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92B1 -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992B1
KR102413992B1 KR1020200021912A KR20200021912A KR102413992B1 KR 102413992 B1 KR102413992 B1 KR 102413992B1 KR 1020200021912 A KR1020200021912 A KR 1020200021912A KR 20200021912 A KR20200021912 A KR 20200021912A KR 102413992 B1 KR102413992 B1 KR 10241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lay
subsystem
audio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794A (ko
Inventor
이우근
정동진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11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727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20002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PA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가 배치된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되, 제어 디바이스는, 스마트 PA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하고,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접점 라인은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릴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인에이블(enable)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하도록 제어됨), 릴레이 디바이스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SMART PUBLIC ADDRESS SYSTEM FOR DELIVERY OF DEVICE INFORMATION WITH INAUDIBLE SIGNAL CARRY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전관 방송 시스템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향상된 기법에 관한 것이다.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은 건물 또는 복합단지, 예컨대, 아파트 단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공항, 쇼핑몰 등등과 같은 환경에 설치되어서, 넓은 구역에 걸쳐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음량 내지 볼륨의 소리(예컨대, 안내 음성, 배경 음악 등등)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관 방송을 위해 원하는 지역(가령, 회사의 지점) 별로 각종 디바이스가 설치된다.
그런데, 기존에도 전관 방송을 어느 정도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더 많은 수의 지역별 설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규모를 증가시킨 전관 방송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관 방송의 각 대상 지역에 각종 디바이스를 시공하고 유지·보수하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러한 대규모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각 지역 내에 배치된 디바이스가 무엇인지, 디바이스는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지 등을 쉽사리 파악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여전히 미흡하다.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이 본 문서에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가 배치된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되, 위 제어 디바이스는, 위 스마트 PA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하고, 위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위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위 접점 라인은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제어 신호에 따라 위 릴레이를 인에이블(enable)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하도록 제어됨), 위 릴레이 디바이스 및 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후술되는 몇몇 양상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된 주제(subject matter)의 중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정하는 데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나아가, 청구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이점을 제공하는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은 로컬 전관 방송 서브시스템 내의 각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은 로컬 전관 방송 서브시스템에서의 전관 방송의 플로우(flow)는 물론, 로컬 전관 방송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디바이스에 관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로컬 전관 방송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디바이스에 발생하거나 디바이스들 간의 선로 상에 발생한 고장 상태, 디바이스의 입출력 오디오 신호의 품질 상태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써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현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정보가 오디오 라인을 통해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정보가 접점 라인을 통해 전달되도록 마스터 디바이스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디바이스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구현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한 세부사항이 제공되는데, 몇몇 실시예는 이들 세부사항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없더라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공지 기술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한정적 의미로 고려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단수 형태의 표현은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이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어떤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나타내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시적인 스마트 PA 시스템(100)은 복수의 로컬(local) PA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각 로컬 PA 서브시스템은 원하는 지역이나 건물별로 시공 내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로컬 PA 서브시스템은 서로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communicatively coupled).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PA 시스템(100) 내에는 네트워크(180)(가령, 인터넷(Internet),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도시 영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기타 등등)을 통해 커플링된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및 제2 로컬 PA 서브시스템(102)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및 102)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에서, 각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은 전관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각자의 동작을 각자의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내에 배치된 제어 디바이스(110)는 전관 방송을 위한 오디오 신호를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내에 배치된 다른 디바이스(가령, 소스 디바이스(112))로부터 수신(하고 또한 이를 제2 로컬 PA 서브시스템(102) 내에 배치된 제어 디바이스(120)에 네트워크(180)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수신된 신호를 자신이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배치된 다른 디바이스(가령,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또는 앰프(114, 124))에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러한 오디오 신호가 재생을 위해 해당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의 특정 스피커(가령, 스피커(115-1, 125-1))에 전달되게 하는 제어 신호를 그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배치된 소정의 디바이스(가령,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동작은 그것이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내부에서든 또는 외부(가령, 관리 서브시스템(190))로부터든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은 각자의 소스 디바이스(112, 122) 및/또는 각자의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112, 122)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커플링된다. 