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75B1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975B1
KR102413975B1 KR1020200037399A KR20200037399A KR102413975B1 KR 102413975 B1 KR102413975 B1 KR 102413975B1 KR 1020200037399 A KR1020200037399 A KR 1020200037399A KR 20200037399 A KR20200037399 A KR 20200037399A KR 102413975 B1 KR102413975 B1 KR 10241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module
irradiation module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549A (ko
Inventor
김현수
이영곤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20003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93Brain, cereb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두개골 내부의 전두엽, 두정엽, 양측의 측두엽 위치에 각각 조사하여 치매, 인지장애, 우울증, 알츠하이머, 파킨슨과 같은 제반 뇌신경 계통 뇌질환을 비침습적 방법으로 예방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광원의 조사각도 및 광원의 위치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에 직각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광이 대뇌피질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광원 자체 및 광에 의해 두피와 두개골층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 및 누적되는 방지하고, 이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부위의 세포조직이 과열 및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Transcranial phototherapy device using light emitting diodes}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두개골 내부의 전두엽, 두정엽, 양측의 측두엽 위치에 각각 조사하여 치매, 인지장애, 우울증, 알츠하이머, 파킨슨과 같은 제반 뇌신경 계통 뇌질환을 비침습적 방법으로 예방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조직에 적색 근적외선 영역의 광선을 조사하면 생체조직의 창상, 염증, 부종 등이 치유되고, 말초신경통이 경감되는 등 많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어 이 효과를 이용한 저출력 레이저 치료(Low Level Laser Therapy)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는 치유효과의 발현이 비교적 완만하여 치료기간이 길다는 결점은 있지만, 극히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고 경제적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특히 비전문인에 의한 재택치료에 적합한 치료법으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LLLT는 적색~근적외선 (Near Infrared Radiation : NIR)영역의 광을 생체조직에 조사할 때, 그 부위의 혈류가 증가하고 ATP 레벨이 현저히 높아지고 그 결과, 1)모세혈관의 생성이 활발해지고, 2)DNA의 생성이 촉진되며, 3)혈액의 산소담지량이 증가하고, 4)콜라겐과의 생성이 촉진되고, 5)인파류의 활동이 증가하고, 6)육아발생(tissue granulation)이 촉진되며, 7)식세포작용(phagocytosis)이 활성화된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따라서 이 효과를 이용하면 결과적으로 1)세포조직의 신진대사의 활성화, 2)손상된 세포조직의 치유촉진 3)가령과 병변에 의핸 세포조직의 재생과 퇴화방지(rejuvnate) 4)세포조직의 면역력의 향상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종 질병의 치료를 비롯하여 재활치료 분야, 공중 보건 분야에 폭 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NIR 에너지의 광-생물효과는 이 파장 범위의 광이 생체조직에 입사하면 그 광 에너지(photon)가 세포내의 세포막과 미트콘드리어(Mitochondria)내부의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Cytochrome C Oxidase : CCO)과 포피린(Porphyrins)등에 흡수되어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을 발생하고, 세포막과 미트콘데리아 막 간의 전위경사를 조성하여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되고 ATP (Adenosine Triphosphate)의 레벨이 상승시킨다는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복합효소체 CCO는 두 개의 동 중심(copper center)인 CuA와 CuB에서 각 각 830nm(NIR)와 665nm(적색광) 에 최대 흡수점이 있는데 이것이 주 광수용체(photoacceptor)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LLLT에 적합한 광 에너지는 파장범위는 대체로 600~850nm인 적색~NIR 영역이고 인가 에너지량은 대체로 4~6J/㎠ 범위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LLLT 효과는 대뇌의 세포조직에 대해서도 당연히 기대할 수가 있는데, 특히 뇌경색환자(AIS)와 외상성 뇌장애(TBI)환자의 치료와 재활훈련을 비롯하여 파킨슨 병(PD), 알츠하이머 병(AD), 우울병, 기억상실증, 불면증, 심적외상후 스트레스 정신장애(PTSD), 측색경화증(FALS),만성실어증, 등 많은 퇴행성 뇌신경장애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건강한 뇌 조직 세포는 미토콘드리어(Mitochondria)가 산소를 흡수하여 ATP를 생성한다. 뇌경색 등으로 혈류가 차단된 세포는 산소부족으로 사멸하게 되는데 NIR를 조사하는 경우, 미토콘드리어는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양자전위를 발생하고 그 결과 ATP가 생성되어 손상된 신경세포를 소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NIR를 조사하는 경우, 시신경 장애가 개선되고, 임파구의 ATP레벨이 상승하고, 도파민(dopamene) 작동성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으며, 신경세포의 발아(sprouting)와 이동성(migration)이 촉진된다는 등의 효과도 보고되어 있다.
