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288B1 -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288B1
KR102414288B1 KR1020210134795A KR20210134795A KR102414288B1 KR 102414288 B1 KR102414288 B1 KR 102414288B1 KR 1020210134795 A KR1020210134795 A KR 1020210134795A KR 20210134795 A KR20210134795 A KR 20210134795A KR 102414288 B1 KR102414288 B1 KR 10241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s
mobile
monitoring server
mov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큐브
Priority to KR102021013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적층 및 결합을 통해 이동형 학교 건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형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감시 서버, 그리고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열 변화, 연기, 진동,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소화부, 상기 감시 서버에게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및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촬영부, 센싱부, 소화부, 통신부, 및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OF MOVABLE MODULE}
본 발명은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통합 안전 감시가 가능한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은 공장에서 제작한 구조, 마감, 설비 등이 갖추어진 3차원 모듈을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 완성하는 프리팹 건축(Prefabricated Building) 시스템 및 공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모듈러 건축은 프리팹 건축(또는 공업화 건축)의 한 유형으로 공장 생산 수준, 공장 샌산 형태 및 각 국가별 관행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정의되고 있다.
현재 모듈러 건축을 포함한 프리팹 건축은 다수의 모듈 제작사, 건설사, 발주처로부터 미래 건축의 한 형태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이동형 모듈이 하나의 건축물로 완성된 상태에서 각 이동형 모듈의 진동, 하중, 소음, 모듈 간 거리, 화재, 환자 발생 등 안전 상태를 통합 감시하는 시스템이 없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동형 모듈이 하나의 건축물로 완성된 상태에서 각 이동형 모듈의 진동, 하중, 소음, 모듈 간 거리, 화재, 환자 발생 등 안전 상태를 통합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이동형 모듈이 하나의 건축물로 완성된 상태에서 각 이동형 모듈의 진동, 하중, 소음, 모듈 간 거리, 화재, 환자 발생 등 안전 상태를 통합 감시할 수 있는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은 적층 및 결합을 통해 이동형 학교 건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형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감시 서버, 그리고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열 변화, 연기, 진동,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소화부, 상기 감시 서버에게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및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촬영부, 센싱부, 소화부, 통신부, 및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하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열 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열 변화 또는 연기가 감지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은 감시 서버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및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은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은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열 변화 또는 연기가 감지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형 모듈이 하나의 건축물로 완성된 상태에서 각 이동형 모듈의 진동, 하중, 소음, 모듈 간 거리, 화재, 환자 발생 등 안전 상태를 통합 감시할 수 있다.
각 모듈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화재, 건물 붕괴 등 위험 발생 여부를 미연에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환자 발생 여부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골든타임 확보 등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차량 또는 공사장 소음 등으로 인한 기준 소음 이상 발생시 창문을 폐쇄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이동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이동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감시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은 한 실시예로서, 적층 및 결합을 통해 이동형 학교 건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은 촬영부(110), 센싱부(120), 소화부(130), 통신부(140), 경보부(150), 창문 구동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IP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10)는 한 실시예로서, 모듈 내부의 특정 위치(예, 천장 모서리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한 실시예로서, 컬러 영상 데이터, 적외선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한 실시예로서, 열 변화, 연기, 진동, 하중, 소음, 압력, 모듈 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한 실시예로서, 화재 감지 센서, 진동 센서, 하중 센서, 소음 센서, 압력 센서,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 내부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열 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진동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 내부의 천장, 내벽,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진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중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하부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하중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소음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 내부의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소음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 내부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외부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각 모듈 간 측간 결합에 의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측정 센서일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외부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는 한 실시예로서, 각 모듈 간 측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소화부(130)는 한 실시예로서, 내부의 특정 위치(예, 천장)에 설치될 수 있고,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소화부(130)는 한 실시예로서, 소방 스프링쿨러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감시 서버(200)에게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하중 정보, 소음 정보, 압력 정보, 모듈 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한 실시예로서, 저전력장거리(Low Power Wide Area, LPWA)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150)는 한 실시예로서, 스피커를 통해 미리 저장된 음성 또는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창문 구동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형 모듈(100)의 내부의 특정 일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창문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창문 구동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슬라이딩 방식의 창문 일면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161), 창틀에 부착되며 제1 고정부(16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1 이동부(162),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창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고정부(161)를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창문 구동부(160)는 한 실시예로서, 오픈 방식의 창문 일면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164), 창틀에 부착되며 제2 고정부(164)가 창틀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신장 또는 단축되는 가변 레일을 포함하는 제2 이동부(165),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창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가변 