비록 도 1에는 각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112, 122)와 하나의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는 릴레이 디바이스 없이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가 있거나, 소스 디바이스 없이 하나의 릴레이 디바이스가 있거나, 여러 소스 디바이스 및/또는 여러 릴레이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112, 122)는 이로부터 어떤 포맷의 오디오 신호가 유래하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2, 122)는 사운드 플레이어(가령,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CDP), MP3 플레이어, FM/AM 라디오 튜너, 인터넷 스트리밍 수신기, 카세트 데크, 다른 사운드 플레이어 등), 텍스트 대 발화(Text-To-Speech: TTS) 합성기, 마이크(가령, 원격 마이크(Remote Microphone: 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어떤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소스 디바이스(112, 122)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그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제공될 수 있고, 이후 네트워크(180)를 통해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102, 101)의 제어 디바이스(120, 110)에도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주어진 레벨(가령, 약 50V 내지 100V와 같은 스피커 레벨 또는 약 1V 내지 10V와 같은 라인 레벨)의 오디오 신호가 전파되는 것이 가능한 선로(이하에서 "오디오 라인"으로 칭해질 수도 있음)와 접속가능하다. 따라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그러한 오디오 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하나 이상의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로 릴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스피커로의 오디오 신호의 릴레이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enable)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오디오 신호 릴레이 제어는 입력 오디오 신호 및 주어진 스피커 간의 채널에 대응하는 접점의 온(on)/오프(off) 제어를 수반한다고 고려될 수 있다. 한정이 아니라 예로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는 16개 채널에 대응하는 16개의 스피커가 커플링될 수 있는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하나 이상의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고, 16개의 스피커 각각에 재생을 위해 입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릴레이하는 것을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다시 말해,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채널을 위한 접점을 온이 되게 하거나 오프가 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한 오디오 신호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내부(가령, 소스 디바이스(112, 122)) 또는 외부(가령,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102, 101) 내의 소스 디바이스(122, 112),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 기타 등등)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입력 오디오 신호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와 제어 디바이스(110, 120) 사이에 개재된 대응하는 앰프(114, 124)를 거쳐 증폭되고 이후에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라인 레벨(가령, 약 1V)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에 출력할 수 있고, 앰프(114, 124)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스피커 레벨(가령, 약 100V)로 증폭하여 앰프(114, 124)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에 출력할 수 있다.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된 스피커(가령, 115-1, 125-1)로 양자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는 각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하나의 앰프(114, 124)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 예를 들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여러 개의 앰프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직접적으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앰프(114, 124)와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가 직접적으로 커플링되지 않은 채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앰프(114, 124)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된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 외에도,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커플링된 스피커(121) 및/또는 앰프(114, 124)에 커플링된 스피커(123)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소리의 형태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 외에,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경광등(117, 127)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는 직류(Direct Current: DC) 전력의 입력을 위한 선로가 접속될 수 있고, 나아가 경광등(117, 127)으로의 DC 전력의 출력을 위한 선로가 접속될 수 있어서, 스마트 PA 시스템(100)에 의해 전관 방송이 행해지는 동안에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표시가 경광등(117, 127)에 나타나게 하는 DC 출력 신호가 경광등(117, 127)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와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에 접속된 선로(이는, 예컨대,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일 수 있고, 이하에서 "접점 라인"으로 칭해질 수도 있음)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커플링된 스피커 중 하나 이상으로 릴레이하는 것을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할 수 있는데, 제어 신호는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 릴레이를 제어하는 데에서의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특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가령,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여러 입력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된 여러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릴레이하거나 릴레이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오디오 신호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다른 특정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시가 경광등(117, 127)에 나타나도록 경광등(117, 127)에 DC 출력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은 스마트 PA 시스템(100)의 제공자나 운영자에 의해 또는 제3자에 의해 오디오 스트리밍을 제공하도록 운영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PA 시스템(100)은 관리 서브시스템(190)을 더 포함하는데, 로컬 PA 제어 시스템(101, 102)(특히, 제어 디바이스(110, 120))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관리 서브시스템(190)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관리 서브시스템(190)은 사용자(가령, 스마트 PA 시스템(100)의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어떤 정보를 표현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19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91)의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GUI는 컴퓨팅 디바이스(191)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GUI(197), 스케매틱(schematic) GUI(199)(이하에서 "도식화 GUI"로 칭해질 수도 있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제어