LLLT기술을 뇌조직 관련 질병의 치료에 응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는 뇌실질이 두피와 두개골 그리고 경막, 지주막 등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서 직접 광 에너지를 인가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광원을 두피 밖에 두고 두개골을 경유하여 대뇌실질에 광 에너지를 투사하는 경두개골 레이저 요법(Transcranial Low Level Laser Therapy : TLT) 또는 경두개골 근적외선 요법(Transcranial Near-infrared Laser Therapy : NILT)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두개골을 열지 않고서도 대뇌의 질환을 치료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비침습성 치료에 속하며, 환자에게 주는 심적 육체적 부담이 적고 극히 경제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TLT는 종래의 약물치료나 이화학치료로서는 난치로 알려져 있는 뇌중추계통의 퇴행성, 만성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실험에서 밝혀져 있다.
그러나, TLT는 광원이 두피 밖에 위치하며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은 두피, 골막, 두개골, 지주막 연막 등 많은 조직층을 경유해 오면서 흡수, 산란되고 그 나머지가 대뇌피질에 도달하게 된다. 즉, 광원에서 두피에 조사되는 광 에너지의 대부분이 대뇌피질에 도달하기 전에 흡수 또는 산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TLT는 광원 자체 및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두피와 두개골층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의 냉각 속도가 늦을 때에는 온도 상승이 계속되어 투사된 부위의 세포조직이 과열되고 심하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TLT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부위가 달라지게 되어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9462 일본 공개특허 2012-1968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광원의 조사각도 및 광원의 위치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에 직각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광이 대뇌피질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광원 자체 및 광에 의해 두피와 두개골층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 및 누적되는 방지하고, 이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부위의 세포조직이 과열 및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두개골 내의 전두엽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전두엽조사모듈과, 두개골 내의 측두엽 및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한 쌍의 측두엽조사모듈과, 두개골 내의 두정엽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두정엽조사모듈을 포함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에 전원을 공급 및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광조사부를 지지하고,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광조사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광조사부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은 각각 600nm ~ 69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1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어레이와, 805nm ~ 88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2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사용자의 두개골 상부를 향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착용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인착용감지센서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착용 위치 및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위치를 안내 및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려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안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상기 착용안내부의 일 측에는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서브착용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서브착용감지센서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착용안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해 배치된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출력이 주변의 제1발광어레이들 및 타 측 제2발광어레이의 출력보다 높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1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마다 제1그룹과 제2그룹의 작동 상태가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타 측 제2발광어레이의 제2발광다이오드들 중에서 어느 한 제2발광다이오드를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고,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는 펄스 주파수 1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또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는 오프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제2발광다이오들의 작동 상태가 순차적으로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두엽조사모듈 및 두정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3그룹으로 설정하고, 제3그룹을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전두엽조사모듈 및 두정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4그룹으로 설정하고, 제4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마다 제3그룹과 제4그룹의 작동 상태가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 및 지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 및 지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조사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 및 지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은 각각 광의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광원의 조사각도 및 광원의 위치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에 직각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광이 대뇌피질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출력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광원 자체 및 광에 의해 두피와 두개골층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 및 누적되는 방지하고, 이를 통해 광이 조사되는 부위의 세포조직이 과열 및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측두엽조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전두엽조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적색 계열의 가시광선 파장대역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의 광을 두개골 내부의 전두엽, 두정엽, 양측의 측두엽에 각각 조사하여 치매, 인지장애, 우울증, 알츠하이머, 파킨슨과 같은 뇌신경 계통의 뇌질환을 비침습적 방법으로 예방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광조사부(100)와, 본체(200)와, 연결부(300)를 구비한다.
