 건설공사 자재(11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단으로 삽입하고, 고정 톱니(130)를 지나 타원형의 홈 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단이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140)의 홈 영역으로 밖으로 밀면서 탄성체(140)가 일자로 커플러 바디(120) 내에서 형성되며, 탄성체(140)가 펴지면서 위쪽의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구 상단으로 밀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 톱니(130)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밀착 구조가 형성되며, 건설공사 자재(110)를 밀고 있는 탄성체(140)에 의해 외력이 발생해도 고정 톱니(130)는 후퇴하지 않고 지속적인 힘으로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내부 타원 형 홈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가능한 탄성체(140)를 연결하고자 하는 건설공사 자재(110)의 삽입 과정에서 밖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탄성체(140)를 일자로 만들어 주면서 상부의 쐐기 모양의 톱니인 고정 톱니(130)를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올려 건설공사 자재(110) 주위에 밀착시켜 주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하며, 건설공사 자재(110)의 연결은 철근 및 파이프를 잡아줄 수 있는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에 있으며, 고정 톱니(130)를 밀어 넣은 건설공사 자재(110)의 반대, 즉 역으로 보내 건설공사 자재(110)를 감싸게 하고 후에 쐐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고 그 힘을 역으로 작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정 톱니(130)와 탄성체(140)를 일체 구조로 만들어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로 건설공사 자재(110)를 한 번에 집어넣어 삽입구보다 넓은 내부에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제공하며, 테두리 영역의 중앙의 내측으로 타원형 홈을 갖게 되어 있고 좌우 및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 스프링인 탄성체(140)를 철근 및 파이프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구에 해당하는 커플러 바디(120)의 입구 지름보다 적게 오므렸다 커플러 바디(120) 내부에 집어넣으면 다시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는, 테두리 영역의 중앙의 내측으로 타원형 홈을 갖는 되어 있고 좌우 및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 스프링인 탄성체를 철근 및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 삽입구에 해당하는 커플러 바디의 입구 지름보다 적게 오므렸다 커플러 바디 내부에 집어넣으면 다시 넓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고정 톱니를 역으로 밀어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힘을 소멸시키지 않고 영구적으로 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가가 낮아지면 모든 건설공사 자재에 사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는, 또한, 본 발명은 본래 공사시 철근 작업은 법적인 이음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철근 지름에 따라 다르지만 22mm 기준 약 1.5m 이며 그 철근 이음 길이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는, 아울러 철근 절단 비용 및 원터치로 이을 수 있는 장점으로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으며, 2개의 내부부속으로 되어 있고 그 부속만으로 철근 및 파이프 등의 이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단순하여 제조시 자동화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는 건설공사 자재(110), 커플러 바디(120),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공사 자재(110)는 1자형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철근,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에 의해 이음 시공이 필요한 자재일 수 있다.
커플러 바디(120)는 연결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은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2개의 삽입구 형성단이 형성되며, 삽입구 형성단의 중앙단은 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를 통해 건설공사 자재(110)를 이음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톱니(130)는 입구가 좁아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 형성단의 내측으로 맞닿고 내측으로는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되기 위한 톱니형 돌기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톱니(130) 상에서 톱니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톱니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중심으로 원주 방향 중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와 인접한 끝단에 복수로 길이 방향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시 벌려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140)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가진 개체로 형성되며,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2개의 탄성단이 합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는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을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탄성체(140)의 2개의 탄성단이 맞닿는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탄성체(140)의 각 2개의 탄성단은 길이 방향의 중앙 지점이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의 타원형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시공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건설공사 자재(11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단으로 삽입한다.