전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가령,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와 같은 각종 디바이스)은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가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210)는 감지 디바이스(212)와 커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통지 디바이스(211)와 커플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210)는 감지 디바이스(212)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어떤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령, 전술된 바와 같이,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점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어 디바이스(210)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220)에 전달될 수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자신이 속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는 데에, 또는 그러한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 디바이스(220)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또 다른 제어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위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디바이스(212)는 소리 및/또는 영상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2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디바이스(212)는 마이크 또는 유사한 것, 카메라 또는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감지 디바이스(212)는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예컨대, 화재 센서, 가스 센서, 움직임 센서, 지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명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통지 디바이스(211)는 제어 디바이스(210)에 의해 해당 로컬 PA 서브시스템이 어떻게 제어되는지를 알리기 위한 통지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통지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 디바이스(211)는 스피커 또는 유사한 것,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정이 아니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210) 및 제어 디바이스(220)는 각각 스마트 PA 시스템(100) 내의 어떤 두 제어 디바이스(가령,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의 제어 디바이스(110) 및 제2 로컬 PA 서브시스템(102)의 제어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또한, 감지 디바이스(212)는 제어 디바이스(210)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소스 디바이스(가령,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의 소스 디바이스(112))로서 배치된 RM을 포함할 수 있고, 통지 디바이스(211)는 제어 디바이스(210)가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스피커(가령, 제1 로컬 PA 서브시스템(101)의 스피커(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는 관리 서브시스템(190)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도 2에서 제어 디바이스(210)는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의 통상적인 제어 디바이스이 아니라 관리 서브시스템(190)의 컴퓨팅 디바이스(191)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191)로부터 제어 디바이스(220)에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제어 디바이스(220)는 그러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자신이 속한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거나, 다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220)는 컴퓨팅 디바이스(191)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GUI(191)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220)와 커플링된 릴레이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어될 릴레이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써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자. 이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디바이스(212)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RM(312)을 포함하고, 통지 디바이스(211)는 스피커(311-1) 및 디스플레이(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10)는 감지된 음성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RM(312)에 의해 감지된 음성 및/또는 이에 대한 응답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적합한 통지를 스피커(311-1) 및/또는 디스플레이(311-2)에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RM(312)에 의해 감지된 음성에 대한 처리는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은 음성 신호에 대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AI 시스템(370)(이는, 가령,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ML)을 기반으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발화 대 텍스트(Speech-To-Text: STT) 기능과 AI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AI 플랫폼을 구비한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같은 제3자 서비스 시스템일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음성(350)을 RM(312)이 감지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 디바이스(21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AI 시스템(370)에 전달할 수 있다. AI 시스템(370)은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그 텍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2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디바이스(210)는 그러한 텍스트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311-2)에 텍스트(가령, 351, 353, 355)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I 시스템(370)은 음성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적합한 오디오 및/또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 디바이스(2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10)는 AI 시스템(370)으로부터 텍스트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그 신호에 따라 텍스트(가령, 352, 354, 356)를 디스플레이(311-2)에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10)는 AI 시스템(370)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은 경우, 이에 따라 오디오(360)가 스피커(311-1)로부터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스마트 PA 시스템(100)은 로컬 PA 서브시스템을 제어하려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고 그것의 결과 및/또는 응답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시공 또는 보수에서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의 각종 디바이스들(가령, 소스 디바이스, 앰프, 릴레이 디바이스, 스피커, 경광등, 기타 등등)을 (가령, 시험을 위해) 제어하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다른 예로서, 주변 환경의 감지에 따라 설령 사용자의 개입이 없더라도 로컬 PA 서브시스템이 제어되는 시나리오를 고려하자. 비한정적인 예로서, 감지 디바이스(212)는 화재 센서, 가스 센서 및 지진 센서를 포함하고, 통지 디바이스(211)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제어 디바이스(210)에 의해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 서비스 시스템(170)에 의해서도) 처리되어 화재, 가스 누출 및/또는 지진의 발생이 판정된 경우, 제어 디바이스(212)는 그러한 판정에 적합한 사전정의된 오디오 및 이미지가 각각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로부터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스마트 PA 시스템(100)은 주변 환경에서 소정의 상황(가령,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한 상황에 따라 로컬 PA 서브시스템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황에 알맞은 메시지가 통지될 수 있게 한다.