광조사부(100)는 두개골 내의 전두엽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전두엽조사모듈(110)과, 두개골 내의 측두엽 및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한 쌍의 측두엽조사모듈(120)과, 두개골 내의 두정엽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두정엽조사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두엽조사모듈(120)을 제외한 전두엽조사모듈(110)과 두정엽조사모듈(13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광조사부(100)를 구성하는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조사모듈은 각각 600nm ~ 690nm, 바람직하게는 66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1발광다이오드(151)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어레이(150)와, 805nm ~ 880nm, 바람직하게는 81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2발광다이오드(161)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어레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각 조사모듈(110, 120, 130)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3개의 제1발광어레이(150)와, 제1발광어레이(150)들 사이에 제1발광어레이(150)와 나란하도록 배열된 2개의 제2발광어레이(160)를 구비하는 것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제1발광어레이(150)는 제1발광다이오드(151)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갖고, 제2발광어레이(160)는 3개의 제2발광다이오드(161)가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적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한 바와 다르게 제1발광어레이(150)와 제2발광어레이(160)의 개수 및 제1발광다이오드(151)와 제2발광다이오드(16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조사부(100)를 구성하는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조사모듈은 각각 제1발광어레이(150)들과 제2발광어레이(160)들이 설치되는 케이스(170)를 각각 구비하며, 각 케이스(170)는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이 이와 인접하는 네 측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측두엽조사모듈(120)의 하부에는 측두엽조사모듈(120)의 착용 위치 및 측두엽조사모듈(120)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위치를 안내 및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려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안내부(175)가 더 구비된다. 착용안내부(175)는 측두엽조사모듈(120)의 하우징 하부 일 측에서 하방으로 'ㄱ'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되어 하방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서 머리에 연결된 귀의 최상단 측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착용안내부(175)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측두엽조사모듈(120)의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서브착용감지센서(176)가 더 구비된다. 서브착용감지센서(176)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될 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210)에 출력하는 접촉센서 또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일정 거리 접근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모듈(210)에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모듈(210)은 서브착용감지센서(176)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측두엽조사모듈(120)의 동작을 전두엽조사모듈(110) 및 측두엽조사모듈(120)과는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본체(200)는 광조사부(100)에 전원을 공급 및 광조사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10)이 내장되며, 제어모듈(210)이 내장되는 내장공간부를 갖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된다.
본체(200)는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네 측면에 후술하는 연결링크(310)를 하우징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게 개방되고, 각 연결링크(310)에 간섭 또는 결합되어 연결링크(310)의 출입을 단속하며, 연결링크(310)의 길이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게 된 신축결합부(20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00)의 일 측에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모듈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상면에는 제어모듈(210)을 통해 광조사부(10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온오프버튼(201)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두개골 상부를 향하는 본체(200)의 저면에는 본체(2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착용감지센서(202)가 더 구비된다. 메인착용감지센서(202)는 사용자의 두개골 상부의 두피나 두발에 접촉될 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210)에 출력하는 접촉센서 또는 사용자의 두개골 상부의 두피나 두발에 일정 거리 접근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모듈(210)에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어느 일 측면에는 광조사부를 제1발광모드 또는 제2발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제1모드선택버튼(205)과 제2모드선택버튼(206)이 구비되어 있다. 제1발광모드는 예방모드로서 광조사부를 특정 시간동안 작동시키고, 제2발광모드는 관리모드로서 광조사부를 예방모드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의 시간으로 작동시킨다.
제어모듈(210)은 장치가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오프버튼(201)을 눌러 장치를 온시키면 제어모듈(210)은 작동 대기상태에 있다가 후술하는 메인착용감지센서(202) 및 서브착용감지센서(176)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광조사부(10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일 예로, 제어모듈(210)은 사용자가 본체(200) 및 광조사부(100)를 착용하지 아니한 상태로 온오프버튼(201)을 조작할 때에는 광조사부(100)를 대기상태로 유지시키고, 메인착용감지센서(202)와 서브착용감지센서(176)에서 각각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광조사부(100)를 전체 작동시키고, 메인착용감지센서(202)에서만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광조사부(100)중 전두엽조사모듈(110)과 두정엽조사모듈(130)만 작동시키며, 서브착용감지센서(176)에만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측두엽조사모듈(120)만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착용안내부(175)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해 배치된 일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출력이 주변의 제1발광어레이(150)들 및 타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출력보다 높게 제어한다. 일 예로, 일 측 제2발광어레이(160)에 구비된 제2발광다이오드(161) 각각의 출력을 100~200(mW)로 설정하면, 그 주변 제1발광어레이(150)에 구비된 제1발광다이오드(151)들 각각의 출력과 타 측 제2발광어레이(160)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들 각각의 출력은 모두 50~100(mW)로 설정한다.