이후, 고정 톱니(130)를 지나 타원형의 홈 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단이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140)의 홈 영역으로 밖으로 밀면서 탄성체(140)가 일자로 커플러 바디(120)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140)가 펴지면서 위쪽의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구 상단으로 밀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 톱니(130)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밀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건설공사 자재(110)를 밀고 있는 탄성체(140)에 의해 어떠한 외력이 발생해도 고정 톱니(130)는 후퇴하지 않고 지속적인 힘으로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시공 방식을 통해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는 내부 작동 원리를 바꿔 제조 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동 원리의 단순화로 철근,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110)를 잡아 주는 고정 톱니(130)의 역할을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내부 타원 형 홈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가능한 탄성체(140)를 연결 고자 하는 건설공사 자재(110)의 삽입 과정에서 밖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탄성체(140)를 일자로 만들어 주면서 상부의 쐐기 모양의 톱니인 고정 톱니(130)를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올려 건설공사 자재(110) 주위에 밀착시켜 주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모든 철근이나 파이프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 자재(110)의 연결은 철근 및 파이프를 잡아줄 수 있는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에 있다.
고정 톱니(130)를 밀어 넣은 건설공사 자재(110)의 반대, 즉 역으로 보내 건설공사 자재(110)을 감싸게 하고 후에 쐐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많은 기술이 있지만 현재 나와 있는 기술은 스프링의 자체 원리로 톱니를 밀어 주거나, 두 개를 만들어 나사식으로 끼워주는 실정이다.
자체 스프링의 원리는 철근 등의 건설공사 자재(110)의 삽입구보다 지름이 크게 만들고 삽입시 스프링을 수축시킨 후에 다시 올라오면서 톱니를 미는 구조이며 삽입구 보다 원형스프링의 지름이 커야 하고 스프링의 강도도 강해야 한다.
종래의 쐐기 방식은 나사식으로 한 번 더 조립 과정을 거치는 관계로 인건비 및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삽입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고 그 힘을 역으로 작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정 톱니(130)와 스프링 등의 탄성체(140)를 일체 구조로 만들어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로 한 번에 집어넣어 삽입구보다 넓은 내부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두리 영역의 중앙의 내측으로 타원형 홈을 갖는 되어 있고 좌우 및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 스프링인 탄성체(140)를 철근 및 파이프 등의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구에 해당하는 커플러 바디(120)의 입구 지름보다 적게 오므렸다 커플러 바디(120) 내부에 집어넣으면 다시 넓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고정 톱니(130)를 역으로 밀어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힘을 소멸시키지 않고 영구적으로 쓸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가가 낮아지면 모든 건설공사 자재(110)에 사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래 공사시 철근 작업은 법적인 이음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철근 지름에 따라 다르지만 22mm 기준 약 1.5m 이며 그 철근 이음 길이를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철근 절단 비용 및 원터치로 이을 수 있는 장점으로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2개의 내부부속으로 되어 있고 그 부속만으로 철근 및 파이프 등의 이음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단순하여 제조시 자동화 설비를 구축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110 : 철근
120 : 커플러 바디
130 : 고정 톱니
140 : 탄성체

Claims (5)

1자형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철근, 파이프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100)에 의해 이음 시공이 필요한 자재인 건설공사 자재(110);
연결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은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2개의 삽입구 형성단이 형성되며, 삽입구 형성단의 중앙단은 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연결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은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2개의 삽입구 형성단이 형성되며, 삽입구 형성단의 중앙단은 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를 통해 건설공사 자재(110)를 이음 시공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며,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는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을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탄성체(140)의 2개의 탄성단이 맞닿는 영역을 수용하며, 탄성체(140)의 각 2개의 탄성단은 길이 방향의 중앙 지점이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의 타원형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는 커플러 바디(120);
입구가 좁아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 형성단의 내측으로 맞닿고 내측으로는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되기 위한 톱니형 돌기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톱니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톱니 몸체에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와 인접한 끝단에 복수로 길이 방향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건설공사 자재(110)가 삽입시 벌려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고정 톱니(130);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력을 가진 개체로 형성되며,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을 중심으로 2개의 탄성단이 합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탄성단의 중앙은 커플러 바디(120)의 중앙단의 가운데 지점에 위치하는 탄성체(140); 를 포함하며,