로컬 PA 서브시스템의 모니터링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법이 아래에서 논의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 자체는 물론,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에 포함된 다른 디바이스에 관해 관리 서브시스템(19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110, 120) 외에도, 소스 디바이스(112, 122), 또 가능하게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앰프(114, 124),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 다른 스피커(113, 123) 및/또는 또 다른 스피커(111, 121)에 관한 상세사항(가령, 식별자, 모델명, 동작 상태, 고장 상태 등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가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관리 서브시스템(190)에 전달될 수 있다.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에서 스피커에서 산출되는 청각적 출력이나 경광등에서 산출되는 시각적 출력을 사람이 체크하는 것만으로는 어느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또는 고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곤란한데, 관리 서브시스템(190)에 의해 제공되는 GUI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반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입력 또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그 신호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오디오 품질 정보를 관리 서브시스템(19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품질 정보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소스 디바이스(112, 122)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 그리고/또는 앰프(114, 124)에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 주파수 응답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관리 서브시스템(190)은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오디오 품질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가령, GUI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브시스템(190)은 디바이스의 식별자(가령,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주소(address), 기타 등등), 타입(가령,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문자, 숫자, 이들의 조합 등), 모델명(가령, 디바이스의 모델을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문자, 숫자, 이들의 조합 등), 동작 상태(가령, 온(on), 오프(off), 재생(play), 기타 등등) 및/또는 고장 상태(가령, 고장 없음 내지 정상, 출력 에러, 기타 등등)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브시스템(190)은 오디오 라인 상의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응답(가령, 단순화된 응답 곡선) 및/또는 출력 레벨(가령, dB 단위로 표현된 레벨 값)을 나타내는 오디오 품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관리 서브시스템(190)은 그러한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픽 요소를 디폴트로(by default), 또는 해당 디바이스를 표현하는 그래픽 요소 또는 해당 오디오 라인을 표현하는 그래픽 요소에 대한 사용자 입력(가령, 클릭(click), 호버링(hovering), 기타 등등)에 응답하여, 도식화 GUI(199) 상에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오디오 품질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그래픽 요소는 텍스트는 물론, 비-텍스트 그래픽 요소(가령, 아이콘 내지 그래픽 이미지),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도식화 GUI(199) 상에 디바이스 정보 및 오디오 품질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현된 것을 예시한다. 도 4에서, 그래픽 요소(451, 453 및 455) 각각은 대응하는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내고, 그래픽 요소(461, 463 및 465) 각각은 대응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낸다. 그래픽 요소(471)는 대응하는 릴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내고, 그래픽 요소(481)는 대응하는 앰프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내며, 이들 그래픽 요소(471 및 481)은 각각, 가령 클릭되는 경우, 모델명, 동작 상태, 고장 상태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더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그래픽 요소(491, 492 및 493)은 각각 그래픽 요소(465, 471 및 48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출력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는 스피커의 존재를 나타낸다. 그래픽 요소(444)는 그래픽 요소(443)(이는 대응하는 오디오 라인을 나타냄)이 클릭되면 디스플레이되어 해당 오디오 라인 상의 오디오 신호에 관한 주파수 응답의 개략적인 모습과 출력 레벨의 근사값을 나타낸다. 그래픽 요소(431)는 그래픽 요소(455)에 대응하는 소스 디바이스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고, 그래픽 요소(432)는 그래픽 요소(445)에 대응하는 오디오 라인 상에서 오디오 신호가 전파되는 데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낸다. 나아가, 선로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가령, 그래픽 요소(443), 그래픽 요소(445) 등)는 그 요소를 클릭하거나 그 요소 상에서 호버링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 주어지는 경우에, 색이 바뀌고/거나 선 굵기가 굵어지고/거나 깜박이게 되는 등의 방식으로 강조표시될(highlighted)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어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어떤 제어 디바이스(들)를 거치는지, 제어 디바이스를 통과한 오디오 신호가 어느 출력 스피커까지 전해지는지, 그러한 오디오 신호의 흐름을 위해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가 어느 선로를 따라 흘러가는지 등 스마트 PA 시스템(100) 내에서의 전반적인 신호 흐름을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관리 서브시스템(190)이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오디오 품질 정보를 (가령, 도식화 GUI(199) 상에) 나타내는 것은,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시공·배치된 여러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을 통한 전관 방송의 진행 상태 내지 방송 플로우(flow),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디바이스 내에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 간의 선로 상에 발생한 고장 상태, 그리고/또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입력 또는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품질 상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정보에 기반한 모니터링의 이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110, 120)가 다른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어떻게 획득하는지가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
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112, 122)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오디오 라인 상에서 소스 디바이스(112, 122)로부터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2, 122)는 자신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주파수 대역 상의 특정한 신호(가령, 가청 주파수를 넘는 주파수를 갖는 정현파 신호, 또는 기타 파일럿 신호)에 싣는 방식으로 전송하되, 이 불가청(inaudible) 신호를 오디오 신호에 더한 아날로그 신호를 오디오 라인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그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 후,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불가청 신호를 오디오 신호와 분리함으로써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12, 122)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신호를 오디오 라인을 통하여 송신하는 것은 그러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기존의 소스 디바이스에 접속될 추가적인 선로를 마련하는 것(그리고 이에 따라 기존에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시공된 선로에 변화를 주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바, 지나친 비용 부담 없이 스마트 PA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120)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505)를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510)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512)(가령, 32 내지 48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짐)로 처리하여 PCM 신호(513) x[n]을 획득할 수 있고, 이 신호(513)를 패킷화기(514)에 입력하여 네트워크 패킷(515) p[m]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패킷(515)은 네트워크(180)를 통해 다른 제어 디바이스(120, 11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505)를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520) 및 ADC(522)(가령, 64 내지 96 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짐)로 처리하여 이산 신호(523) i[n]을 획득할 수 있고, 이 신호(523)를 FFT 및 주파수 분석기(524)에 입력하여 디바이스 정보(525) d[l]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디바이스 정보(525)는 네트워크(180)를 통해 관리 서브시스템(190)에 전달될 수 있다.
