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698B1 -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 Google Patents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698B1
KR102413698B1 KR1020200059170A KR20200059170A KR102413698B1 KR 102413698 B1 KR102413698 B1 KR 102413698B1 KR 1020200059170 A KR1020200059170 A KR 1020200059170A KR 20200059170 A KR20200059170 A KR 20200059170A KR 102413698 B1 KR102413698 B1 KR 10241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nuclear fuel
hole
fuel assembly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402A (ko
Inventor
천주홍
김바름
남채영
최대운
이진석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22Means to influence the coolant flow through or around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홀의 형태를 격자무늬로 구성하되 상기 격자무늬를 구성하는 격자프레임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유로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물질 필터링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격자프레임의 측단면 형태를 항공기 익형으로 구성하여 냉각수 압력 강하 방지를 통해 냉각수 유속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유로홀을 형성하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있어서, 상기 유로홀은 격자무늬로 구성되며, 상기 격자무늬를 구성하는 격자프레임은 냉각수 유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자프레임의 측단면 형태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볼록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다가 뾰족하게 형성된 항공기 익형(翼型) 타입의 유선형(流線型)이며, 상기 격자프레임의 경사 방향은 유로홀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된 격자프레임간 대칭이고, 상기 격자프레임이 형성하는 유로홀의 유입부 직경은 유로홀의 유출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A bottom Fixture of Nuclear Fuel Assembly formed flow hole by a Aircraft Airfoil Structure forming a flow hole}
본 발명은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 필터링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냉각수 압력 강하 방지를 통해 냉각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는 핵분열 물질의 연쇄 핵분열반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핵분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는 농축된 우라늄을 일정한 크기의 원통형 펠렛(pellet)으로 성형된 후에 다수의 펠렛들이 연료봉 내에 장입되어 제조되며, 이러한 다수의 연료봉들이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하여 원자로의 노심에 장전된 후에 핵반응을 통해 연소가 이루어진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핵연료 집합체는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연료봉과, 이 연료봉의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연료봉을 지지하게 되는 다수의 지지격자(30)와, 이 지지격자(30)와 고정되어 집합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다수의 안내관(10) 및 지지격자(30)의 중심에 삽입되는 계측관(20)과, 안내관(10) 및 계측관(20)의 상하단을 각각 지지하게 되는 상단고정체(40) 및 하단고정체(50)로 이루어진다.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하는 연료봉은 대략 200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연료봉에는 농축된 우라늄이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되어 장입된다.
상단고정체(40)와 하단고정체(50)는 안내관(1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고정체(40)는 핵연료 집합체의 하부를 통해 상부를 흐르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핵연료 집합체의 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탄성체가 마련되어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부를 눌려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하단고정체(50)는 안내관(10)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고, 안내관(10)과 계측관(20)이 삽입되는 홀 및 냉각수가 공급되는 다수의 유로홀을 형성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하단고정체(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하단고정체(50)에는 안내관(10) 및 계측관(20)이 각각 연결되는 안내홀(51) 및 계측홀(52)과 냉각수 통과 구멍인 유로홀(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냉각수는 상기 유로홀(53)을 통해 연료봉 영역으로 유입되어 연료봉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연료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수가 유로홀(53)을 통해 연료봉 영역으로 유입될 때, 냉각수 중에 잔존하는 이물질들 역시 냉각수와 동일한 경로로 연료봉 영역으로 함께 들어오게 된다.
즉, 원자로 가동 중에 냉각수와 함께 흐르는 여러 형태의 이물질은 유로홀(53)을 통과하여 핵연료집합체의 연료봉이 위치한 영역으로 유입되고, 연료봉과 연료봉 사이 또는 핵연료집합체 최하부 지지격자와 연료봉 사이에 끼일 수 있는 것이다.
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이 유로홀(53)을 통해 냉각수와 같이 연료봉 사이로 유입되면, 이물질은 인접한 핵연료봉 피복관에 진동접촉하고, 그로 인해 핵연료봉 피복관을 기계적으로 마모시켜 상기 피복관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핵연료봉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이물질의 종류는 절삭가공 후의 금속조각, 용접시 발생되는 찌꺼기, 볼트, 넛트, 못, 쇠톱조각 등 매우 다양하다.