건설공사 자재(11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단으로 삽입하고, 고정 톱니(130)를 지나 타원형의 홈 구조를 갖는 2개의 탄성단이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140)의 홈 영역으로 밖으로 밀면서 탄성체(140)가 일자로 커플러 바디(120) 내에서 형성되며,
탄성체(140)가 펴지면서 위쪽의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를 커플러 바디(120)의 양 삽입구 상단으로 밀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 톱니(130)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밀착 구조가 형성되며,
건설공사 자재(110)를 밀고 있는 탄성체(140)에 의해 외력이 발생해도 고정 톱니(130)는 후퇴하지 않고 지속적인 힘으로 건설공사 자재(110)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내부 타원 형 홈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가능한 탄성체(140)를 연결하고자 하는 건설공사 자재(110)의 삽입 과정에서 밖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탄성체(140)를 일자로 만들어 주면서 상부의 쐐기 모양의 톱니인 고정 톱니(130)를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올려 건설공사 자재(110) 주위에 밀착시켜 주어 건설공사 자재(110)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하며,
건설공사 자재(110)의 연결은 철근 및 파이프를 잡아줄 수 있는 쐐기 모양의 고정 톱니(130)에 있으며, 고정 톱니(130)를 밀어 넣은 건설공사 자재(110)의 반대, 즉 역으로 보내 건설공사 자재(110)를 감싸게 하고 후에 쐐기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시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고 그 힘을 역으로 작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정 톱니(130)와 탄성체(140)를 일체 구조로 만들어 커플러 바디(120)의 삽입구로 건설공사 자재(110)를 한 번에 집어넣어 삽입구보다 넓은 내부에서 고정 톱니(130) 및 탄성체(140)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제공하며,
테두리 영역의 중앙의 내측으로 타원형 홈을 갖게 되어 있고 좌우 및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일자형 스프링인 탄성체(140)를 철근 및 파이프를 포함하는 건설공사 자재(110) 삽입구에 해당하는 커플러 바디(120)의 입구 지름보다 적게 오므렸다 커플러 바디(120) 내부에 집어넣으면 다시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210147874A 2021-11-01 2021-11-01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KR10241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874A KR102414351B1 (ko) 2021-11-01 2021-11-01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874A KR102414351B1 (ko) 2021-11-01 2021-11-01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351B1 true KR102414351B1 (ko) 2022-06-29

Family

ID=8227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874A KR102414351B1 (ko) 2021-11-01 2021-11-01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3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623A (ko) * 2004-08-16 2004-09-04 김석윤 파이프 고정장치
KR20060057240A (ko) * 2004-11-23 2006-05-26 병 선 천 원터치식 스테인레스 강관 배관 이음쇠
KR20210051441A (ko) * 2019-10-30 2021-05-10 신인승 철근조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623A (ko) * 2004-08-16 2004-09-04 김석윤 파이프 고정장치
KR20060057240A (ko) * 2004-11-23 2006-05-26 병 선 천 원터치식 스테인레스 강관 배관 이음쇠
KR20210051441A (ko) * 2019-10-30 2021-05-10 신인승 철근조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용 커플러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72980 (2015.12.07)호 "철근용 커플러 및 이의 제조방법(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128005(2018.10.25)호 "철근커플러 및 이의 제작방법(STEEL REINFORCING COUPL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9-0020313(2019.02.21)호 "철근 커플러 제작방법(Reinforcing bar coupler produc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0594751B1 (ko) 철근 이음구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102414351B1 (ko) 건설공사 자재용 연결커플러
CZ289835B6 (cs) Objímka pro trubky
EP1861562B1 (en) Device for coupling sheaths
KR100305893B1 (ko) 철근 이음장치
KR19990064729A (ko) 철근의 기계식 이음방법 및 그 이음구
RU2018763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ов двух труб
KR102167075B1 (ko)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0569710B1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SK283512B6 (sk) Zvieracie spojenie rúrok prostredníctvom zvieracej objímky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102344476B1 (ko) 초기 슬립방지용 철근 커플러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20020038291A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164483Y1 (ko) 이중흄관의 결합장치
KR200223729Y1 (ko) 삽입식 이형철근용 이음장치
KR20210007522A (ko) 철근 커플링
KR100377923B1 (ko) 삽입식 이형철근용 이음장치와 그 체결 방법
US797914A (en) Split sleeve for gas, water, or other pipes.
KR100386333B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327336Y1 (ko) 철근 연결구
KR101160170B1 (ko) 파이프 연결용 일체형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