릴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신호는 (가령, 반이중(half-duplex) 방식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접점 인터페이스의 동작 타이밍에 따라 접점 라인 상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로부터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기존에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을 위한 접점 인터페이스를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로의 단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과는 사뭇 상이한데, 사실 기존의 설계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오디오 신호 릴레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송신하는 것을 감안하였을 뿐,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은 전혀 염두에 두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신호를 접점 라인을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스마트 PA 시스템(100)의 경제적인 구현이 수월하게 될 수 있으니, 그러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기존의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될 별도의 선로를 추가할 필요(결국, 기존에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내에 시공된 선로에 변화를 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 대한 설명이, 도 6 및 도 7에 대한 참조와 함께, 아래에서 주어진다.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에 접점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바,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의 다른 디바이스(가령,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도록 동작하는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가령, 도 7의 마스터 디바이스(670))를 포함할 수 있고,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요청된 정보로써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응답하도록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slave device)(가령, 도 7의 슬레이브 디바이스(680-1 내지 680-N)(이하에서, 개별적으로 680으로 표기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개수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주어진 채널의 개수(가령, 16개) 이상일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670)와 각 슬레이브 디바이스(680) 간의 선로는 집합적으로 접점 라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각 채널이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여러 채널의 그룹이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 및/또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어떤 채널도 대응하지 않고 일종의 널(null) 채널이 대응한다고 간주될 수 있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하나의 채널이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된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 채널 상에서 오디오 신호 릴레이가 인에이블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되는지는 그 채널을 위한 제어 신호, 가령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제공되는 어떤 신호의 이진 레벨(곧, 그 채널에 대한 접점이 온인지 또는 오프인지)에 달려 있을 수 있다. 한편, 채널 그룹 또는 널 채널이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앰프(114, 124) 및/또는 스피커(113, 123)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또는 이 섹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채널 그룹이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의 경우,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 그룹 내의 각 채널 상에서의 오디오 신호 릴레이가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널 채널이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의 경우,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서의 어떤 오디오 신호 릴레이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과도 무관하다.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살펴본다. 이 예시적인 시나리오에 따르면, 제1 시간 구간(601)에서, 마스터 디바이스(670)의 트리거 포트(가령, 도 7에서 M_Trig_1으로 표기된 포트)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610)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의 트리거 포트(가령, 도 7에서 S_Trig_1으로 표기된 포트)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620)는 양자 모두 디폴트 값인 하이(high) 레벨을 갖는다. 하이 레벨의 트리거 신호(610)는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의 입장에 있음을 나타내는 한편, 하이 레벨의 트리거 신호(62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 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의 입장에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타이밍도를 참조하면, 이 시간 구간(601)에서, 마스터 디바이스(670)의 송신 포트(가령, 도 7에서 M_TxData_1으로 표기된 포트)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의 수신 포트(가령, 도 7에서 S_RxData_1으로 표기된 포트)로 전달되는 신호(630)의 레벨은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고 있다. 이 예에서, 이 신호(630)의 레벨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 시간 이상 하이 값에서 유지되는 경우, 대응 접점은 온(즉, 대응 채널 상에서 오디오 신호 릴레이가 인에이블됨)일 수 있다. 만일 신호(630)의 레벨이 임계 시간 이상 로우(low) 값에서 유지된다면, 대응 접점은 오프(즉, 대응 채널 상에서 오디오 신호 릴레이가 디스에이블됨)일 수 있다. (한편, 신호(630)의 레벨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대응 접점의 온/오프는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시간 구간(601)과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송신기로서 동작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 수신기로서 동작하면서 마스터 디바이스(670)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로의 신호(630)가 사전정의된 파형의 신호(가령, 후술되는 요청 신호 및 확인 신호)로서 전송되지 않는 시간 구간은 "접점 온/오프 모드"(또는 "통상 모드")에 해당한다고 여겨질 수 있다. 그러한 모드 중에 신호(630)의 레벨이 (가령, 하이 값에서 로우 값으로) 바뀌고 나서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된다면, 접점의 온/오프도 바뀌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가령, 신호(630)의 레벨이 바뀌는 것만으로는), 접점의 온/오프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시간 구간(601) 동안에 신호(630)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해당 채널의 접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이후, (주기적인 것이든 또는 소정의 이벤트에 대한 응답이든) 신호(630)의 레벨의 급격한 변화 내지 역전(가령, 도 6에서 로우 레벨로의 하강)과 함께 제2 시간 구간(602)이 시작되는데, 이 시간 구간(602) 동안에 트리거 신호(610 및 620)의 레벨은 변하지 않은 채로 있다. 제2 시간 구간(602)에서, 마스터 디바이스(67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송출되는 신호는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 그러한 요청 신호는 사전정의된 파형, 예컨대, 100ms 동안 10ms마다 반복되는 부분을 갖는 파형과 같이,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 레벨을 갖는 부분이 없는 파형을 가질 수 있고, 점점의 온/오프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670)는 주어진 채널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휴지(pause)한 채로,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신호(630)로서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송신한다.