제어모듈(210)은 측두엽조사모듈(120)에 구비된 제1발광어레이의 제1발광다이오드(151)들과 제2발광어레이(160)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들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그룹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측두엽조사모듈(120)의 제1발광어레이(150)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151)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를 제1그룹(G1)으로 설정할 수 있고, 측두엽조사모듈(120)의 제1발광어레이(150)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151)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161)를 제2그룹(G2)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설정된 제1그룹(G1)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면서 설정된 제2그룹(G2)은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주기마다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의 작동 상태를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의 듀티비를 번갈아가면서 크게 하거나 작게하여 특정 그룹에 속한 발광다이오드들만 지속적으로 발광함에 따라 해당 발광다이오드들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측두엽조사모듈(120)의 타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들 중에서 어느 한 제2발광다이오드(161)를 펄스 주파스 0Hz 및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고,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161)는 펄스 주파수 1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또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161)는 오프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0)은 설정된 주기마다 제2발광다이오들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타 측 제2발광어레이(160)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들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일정 시간동안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어모듈(210)은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의 일부 발광다이오드를 펄스 주파수를 뇌파인 감마파 대역에 포함되는 40Hz로 설정하고, 펄스파와 연속파를 복합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예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10)은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의 나머지 일부 발광다이오드를 펄스 주파수를 뇌파인 알파파 대역에 포함되는 10Hz로 설정하고, 펄스파와 연속파를 복합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예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0)은 제어모듈(210)은 측두엽조사모듈(120)의 제어 방법과 다르게 전두엽조사모듈(110) 및 두정엽조사모듈(130)에 구비된 제1발광어레이의 제1발광다이오드(151)들과 제2발광어레이(160)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들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각 그룹별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모듈(210)은 전두엽조사모듈(110) 및 두정엽조사모듈(130)의 제1발광어레이(150)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151)와, 제2발광어레이(160)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161)를 제3그룹(G3)으로 설정하고, 전두엽조사모듈(110) 및 두정엽조사모듈(130)의 제1발광어레이(150)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151)와, 제2발광어레이(160)들 각각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161)를 제4그룹(G4)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0)은 설정된 제3그룹(G3)을 펄스 주파수 0Hz 및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제4그룹(G4)은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0)은 설정된 주기마다 제3그룹(G3)과 제4그룹(G4)의 작동 상태를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그룹(G3)과 제4그룹(G4)의 듀티비를 번갈아가면서 크게 하거나 작게하여 특정 그룹에 속한 발광다이오드들만 지속적으로 발광함에 따라 해당 발광다이오드들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본체(200)에 대해 광조사부(100)를 지지하고, 광조사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모듈(210)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광조사부(1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본체(200)와 광조사부(10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을 각각 본체(200)에 연결 및 지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링크(310)를 구비한다.
연결링크(310) 각각 본체(200)에 대해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 각각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 측이 본체(200)에 구비된 신축결합부(203)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에 각각 연결된다.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과 연결링크(310) 사이에는 힌지부(320)가 설치되어 연결링크(310)에 대해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힌지부(320)를 통해 전두엽조사모듈(110), 측두엽조사모듈(120), 두정엽조사모듈(130)에서 각각 방출되는 광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링크(310)는 본체(200)에 출입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연결링크(310) 자체를 자유자재로 휘거나 구부려 변형시킬 있고, 변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즈넥과 같은 플렉시블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광조사부
110 : 전두엽조사모듈
120 : 측두엽조사모듈
130 : 두정엽조사모듈
150 : 제1발광어레이
151 : 제1발광다이오드
160 : 제2발광어레이
161 : 제2발광다이오드
170 : 케이스
175 : 착용안내부
176 : 서브착용감지센서
200 : 본체
201 : 온오프버튼
202 : 메인착용감지센서
203 : 신축결합부
210 : 제어모듈
300 : 연결부
310 : 연결링크
320 : 힌지부

Claims (11)