핵연료봉의 피복관이 손상되면 연료봉내 핵물질의 핵반응으로 인하여 생성된 핵반응 생성물질들이 연료봉 피복관의 밖으로 유출되어 냉각수를 방사능 물질들로 오염시키고, 오염된 냉각수는 원자력 발전소의 일차 냉각 계통을 순환하면서 일차냉각수 전체를 오염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유로홀(53)은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그물망 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설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로홀(53) 설계는 냉각수의 압력이 강하되어 냉각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냉각수의 압력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유로홀(53) 설계는 이물질 필터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0-00616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물질 필터링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하단고정체의 유로홀을 통한 냉각수의 압력 강하를 방지하여 냉각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유로홀을 형성하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있어서, 상기 유로홀은 격자무늬로 구성되며, 상기 격자무늬를 구성하는 격자프레임은 냉각수 유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자프레임의 측단면 형태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볼록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다가 뾰족하게 형성된 항공기 익형(翼型) 타입의 유선형(流線型)이며, 상기 격자프레임의 경사 방향은 유로홀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된 격자프레임간 대칭이고, 상기 격자프레임이 형성하는 유로홀의 유입부 직경은 유로홀의 유출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로홀을 격자로 설계하여 유로홀 크기를 최소화하되, 그 격자를 구성하는 격자 프레임의 측단면은 항공기 익형의 단면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격자 프레임이 구성하는 유로홀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압력이 강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냉각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격자 형태로 구성된 유로홀로 인해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로홀을 구성하는 격자프레임을 냉각수 유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유로홀의 크기는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즉, 격자프레임의 경사로 인해,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로홀의 유입부 또는 냉각수가 빠져나가는 유로홀의 유출부 모두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핵연료집합체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의 요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이하, '하단고정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단고정체(100)는 유로홀(20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높이면서도, 냉각수 통과시 냉각수 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냉각수 흐름 및 이물질 필터링 효율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
하단고정체(100)는 냉각수가 흘러 통과하는 유로홀(200)을 형성한다.
이때, 유로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무늬로 형성된다.
즉, 유로판 상에서 격자프레임(300)이 격자로 구성되어 사각 형태의 유로홀(20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로홀(200)이 격자무늬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격자프레임(300)의 두께를 크게 하여 냉각수가 통과되는 유로홀(2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격자프레임(300)은 냉각수 유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는 유로홀(20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물질 필터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프레임(300)이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유로홀(200)의 크기는, 격자프레임(30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단순 격자무늬를 형성한 유로홀(200) 크기에 비해 줄어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격자프레임(300)의 경사 방향은 서로 대향된 격자프레임(300) 간 대칭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대향된 격자프레임(300)이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홀(200)의 크기는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즉, 냉각수 유입 방향으로 유로홀(200)의 유입부 및 유출부의 크기가 모두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프레임(300)이 형성하는 유로홀(200)의 유입부 직경은 유로홀(200)의 유출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격자프레임(300)에 의해 형성된 유로홀(200)은 유입부 또는 유출부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은 유입부 또는 유출부 중 어느 한 곳에서 필터링 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예컨대 유로홀(200)의 유입부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이물질 필터링이 유입부에서 걸러지고, 유로홀(200)의 유입부 크기가 확관된 경우에는 이물질 필터링은 유출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유로홀(200)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물질은 유로홀(200)의 유입부측 또는 유출부측 어디에서든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유로홀(200)은 이물질 필터링을 극대화해야함은 물론, 유로홀(200)을 통과하는 냉각수 흐름시 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방지해야하는바, 상기 유로홀(200)을 형성하는 격자프레임(300)은 항공기 날개 형태의 유선형(流線型)으로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격자프레임(300)의 측단면 형태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볼록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다가 뾰족하게 형성된 항공기의 익형(翼型)으로 형성된 것이다.