요청 신호의 송신이 완료된 후, 트리거 신호(610)의 레벨이 로우 값으로 바뀌는 것으로 제3 시간 구간(603)이 시작한다. 또한,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송신 포트(가령, 도 7에서 S_TxData_1로 표기된 포트)로부터 마스터 디바이스(670)의 수신 포트(가령, 도 7에서 M_RxData_1로 표기된 포트)로 확인응답(Acknowledgement: ACK) 신호를 신호(640)로서 송출하기 시작하면서, 트리거 신호(620)의 레벨은 로우 값으로 바뀐다. 로우 레벨의 트리거 신호(62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의 입장에 있음을 나타내는 한편, 로우 레벨의 트리거 신호(610)는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의 입장에 있음을 나타낸다. ACK 신호를 발신한 후,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요청된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데이터 신호를 신호(640)로서 마스터 디바이스(670)에 전송한다. 제3 시간 구간(603) 동안에, 마스터 디바이스(670)는 주어진 채널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여전히 휴지한 채로 남아 있고,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대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신호(640)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680)는 이 시간 구간(603)에서 접점의 온/오프 상태를 바꾸는 것을 삼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시간 구간(603) 동안에 접점의 온/오프는 불변인 채로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도 6에서 제3 시간 구간(603) 동안 신호(630)가 통상 모드의 종료 시의 레벨인 하이 레벨로 지속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후,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신호의 송출이 완료되면, 트리거 신호(610, 620)의 레벨이 다시 하이 값으로 바뀌는 것과 함께 제4 시간 구간(604)이 시작된다. 마스터 디바이스(670)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주어진 채널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여전히 휴지한 채로, 자신에게의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를 신호(630)로서 슬레이브 디바이스(680)에 전송한다. 이 확인 신호는 사전정의된 파형, 예컨대,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 레벨을 갖는 부분이 없는 파형을 가질 수 있고, 점점의 온/오프는 지속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서, 제2 시간 구간(602) 내지 제4 시간 구간(604)에 걸쳐서 마스터 디바이스(67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송신이 휴지된 동안에, 그 제어 신호로써 제어가능한 오디오 신호 릴레이에는 인에이블된 것에서 디스에이블된 것으로든, 그 역으로든 전혀 변화가 없다. 결국, 제2 시간 구간(602) 내지 제4 시간 구간(604)은 함께 디바이스 체크 모드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제5 시간 구간(605)에서 통상 모드에 재진입된다. 이 시간 구간(605)은 접점의 온/오프의 변화 없이 시작되는데, 도 6에서는 제5 시간 구간(605)의 시작에서 신호(630)의 레벨이 직전의 통상 모드가 종료될 때와 동일하게 하이 값을 갖는 것으로 묘사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요청된 디바이스 정보가 마스터 디바이스(670)에(즉,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앰프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
실시예에서,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신호는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112, 122)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송과 유사하게,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는 가청 주파수를 벗어난 주파수 대역 상의 특정한 신호에 실려 오디오 라인을 통해 앰프(114, 124)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에서, 그러한 불가청 신호는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부터 앰프(114, 124)로 오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로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을 통해 앰프(114, 124)로부터 제어 디바이스(110, 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불가청 신호는 가청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송신되지 않을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110, 120)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와의 분리 없이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담긴 불가청 신호가 오디오 신호에 더해진 아날로그 신호가 앰프(114, 124)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오디오 라인 상에서 앰프(114, 124)로부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로 전달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12, 122)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110, 120)가 전달받은 후에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유사하게,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 및 디바이스 정보를 담은 불가청 신호를 분리하여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가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였는바,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과 마찬가지로, 요청된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가 마스터 디바이스(670)에(즉,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
실시예에서,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커플링된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 앰프(114, 124)에 커플링된 스피커(113, 123),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커플링된 스피커(111, 121)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 특히 동작 상태 및/또는 고장 상태는,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131781호 등에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는 것에 관해 개시된 선행 기술을 기반으로, 각각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앰프(114, 124) 및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앞의 두 경우에서 획득된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가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마스터 디바이스(670)로부터 어떤 스피커(가령, 115-1)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의 대응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680)(가령, 슬레이브 디바이스(680-1))는,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요청된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해당 스피커에 관한 요청된 정보를 마스터 디바이스(670)에(즉,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할 수 있다.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앰프(114, 124)가 스피커(113, 123)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 경우, 앰프(114, 124)는 획득된 정보를 자신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와는 별개로 상이한 불가청 신호에 담아 각자의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와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는 이에 따라 각각 별개의 루트를 거쳐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가령, 앰프(114, 124)는 스피커(113, 123)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담긴 불가청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하고,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담긴 불가청 신호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할 수 있거나, 스피커(113, 123)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담긴 불가청 신호를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하고, 앰프(114, 124)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담긴 불가청 신호를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앰프(114, 124) 간에 접속된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로 전달된 디바이스 정보는,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든 또는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든,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그러한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과 마찬가지로, 요청된 디바이스 정보가 마스터 디바이스(670)에(즉,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앰프(114, 126)는 획득된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를 자신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불가청 신호에 담아 동일한 오디오 라인 상에서 전송할 수 있어서,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와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는 동일한 루트를 거쳐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만일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 및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가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전달되었다면, 제어 디바이스(110, 120) 및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간의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에서 제어 디바이스(110, 120)의 마스터 디바이스(670)가 앰프 관련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스피커 관련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의 전달과 마찬가지로, 요청된 디바이스 정보가 마스터 디바이스(670)에(즉, 제어 디바이스(110, 120)에) 전달될 수 있다.