레일을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한 실시예로서, 감시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촬영부(110), 센싱부(120), 소화부(130), 통신부(140), 경보부(150), 창문 구동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하중 정보, 소음 정보, 압력 정보, 모듈 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진동 이상 여부, 하중 이상 여부, 소음 이상 여부, 모듈 간 결합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알림 메시지를 유관기관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준 진동량 이상의 진동 발생으로 인한 건물 붕괴 위험 여부를 미연에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알림 메시지를 유관기관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준 하중 이상의 하중 발생으로 인한 건물 붕괴 위험 여부를 미연에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열 변화 또는 연기가 감지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화재 관련 컬러 영상 데이터 및 적외선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은 한 실시예로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학습 알고리즘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학습 알고리즘일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제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각 이동형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소화부(130)를 동작시켜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알림 메시지를 유관기관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인한 재난 사고를 미연에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사람이 쓰러졌을 때의 이미지, 구조 요청 관련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은 한 실시예로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학습 알고리즘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학습 알고리즘일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제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각 이동형 모듈(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로부터 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환자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환자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알림 메시지를 유관기관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 발생 여부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골든타임 확보 등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독 가스로 인한 질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소음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소음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창문을 폐쇄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차량 또는 공사장 소음 등으로 인한 기준 소음 이상 발생시 창문을 폐쇄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압력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을 비교하고 모듈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제5 기준값을 비교하여, 모듈 간 결합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모듈 간 결합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모듈 간 결합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알림 메시지를 유관기관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듈 간 결합 이상으로 인한 건물 붕괴 위험 여부를 미연에 감지할 수 있고, 경보음 출력 및 유관기관 등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감시 서버(200)는 한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화재 발생 정보, 진동 위험 정보, 하중 위험 정보, 소음 정보, 모듈 간 결합 위험 정보, 환자 발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한 실시예로서,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감시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고, 감시 서버(200)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유관기관 서버(400)는 한 실시예로서, 소방서, 경찰서,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정부기관 서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은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소음 정보,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S210),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22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S310),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32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소음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S410),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소음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창문을 폐쇄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42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압력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을 비교하고 모듈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제5 기준값을 비교하여, 모듈 간 결합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S510),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모듈 간 결합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은 감시 서버(200)가 미리 저장된 제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 (100)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소화부(130)를 동작시켜 물을 분사하며, 창문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창문을 개방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620), 감시 서버(200)가 미리 저장된 제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10),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환자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S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 내지 단계 S720은 위에서 설명한 감시 서버(200)의 동작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버스(9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96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970), 및 저장 장치(9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또한 네트워크에 결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930) 또는 저장 장치(98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930) 및 저장 장치(98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30)는 ROM(read only memory)(9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9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구현된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본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은 프로세서(91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소음 정보,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소음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소음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창문을 폐쇄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감시 서버(200)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각각의 압력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을 비교하고 모듈 간 거리와 미리 설정된 제5 기준값을 비교하여, 모듈 간 결합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모듈 간 결합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제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의 이동형 모듈 (100)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소화부(130)를 동작시켜 물을 분사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제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의 이동형 모듈(100) 중 환자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150)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300)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의 동작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감시 서버(200)의 동작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적층 및 결합을 통해 이동형 학교 건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형 모듈,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감시 서버, 그리고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
