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865B1 -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865B1
KR102413865B1 KR1020200011875A KR20200011875A KR102413865B1 KR 102413865 B1 KR102413865 B1 KR 102413865B1 KR 1020200011875 A KR1020200011875 A KR 1020200011875A KR 20200011875 A KR20200011875 A KR 20200011875A KR 102413865 B1 KR102413865 B1 KR 10241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d
present
delete delet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099A (ko
Inventor
박용민
김봉근
이인범
신법희
Original Assignee
(주)조인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인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조인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20001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8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고보드 등의 내화재에 단열재를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끔 하는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와,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며, 헤드부가 단열재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재 고정구{Fixing device for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은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보드 등의 내화재에 단열재를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끔 하는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벽에 시공되는 단열재는 스티로폼 또는 글라스 울(glass wool)과 석고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티로폼과 글라스 울은 단열과 방음 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석고보드는 표면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스티로폼과 글라스 울의 시공부위에 대한 마감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나 글라스 울과 같은 단열재를 벽면 전반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롭고 품이 많이 소요되는 공사이다. 종래에는, 단열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여기에 석고보드를 부착시킨 후, 이들을 다시 접착제가 도포된 벽체에 연속적으로 연결 부착시켜 단열 및 내화효과를 가지게끔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결합구조는, 벽체에 접착제 도포, 단열재 부착, 다시 접착제 도포 및 석고보드를 부착시키는 비교적 많은 공정을 거치므로 시공이 번잡하였고, 이에 따라 공사기간이 지연되었으며, 접착제가 벽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여 단열재와 석고보드 사이에 틈새공간이 발생되고, 이 틈새공간 부분의 석고보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 집중되어 석고보드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석고보드와 단열재 사이에 이용되는 접착제로 수성인 석고본드를 주로 이용하는데, 이는 쉽게 탈락하는 문제 및 동절기 공사가 불가능하여 공정 관리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를 석고보드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재 고정시 쉽게 해제되지 않는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재 고정시 다소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재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가 상기 단열재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일자 또는 십자로 절개 형성되는 드라이브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에 일자 또는 십자로 절개 형성되는 드라이브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나사산부의 하단에 외날 또는 양날로 형성되는 칼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톱니는 상기 나사산부의 결합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톱니는,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만곡부의 타단까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석고보드에 단열재를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단열재 설치시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가 헤드부의 톱니에 걸려 쉽게 풀어지지 않으므로,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면, 헤드부의 드라이브 홈 주변부에 소정 두께의 보강부가 형성됨에 따라,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헤드부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글라스 울 등의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 등 내화재에 일단이 삽입,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무게가 가볍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강도 보강을 위해 일부분 또는 전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단열재(10)에 삽입되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몸체부(200)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이나 중공 기둥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부(400)가 형성된다. 이 나사산부(400)는 단열재 고정구(100)와 석고보드(2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단열재 고정구(100)의 나사산부(400)가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나사산부(400)가 석고보드(20)를 쉽게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나사산부(400)의 하단에 뾰족하게 칼날부(500)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외날 형태의 칼날부(5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외날 또는 양날 등 칼날부(50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몸체부(200)의 상단에 헤드부(300)가 형성된다. 헤드부(300)는 몸체부(20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 고정구(100)를 단열재(10)에 고정할 때, 단열재(10)의 외측면에 헤드부(300)의 저면이 밀착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헤드부(300)의 중앙에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드라이브 홈(310)이 절개 형성되며, 사용자는 드라이브 홈(310)에 드라이브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에 단열재 고정구(100)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브 공구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드라이브 홈(310)이 뭉개지거나 헤드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브 홈(310)의 주변부에 살을 더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헤드부(300)의 중앙에 돔(dome) 형태로 볼록하게 보강부(320)를 돌출 형성하고, 이 보강부(320)의 중앙을 지나도록 전술한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드라이브 홈(310)을 절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320)에 의해 드라이브 홈(310)의 주변부에 두께가 덧대어져 강도가 보강되며, 드라이브 공구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드라이브 홈(310) 또는 헤드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의 헤드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몸체부(200)와 헤드부(30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헤드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의 톱니(330)가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헤드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 개의 톱니(330)가 형성되며, 단열재 고정구(100')의 설치시 이 톱니(330)에 글라스 울 등 단열재(10)의 섬유가 엉켜서 걸리게 된다.
여기서 톱니(330)는, 헤드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만곡부(331)와, 만곡부(331)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만곡부(331)의 타단까지 반대 방향으로 낮게 경사진 걸림부(332)를 포함하며, 이때 걸림부(332)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부(331)가 연장 형성되고, 만곡부(331)의 끝단에서 걸림부(332)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에 나사산부(400)가 나사 결합되는데, 결합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그 역방향인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단열재(10)의 섬유가 톱니(330)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300) 테두리의 톱니(330)가 나사산부(400)의 결합 회전 방향(도면상 시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결합 회전 방향에 대한 역방향 회전(도면상 반시계 방향 회전)시 단열재(10)의 섬유가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톱니(330)에 엉켜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단열재 고정구(100')는 헤드부(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몸체부(200)의 나사산부(400)가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에 결합된다. 이때, 헤드부(300)는 글라스 울 등 단열재(10)의 섬유를 헤치고 단열재(10)의 일면에 밀착된다. 그런데, 외력에 의해 단열재 고정구(100)의 헤드부(3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톱니(330)의 걸림부(332)에 단열재(10)의 섬유가 올올이 엉켜서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헤드부(30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되어 단열재 고정구(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구(100')는, 단열재(10)를 관통하여 석고보드(20)에 나사 결합한 이후, 나사결합 방향의 역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톱니(330)의 걸림부(332)가 단열재(10)의 섬유에 걸려서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단열재(10)로부터 예기치 못한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 : 단열재 고정구
200 : 몸체부
300 : 헤드부
310 : 드라이브 홈
320 : 보강부
330 : 톱니
400 : 나사산부
500 : 칼날부