컴퓨팅 환경
예시적인 스마트 PA 시스템(100) 내의 각각의 디바이스(가령, 컴퓨팅 디바이스(191), 제어 디바이스(110, 120) 등)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810), 프로세서(810)와 커플링되어 프로세서(810)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820) 및 다양한 주변기기(8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프로세서(810)는 컴퓨팅 장치(8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프로세서 코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다른 하드웨어 및 로직 회로,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820)는 컴퓨터 실행가능(computer executable)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820)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휘발성(volatile) 메모리,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착탈가능(removable) 메모리, 비착탈가능(non-removable)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flash)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디스크 저장 매체, 다른 저장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또는 이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10)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8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80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가령 전술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주변기기(830)는 다양한 입출력(Input/Output: I/O)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컴퓨팅 장치(800)가 다른 장치, 디바이스, 기기 등등과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거나, 컴퓨팅 장치(800)로의 명령,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컴퓨팅 장치(800)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기기(830)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키보드, 키패드, 마이크, CD/DVD 플레이어, 하드웨어 TTS 합성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touch-sensitive display), 스피커, 프린터, 통신 인터페이스 카드, 직렬 포트(serial por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문서에 기술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이 체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명령어,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동작, 기법, 프로세스, 또는 이의 어떤 양상이나 부분을 구현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가령, 컴파일형(compiled) 또는 해석형(interpreted)) 프로그래밍 언어, 예컨대, 어셈블리(assembly), 기계어(machine language), 프로시저형(procedural) 언어, 객체지향(object-oriented) 언어 등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구현과 조합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팅 장치(8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실행 시에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개시된 기법을 수행하게 함)를 저장할 수 있고, 그러한 명령어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와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그리고 ROM, RAM,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 메모리와 같은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와 관련된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로컬 PA 서브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릴레이 디바이스, 스피커, 앰프, 소스 디바이스, 관리 서브시스템 등은 앞서 논의된 대응물, 예컨대, 스마트 PA 시스템(100), 로컬 PA 서브시스템(101, 102), 제어 디바이스(110, 120), 릴레이 디바이스(116, 126), 스피커(115-1 내지 115-m, 125-1 내지 125-n), 앰프(114, 124), 소스 디바이스(112, 122), 관리 서브시스템(190) 등에 각각 대응한다.
예 1은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위 PA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가 배치된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되, 위 제어 디바이스는, 위 스마트 PA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하고, 위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위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위 접점 라인은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제어 신호에 따라 위 릴레이를 인에이블(enable)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하도록 제어됨), 위 릴레이 디바이스 및 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은, 위 제어 디바이스가, 위 접점 라인에 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휴지(pause)한 채로,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위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여 위 요청에 대한 응답인 위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3은 예 2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휴지 동안에, 인에이블됨 및 디스에이블됨 간에 위 릴레이의 어떤 변화도 없다.
예 4는 예 1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신호가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앰프를 더 거쳐서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위 오디오 라인이 위 앰프에 접속되고, 위 제어 디바이스는 위 앰프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inaudible) 신호를 다른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거나 위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위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5는 예 1 내지 예 4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소스 디바이스가 위 로컬 PA 서브 시스템 내에 배치된 경우, 위 제어 디바이스는 위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또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불가청 신호를 위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위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위 또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6은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의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의 배치를 위한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인데, 위 제어 디바이스는, 위 스마트 PA 시스템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부와, 위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접점 인터페이스부(위 접점 라인은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가능하고,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제어 신호에 따라 위 릴레이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도록 제어가능함)와, 위 릴레이 디바이스 및 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인터페이스부가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 디바이스 정보를 위 스마트 PA 시스템의 관리 서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예 7은 예 6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은, 위 접점 인터페이스부가, 위 접점 라인에 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휴지한 채로,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위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여 위 요청에 대한 응답인 위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8은 예 7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휴지 동안에, 인에이블됨 및 디스에이블됨 간에 위 릴레이의 어떤 변화도 없다.
예 9는 예 6 내지 예 8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오디오 신호가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앰프를 더 거쳐서 위 릴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위 오디오 라인이 위 앰프에 접속가능하고, 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위 앰프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 정보가 실린 불가청 신호를 다른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거나 위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위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10은 예 6 내지 예 9 중 임의의 것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소스 디바이스가 위 로컬 PA 서브 시스템 내에 배치된 경우, 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위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 신호를 위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위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위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위 GUI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11은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위 PA 시스템은, 제어 디바이스 및 릴레이 디바이스가 배치된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는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되,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스마트 PA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위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위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됨), 위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위 제어 신호는 위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을 통해 위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됨), 위 제어 신호에 따라 위 릴레이 디바이스와 커플링된 스피커로의 위 오디오 신호의 릴레이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고,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위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 릴레이 디바이스 및 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위 제어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 12는 예 11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데이터 신호를 위 제어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안에 위 릴레이를 인에이블됨 및 디스에이블됨 간에 바꾸는 것을 삼가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13은 스마트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의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의 배치를 위한 릴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인데, 위 릴레이 디바이스는, 위 스마트 PA 시스템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위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인터페이스부(위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제공됨)와, 위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접점 인터페이스부(위 제어 신호는 위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을 통해 제공됨)와, 위 제어 신호에 따라 위 릴레이 디바이스와 커플링된 스피커로의 위 오디오 신호의 릴레이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도록 구성된 처리부를 포함하되, 위 접점 인터페이스부는,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위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 릴레이 디바이스 및 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위 접점 라인을 통해 제공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 14는 예 13의 주제를 포함하는데, 위 접점 인터페이스부가 위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동안에 위 처리부는 위 릴레이를 인에이블됨 및 디스에이블됨 간에 바꾸는 것을 삼가도록 또한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제한적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의 세부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101, 102: 로컬 전관 방송 서브시스템
110, 120: 제어 디바이스
116, 126: 릴레이 디바이스
190: 관리 서브시스템

Claims (10)

  1.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으로서,
    제어 디바이스, 릴레이 디바이스 및 앰프가 배치된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상기 로컬 PA 서브시스템과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PA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상기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 -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앰프를 거쳐서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상기 오디오 라인은 상기 앰프에 접속됨 - 하고,
    상기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 - 상기 접점 라인은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인에이블(enable)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하도록 제어됨 - 하며,
    상기 앰프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inaudible) 신호를 다른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거나,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 -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앰프로부터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추출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신호이되,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 신호를 상기 앰프를 거친 상기 오디오 신호에 더한 것임 - 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관리 서브시스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관 방송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PA 서브 시스템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불가청 신호를 상기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상기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관리 서브시스템에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
    전관 방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관리 서브시스템에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
    전관 방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브시스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고, 상기 전달된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GUI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전관 방송 시스템.