    열 변화, 연기, 진동, 하중을 측정하는 센싱부,
    내부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물을 분사하는 소화부,
    상기 감시 서버에게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및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내부의 특정 일면에 설치되는 창문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창문 구동부, 및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촬영부, 센싱부, 소화부, 통신부, 경보부, 및 창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미리 저장된 제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미리 저장된 제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센싱부는 진동 센서, 하중 센서, 및 소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내부의 천장, 내벽, 및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소음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내부의 천장 및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소음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소음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동작시켜 창문을 폐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동작시켜 창문을 개방하며,
    상기 창문 구동부는
    오픈 방식의 창문 일면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 창틀에 부착되며 제2 고정부가 창틀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신장 또는 단축되는 가변 레일을 포함하는 제2 이동부, 및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창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가변 레일을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센싱부는 열 변화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열 변화 또는 연기가 감지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5.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의 이동형 모듈을 안전을 통합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감시 서버가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으로부터 영상 데이터, 열 변화, 연기, 진동 정보, 및 하중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진동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을 비교하여, 진동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진동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하중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하중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하중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경보부를 동작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의 소음 센싱값과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을 비교하여, 소음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소음 이상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동작시켜 창문을 폐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감시 서버가 미리 저장된 제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중 화재 발생으로 판단된 이동형 모듈의 창문 구동부를 동작시켜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시 서버가 미리 저장된 제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환자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모듈 각각은
    진동 센서, 하중 센서, 및 소음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내부의 천장, 내벽, 및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소음 센서는 각 이동형 모듈의 내부의 천장 및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 구동부는
    오픈 방식의 창문 일면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 창틀에 부착되며 제2 고정부가 창틀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신장 또는 단축되는 가변 레일을 포함하는 제2 이동부, 및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창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가변 레일을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10134795A 2021-10-12 2021-10-12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41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95A KR102414288B1 (ko) 2021-10-12 2021-10-12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95A KR102414288B1 (ko) 2021-10-12 2021-10-12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288B1 true KR102414288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95A KR102414288B1 (ko) 2021-10-12 2021-10-12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2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63Y1 (ko) *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거산기공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2227755B1 (ko) * 2019-01-10 2021-03-12 박중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763Y1 (ko) *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거산기공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KR101178927B1 (ko) * 2012-01-13 2012-08-31 주식회사 가윤시스템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2227755B1 (ko) * 2019-01-10 2021-03-12 박중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599B1 (en) Immersive virtual reality detection and alerting technology
US119909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iggering an alarm during a sensor jamming attack
US10497230B2 (en) Smart barrier alarm device
US11625997B2 (en) Emergency egress guidance using advisements stored locally on egress advisement devices
EP36353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US11908309B2 (en) Method for allowing drone activity to modify event detection by a monitoring system
US20160133108A1 (en) Intelligent smoke sensor with audio-video verification
JP2017506788A (ja) スマート非常出口表示
TWI442349B (zh) 緊急應變指揮系統及方法
KR20210051376A (ko)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TW201310361A (zh) 緊急引導系統及方法
KR102414288B1 (ko) 이동형 모듈 통합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Boonsong Smart intruder notifying system using NETPIE through line bo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latform
KR101729485B1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창문 감시장치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100589663B1 (ko) 화재 감지 시스템
KR20210148155A (ko) 이질적인 비상사태 검출 및 대응 성능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TWI711013B (zh) 地震逃生引導系統
KR102450327B1 (ko) 대규모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US10104310B1 (en) Geospatial security monitoring asset association
Bhattarai et al. Arduino based fire detection alarm in rural areas
CN116486577A (zh) 一种电缆井的智能化监管方法及装置
Debnath et al. IoT Based Smart Home and Office Fire Notification Alert System
US20220005280A1 (en) Alerts of mixed real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