Claims (8)

  1. 섬유 재질의 단열재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
    상기 헤드부의 중앙에 돔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에 일자 또는 십자로 절개 형성되는 드라이브 홈; 및
    상기 나사산부의 하단에 외날 또는 양날로 형성되는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나사산부의 결합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 개의 톱니가 상기 헤드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 방향으로의 회전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단열재의 섬유가 상기 톱니에 엉켜서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톱니는,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 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에서 인접하는 다른 만곡부의 타단까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만곡부의 외측면은 상기 헤드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원에 내접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상의 원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11875A 2020-01-31 2020-01-31 단열재 고정구 KR10241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875A KR102413865B1 (ko) 2020-01-31 2020-01-31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875A KR102413865B1 (ko) 2020-01-31 2020-01-31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99A KR20210098099A (ko) 2021-08-10
KR102413865B1 true KR102413865B1 (ko) 2022-06-28

Family

ID=7731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875A KR102413865B1 (ko) 2020-01-31 2020-01-31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770A (ja) * 2012-06-18 2014-01-09 Pias Hanbai Kk ラバーシートの表層を持つ積層材用ねじ
KR101483118B1 (ko) * 2014-07-04 2015-01-16 정왕금속(주) 태핑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818A (ko) * 2008-04-07 2009-10-12 석봉철 단열재
KR20170127321A (ko) * 2016-05-11 2017-11-21 김정임 목재용 나사못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770A (ja) * 2012-06-18 2014-01-09 Pias Hanbai Kk ラバーシートの表層を持つ積層材用ねじ
KR101483118B1 (ko) * 2014-07-04 2015-01-16 정왕금속(주) 태핑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099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9257A (en) Self drilling anchor
US5100274A (en) Roofing fastener and improved screw therefor
US4653246A (en) Insulation board for attachment to walls
US4196883A (en) Hollow wall fastener
US5307602A (en) Settable fitting allowing the fixation of facade lining outer panel boards
KR101784263B1 (ko) 건축용 석재고정 앙카 지지구
US2391792A (en) Wall construction and fastener therefor
EP3348725B1 (en) Insulation system with insulating elements of glass wool and method for spaced fixation thereof
KR102413865B1 (ko) 단열재 고정구
KR102258727B1 (ko) 인장 강도와 내진 성능을 향상시킨 연결부재
US3998014A (en) Protective edge configuration for structural sheeting
KR101002132B1 (ko)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에 사용되는 스톤네트 어셈블리
EP0416183B1 (en) Anchor-fixing
JP7038920B2 (ja) 改善されたアンカーボルト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天井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EP0029034B1 (en) An anchorage for attachment of ties to walls, floors or ceilings and a tie for attachment in the anchorage
EP1314828B1 (en) Integral connector for composite constructions
JP2019148330A (ja) 締結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軟質材の固定構造
JPH0932826A (ja) 建築用ボードの止め螺子
JP2008286336A (ja) 不燃性及び耐火性機械式ブラインド拡開ボードアンカー
JPH1134199A (ja) 補強材料
JP2593581Y2 (ja) 壁面形成用アンカー
JP2880266B2 (ja) 建築用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TWM630005U (zh) 防脫出螺絲
US3855750A (en) Screw anchored wallboard assembly
CN212297194U (zh) 防震锚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