즉, 하단고정체가 격자무늬 구성으로 인해 유로홀(200)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더라도, 냉각수는 유로홀(200) 통과시 격자프레임(300)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각각 유입되다가 격자프레임(300)의 곡선형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격자프레임(300)의 뾰족한 부위에서 만나 연료봉으로 유입되므로, 냉각수 유입시 압력이 강하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냉각수는 유로홀(200)을 통해 유속 저하 없이 원활하게 유입이 되므로, 냉각수 압력 강하방지 효율과 이물질 필터링 효율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유로홀(200)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격자프레임(300)의 곡선부위를 따라 유입된 후 격자프레임(300)의 뾰족한 부위에서 만나 연료봉으로 흘러나가는 유체 흐름을 통해, 항공기 날개의 기체가 압력 강하 없이 지나가는 것과 동일하게 압력 강하가 방지되므로 냉각수 유속은 저하되지 않으며, 이물질은 경사진 격자프레임(300)이 구성하는 유로홀(200)의 유입부 또는 유출부에서 각각 걸러짐에 따라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는 유로홀을 격자무늬로 구성하되 격자무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측단면 형태를 항공기의 날개 형태로 적용하고, 격자프레임은 냉각수 유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냉각수 유속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이물질 필터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하단고정체 200 : 유로홀
300 : 격자프레임

Claims (2)

  1. 복수의 유로홀을 형성하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있어서,
    상기 유로홀은 격자무늬로 구성되며,
    상기 격자무늬를 구성하는 격자프레임은 냉각수 유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격자프레임의 측단면 형태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볼록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다가 뾰족하게 형성된 항공기 익형(翼型) 타입의 유선형(流線型)이며,
    상기 격자프레임의 경사 방향은 유로홀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된 격자프레임간 대칭이고, 상기 격자프레임이 형성하는 유로홀의 유입부 직경은 유로홀의 유출부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2. 삭제
KR1020200059170A 2020-05-18 2020-05-18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KR10241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70A KR102413698B1 (ko) 2020-05-18 2020-05-18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70A KR102413698B1 (ko) 2020-05-18 2020-05-18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02A KR20210142402A (ko) 2021-11-25
KR102413698B1 true KR102413698B1 (ko) 2022-06-27

Family

ID=7874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70A KR102413698B1 (ko) 2020-05-18 2020-05-18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5177B (zh) * 2022-07-07 2024-03-19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基于过滤棒结构的核燃料组件下管座及过滤组件和应用
CN115588518B (zh) * 2022-10-10 2024-03-19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基于流线型过滤棒结构的核燃料组件下管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045B1 (ko) * 2017-01-12 2018-02-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삽입형 이물질여과장치를 가지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665A (ko) 1999-03-30 2000-10-25 임창생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설치되는 적층형 이물질 유입방지필터
DE10309742B4 (de) * 2003-03-06 2005-01-27 Framatome Anp Gmbh Abstandha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045B1 (ko) * 2017-01-12 2018-02-08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삽입형 이물질여과장치를 가지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02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698B1 (ko) 경사진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US20070291893A1 (en) Nuclear fuel spacer assembly with debris guide
RU2742042C1 (ru) Тепловыделяющая сборка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110537229B (zh) 核燃料组件碎屑过滤底部喷嘴
KR20040040432A (ko) 원자로의 연료집합체용 감소된 압력강하 파편 필터 하부노즐
JPH02287290A (ja) 粒子保持装置を有する燃料集合体の下部端ノズルおよびかかる端ノズルを有する燃料集合体
JP3328364B2 (ja) 核燃料集合体のための低圧力損スペーサ
KR102268275B1 (ko)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KR102162012B1 (ko) 적층된 항공기 익형구조를 활용하여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US20190198183A1 (en) A fuel assembly
KR20140019926A (ko) 유체유발 고주파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
KR102162013B1 (ko) 나선형 유로홀을 형성한 핵연료 집합체의 하단고정체
KR101851181B1 (ko) 이물질 여과장치가 형성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
KR101851184B1 (ko) 향상된 이물질 여과성능을 제공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
KR100898114B1 (ko) 유로구멍에 삽입되는 돌출형 이물질여과용 지지격자
KR100314578B1 (ko) 핵연료집합체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JP5823605B2 (ja) 核燃料アセンブリで使用するための下側ノズル
KR100927133B1 (ko) 원통모양의 딤플을 갖는 이물질여과용 지지격자
KR100907634B1 (ko) 비대칭형 딤플을 갖는 이물질 여과용 지지격자
KR100918486B1 (ko) 원통모양의 딤플을 갖는 이물질여과용 지지격자
KR20140019924A (ko) 유체유발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
JP2001141866A (ja) 燃料集合体
US9196386B2 (en)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for reducing high frequency vibration
KR101453396B1 (ko) 고주파영역에서의 유체유발 진동에 의한 공진을 방지하기 위한 핵연료 집합체의 보호 지지격자
EP3510602B1 (en) A fu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