  6. 전관 방송(Public Address: PA) 시스템의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의 배치를 위한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PA 시스템의 다른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또는 상기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래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한 스피커로의 릴레이를 위해 오디오 라인에 출력 -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로컬 PA 서브시스템 내에 배치된 앰프를 거쳐서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상기 오디오 라인은 상기 앰프에 접속가능함 - 하고,
    상기 오디오 라인과는 별개의 선로인 접점 라인에 제어 신호를 출력 - 상기 접점 라인은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도록 제어가능함 - 하며,
    상기 앰프에 관한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inaudible) 신호를 다른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거나,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 -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앰프로부터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추출된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신호이되,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불가청 신호를 상기 앰프를 거친 상기 오디오 신호에 더한 것임 - 하도록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로컬 PA 서브 시스템 내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불가청 신호를 상기 오디오 신호와 더불어 상기 오디오 라인을 통해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다른 디바이스 정보가 실린 다른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접점 라인을 통해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시각적 표현을 위해 상기 PA 시스템의 관리 서브시스템에 전달하도록 또한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
KR1020200021912A 2019-10-22 2020-02-21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41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912A KR102413992B1 (ko) 2019-10-22 2020-02-21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58A KR102097278B1 (ko)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0200021912A KR102413992B1 (ko) 2019-10-22 2020-02-21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58A Division KR102097278B1 (ko) 2019-10-22 2019-10-22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81A Division KR102154702B1 (ko) 2020-05-27 2020-05-27 디바이스 정보가 접점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94A KR20210047794A (ko) 2021-04-30
KR102413992B1 true KR102413992B1 (ko) 2022-06-28

Family

ID=8226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912A KR102413992B1 (ko) 2019-10-22 2020-02-21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63B1 (ko) * 2003-05-30 2004-03-0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모듈형 전관방송 제어장치
KR101772819B1 (ko) *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63B1 (ko) * 2003-05-30 2004-03-02 주식회사 특수에이브이 모듈형 전관방송 제어장치
KR101772819B1 (ko) * 2016-08-11 2017-08-30 정호원 중앙집중 및 분산방식을 갖는 전관방송장비용 장애감지 및 차단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94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278B1 (ko)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US9459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head unit application host for a radar detector
AU202038251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ive streaming emergency dispatch data to first responders
US20130040599A1 (en) Emergency Call Hybrid Architecture
JP6747535B2 (ja)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54702B1 (ko) 디바이스 정보가 접점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KR102413992B1 (ko) 디바이스 정보가 불가청 신호에 실려 전달되는 스마트 전관 방송 시스템
US9147325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US11711650B2 (en) Troubleshooting of audio system
CN104038606A (zh) 一种耳机话筒组测试方法及系统
EP3107090B1 (en) Announcement signalling on board an aircraft
KR20200050152A (ko) 다중 기기를 음성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246048B (zh) 车辆计算系统经由辅助端口与移动装置通信的方法和系统
KR102221124B1 (ko) 네트워크 기반 전관 방송 시스템 내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의 프로토콜 변환
US20120269330A1 (en) Navigation System Support of In-Vehicle TTY System
KR102230799B1 (ko)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접점 라인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정보를 구성하는 기법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US201702084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navigation data for vehicle computing system playback
WO201811291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covert operation mode
KR20150049411A (ko) 비가청 대역의 음파를 이용한 방송방법, 방송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믹서
JP6771520B2 (ja) 放送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装置
EP36076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onitoring of radio data signals
JP2013061890A (ja) 放流警報システム
KR101604130B1 (ko) 건물 내부용 경보방송시스템 및 경보방송방법
KR20190097680A (ko) 위험상황 알림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