  1. 두개골 내의 전두엽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전두엽조사모듈과, 두개골 내의 측두엽 및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한 쌍의 측두엽조사모듈과, 두개골 내의 두정엽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두정엽조사모듈을 포함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광조사부에 전원을 공급 및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광조사부를 지지하고, 상기 광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광조사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광조사부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은 각각 600nm ~ 69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1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발광어레이와, 805nm ~ 880nm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2발광다이오드가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발광어레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두개골 상부를 향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착용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착용 위치 및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의 조사 위치를 안내 및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귀 부분에 걸려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안내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상기 착용안내부의 일 측에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서브착용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메인착용감지센서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브착용감지센서에서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연결부는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 및 지지시키는 복수의 연결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조사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전두엽조사모듈과 상기 측두엽조사모듈과 상기 두정엽조사모듈은 각각 광의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부를 통해 상기 연결링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제2발광다이오드들을 각각 서로 다른 듀티비를 갖는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그룹별 듀티비가 상호 전환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착용안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마 측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해 배치된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출력이 주변의 제1발광어레이들 및 타 측 제2발광어레이의 출력보다 높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1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와, 일 측 제2발광어레이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2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마다 제1그룹과 제2그룹의 작동 상태가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두엽조사모듈의 타 측 제2발광어레이의 제2발광다이오드들 중에서 어느 한 제2발광다이오드를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고,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는 펄스 주파수 1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또 다른 한 제2발광다이오드는 오프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제2발광다이오들의 작동 상태가 순차적으로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두엽조사모듈 및 두정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어레이들 각각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3그룹으로 설정하고, 제3그룹을 듀티비 1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상기 전두엽조사모듈 및 두정엽조사모듈의 제1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1발광다이오드와, 제2발광어레이들 각각의 나머지 제2발광다이오드를 제4그룹으로 설정하고, 제4그룹을 펄스 주파수 40Hz 및 듀티비 0.2로 작동되게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마다 제3그룹과 제4그룹의 작동 상태가 상호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37399A 2020-03-27 2020-03-27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KR10241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99A KR102413975B1 (ko) 2020-03-27 2020-03-27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99A KR102413975B1 (ko) 2020-03-27 2020-03-27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49A KR20210120549A (ko) 2021-10-07
KR102413975B1 true KR102413975B1 (ko) 2022-06-28

Family

ID=7811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99A KR102413975B1 (ko) 2020-03-27 2020-03-27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2468B (zh) * 2022-07-26 2023-10-03 丹阳慧创医疗设备有限公司 光治疗装置以及治疗阿尔兹海默症的光治疗设备
KR20230125566A (ko) * 2022-02-21 2023-08-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 혈위 레이저 자극기
EP4338794A1 (en) * 2022-09-15 2024-03-20 Symbyx Pty Ltd Transcrania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62B1 (ko) * 2010-03-18 2011-01-19 주식회사 루트로닉 광선 요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2351B2 (ja) 2011-03-18 2016-01-13 株式会社リコー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66507A (ko) * 2017-12-05 2019-06-13 권용훈 광을 이용한 뇌의 비침습적 자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462B1 (ko) * 2010-03-18 2011-01-19 주식회사 루트로닉 광선 요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49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975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경두개 광선 조사장치
US116336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brain modulation with photobiomodulation
CN106413810B (zh) 用于脑的非侵入式神经刺激治疗的系统和装置
US7309348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depression
EP1853347B1 (en)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US10363434B2 (en) LED therapy bed
KR102190554B1 (ko) 저출력 레이저 치료기
CN108187236B (zh) 多功能生发仪及系统
KR101516073B1 (ko) 뇌질환 치료를 위한 경두개 근적외선 레이저 치료장치
KR102209429B1 (ko) 두피 관리용 엘이디 레이저 헬멧
CN112512624A (zh) 用于治疗外伤性脑损伤的装置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KR20210075492A (ko) 턱관절 통증 치료용 광원치료기
CN111790060A (zh) 基于脉冲半导体激光外照射技术治疗脑部疾病的装置
KR102553968B1 (ko) 근적외선 헬멧
KR102574402B1 (ko) 인체케어용 광조합모듈 및 인체케어장치
US20170216577A1 (en) Equipment for applying active elements to the skull of a patient
CN117563145A (zh) 一种基于强脉冲光的led阿尔兹海默症光疗仪
EP3419720B1 (en) Led therapy bed
KR20230016515A (ko) 부위별 염증 정도를 산소포화도로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염증성 코질환 치료기기
AU2022336837A1 (en) Phototherapy mask
CN115105752A (zh) 一种基于近红外led和激光的双光源人脑光生物调节装置
KR20130127074A (ko) 광 파워밀도 조절이 용이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